탄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탄광은 석탄을 채굴하는 시설을 의미하며, 수천 년 전부터 역사가 시작되었다. 19세기 산업 혁명 시기에는 주요 에너지원으로 활용되었으나, 지구 온난화 문제와 석탄 수요 감소로 인해 쇠퇴하고 있다. 탄광은 지표면 채굴과 지하 채굴 방식으로 나뉘며, 채굴 방법은 석탄층의 깊이와 지질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주요 석탄 생산국으로는 중국, 인도, 미국, 인도네시아, 호주 등이 있으며, 한국은 석탄의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다. 탄광 채굴은 노동자 안전, 환경 문제, 탄광 지역 사회 문제 등 다양한 위험을 동반하며, 갱내 가스, 분진, 낙반, 소음 등 다양한 위험 요인이 존재한다. 탄광과 관련된 문화적 현상으로는 검은 날개 운동, 탄광촌 문화, 탄광 노동 운동, 관련 예술 작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료 생산 - 태양연료
태양연료는 태양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변환하여 수소, 암모니아, 메탄올 등 다양한 연료를 생산하는 친환경적인 기술로, 광화학적, 광생물학적, 열화학적 방법과 광전기화학 전지, 광촉매, 미생물, 플라즈마 등을 활용하여 수소 경제와 탄소 중립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
탄광 | |
---|---|
개요 | |
![]() | |
유형 | 지표 채굴 지하 채굴 |
채굴 방법 | |
지표 채굴 | 노천 채굴 윤곽 채굴 산 정상 제거 채굴 |
지하 채굴 | 갱도 채굴 채굴기 채굴 후퇴식 채굴 벽면 채굴 |
공정 | |
탐사 | 지질 조사 시추 |
준비 | 부지 정리 기반 시설 건설 |
채굴 | 굴착 폭파 적재 |
처리 | 분쇄 세척 선별 |
운송 | 철도 트럭 바지선 파이프라인 |
복구 | 경사면 안정화 토양 재구성 식생 복원 |
안전 | |
위험 요소 | 가스 폭발 갱도 붕괴 분진 폭발 장비 사고 |
예방 조치 | 환기 시스템 가스 모니터링 지반 지지 안전 교육 |
환경 영향 | |
영향 | 수질 오염 대기 오염 토지 황폐화 생태계 파괴 |
완화 노력 | 침식 통제 폐수 처리 토지 복원 탄소 포집 |
사회경제적 측면 | |
일자리 | 채굴 작업자 엔지니어 지질학자 관리자 |
경제적 영향 | 지역 경제 활성화 세수 증대 에너지 공급 |
사회적 영향 | 지역 사회 개발 보건 문제 사회 갈등 |
기술 | |
장비 | 굴삭기 트럭 드릴 컨베이어 벨트 채굴기 |
자동화 | 원격 제어 장비 로봇 공학 데이터 분석 |
역사 | |
초기 | 표면 채굴 수공구 |
산업 혁명 | 증기 기관 철도 |
현대 | 대규모 기계화 자동화 |
규제 및 정책 | |
규제 기관 | 국가 정부 지방 정부 |
정책 | 안전 규정 환경 규정 탄소 배출 규제 |
미래 | |
동향 | 탄소 포집 및 저장 청정 석탄 기술 광산 복구 기술 재생 에너지 전환 |
2. 역사
석탄 채굴의 역사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고대 중국, 로마 제국 등 초기 역사 기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석탄은 목재에 비해 단위 질량당 더 많은 에너지를 생산하며, 목재를 구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중요한 연료로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가정용 연료로 쓰였으나, 점차 산업용, 특히 제련, 합금 생산, 전력 생산 분야에서 중요성이 커졌다.[84]
산업 혁명 시기에 석탄 채굴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증기 기관의 주요 동력원으로 사용되었고, 건물 난방과 전기 생산에 필수적인 자원이었다. 특히 영국은 18세기 후반부터 지하 석탄 채굴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했으며, 이러한 기술 발전은 19세기와 20세기 초반까지 이어졌다. 18세기부터 1950년대까지 석탄은 산업 지역의 핵심 에너지원이자 운송 수단의 동력이었다.
그러나 1860년대 이후 석유와 천연가스가 대체 에너지원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가정용뿐만 아니라 산업 및 운송 분야에서도 석탄은 석유, 천연가스, 원자력, 재생 가능 에너지 등으로 상당 부분 대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0년 기준으로 석탄은 여전히 전 세계 에너지의 4분의 1 이상을 공급하는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남아있다. 현대에는 석탄층이 지표면에 가깝거나 얕은 곳에 있는 경우, 노천 채굴(오픈 피트 방식)을 통해 대규모로 채굴이 이루어진다.
석탄 채굴은 1890년대부터 중요한 정치적, 사회적 쟁점이 되기도 했다. 20세기 들어 많은 국가에서 탄광 노동조합이 강력한 세력으로 성장했으며, 영국, 독일, 폴란드, 일본, 칠레, 캐나다, 미국 등에서는 좌파 또는 사회주의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1970년대 이후로는 광부들의 건강 문제, 노천 채굴 및 산 정상 제거 채굴로 인한 자연 경관 파괴, 대기 오염, 그리고 석탄 연소가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 등 환경 문제가 점점 더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로 인해 석탄 수요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석탄 사용량이 정점을 지나 감소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초기부터 석탄 광업이 본격적인 산업으로 자리 잡으며 경제 발전과 국민 생활 향상에 기여했다.[84] 이시카리 탄전, 구시로 탄전, 조반 탄전, 미이케 탄전, 지쿠호 탄전 등 대규모 탄전을 중심으로 산업이 발달했으나, 저렴한 수입 석탄과의 경쟁 심화와 석유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혁명으로 인해 많은 탄광이 문을 닫았다. 지쿠호 탄전은 1975년까지, 이시카리 탄전은 1995년까지 모든 탄광이 폐쇄되었으며, 마지막까지 가동되던 미이케 탄전과 이케시마 탄광도 각각 1997년과 2001년에 폐광되었다. 2015년에는 "메이지 일본의 산업 혁명 유산 제철·제강, 조선, 석탄 산업"이 UNESCO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84] 최근 일본 정부는 탈석탄 정책으로 전환하며 비효율적인 석탄 화력 발전을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89]
영국에서는 대처 정권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유화되었던 석탄 산업의 민영화를 추진했다. 이에 반발하여 1984년부터 1985년까지 영국 탄광 노조 위원장 아서 스칼길의 주도로 대규모 영국 광부 파업 (1984-85)이 일어나는 등 격렬한 사회 운동이 있었으나, 결국 1994년 민영화되었다. 북해 유전 개발과 해외 석탄과의 가격 경쟁 심화 등이 민영화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민영화 이후 영국의 탄광 수는 급격히 감소하여(1981년 211개소 → 2005년 8개소), 많은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폐광 지역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실업, 범죄율 상승, 마약 문제 등 사회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96]
2. 1. 한국의 석탄 채굴 역사
'''(내용 없음)'''3. 채굴 방법
석탄 채굴 방법은 광산이 지표면 채굴(노천 채굴) 방식인지 지하 채굴 방식인지에 따라 다르다. 석탄층의 두께와 지질학적 특성 또한 채굴 방법 선택에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지표면 채굴에서는 전기 삽이나 드래그라인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며, 지하 채굴에서는 석탄층을 따라 탄화물 비트가 달린 회전 드럼 두 개를 이용하는 롱월(long wall) 방식이 가장 경제적인 형태로 알려져 있다. 표면 및 지하 광산에서 채굴된 석탄 중 상당수는 석탄 선광 공장에서 세척 과정을 거쳐야 한다.[3]
채굴 방법은 크게 지표면 채굴과 심층 지하 채굴로 나뉜다. 어떤 방식을 선택할지는 주로 석탄층의 깊이, 밀도, 오버버든(표토 및 상부 암석)의 양과 특성, 그리고 석탄층의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지표면에서 비교적 가까운 깊이, 약 55m 미만에 위치한 석탄층은 지표면 채굴 방식으로 개발된다. 깊이 55m에서 90m 사이에 있는 석탄은 주로 심층 지하 채굴 방식으로 채굴되지만, 상황에 따라 지표면 채굴 기술이 적용되기도 한다. 90m보다 깊은 곳에 있는 석탄은 대부분 심층 지하 채굴 방식으로 채굴된다.[4] 그러나 깊이 기준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석탄층의 두께나 다른 지질 조건에 따라 예외가 있을 수 있다.
