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르 푸시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르 푸시킨은 러시아의 시인이자 소설가, 극작가로, 러시아 근대 문학의 창시자로 평가받는다. 1799년 모스크바에서 태어났으며, 귀족 가문 출신으로 조지 고든 바이런의 영향을 받아 낭만주의적 작품을 쓰기도 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시 《루슬란과 류드밀라》, 《카프카스의 포로》, 운문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 희곡 《보리스 고두노프》, 소설 《대위의 딸》 등이 있으며,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러시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1837년 결투로 사망했으며, 그의 작품은 러시아 문학뿐 아니라 세계 문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어-러시아어 번역가 - 오시프 만델시탐
오시프 만델시탐은 1891년 바르샤바에서 태어나 아크메이즘 운동을 이끌었고, 스탈린 비판 시로 체포되어 유배된 후 수용소에서 사망한 러시아 시인이다. - 알렉산드르 푸시킨 - 푸시킨 미술관
푸시킨 미술관은 러시아 모스크바에 위치한 국립 미술관으로, 유럽 각국의 미술품과 고대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특히 인상파와 후기 인상파 컬렉션으로 유명하고 매년 실내악 음악제를 개최하며 현재 재건축 및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 알렉산드르 푸시킨 - 푸시킨 하우스
푸시킨 하우스는 알렉산드르 푸시킨 연구를 위해 1905년에 설립된 러시아의 주요 기관이며, 현재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산하에서 다양한 소장품과 부서를 갖추고 운영되고 있다.
알렉산드르 푸시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푸시킨 |
출생일 | 1799년 6월 6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모스크바 |
사망일 | 1837년 2월 10일 |
사망지 |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
직업 | 시인 소설가 극작가 |
언어 | 러시아어 프랑스어 |
국적 | 러시아 제국 |
배우자 | 나탈리아 푸시키나 (1831년 결혼) |
자녀 | 4명 |
필명 | (지정 정보 없음) |
학력 | |
모교 | 차르스코예 셀로 리цей |
문학 활동 | |
활동 기간 | 러시아 시의 황금 시대 |
장르 | 소설 운문 소설 시 드라마 단편 소설 동화 |
사조 | 낭만주의 사실주의 고전주의 |
영향 | 미하일 레르몬토프 니콜라이 고골 외 다수 |
주요 작품 | 예브게니 오네긴 대위의 딸 보리스 고두노프 루슬란과 류드밀라 |
가족 | |
부모 | (지정 정보 없음) |
친척 | 아브람 간니발 (외증조부) |
서명 | |
![]() |
2. 생애
모스크바에서 태어난 푸시킨은 명문 귀족 가문 출신 아버지와 표트르 1세의 총애를 받은 흑인 노예 출신 군인 할아버지를 둔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릴 적부터 삼촌 바실리 리보비치 푸시킨|바실리 리보비치ru와 유모의 영향으로 문학과 러시아 민속 문화에 친숙해졌다. 차르스코예 셀로의 학원 시절, 자작시 '차르스코예 셀로의 추억'으로 데르자빈에게 인정받으며 문학적 재능을 알렸다. 1820년, 첫 장편 시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발표했다.
푸시킨은 점차 정치적인 색채를 띤 시를 발표하며 문학적 급진파의 대변자가 되었으나, 정부의 미움을 사 1820년 키시뇨프로 추방되었다. 1823년까지 캅카스와 크림을 여행하며 '캅카스의 포로|캅카스의 포로ru', '바흐치사라이의 샘' 등을 집필하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1823년 오데사로 이주했으나, 1824년 다시 정부와 충돌하여 부모가 사는 프스코프현미하일롭스코예 마을로 보내졌다. 이 시기에는 '보리스 고두노프|보리스 고두노프ru' 등의 희곡을 썼다.
1826년, 니콜라이 1세에게 탄원이 받아들여져 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왔으나, 데카브리스트의 난 이후 비밀경찰인 황제 관방 제3과의 감시를 받는 등 답답한 생활을 해야 했다. 1830년, 볼지노|볼지노ru에서 '벨킨 이야기|벨킨 이야기ru', '콜롬나의 작은 집|콜롬나의 작은 집ru', '누린 백작|누린 백작ru', '예브게니 오네긴' 등을 완성했다.
1831년, 나탈리아 곤차로바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다. 1833년에는 오랄과 오렌부르크를 방문했다.
1836년, 잡지 '동시대인'을 창간하여 니콜라이 1세의 전제 정치에 대한 반발을 표현했다. 같은 해 11월, '대위의 딸'을 발표했다. 그러나 궁정 귀족들은 푸시킨의 진보 사상을 싫어하여 조르주 당테스를 부추겨 그의 아내에게 접근하게 하였다. 결국 푸시킨은 1837년 1월 27일 결투를 벌여 이틀 뒤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우스펜스키 대성당 묘지에 매장되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그는 모계로 흑인(지중해 인종)의 피가 흐르고 있었는데, 그의 어머니는 18세기 표트르 대제의 총애를 받은 아브람 페드로비치 간니발 장군의 손녀였다. 외증조부 간니발은 아프리카 출신의 노예였으나 표트르 대제에 의해 속량받아 군인이 되었고, 실력을 인정받아 표트르 대제는 그의 세례 때 대부(代父)가 되어주기도 했다 한다. 외조부는 표트르 대제를 섬긴 아비시니아 지중해 인종 출신 귀족이었다.곱슬머리와 검은 피부를 가진 푸시킨은 자신의 몸속에 에티오피아 지중해의 피가 흐르고 있음을 항상 자랑스럽게 생각했다. 어린 시절, 그는 프랑스인 가정교사의 교육을 받으며 자랐고, 유모 아리나 로지오노브나로부터 러시아어 읽기와 쓰기를 배웠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 민담과 민요를 들었다. 또한 그는 유모를 통해서 러시아 민중의 삶에 대해 깊이 동정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가 어렸을 때 유모 아리나가 들려준 러시아의 옛날 이야기 및 설화가 그를 대시인으로 성공시키는 데 크게 도움이 되었다. 가정교사로부터 배운 외국어 가운데 프랑스어에 가장 뛰어나 10세경에 이미 프랑스어로 시를 썼다.