채굴 방법의 기술적 및 경제적 타당성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결정된다.[3]
평가 요소 | 세부 내용 |
---|---|
지질 조건 | 지역적 특성, 석탄층의 연속성, 두께, 구조, 품질, 깊이, 상하부 암반(지붕 및 바닥)의 강도 및 상태 |
오버버든 | 특성 및 양 |
지형 | 고도, 경사 등 |
환경 조건 | 기후, 지표수 배수 패턴, 지하수 조건 |
사회경제적 조건 | 토지 소유권(부지 확보 및 접근성), 노동력 및 자재 확보 가능성, 석탄 구매자 요구(생산량, 품질, 운송 등), 자본 투자 규모 |
3. 1. 지표면 채굴 (노천 채굴)
석탄 채굴 방법은 광산이 지하 광산인지 지표면 광산(노천 채굴)인지에 따라 다르다. 또한 석탄층의 두께와 지질학적 특성도 채굴 방법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지표면 광산에서 가장 경제적인 석탄 추출 방법은 전기 삽 또는 드래그라인이다. 지표면 채굴과 심층 지하 채굴은 기본적인 두 가지 채굴 방법으로, 채굴 방법의 선택은 주로 석탄층의 깊이, 밀도, 오버버든(표토) 및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표면에서 비교적 가까운 깊이 약 55m 미만의 탄층은 지표면 채굴 방식으로 채굴된다.깊이 55m에서 90m 사이에 있는 석탄은 보통 심층 채굴되지만, 경우에 따라 지표면 채굴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깊이 60m 이상에서 발견되는 일부 미국 서부 석탄은 탄층 두께가 20m에서 25m에 달하기 때문에 노천 채굴 방식으로 채굴된다. 90m 아래에 있는 석탄은 일반적으로 심층 채굴된다.[4] 그러나 독일의 Tagebau Hambach와 같이 지표면 아래 300m에서 460m 깊이의 탄층에서 작업하는 노천 채굴 작업도 있다. 지표면과 지하 광산에서 채굴된 많은 석탄은 석탄 선광 공장에서 세척 과정을 거친다. 기술적 및 경제적 타당성은 지역 지질 조건, 오버버든 특성, 석탄층의 연속성, 두께, 구조, 품질 및 깊이, 지반과 바닥 조건, 지형(특히 고도와 경사), 기후, 토지 소유권(광산 부지 확보 및 접근성 영향), 표면 배수 패턴, 지하수 조건, 노동력 및 자재 가용성, 석탄 구매자의 요구 사항(톤수, 품질, 목적지), 자본 투자 요구 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된다.[3]

탄층이 지표면 가까이에 있을 경우, 노천 채굴(표면 채굴, 스트립 채굴, 산 정상 제거 채굴 등) 방식으로 석탄을 채취하는 것이 경제적일 수 있다. 노천 채굴은 지하 채굴 방식보다 지층 내 더 많은 탄층을 활용할 수 있어 매장된 석탄의 회수율이 더 높다. 사용되는 주요 장비로는 오버버든(표토)을 제거하는 드래그라인, 파워 셔블, 오버버든과 석탄을 운반하는 대형 트럭, 버킷 휠 굴착기, 컨베이어 등이 있다. 노천 채굴 과정은 일반적으로 먼저 폭발물을 사용하여 채굴 지역 표면의 오버버든을 파쇄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후 드래그라인이나 파워 셔블, 트럭 등을 이용해 오버버든을 제거한다. 탄층이 드러나면 드릴로 구멍을 뚫고 파쇄한 뒤, 스트립 방식으로 채탄한다. 채굴된 석탄은 대형 트럭이나 컨베이어에 실려 석탄 선광 공장으로 운반되거나 사용처로 직접 운송된다.[12]
미국에서는 주로 역청탄을 노천 채굴 방식으로 채취한다. 캐나다,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발전용탄과 금속탄 모두 노천 채굴로 생산된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에서는 증기탄과 무연탄을 노천 채굴한다. 노천 채굴은 호주 전체 석탄 생산량의 약 80%, 미국의 약 67%를 차지하며, 전 세계적으로는 약 40%에 해당한다.[12]
=== 스트립 채굴 (Strip mining) ===
스트립 채굴은 각 탄층 위의 흙(오버버든)을 긴 띠(strip) 모양으로 제거하여 석탄을 노출시키는 방식이다.[5] 첫 번째 스트립에서 제거된 오버버든은 계획된 채굴 구역 외부에 버려지며(구덩이 밖 적치), 이후 스트립에서 나오는 오버버든은 이전에 석탄이 채굴된 빈 공간에 버려진다(구덩이 내 적치).
오버버든은 단단할 경우 폭발물을 사용하여 파쇄해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버버든에 구멍을 뚫고 폭발물을 채워 터뜨린다. 그 후 드래그라인, 파워 셔블과 트럭, 굴착기와 트럭, 또는 버킷 휠 굴착기와 컨베이어 같은 대형 토목 장비를 사용하여 오버버든을 제거하고, 이전에 채굴이 끝난 빈 스트립에 쌓아둔다. 오버버든이 모두 제거되면 아래의 탄층('석탄 블록')이 노출된다. 이 석탄 블록은 필요시 드릴링과 폭파를 거치거나, 바로 트럭이나 컨베이어에 실려 석탄 선광 공장으로 운반된다. 한 스트립에서 석탄 채굴이 완료되면 그 옆에 새로운 스트립을 만들어 동일한 과정을 반복한다. 이 방법은 주로 평탄한 지형에 적합하다.
사용할 장비는 지질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느슨하거나 압축되지 않은 오버버든을 제거하는 데는 버킷 휠 굴착기가 가장 효율적일 수 있다. 일부 지역 광산의 운영 기간은 50년 이상 지속될 수도 있다.[6]
=== 윤곽 채굴 (Contour mining) ===
윤곽 채굴은 산비탈이나 능선을 따라 등고선 형태로 오버버든을 제거하여 탄층을 채굴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경사가 가파른 구릉지에서 주로 사용된다. 과거에는 채굴 과정에서 발생한 폐석(spoil)을 단순히 벤치(채굴로 생긴 계단식 지형)의 경사면 아래로 쌓아두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 방식은 넓은 면적의 토지를 추가로 훼손하고 심각한 산사태와 침식 문제를 유발했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새로 파낸 오버버든을 이용해 이미 채굴이 끝난 지역을 다시 메우는 다양한 방법(haul-back 또는 lateral movement)이 고안되었다. 일반적으로 첫 번째 절개에서 나온 폐석은 경사면 아래나 다른 곳에 쌓아두고, 두 번째 절개에서 나온 폐석으로 첫 번째 절개 지역을 다시 메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채굴 지역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의도적으로 4.6m에서 6.1m 폭의 자연 상태 지반을 남겨두는 경우가 많다. 이 장벽은 폐석이 아래로 흘러내리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복구된 경사면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윤곽 채굴은 경제적, 기술적 한계를 가진다. 오버버든 제거량 대비 석탄 생산량 비율(박토율)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져 경제성이 떨어지면 작업을 지속하기 어렵다. 또한 사용 가능한 장비의 성능에 따라 파낼 수 있는 절개면(highwall)의 높이에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점에 도달하면, 오거링(augering) 방식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석탄을 생산할 수 있다. 오거링은 나선형 드릴을 이용해 절개면 벽에 수평으로 구멍을 뚫어 오버버든을 제거하지 않고 석탄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3. 2. 지하 채굴
표면에 비교적 가까운 깊이 약 55m (180 ft) 미만의 석탄층은 일반적으로 지표면 채굴 방식으로 채굴된다. 55m에서 90m (180~300 ft) 깊이에 있는 석탄은 일반적으로 지하 채굴 방식으로 채굴되지만, 경우에 따라 지표면 채굴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90m (300 ft) 아래에 있는 석탄은 일반적으로 지하 채굴 방식으로 채굴된다.[4]지하 채굴의 가장 경제적인 형태 중 하나는 롱월(long wall) 방식으로, 석탄층을 따라 움직이는 탄화물 비트가 달린 두 개의 회전 드럼을 사용한다.[3] 지하 광산에서 채굴된 많은 석탄은 석탄 선광 공장에서 세척 과정을 거친다.[3]
그러나 깊이 기준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60m (200 ft) 이상의 깊이에 있는 일부 미국 서부 석탄은 석탄층의 두께가 20m에서 25m (60~90 ft)에 달하기 때문에 노천 채굴 방식으로 채굴되기도 한다. 또한 독일의 Tagebau Hambach와 같이 지표면 아래 300m에서 460m (1,000~1,500 ft) 깊이까지 석탄층에서 작업하는 노천 채굴 작업도 있다.[4]
궁극적으로 채굴 방법의 선택은 단순히 깊이뿐만 아니라 석탄층의 밀도, 오버버든(overburden, 표토 및 기반암), 두께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기술적 및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된다.[3]
- 지역 지질 조건
- 오버버든 특성
- 석탄층의 연속성, 두께, 구조, 품질 및 깊이
- 지붕 및 바닥 조건 (석탄층 위아래 암석의 강도)
- 지형 (특히 고도 및 경사)
- 기후
- 토지 소유권 (광산 부지 확보 및 접근성에 영향)
- 지표 배수 패턴
- 지하수 조건
- 노동력 및 자재의 가용성
- 석탄 구매자의 요구 사항 (톤수, 품질 및 목적지)
- 자본 투자 요구 사항
4. 생산 현황
석탄은 50개국 이상에서 상업적으로 채굴되고 있다. 2019년 전 세계 석탄 생산량은 7,921 Mt에 달했으며, 이는 1999년 이후 20년 동안 70% 증가한 수치이다. 2018년 세계 갈탄 생산량은 803.2 Mt이었으며, 독일이 166.3 Mt으로 세계 최대 생산국이었다. 구체적인 통계는 없지만 중국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갈탄 생산국이자 소비국일 것으로 추정된다.[13][14]
지역별로 보면, 석탄 생산량은 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한 반면 유럽에서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1년 이후 세계 석탄 생산량은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했는데, 이는 유럽과 미국의 생산량 감소를 중국, 인도네시아, 호주 등의 생산량 증가가 상쇄했기 때문이다.[15] 주요 석탄 생산 국가는 중국, 인도, 미국, 인도네시아, 호주 등이며, 자세한 국가별 생산량은 아래 '주요 석탄 생산 국가'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전 세계 석탄 생산량의 약 60%는 지하 채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탄층이 노천 채굴 방식으로는 접근하기 어려운 깊이에 있기 때문이다.[12]
석탄 채굴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7백만 명 이상의 노동자를 직접 고용하고 있으며, 간접적인 일자리 창출 효과도 크다.[17] 그러나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확산되면서 여러 지역에서 석탄 생산량이 정점을 찍고 감소하는 피크 석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여 기존 석탄 산업 노동자들의 전환을 지원하는 정의로운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17]
4. 1. 주요 석탄 생산 국가
석탄은 50개국 이상에서 상업적으로 채굴된다. 2019년에는 7,921 Mt의 석탄이 생산되었으며, 이는 1999년 이후 20년 동안 70% 증가한 수치이다. 2018년 세계 갈탄 생산량은 803.2 Mt으로, 독일이 166.3 Mt으로 세계 최대 생산국이었다. 중국은 구체적인 갈탄 생산 데이터가 공개되지 않지만,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갈탄 생산국이자 소비국일 가능성이 높다.[13][14]석탄 생산은 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감소했다. 2011년 이후 세계 석탄 생산량은 안정세를 보이며, 유럽과 미국의 감소분을 중국, 인도네시아, 호주의 증가분이 상쇄했다.[15] 주요 석탄 채굴 국가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생산량[16] |
---|---|
중국 | 3,692 Mt |
인도 | 745 Mt |
미국 | 640 Mt |
인도네시아 | 585 Mt |
호주 | 500 Mt |
러시아 | 425 Mt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64 Mt |
독일 | 132 Mt |
카자흐스탄 | 117 Mt |
폴란드 | 112 Mt |
'''중국'''은 세계 최대의 석탄 생산국으로, 2007년에는 전 세계 생산량의 약 39.8%에 달하는 28억 톤 이상을 생산했다.[51] 중국의 석탄 채굴 산업에는 약 500만 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매년 약 2만 명의 광부가 사고로 사망하는 등 안전 문제가 심각하다.[52] 대부분의 중국 광산은 깊은 지하에 위치하며, 광산 복구 노력이 부족하여 폐광 지역의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지하 광산은 심각한 지표면 침강 (6m~12m)을 유발하여 농경지에 피해를 준다. 중국은 석탄 연소 시 발생하는 대기 오염 문제도 심각한 수준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세계 10대 석탄 생산국 중 하나이며,[64][65] 세계 4위의 석탄 수출국이다.[66]
'''대만'''의 석탄은 주로 북부 지역에 분포하며, 매장량은 1억~1억 8천만 톤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생산량은 적었고, 2000년에 사실상 생산이 중단되었다.[67] 신베이시 핑시 구에 있는 버려진 탄광은 현재 대만 석탄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68]
'''우크라이나'''는 2012년에 8,594만 6,000톤의 석탄을 생산했으며, 생산량의 90% 이상이 도네츠 분지에서 나온다.[70] 약 50만 명이 석탄 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나,[71] 우크라이나 탄광은 잦은 사고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곳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72] 불법 탄광 문제도 심각하다.[73]
'''미국'''의 석탄 채굴은 18세기 초에 시작되었으며, 상업 채굴은 1730년경 버지니아주 미들로시안에서 시작되었다.[74] 미국은 세계 2위의 석탄 생산국이었으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석탄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석탄을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강조했으나,[75]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온실 가스 배출이 적은 청정 에너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76] 천연 가스 및 재생 에너지와의 가격 경쟁 심화로 미국 내 석탄 소비는 감소했으며, 이는 피보디 에너지와 같은 주요 기업의 파산으로 이어졌다.[79] 미국의 순 석탄 수출은 2006년부터 2012년까지 9배 증가하여 2012년에 약 1061.4064억kg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15년에는 약 571.5265억kg으로 감소했다. 석탄 생산은 와이오밍주와 몬태나주의 파우더 강 유역과 같은 서부 지역의 노천 채굴 방식으로 점차 이동하고 있다.[5][78]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청정 전력 계획 폐지 등 석탄 산업 부흥을 추진했으나, 실제 생산량 감소 추세를 막지는 못했다.[81][82] 석탄 산업 노동자들을 태양광 발전 분야로 재교육하는 방안도 제기되었다.[80][21]
'''일본'''의 석탄 광업은 메이지 시대 초기에 시작되어 일본의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84] 이시카리 탄전, 지쿠호 탄전 등 대규모 탄전을 중심으로 산업이 발달했으며, 탄광 주변에는 탄광 주택, 병원, 학교 등을 갖춘 도시가 형성되기도 했다. 소라치나 지쿠호 지방에서는 석탄 수송을 위한 탄광 철도가 개통되어 지역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 이후 저렴한 수입 석탄과의 경쟁 및 석유로의 에너지 혁명으로 인해 일본 국내 석탄 산업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1955년에는 "석탄 광업 구조 조정 임시 조치법"이 제정되어[85] 산업 합리화가 추진되었으나, 많은 탄광이 문을 닫았다. 특히 지쿠호 탄전은 1975년까지 모든 탄광이 폐쇄되었고, 이시카리 탄전은 1995년, 미이케 탄전은 1997년에 마지막 탄광이 문을 닫았다. 탄광 도시들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를 겪게 되었다.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석탄 재검토 움직임도 있었으나, 일본 정부는 비효율적인 석탄 화력 발전을 줄이는 탈석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89] 2015년에는 "메이지 일본의 산업 혁명 유산 제철·제강, 조선, 석탄 산업"이 UNESCO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84]
4. 2. 한국의 석탄 생산 현황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5. 현대 채굴 기술 및 안전
현대 탄광에서는 기술 발달로 과거에 비해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정교한 감지 장비를 이용해 갱내 대기 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며, 이는 과거 유해 가스 탐지에 사용되던 "광부의 카나리아"와 같은 방식을 대체하였다.[19]
새로운 채광 방식의 도입, 메테인 등 유해 가스 배출 및 관리 기술의 발전, 위험 지역의 전기 장비 안전 기준 강화, 환기 시스템 개선 등은 낙반, 가스 폭발, 질식과 같은 전통적인 광산 사고의 위험을 크게 줄이는 데 기여했다.[37] 채광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회수하여 가스 엔진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등 자원으로 활용하기도 한다.[37]
이러한 기술 발전과 안전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광업은 여전히 위험성이 높은 산업으로 남아있다. 미국 노동 통계국의 2006년 자료에 따르면, 광업은 사망률 기준으로 미국에서 두 번째로 위험한 직업군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이는 석유 및 가스 채굴을 포함한 수치이다).[39] 또한, 최근에는 사고 위험 외에도 교대 근무 등으로 인한 만성적인 수면 부족과 같은 장기적인 건강 문제가 광부들이 직면하는 새로운 위험 요소로 지적되고 있다.[40]
5. 1. 현대 채굴 기술


현대 탄광에서는 대기 질을 정밀하게 감시하기 위해 정교한 감지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과거 위험 가스 감지에 사용되었던 "광부의 카나리아"와 같은 작은 동물을 대체하였다.[19]
대부분의 석탄층은 노천 채굴 방식으로는 접근하기 어려울 정도로 깊은 곳에 위치해 있어, 지하 채굴 방식이 필요하다. 현재 전 세계 석탄 생산량의 약 60%가 지하 채굴을 통해 이루어진다.[12] 심부 채탄 방식 중 하나인 룸 앤 필러(room and pillar) 방식 또는 보드 앤 필러(bord and pillar) 방식은 석탄층을 따라 채굴하며, 갱도 천장을 지지하기 위해 석탄 기둥과 목재 지지대를 남겨둔다. 룸 앤 필러 채탄이 지질학적, 환기 또는 경제적 이유로 중단되면, 일반적으로 후퇴 채탄이라는 보완적 형태가 시작된다. 광부들은 남겨진 기둥의 석탄을 제거하여 회수율을 높인다. 이 기둥 제거 작업을 '기둥 단면 작업'이라고 한다.[10]
최신 기둥 단면 작업에서는 대형 유압식 이동 지주를 포함한 원격 제어 장비를 사용하여, 광부와 장비가 작업 구역을 떠날 때까지 갱도 붕괴를 방지한다. 이 이동 지주는 유압식 다리를 가진 큰 테이블과 유사하며, 석탄 기둥 채굴 후 지주의 다리를 줄여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킨다. 이동 지주가 철수하면 일반적으로 갱도 천장이 무너진다.
지하 채탄에는 여섯 가지 주요 방법이 있다.
- 연장벽 채탄 (Longwall mining): 지하 생산량의 약 50%를 차지한다. 연장벽 절단기는 약 304.80m 이상의 면을 가지고 있다. 이는 넓은 석탄층을 따라 기계적으로 앞뒤로 움직이는 회전 드럼이 있는 정교한 기계이다. 풀어진 석탄은 장갑형 체인 컨베이어 또는 팬 라인으로 떨어져 작업 구역에서 석탄을 제거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한다. 연장벽 시스템에는 채탄이 진행됨에 따라 기계와 함께 전진하는 자체 유압식 지주가 있다. 연장벽 채탄 장비가 전진함에 따라 석탄으로 지지되지 않는 상부 암석은 통제된 방식으로 작업 뒤로 떨어지도록 허용된다. 지주는 높은 수준의 생산성과 안전성을 가능하게 한다. 센서는 석탄층에 얼마나 많은 석탄이 남아 있는지 감지하는 반면, 로봇 제어는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연장벽 시스템은 주변 지질 조건이 허용하는 경우 60~100%의 석탄 회수율을 가능하게 한다. 석탄이 제거되면 일반적으로 단면의 75%가 제거된 후 천장이 안전한 방식으로 붕괴되도록 허용된다.[12]
- 연속 채탄 (Continuous mining): 지하 생산량의 약 45%를 차지한다. 석탄층에서 석탄을 긁어내는 텅스텐 카바이드 픽이 장착된 대형 회전 강철 드럼이 있는 연속 채탄기를 활용한다. "룸 앤 필러", 즉 "보드 앤 필러" 시스템에서 작동하며, 갱도가 석탄층으로 잘려진 일련의 약 6.10m~약 9.14m "룸" 또는 작업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분당 최대 14톤의 석탄을 채탄할 수 있는데, 이는 1920년대의 비기계화 갱도가 하루에 생산하는 양보다 많다. 연속 채탄기는 지하 석탄 생산량의 약 45%를 차지한다. 컨베이어 시스템은 채탄된 석탄을 석탄층에서 운반한다. 원격 제어식 연속 채탄기는 다양한 어려운 석탄층 및 조건에서 작동하는 데 사용되며, 컴퓨터로 제어되는 로봇 버전이 점점 더 일반화되고 있다. 연속 채탄은 룸 앤 필러 석탄 채탄이 매우 주기적이기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있다.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약 약 6.10m까지 절단할 수 있다. 이는 MSHA의 허가를 통해 증가할 수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최대 12m까지 허용될 수 있다. 절단 한계에 도달하면 연속 채탄기 조립품을 제거하고 지주를 사용하여 천장을 지지한 후, 다시 전진하기 전에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연속" 채탄기는 다른 면으로 이동한다. 일부 연속 채탄기는 석탄을 절단하는 동안 면을 볼트 처리하고 암석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숙련된 작업자는 환기를 진행하여 진정으로 "연속"이라는 라벨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를 달성할 수 있는 갱도는 거의 없다. 미국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연속 채탄기에는 볼트 처리 및 먼지 제거 기능이 없다. 이는 볼트 처리를 통합하면 기계가 더 넓어지고 기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일 수 있다.[11]
- 룸 앤 필러 채탄 (Room and pillar mining): 석탄층에 룸 네트워크를 잘라내어 채탄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갱도 천장을 유지하기 위해 석탄 기둥이 남겨진다. 기둥은 석탄층 전체의 최대 40%를 차지할 수 있지만, 머리 부분과 바닥 부분의 석탄을 남겨둘 공간이 있었던 곳에서는 18세기 운영자들이 다양한 룸 앤 필러 기술을 사용하여 ''현장'' 석탄의 92%를 제거했다는 최근의 노천 채굴 조사 결과가 있다. 그러나 이는 나중에 추출할 수 있다 (''참고'' 후퇴 채탄).[12]
- 발파 채탄 (Blast mining) 또는 기존 채탄: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폭약을 사용하여 석탄층을 파쇄한 다음 석탄을 수집하여 셔틀 차량 또는 컨베이어에 적재하여 중앙 적재 구역으로 이동하는 오래된 방식이다. 이 공정은 폭약으로 폭파할 때 쉽게 파쇄될 수 있도록 석탄층을 "절단"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일련의 작업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채탄은 오늘날 미국의 총 지하 생산량의 5% 미만을 차지한다.
- 후퇴 채탄 (Retreat mining): 갱도 천장을 받치는 데 사용되는 기둥이나 석탄 갈비뼈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채탄이 입구 쪽으로 다시 진행되면서 갱도 천장이 붕괴되도록 한다. 이는 갱도 천장이 붕괴될 시점을 예측하기 어렵고, 광부들이 갱도에 갇히거나 짓눌릴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위험한 형태의 채탄 중 하나이다.
미국에서는 기술의 발달로 광업 인력이 크게 감소했다. 2015년 미국의 석탄 광산에는 65,971명의 직원이 있었는데, 이는 EIA가 1978년에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20] 그러나 2016년 연구에 따르면 비교적 적은 투자를 통해 대부분의 석탄 노동자들이 태양 에너지 산업에 재교육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21]
5. 2. 광산 안전
과거 탄광 작업 환경은 낙반, 메테인 가스 폭발, 유해 가스로 인한 질식 등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그러나 기술 발전과 안전 규정 강화로 많은 위험 요소들이 크게 줄어들었다.유해 가스 농도를 확인하는 것은 광산 안전의 핵심적인 부분이다. 과거에는 공기 중 유해 가스에 민감한 카나리아를 데리고 갱내에 들어가 새의 상태 변화로 위험을 감지하는 원시적인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으나,[19] 현재는 안전등이나 더욱 정교한 전자 가스 감지기를 사용하여 공기 질을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모니터링한다. 또한, 채광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테인과 같은 가스를 안전하게 배출시키거나, 가스 엔진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활용하여 작업 환경의 안전성을 높이고 있다.[37][94]
채광 방식 자체의 개선도 안전 향상에 기여했다. 예를 들어, 연장벽 채탄 방식은 자동화된 기계와 유압식 지주를 사용하여 낙반 위험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였다. 위험 지역의 전기 장비에 대한 안전 기준 강화와 환기 시스템의 발전 역시 중요한 개선 사항이다.
개인 보호 장비의 발전도 중요하다. 특히 광산 내 환기 시스템이 손상되는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산소가 내장된 밀폐 회로 탈출 호흡기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38]
이러한 노력 덕분에 광산 재해는 과거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미국 노동부 광산 안전 보건 관리국(MSHA)의 통계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04년 사이 미국 광산업의 부상률은 절반 이상, 사망률은 3분의 2 수준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광업은 여전히 위험한 산업군에 속한다. 2006년 미국 노동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광업은 사망률 기준으로 미국에서 두 번째로 위험한 직업으로 분류되었다 (다만 이는 석유 및 가스 채굴을 포함한 수치이다).[39] 해당 연도 미국 내 석탄 채광으로 인한 사망자는 47명이었다.[39]
최근에는 사고로 인한 직접적인 위험 외에도, 교대 근무 등으로 인한 만성적인 수면 부족과 같은 장기적인 건강 문제가 새로운 위험 요소로 지적되기도 한다.[40][95] 기업들은 작업 환경의 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해 '직원 안전 계수'(안전 사고 수 / 총 노동 시간)와 같은 지표를 활용하여 안전 관리에 힘쓰고 있다.[93]
6. 탄광과 관련된 위험
역사적으로 석탄 채굴은 매우 위험한 활동이었으며, 수많은 광산 참사 기록이 이를 증명한다[90][91]。 미국에서는 1900년 이후 광산 사고로 104,895명의 석탄 광부가 사망했으며,[22] 이 중 90%가 20세기 전반기에 집중되었다. 특히 1907년에는 3,242명이 사망하여 최악의 해로 기록되었으나, 안전 기술의 발달로 2020년에는 사망자가 5명으로 감소했다.[23]
탄광 작업의 위험은 채굴 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노천 채굴의 경우 주로 광산 벽 붕괴나 중장비 관련 차량 충돌 사고가 위험 요인이다. 반면 지하 채굴은 훨씬 더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는데, 질식, 유독 가스 중독 및 가스 폭발, 천장이나 암반의 붕괴 및 낙반, 돌출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발화성 가스 폭발은 연쇄적으로 훨씬 더 파괴적인 석탄 먼지 폭발을 일으켜 광산 전체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이러한 위험 요소들은 현대적인 채광 기술과 안전 규제 덕분에 상당히 감소했다. 가스 감지 기술의 발전, 효과적인 환기 시스템,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전기 장비 사용, 개선된 채광 방법 등은 낙반, 폭발, 유해한 작업 환경과 같은 전통적인 위험들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채광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 가스를 회수하여 가스 엔진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은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기도 하다.[37][94] 또한, 광산 내 환기 시스템이 손상될 경우를 대비하여 산소를 공급하는 밀폐 회로 탈출 호흡기와 같은 개인 보호 장비의 사용도 보편화되었다.[38]
하지만 이러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탄광은 여전히 위험한 작업 환경이다. 특히 개발이 덜 된 국가나 일부 개발도상국에서는 열악한 작업 조건과 미흡한 안전 관리로 인해 매년 많은 광부들이 사고나 직업병으로 목숨을 잃고 있다. 중국은 세계에서 석탄 채굴 관련 사망자가 가장 많은 국가 중 하나로, 공식 통계에 따르면 2004년에만 6,027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25] 이는 같은 해 미국의 사망자 수 28명과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수치이다.[26] 중국의 석탄 생산량이 미국의 두 배이고 광부 수는 약 50배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근로자당 사망률은 미국보다 4배, 단위 생산량당 사망률은 108배나 높다.
선진국에서도 탄광 사고는 완전히 근절되지 않았다. 미국에서는 2006년 세이고 광산 참사나 2007년 유타주의 크랜달 캐니언 광산 붕괴 사고 (9명 사망, 6명 매몰)[29], 2010년 웨스트버지니아주의 어퍼 빅 브랜치 광산 참사 (29명 사망)[31] 등 비교적 최근에도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28]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미국의 석탄 채굴 사망자는 연평균 28명이었다.[30]
사고 외에도 광부들은 만성적인 건강 문제에 시달릴 위험이 크다. 과거에는 진폐증(검은 폐)과 같은 폐 질환이 광부들에게 흔했으며, 이는 기대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원인이었다.[92]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진폐증 발병률이 높으며, 미국과 중국 등지에서 매년 새로운 진폐증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32] 채광 장비에 물 분사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분진 발생을 줄여 광부들의 폐 건강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33]
미국 노동부 산하 광산 안전 보건 관리국(MSHA)의 통계 분석에 따르면 1990년과 2004년 사이에 산업 현장의 부상률은 절반 이상, 사망률은 3분의 2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노동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2006년 기준으로 광업은 여전히 미국에서 사망률 기준 두 번째로 위험한 직업으로 분류되었다.[39] (다만 이 통계에는 석유 및 가스 채굴 등 다른 광업 활동이 포함되어 있으며, 석탄 채광 사망자는 그해 47명이었다.[39]) 최근 연구에서는 현대 채광의 위험이 사고 자체보다는 수면 부족과 같은 장기적인 건강 영향이 누적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40][95]
6. 1. 갱내 가스
갱내 가스는 탄광 작업 환경에서 매우 위험한 요소로 작용하며, 질식, 가스 중독, 가스 폭발 등의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메탄과 같은 발화성 가스는 더 큰 규모의 석탄 먼지 폭발로 이어질 수 있어 치명적이다.이러한 유해 가스의 축적을 '댐프(damps)'라고 부르는데, 이는 증기나 수증기를 의미하는 독일어 Dampf|담프de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34] 주요 댐프의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블랙 댐프: 주로 이산화 탄소(CO₂)와 질소(N₂)의 혼합물이다. 밀폐된 공간에서 부식이 일어나면서 공기 중의 산소가 제거되어 형성되며, 질식을 유발할 수 있다.[34]
- 애프터 댐프: 광산 폭발 후에 발생하는 가스로, 일산화 탄소(CO), 이산화 탄소(CO₂), 질소(N₂) 등으로 구성된다. 블랙 댐프와 유사한 위험성을 가진다.
- 파이어 댐프: 주성분은 메탄(CH₄)이다. 공기 중 농도가 5%에서 15% 사이일 때 폭발 위험이 매우 높은 가연성 가스이며, 농도가 25% 이상이 되면 질식을 유발한다.
- 스틴크 댐프: 황화 수소(H₂S) 가스로, 썩은 달걀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스틴크 댐프는 폭발 가능성이 있으며 매우 유독하다.
- 화이트 댐프: 유독한 일산화 탄소(CO)를 포함하는 공기를 말한다. 낮은 농도에서도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다.
갱내에서는 기류를 유도하고 위험한 가스가 특정 구역에 쌓이는 것을 막기 위해 '댐프 시트'라고 불리는 무거운 커튼을 사용하기도 한다.
현대에는 안전등이나 보다 현대적인 전자 가스 모니터와 같은 위험 가스 모니터링 장비의 발달, 가스 배출 시스템, 전기 장비 개선, 환기 등 채굴 방법의 개선으로 낙석, 폭발, 불건강한 대기질 등 많은 위험이 감소했다. 채굴 중에 방출되는 가스는 가스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 발전에 활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94]
6. 2. 분진
탄광 작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석탄 분진은 광부들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특히, 석탄 분진을 장기간 흡입할 경우 폐에 만성적인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진폐증(흑폐)이다. 과거에는 이러한 직업병이 광부들 사이에서 흔하게 발병했으며, 이는 광부들의 평균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92] 현대에는 환기 시설 개선 등 작업 환경 관리를 통해 분진 발생을 줄이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6. 3. 낙반 및 붕괴
지하 채탄 과정에서 낙반 및 붕괴는 주요 위험 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룸 앤 필러 채탄 방식에서는 갱도 천장을 지지하기 위해 석탄 기둥을 남겨두는데, 채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이 기둥을 제거하는 후퇴 채탄 과정에서 천장 붕괴가 발생할 수 있다.[10] 후퇴 채탄은 기둥을 제거하면서 의도적으로 천장을 붕괴시키는 방식으로, 붕괴 시점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워 광부들이 매몰될 위험이 높은 작업 방식이다.역사적으로 천장 붕괴와 암반 붕괴는 탄광 사고의 주요 원인이었다[90][91]。 그러나 현대에는 원격 제어 장비와 이동식 유압 지주 등을 활용하여 광부와 장비가 안전하게 대피한 후 통제된 방식으로 천장을 붕괴시킨다. 또한, 가스 모니터링, 환기 시스템 개선 등 전반적인 안전 기술의 발달로 낙석을 포함한 여러 위험 요소가 과거에 비해 상당히 줄어들었다.[94]
6. 4. 소음
소음 또한 탄광 노동자의 건강에 잠재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과도한 소음에 노출되면 소음성 난청을 유발할 수 있다. 직업적 노출의 결과로 발생하는 청력 손실은 직업성 난청이라고 불린다. 광부의 청력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 광산 안전 보건 관리국(MSHA)의 소음에 대한 지침은 소음에 대한 허용 노출 한계(PEL)를 8시간 동안 가중 평균 90 dBA로 설정한다. 근로자가 MSHA 조치 수준에 해당하도록 85 dBA의 더 낮은 컷오프가 설정되어, 근로자가 청력 보존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규정한다.소음 노출은 채굴 방법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 따르면 지표 탄광 작업 중 드래그라인 장비가 88~112 dBA 범위에서 가장 큰 소리를 낸다.[35] 연장벽 구간 내에서, 채굴 면에서 석탄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스테이지로더와 채굴에 사용되는 시어러(전단기)가 가장 높은 소음 노출을 나타낸다. 보조 팬(최대 120 dBA), 연속 채굴기(최대 109 dBA), 그리고 지붕 볼터(최대 103 dBA)는 연속 채굴 구간 내에서 가장 시끄러운 장비 중 일부이다.[36] 90 dBA를 초과하는 소음에 노출되면 근로자의 청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관리적 통제 및 공학적 통제를 사용하여 소음 노출을 줄일 수 있다.
7. 환경 문제
탄광 개발은 필연적으로 주변 환경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채굴이 끝난 후 광산 복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장기적인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중국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51], 적절한 복구 조치 없이 방치된 폐광 지역은 농업이나 다른 인간 활동에 부적합한 상태로 남게 되며, 토착 야생 동물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지역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51]
채굴 방식에 따라서도 환경 영향의 양상이 달라진다. 넓은 면적의 땅을 직접 파헤치는 노천 광산은 대규모 지표면 교란을 일으키는 반면, 지하 광산은 상대적으로 지표면 교란은 적지만 심각한 지반 침하를 유발하여 농경지에 피해를 주거나 배수 체계를 망가뜨릴 수 있다.[51] 이 외에도 탄광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과 대기 오염, 수질 오염, 소음, 진동 등도 고려해야 할 환경 문제이다.
7. 1. 대기 오염
중국은 세계 최대의 석탄 생산국[51]이며, 생산된 석탄의 대부분은 국내에서 소비된다. 많은 경우 대기 오염 제어 장비 없이 석탄이 연소되어,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산업 지역에서 가시적인 연기와 심각한 대기 오염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7. 2. 수질 오염
(내용 없음)7. 3. 토양 오염
(작성할 내용 없음)7. 4. 지반 침하
중국은 세계 최대의 석탄 생산국으로[51], 주로 깊은 지하에서 석탄을 채굴한다. 이러한 지하 광산 개발은 심각한 지표면 침강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침강 깊이는 6m에서 12m에 달하기도 하며, 이는 주변 지역의 배수 체계를 망가뜨려 농경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중국 정부는 침강으로 인해 물이 고인 지역을 양식 연못으로 활용하기도 하지만, 침강된 면적이 워낙 넓어 모든 지역을 활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버려진 폐광 지역과 침강된 토지의 복구는 중국에서 중요한 환경 문제로 남아있다.7. 5. 온실 가스 배출 및 기후 변화
중국은 세계 최대의 석탄 생산국으로, 2007년에는 전 세계 생산량의 약 39.8%에 해당하는 28억 톤 이상을 생산했다.[51] 중국에서 생산된 석탄은 대부분 국내 소비를 위해 사용되는데, 상당수가 대기 오염 제어 장비 없이 연소되어 심각한 대기 오염과 스모그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중국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67%는 석탄에서 나온다.중국의 석탄 채굴은 주로 지하 광산에서 이루어져 노천 광산과 같은 대규모 지표면 교란은 적은 편이다. 그러나 광산 복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농업이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고 생태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폐광 지대가 넓게 형성되고 있다. 또한, 지하 채굴로 인해 심각한 지표면 침강 (6m~12m)이 발생하며, 이는 배수 문제를 일으켜 농경지에 피해를 준다. 침강된 지역 일부는 양식 연못으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필요한 면적보다 훨씬 넓은 지역이 침강 피해를 겪고 있어 복구가 시급한 문제로 남아있다.
8. 탄광 지역 사회 문제
탄광 개발은 특정 지역에 집중적인 고용과 경제 활동을 유발하며 독특한 지역 사회를 형성시키는 경우가 많다. 탄광 주택 건설과 함께 병원, 학교, 상업 시설 등 생활 기반 시설이 들어서며 탄광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도시나 마을이 생겨나기도 한다. 석탄 운송을 위한 철도는 지역의 주요 교통망 역할을 수행하며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에너지 혁명이나 자원 고갈 등으로 탄광 산업이 쇠퇴하면 지역 사회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탄광 폐쇄는 대량 실업으로 이어지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구가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면서 지역 공동화 현상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남은 지역 사회는 고령화 심화, 탄광 주택 등 주거 환경 악화, 사회 기반 시설 노후화 및 유지 관리의 어려움 등 복합적인 문제를 겪게 된다. 일부 탄광 지역은 완전히 버려져 고스트 타운이 되기도 한다(군함도 등).
경제적 어려움 외에도 탄광 지역 사회는 다양한 사회적, 환경적 문제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롬비아의 세레혼 광산 확장 과정에서는 지역 주민의 강제 이주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53][54] 또한, 채굴 과정에서 발생한 폐석 더미(보타산)로 인한 토양 오염은 폐광 이후 다른 산업으로의 전환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하며, 열악한 노동 환경으로 인한 노동 쟁의 역시 탄광 지역 사회의 주요 문제 중 하나였다.
8. 1. 경제적 어려움
독일의 탄광 산업은 20세기 중반 이후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기 시작했다.[55][56] 1950년대부터 재정적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해 1975년에는 전기 요금의 일부를 활용한 보조금(''Kohlepfennig'', ''석탄 페니'')이 도입되기도 했으나, 1990년대에 중단되었다. 결국 EU 규정에 따라 연방 의회는 2018년까지 보조금 지급을 종료하기로 결정했고, 이에 따라 독일의 마지막 남은 지하 탄광이었던 RAG AG 소유의 프로스퍼-하니엘(Prosper-Haniel)과 이벤뷔렌(Ibbenbüren) 탄광이 2018년 폐쇄되면서 독일의 지하 탄광 시대는 막을 내렸다.일본 역시 태평양 전쟁 이후 석탄 산업의 쇠퇴를 경험했다. 저렴한 수입 석탄과의 경쟁 심화, 상대적으로 높은 국내 생산 비용, 그리고 1960년대 본격화된 석유 중심의 에너지 혁명으로 인해 석탄 수요가 급감하면서 많은 탄광들이 어려움을 겪었다.[84] 이에 일본 정부는 1955년 '석탄 광업 구조 조정 임시 조치법'을 제정하여 산업 구조조정을 시도하기도 했다.[85]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러 요인으로 인해 탄광 폐쇄는 계속되었다.
- 지쿠호 탄전의 경우, 양질의 석탄 고갈과 시설 노후화로 인해 1975년까지 약 500개에 달했던 탄광이 모두 문을 닫았다.
- 이시카리 탄전은 기술 현대화를 통해 효율화를 꾀했으나, 철강 산업 불황에 따른 코크스 판매 부진과 끊이지 않는 탄광 사고로 인해 1995년 소라치 탄광 폐쇄를 마지막으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 양질의 석탄을 생산했던 미이케 탄광조차 수입탄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리고 정부의 구매 중단 결정이 내려지면서 1997년 폐광되었다.
- 규슈의 마지막 탄광이었던 이케시마 탄광도 2001년 문을 닫았다.
탄광 산업의 쇠퇴는 지역 사회에 큰 타격을 주었다. 탄광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도시들은 기반 산업을 잃으면서 인구가 급격히 감소했으며, 특히 젊은 층의 집단 취업을 통한 대도시 유출이 심화되어 지역 공동화 현상이 나타났다. 탄광 폐쇄 후 고스트 타운으로 변한 군함도와 같은 사례도 있으며, 유바리시처럼 대체 산업 육성에 실패하여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발생했다. 지쿠호 지방처럼 폐석 더미(보타산)로 인한 토양 오염으로 농업 등 다른 산업으로의 전환조차 어려운 지역도 생겨났다.
8. 2. 사회적 문제
콜롬비아의 세레혼 광산 확장 과정에서는 지역 사회의 강제 이주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53][54]일본의 경우, 메이지 시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석탄 산업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그 발전과 쇠퇴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했다.
'''탄광 도시의 형성과 쇠퇴'''
탄광 개발은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기업들은 탄광 주택을 대규모로 건설하고 병원, 학교, 상점 등 생활 기반 시설을 갖춘 새로운 도시나 마을을 형성했다. 홋카이도의 이시카리 탄전에 위치한 유바리, 미카사, 아시베츠, 아카비라, 우타시나이나 규슈의 지쿠호 탄전 지역 도시들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들 도시는 석탄 산업과 함께 번성했으나, 1960년대 이후 석유로의 에너지 혁명과 값싼 수입 석탄의 증가로 국내 탄광 산업이 경쟁력을 잃고 쇠퇴하면서 심각한 사회 문제에 직면했다.
탄광이 문을 닫으면서 대량 실업이 발생했고,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 특히 집단 취업 등으로 젊은 세대가 도시를 떠나면서 인구가 급격히 감소했다. 유바리시의 인구는 전성기의 약 5% 수준까지 줄어들었으며, 나가사키현의 하시마 (군함도)처럼 섬 전체가 무인화되어 고스트 타운이 된 사례도 있다. 구시로 탄전의 오베츠 지구, 루모이 탄전의 아사노 지구 등도 폐광 후 집락이 소멸했다.
남아있는 탄광 지역은 주민들의 고령화가 심화되었고, 탄광 주택의 노후화, 도로, 수도 등 사회 기반 시설 부족 및 유지 관리의 어려움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
'''노동 문제'''
탄광 산업의 발전 과정에서는 잦은 노동 쟁의가 발생했다. 이러한 투쟁의 결과, 탄광 노동자의 임금은 다른 산업 노동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형성하기도 했다. 일본 탄광 노동 조합과 같은 노동조합이 결성되어 활동했다. 중국에서는 안위안 대파업과 같은 대규모 노동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환경 문제와 산업 전환의 어려움'''
탄광 개발 과정에서 나온 폐석 더미인 보타가 주변 토양을 오염시켜, 폐광 이후 농업과 같은 다른 산업으로의 전환을 어렵게 만들었다. 특히 지쿠호 지방에서는 이러한 환경 오염 문제가 심각하여 지역 경제 회복에 걸림돌이 되었다.
탄광 의존도가 높았던 지역, 특히 산간 지역 도시는 폐광 이후 대체 산업을 찾기 어려워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유바리시는 특산물인 유바리 멜론 재배나 관광 산업 육성을 시도했지만, 탄광 산업만큼의 고용 창출이나 세수 확보에는 이르지 못했다. 특히 버블 경제 시기에 건설된 과도한 관광 및 레저 시설 투자는 이후 시 재정에 큰 부담을 주어 결국 재정 재건 단체로 전락했다.
반면, 항만이나 주요 교통로에 인접하여 입지 조건이 비교적 좋았던 도시는 산업 구조 전환에 성공하기도 했다. 홋카이도의 구시로는 동부 홋카이도의 공업 도시로 성장했고, 야마구치현의 우베는 시멘트 공업과 석탄 화학 콤비나트를 기반으로 세토 내해 공업 지역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후쿠오카현의 가스야 군 일대 탄광 지역은 후쿠오카 도시권 팽창과 함께 위성 도시로 발전하여 인구가 오히려 증가하기도 했다. 후쿠시마현의 이와키는 수도권과의 근접성을 활용하여 기계 공업을 유치하고 온천 개발에도 성공했다.
규슈의 아마쿠사 탄전 지역처럼 탄광 외에 어업 등 다른 산업 기반이 있었거나, 오키나와현의 이리오모테 탄광처럼 외부 노동력에 크게 의존하고 지역 사회와의 연계가 약했던 곳은 폐광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8. 3. 환경 문제
지쿠호 지방과 같은 일부 탄광 지역에서는 채굴 과정에서 나온 폐석인 보타 등으로 인해 토양 오염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렇게 오염된 토양은 개량이 쉽지 않아, 폐광 이후 농업과 같은 다른 산업으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9. 탄광과 관련된 문화
스페인의 탄광은 역사적으로 노동 운동과 깊은 관련을 맺어왔다. 특히 아스투리아스 지역의 탄광 노동자들은 스페인 내전 당시 공화파 편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934년 10월에는 1934년 혁명 당시 오비에도와 히혼에서 15일간의 저항을 벌이기도 했다. 카탈루냐 지역에는 석탄 채굴의 역사를 보여주는 세르스 광산 박물관이 있다.
2018년 10월, 스페인 사회노동당 정부와 노동조합은 사회적 합의를 통해 2018년 말까지 10개의 스페인 탄광을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이 과정에서 영향을 받는 노동자들을 위해 조기 퇴직, 직업 재교육, 지역 구조 변화 지원 등에 2.5억유로를 투입하기로 약속했다. 이는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노동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사회적 충격을 완화하려는 노력으로 평가받는다.[63] 2018년 기준, 스페인 전체 전력 생산량 중 석탄 화력 발전소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2.3%였다.[63]
9. 1. 탄광촌 문화
일본의 석탄 광업은 메이지 시대 초기에 산업으로 자리 잡으며 일본의 경제 발전과 국민 경제 향상에 기여했다.[84] 산업 구조 조정을 위해 1955년에는 "석탄 광업 구조 조정 임시 조치법"이 제정되었으며,[85] 이는 석탄 광업의 합리화를 도모하고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86] 이 법에 따라 정부 자문 기관인 "석탄 광업 심의회"가 1955년 9월에 발족했다.[87][86] 이러한 일본의 산업 발전 역사는 2015년 제39회 세계 유산 위원회에서 "메이지 일본의 산업 혁명 유산 제철·제강, 조선, 석탄 산업"이 UNESCO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84] 탄광 노동자 관련 조직으로는 일본 탄광 노동 조합이 있었다.[88]9. 2. 탄광 노동 운동
- 안위안 대파업
- 검은 날개 운동 - 1959년~1960년에 진행된 일본의 탄광 실업자 돕기 운동.
9. 3. 탄광 관련 예술 작품
탄광을 배경으로 하거나 소재로 삼은 다양한 예술 작품들이 있다.'''소설・르포르타주'''
- 존 그리샴, "그레이 마운틴"(2014): 가상의 버지니아 탄광 지역 법률 클리닉 인턴을 다룬 애팔래치아 배경의 소설이다.
- 에밀 졸라, ''제르미날''(1885): 1860년대 프랑스 북부 탄광 노동자들의 파업을 사실적으로 그린 소설이다.
- 루이 시모낭, "지하 생활, 또는 광산과 광부"(1867): 프랑스의 공학자이자 지질학자인 루이 시모낭이 르 크뢰소 탄광을 취재하여 쓴 르포르타주이다.
- 아니야, 형님: 탄광촌의 생활 기록을 엮은 일기를 책으로 출판하고 영화화한 작품이다. 작가는 탄광 작업반원이었던 부모를 여읜 조선인 남매의 막내이다. 이 일기는 일본인 교사의 지도 아래, 남매가 일본에서 살아남기 위한 기술 습득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으며, 일본 탄광 불황기의 실업 문제와 생활 실태 등이 기록되어 있다[98][99]。
'''영화'''
- 브래스! (1996): 영국의 탄광 마을을 음악으로 부흥시킨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이다.
- 플라 걸 (2006): 도키와 탄광 폐광 후 스파 리조트 하와이안즈 개업을 위해 분투하는 주민들을 그린 일본 영화이다.
- 프라이드 (2014): 1984년 영국 탄광 파업 당시, 성소수자 인권 단체가 파업 노동자들을 지지하고 연대한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이다.
'''텔레비전 드라마'''
- 도탄바: 탄광 사고로 갱 안에 갇힌 작업원들의 구조 과정을 그린 드라마이다.
'''노래'''
탄광 노동요로는 작업 공정에 따라 채탄가, 선탄가, 남만가, 석도(타가네)가 등이 있다[100]。
- 탄광절: 선탄가가 원곡인 민요이다.
- 홋카이 본노래: 홋카이도 민요 중 하나이다.
- 安源路矿工人俱乐部之歌|안원로 탄광부 클럽의 노래중국어
- 안전의 노래[101]
- Coal Miner's Daughter (song)|탄광부의 딸영어: 가수 로레타 린이 자신의 가난했던 어린 시절을 그린 노래로, 후에 영화 『노래해! 로레타 사랑을 위해』(원제: Coal Miner's Daughter)로 만들어졌다.
- Shout To The Top: 스타일 카운슬이 1980년대 영국 탄광 노동자 파업에 연대하며 발표한 곡이다.
9. 4. 일본의 탄광

일본에서 가장 풍부한 석탄 매장량은 홋카이도와 규슈에서 발견되었다.
일본의 탄광 역사는 일본 중세까지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길다. 1469년, 규슈 중앙의 오무타 근처에서 한 농부 부부가 처음 석탄을 발견했다고 전해진다.[58] 1478년에는 농부들이 섬 북쪽에서 불타는 돌을 발견하여 지쿠호 탄전의 개발로 이어졌다.[59]
일본의 산업화 이후, 북부 지역에서도 추가적인 탄전이 발견되었다. 홋카이도의 초기 주요 광산 중 하나는 호쿠탄 호로나이 탄광이었다.[60]
일본의 석탄 광업은 메이지 시대 초기에 산업으로 자리 잡아 일본의 경제 발전과 국민 경제 향상에 기여했다.[84] 1955년에는 '석탄 광업 구조 조정 임시 조치법'(쇼와 30년 8월 10일 법률 제156호)이 제정되었다.[85][86] 이에 따라 같은 해 9월 정부 자문 기관인 '석탄 광업 심의회'(전신: 석탄 광업 조사단)가 발족했다.[87][86] 2015년 제39회 세계 유산 위원회에서는 "메이지 일본의 산업 혁명 유산 제철·제강, 조선, 석탄 산업"이 UNESCO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84]
1957년 당시 통상산업성이 선정한 주요 18개 탄광 회사는 다음과 같다.[88] 노동 조합으로는 일본 탄광 노동 조합이 존재했다.
회사명 | 본사 소재지 (1957년 기준) |
---|---|
미쓰이 광산 주식회사 | 도쿄도 주오구 니혼바시무로마치 2-1-1 |
미쓰비시 광업 주식회사 | 도쿄도 지요다구 마루노우치 1-4-1 |
홋카이도 탄광 기선 주식회사 | 도쿄도 주오구 니혼바시무로마치 2-1 |
카이시마 탄광 주식회사 | 후쿠오카시 텐진초 25 쿄와 빌딩 |
메이지 광업 주식회사 | 도쿄도 주오구 야에스 6-1 |
스미토모 석탄 광업 주식회사 | 도쿄도 지요다구 마루노우치 1-2 |
닛테쓰 광업 주식회사 | 도쿄도 지요다구 마루노우치 2-20 |
일본 탄광 주식회사 | 후쿠오카시 시모케이코 956-8 |
후루카와 광업 주식회사 | 도쿄도 지요다구 마루노우치 2-8 |
유베쓰 탄광 철도 주식회사 | 도쿄도 지요다구 마루노우치 1-2 |
우베흥산 주식회사 | 야마구치현 우베시 오아자 코구시 1976-1 |
아사 생산 주식회사 | 이즈카시 오아자 카시와노모리 1900 |
키시마 탄광 주식회사 | 사가시 하쿠산초 27 |
토키와 탄광 주식회사 | 도쿄도 주오구 긴자히가시 5-4 |
다이쇼 광업 주식회사 | 후쿠오카현 온가군 나카마마치 나카마 6055 |
다이닛폰 탄광 주식회사 | 도쿄도 지요다구 유라쿠초 1-2 |
태평양 탄광 주식회사 | 도쿄도 미나토구 시바타무라초 1-11 히비야 빌딩 |
마츠시마 탄광 주식회사 | 후쿠오카시 다이묘초 164 |
제철 산업 및 석탄 화학 공업, 증기 기관차의 확산과 함께 석탄 산업은 크게 번성했다. 전성기에는 800개 이상의 탄광이 운영되었으며, 이시카리 탄전, 구시로 탄전, 조반 탄전, 미이케 탄전, 지쿠호 탄전 등 대규모 탄전을 중심으로 루모이 탄전, 텐포쿠 탄전, 니시소노기 탄전, 가라쓰 탄전, 오미네 탄전, 아마쿠사 탄전, 기타마츠 탄전, 카스야 탄전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후 저렴한 수입 석탄과의 경쟁 심화 및 석유 중심의 에너지 혁명으로 인해 많은 중소 탄광들이 문을 닫게 되었다.
지쿠호 탄전은 규모가 컸으나, 양질의 석탄 고갈에 따른 품질 저하와 시설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1975년까지 약 500개에 달했던 탄광이 모두 폐광되었다.
이시카리 탄전은 스크랩 앤 빌드 정책을 통해 최신 기술을 도입하고 고수익 체제를 구축하는 등 효율화를 추진했지만, 철강 불황으로 인한 괴탄 판매 부진과 끊이지 않는 탄광 사고로 인해 결국 1995년 기타탄 소라치(우타시나이시) 탄광 폐쇄를 마지막으로 모든 탄광이 문을 닫았다.
미이케 탄전은 품질이 우수한 역청탄을 주로 생산했고 최신 기술을 도입하여 다른 탄전보다 오래 가동되었지만, 여전히 수입탄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낮았다. 결국 국가가 화력 발전소 연료로서의 구매를 중단하자 1997년 폐광되었다. 규슈에서 마지막까지 남았던 이케시마 탄광도 2001년 문을 닫았다.
노천 채탄 방식의 탄전은 대부분 최성기의 갱내 채탄 탄광에 비해 규모가 작았지만, 2010년대 전후 원유 가격 급등과 2011년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영향으로 석탄의 가치가 재조명되기도 했다. 그러나 큰 변화는 없었으며, 일본 정부는 탈석탄 정책으로 전환하여 비효율적인 석탄 화력 발전을 감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89]
많은 인력이 필요했던 갱내 채탄과 달리, 노천 채탄은 일본 건설 기계 기술의 발달 덕분에 비교적 쉽고 안전하게 기계화할 수 있게 되었다. 노천 채탄은 지표면에 가까운 석탄층 상부를 파내어 채굴하는 방식으로, 탄진이나 메탄가스 폭발 위험 및 사고 발생 시 대처의 어려움이 갱내 채탄보다 현저히 낮다. 따라서 인건비가 높은 일본에서도 수입탄에 비해 가격 경쟁력의 불리함이 상대적으로 적다.
=== 발전 ===
석탄은 무거워 육상 운송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비용 절감을 위해 주로 석탄 산지나 탄광 근처에 원료탄 가공 공장이 세워졌다(원료 입지형 공업). 또한 탄전이나 공장에서 일할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들은 탄광 주택 등을 건설했고, 이를 중심으로 하나의 마을(집락)이 형성되었다. 마을 규모가 커지면 병원, 학교, 공원 등을 갖춘 하나의 도시로 발전하기도 했다.
도시가 성장하고 인프라가 정비되면서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음식점, 영화관, 유흥업 등 상업 및 오락 산업도 함께 발전하며 번성했다. 홋카이도의 이시카리 탄전에 흩어져 있는 비바이, 유바리, 미카사, 아카비라, 아시베츠, 우타시나이 등은 탄광과 함께 성장한 대표적인 도시들이다.
소라치나 지쿠호 지방에서는 석탄 수송을 위한 화물 열차를 운행하는 탄광 철도가 개통되었는데, 이는 주민들의 교통수단 역할도 하며 소비지와 직접 연결되었다.
=== 쇠퇴 ===
태평양 전쟁 이후 저렴한 수입 석탄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생산 비용이 높았던 일본 국내 석탄 산업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게다가 1960년대부터 석유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전환이 진행되면서 연료 및 원료로서의 석탄 수요가 크게 감소했다. 한편, 전후 복구와 고도 경제 성장기를 거치며 제철소에서의 석탄 수요는 증가했고, 이때 석탄은 주로 제선 과정에 필요한 코크스 제조용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일본의 제철소는 원료 수입과 제품 수송에 유리한 항만 근처에 건설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임해 입지형 공업), 내륙에 위치한 탄광 도시는 원료 공급지로서의 이점을 잃고 큰 타격을 입었다.
탄광 기업들은 규모를 축소할 수밖에 없었고, 잇따른 탄광 폐쇄로 노동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도시와 마을 공동체가 붕괴되어 갔다. 특히 중학교·고등학교 졸업자들을 중심으로 한 젊은 층이 집단 취업 등을 통해
참조
[1]
간행물
Deep Trouble: Tracking Global Coal Mine Proposals,
https://globalenergy[...]
Global Energy Monitor
2021-06
[2]
뉴스
Coal industry faces 1 million job losses from global energy transition - research
https://www.reuters.[...]
Reuters
2023-10-10
[3]
웹사이트
Methods of Coal Mining
http://www.greatmini[...]
2003
[4]
서적
Activities, effects and impacts of the coal fuel cycle for a 1,000-MWe electric power generating plant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1980
[5]
서적
Places of Overburden: Strip Mining and Reclamation on the Northern Great Plain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21
[6]
서적
Surface coal mining reclamation: 10 years of progress, 1977–1987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7
[7]
웹사이트
Valley fills
https://archive.kftc[...]
2024-04-23
[8]
웹사이트
Mountain Justice Summer – What is Mountain Top Removal Mining?
http://mountainjusti[...]
2005-10-29
[9]
간행물
Mountaintop mining/valley fills in Appalachia: Final programmatic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http://www.epa.gov/r[...]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hiladelphia, PA
2005
[10]
웹사이트
Room and pillar mining
https://en.wikipedia[...]
2024-04-20
[11]
웹사이트
Rock bolt ! Reinforcement, Anchoring & Stabilit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23
[12]
웹사이트
Coal Mining. World Coal
http://www.worldcoal[...]
2009-03-10
[13]
웹사이트
Coal Information: Overview
https://www.iea.org/[...]
International Energy Agency
2020-07
[14]
웹사이트
Coal Information: Overview
https://iea.blob.cor[...]
International Energy Agency
2019
[15]
웹사이트
Coal production ! Coal !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 Energy economics ! BP
https://www.bp.com/e[...]
2017-11-10
[16]
웹사이트
Coal and lignite production
https://yearbook.ene[...]
Enerdata
2020
[17]
논문
Solar has greater techno-economic resource suitability than wind for replacing coal mining jobs
2020-03-06
[18]
논문
Quantifying the potential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of consumption options
2020-04-01
[19]
웹사이트
Energy – What Is A "Miner's Canary"?
http://www.enotes.co[...]
enotes
[20]
웹사이트
Annual Coal Report –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https://www.eia.gov/[...]
[21]
논문
Retraining investment for U.S. transition from coal to solar photovoltaic employment
https://hal.archives[...]
2016-06
[22]
뉴스
Former Miner Explains Culture Of Mining
https://www.npr.org/[...]
2010-04-07
[23]
웹사이트
Coal Fatalities for 1900 Through 2020
https://arlweb.msha.[...]
U.S. Department of Labor, Mine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2021-11-11
[24]
웹사이트
Respiratory Protection in Coal Mines.
http://www.occupatio[...]
[25]
웹사이트
CLB :: Deconstructing deadly details from China's coal mine safety statistics
http://www.clb.org.h[...]
2007-09-30
[26]
웹사이트
Statistics – Coal Mining Fatalities by State – Calendar Year.
http://www.msha.gov/[...]
[27]
웹사이트
Home
http://www.worldcoal[...]
2006-10-24
[28]
웹사이트
Census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Summary
http://www.bls.gov/n[...]
U.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Labor Statistics.
[29]
뉴스
Panel to Explore Deadly Mine Accident
https://www.nytimes.[...]
2007-09-04
[30]
웹사이트
Coal mining fatalities
http://arlweb.msha.g[...]
[31]
뉴스
No Survivors Found After West Virginia Mine Disaster
https://www.nytimes.[...]
2010-04-09
[32]
웹사이트
Fossil fuel disasters
http://www.abelard.o[...]
[33]
서적
Pathophysi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34]
논문
Notes of an Enquiry into the Nature and Physiological Action of Black-Damp, as Met with in Podmore Colliery, Staffordshire, and Lilleshall Colliery, Shropshire
https://www.jstor.or[...]
1894
[35]
논문
Worker exposure and equipment noise in large surface coal mines.
2004-04
[36]
웹사이트
Summary of Longwall and Continuous Miner Section Noise Studies in Underground Coal Mines
https://www.cdc.gov/[...]
2016-10-25
[37]
웹사이트
Coal Gas Utilisation
http://www.clarke-en[...]
[38]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king for a "Super" Workplace
http://blogs.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3-08-07
[39]
웹사이트
Stats.bls.gov
http://stats.bls.gov[...]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40]
서적
Slow Violence and Hidden Injuries: The Work of Stripmining in the American West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0
[41]
웹사이트
IEA Key energy statistics 2010
http://www.iea.org/t[...]
2010-10-11
[42]
웹사이트
International energy statistics
http://www.eia.gov/c[...]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43]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Coal in the Modern World – Australia
http://www.gc3.cqu.e[...]
Gladstone Centre for Clean Coal
2007-02-08
[44]
웹사이트
Australia Mineral Statistics 2009 – June Quarter
http://www.abarecono[...]
Australian Bureau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2011-07-07
[45]
웹사이트
September 2015 – Resources and Energy Quarterly
http://www.industry.[...]
Australia Office of the Chief Economist
2015-09
[46]
웹사이트
Coal Statistics
http://www.worldcoal[...]
World Coal Association
2014-09
[47]
뉴스
Court rules out Hunter Valley coalmine on climate change grounds
https://www.theguard[...]
2019-02-07
[48]
웹사이트
Overview of Canada's Coal Sector
http://www.asiapacif[...]
[49]
웹사이트
Carbón 2.0, otro capítulo de la saga no convencional
http://www.rebelion.[...]
Rebelion.org
2016-12-31
[50]
간행물
Breves recuerdos de algunas actividades mineras del carbón
Departamento de Geociencias, Facultad de Ciencias, [[Universidad de Concepción]]
1990
[51]
웹사이트
World Coal Production, Most Recent Estimates 1980–2007 (October 2008)
http://www.eia.doe.g[...]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52]
뉴스
Where The Coal Is Stained With Blood.
https://web.archive.[...]
2007-03-02
[53]
웹사이트
DIGGING DEEPER: THE HUMAN RIGHTS IMPACTS OF COAL IN THE GLOBAL SOUTH
http://www.cerrejon.[...]
[54]
웹사이트
Carbones del Cerrejón y Responsabilidad Social: Una revisión independiente de los impactos y del objetivo
http://www.cerrejon.[...]
[55]
웹사이트
Der Ruhrbergbau. Von der Industrialisierung bis zur Kohlenkrise
https://www.bpb.de/a[...]
2019-01-04
[56]
웹사이트
Die Route der Industriekultur
https://www.ruhr-tou[...]
[57]
웹사이트
Mining Greece Coal
https://www.miningre[...]
[58]
문서
Kodama Kiyoomi, Sekitan no gijutsushi, p. 19
[59]
문서
Honda Tatsumi, Honda Tatsumi shashinshũ tankō ōsai, p. 165
[60]
간행물
Transfer and Development of Coal-Mine Technology in Hokkaido
http://d-arch.ide.go[...]
[61]
웹사이트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07
http://www.bp.com/li[...]
BP
2007-06
[62]
논문
The Russian coal industry in an uncertain world: Finally pivoting to Asia?
2023-08-01
[63]
뉴스
Spain to close most coal mines after striking €250m deal
https://www.theguard[...]
theguardian.com
2018-10-26
[64]
웹사이트
Coal deposits of South Africa – the future of coal mining in South Africa
http://www.geo.tu-fr[...]
Institute for Geology, [[Technische Universität Bergakademie Freiberg]]
[65]
웹사이트
Coal Mining
http://www.worldcoal[...]
World Coal Institute
[66]
웹사이트
Coal
http://www.dme.gov.z[...]
Department of Minerals and Energy (South Africa)
[67]
웹사이트
Bureau of Energy, Ministry of Economic Affairs, R.O.C. – Energy Statistical annual Reports
http://web3.moeaboe.[...]
Web3.moeaboe.gov.tw
[68]
웹사이트
Coal Mining in Taiwan (ROC) – Overview
http://www.mbendi.co[...]
Mbendi.com
[69]
뉴스
Ukraine plans to reach extraction of 105 m t of coal a year, says president
http://www.interfax.[...]
Interfax-Ukraine
2013-08-30
[70]
웹사이트
Ukraine – Mining: Coal Mining
http://www.mbendi.co[...]
2015-10-17
[71]
웹사이트
Ukraine – Coal
http://www.eia.doe.g[...]
2009-07-23
[72]
뉴스
Ukraine mine blast leaves 16 dead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7-29
[73]
뉴스
Illegal mines profitable, but at massive cost to nation
http://www.kyivpost.[...]
Kyiv Post
2011-07-08
[74]
웹사이트
Historical Overview Of The Midlothian Coal Mining Company Tract, Chesterfield County, Virginia.
http://www.midlomine[...]
1989-12
[75]
뉴스
President Bush Attends 2008 Annual Meeting of the West Virginia Coal Association.
https://georgewbush-[...]
The White House, Washington, DC
2008-07-31
[76]
뉴스
'Massive' Closures of U.S. Coal Plants Loom, Chu Says
http://www.businessw[...]
2011-02-09
[77]
웹사이트
Quarterly Coal Report –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http://www.eia.gov/c[...]
[78]
뉴스
Company eyes coal on Montana's Crow reservation
http://www.sfgate.co[...]
2013-03-18
[79]
웹사이트
Top U.S. coal company Peabody Energy files for bankruptcy
https://money.cnn.co[...]
2016-04-13
[80]
간행물
What If All U.S. Coal Workers Were Retrained to Work in Solar?
https://hbr.org/2016[...]
Harvard Business Review
2016-08
[81]
뉴스
Top US coal boss Robert Murray: Trump 'can't bring mining jobs back'
https://www.theguard[...]
2017-03-29
[82]
트윗
President Obama's Clean Power Plan was expected to lead to a steep fall in US coal production. Now the plan has been blocked, and coal production is expected to fall even faster than if it had come into effect: https://t.co/HmhRutJnc2 https://t.co/qfF7LhefOY
2021-08-30
[83]
웹사이트
電気事業及び石炭鉱業における争議行為の方法の規制に関する法律の趣旨、定義、第二条の解釈、第三条の解釈、三カ年の期限附立法とされた趣旨
https://www.mhlw.go.[...]
2022-09-04
[84]
웹사이트
日本の炭鉱の歴史
http://www.jcoal.or.[...]
2022-09-04
[85]
웹사이트
日本法令索引
https://hourei.ndl.g[...]
2022-09-04
[86]
웹사이트
法律第百五十六号(昭三〇・八・一〇)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2-09-04
[87]
웹사이트
石炭鉱業審議会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2-09-04
[88]
서적
全国石炭鉱名簿
西日本石炭通信社
1957
[89]
웹사이트
石炭火力の休廃止/「脱炭素」実現へ政策転換を
https://www.kahoku.c[...]
2020-08-19
[90]
웹사이트
Environmental impact of the coal industry
https://indianminero[...]
2023-09-26
[91]
웹사이트
What is the most dangerous form of mining?
https://faq-facts.co[...]
2023-09-26
[92]
웹사이트
The Real Story about Miners, Black Lung and the Life and Death Struggle for Benefits
https://umwa.org/new[...]
2023-09-26
[93]
웹사이트
Track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Coal Mining Business Success
https://finmodelslab[...]
2023-09-26
[94]
웹사이트
Coal gas
https://www.clarke-e[...]
2023-09-26
[95]
웹사이트
Causes and Effects of Mining on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https://www.conserve[...]
2023-09-26
[96]
문서
炭鉱閉鎖後の地域再生・雇用政策
http://www.jil.go.jp[...]
独立行政法人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 日本労働研究雑誌
2011-07
[97]
논문
フランスにおける衰退産業地域の再生―ノール・パドカレ地域の事例研究―
[98]
웹사이트
『にあんちゃん』論 : 日記における自己検閲を巡って
https://cir.nii.ac.j[...]
2018
[99]
웹사이트
1950年代における炭鉱記録としての映画『にあんちゃん』の日韓比較
https://cir.nii.ac.j[...]
2018-09-30
[100]
뉴스
民謡編<291> 南蛮歌と石刀歌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
[101]
문서
安全小诗、歌:词类 中国煤矿安全生产网
[102]
웹인용
Coal Statistical Review 2010
http://www.bp.com/su[...]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중산층도 입주 가능”…부천대장에 특화공공임대 741가구
부모·자녀가 같은 단지에? 맞춤형 공공임대 ‘특화주택’ 1768가구 공급
산의 마음으로 강의 마음으로 [.txt]
마지막 국영 탄광 도계광업소 역사 속으로…주민 생존권 요구 | JTBC 뉴스
마지막 국·공영 탄광 역사 속으로…도계광업소, 89년 만에 공식 폐광
마지막 국·공영 탄광 ‘도계광업소’ 문 닫는다···30일 폐광 지역 경기 침체 가속화 우려
‘마지막 탄광’ 삼척 도계광업소 폐광…석탄공사도 청산 절차
지하 3㎞ 탄광서 야간작업하던 50대 노동자, 석탄에 매몰돼 숨져
중국도 무인 자율주행트럭 운행 시작…석탄 운송 투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