푸시킨의 아버지, 세르게이 르보비치 푸시킨(1767–1848)은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러시아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11] 푸시킨의 어머니, 나데즈다(나디야) 오시포브나 간니발(1775–1836)은 그녀의 아버지 쪽 할머니를 통해 독일 귀족과 스칸디나비아 귀족의 후손이었다.[12][13] 그녀는 오시프 아브라모비치 간니발(1744–1807)과 그의 아내 마리아 알렉세예브나 푸시킨(1745–1818)의 딸이었다.
오시프 아브라모비치 간니발의 아버지이자 푸시킨의 증조부인 아브람 페트로비치 간니발 (1696–1781)은 아프리카 출신의 시동으로, 납치되어 오스만 제국 술탄에게 선물로 콘스탄티노플로 보내졌고, 이후 표트르 대제에게 선물로 러시아로 옮겨졌다. 아브람은 표트르 대제의 딸인 엘리자베스 여제에게 보낸 편지에서 간니발이 간니발의 사위 로트키르히의 신화적 전기 덕분에 "라고곤"이라는 마을 출신이라고 썼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예브게니 오네긴''을 연구하면서 이러한 기원 이론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했다. 이후 학자 디외도네 그남만쿠와 휴 반스의 연구를 통해 간니발이 사실은 현대 카메룬의 차드호와 접경한 중앙 아프리카 지역에서 태어났다는 사실이 최종적으로 밝혀졌다.[14][15] 프랑스에서 군사 기술자 교육을 받은 후 간니발은 레발의 지사가 되었고, 결국 러시아에서 해상 요새와 운하 건설을 담당하는 대장 (세 번째로 높은 육군 계급)이 되었다.
모스크바에서 태어난 푸시킨은 유모와 프랑스어 가정교사에게 맡겨져 10살까지 주로 프랑스어를 사용했다. 그는 집안의 농노들과 그가 매우 사랑했고, 친어머니보다 더 애착을 가졌던 유모 아리나 로디오노브나와의 대화를 통해 러시아어를 접하게 되었다.
그는 15세에 첫 시를 발표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 차르스코예 셀로에 있는 명문 황실 리체움의 첫 졸업생 중 한 명으로 학교를 졸업했을 때, 그의 재능은 이미 러시아 문단에서 널리 알려져 있었다. 리체움에서 그는 프랑스 혁명가 장폴 마라의 동생이자 러시아에서 다비드 마라로 알려진 다비드 드 부드리의 제자였다.[16]
2. 2. 학창 시절과 문학적 성장
1811년(12세), 푸시킨은 차르스코예 셀로에 있는 학습원에 들어가 자유주의적 교육을 받았다. 1816년(17세) 공개 진급시험에서 자작시 <차르스코예 셀로의 추억>을 낭독하여 그 자리에 있던 노시인 가브릴라 데르자빈을 감격시켰다.[16]모스크바에서 태어난 푸시킨은 유모와 프랑스어 가정교사에게 맡겨져 10살까지 주로 프랑스어를 사용했다. 그는 집안의 농노들과, 친어머니보다 더 애착을 가졌던 유모 아리나 로디오노브나와의 대화를 통해 러시아어를 접하게 되었다.
15세에 첫 시를 발표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 차르스코예 셀로에 있는 명문 황실 리체움의 첫 졸업생 중 한 명으로 학교를 졸업했을 때, 그의 재능은 이미 러시아 문단에서 널리 알려져 있었다. 리체움에서 그는 프랑스 혁명가 장폴 마라의 동생이자 러시아에서 다비드 드 부드리|다비드 마라프랑스어의 제자였다.[16] 졸업 후 푸시킨은 당시 러시아 제국의 수도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활기차고 떠들썩한 지적 청년 문화에 몰두했다. 1820년, 그는 주제와 스타일에 대한 많은 논란 속에 첫 장편 시인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발표했다.
2. 3. 사회 참여와 추방
1817년(18세)에 학습원을 졸업하고 외무성에 들어간 후 3년간 사교계에 출입하며 방탕한 생활을 했으나, 자유주의적 정신으로 농노 제도 및 전제정치를 공격하는 시 《자유》(1817), 《마을》(1819) 등을 발표하여 1820년 남러시아로 추방당했다.[20] 코카서스와 크림 반도를 거쳐 카미안카와 베사라비아의 키시너우로 이동했다. 추방 생활 중 바이런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카프카스의 포로》(1822), 《집시》(1823), 《바흐치사라이의 샘》(1824) 등 낭만주의적 색채가 농후한 서사시 및 서정시를 썼으며, 이 동안에 릴레예프 등 데카브리스트와 친해졌다.그는 그리스에서 오스만 제국의 통치를 전복하고 독립적인 그리스 국가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비밀 조직인 필리키 에테리아에 가입했다. 그리스 독립 전쟁에 영감을 받았고,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이 발발했을 때 민족 봉기 사건들을 기록하는 일기를 썼다.
1824년 오데사 총독과 충돌하여 프스코프 현에 있는 모친 영지 미하일로프스코 촌에 칩거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점차 바이런의 영향에서 벗어나 남방 체제 중에 제1장을 발표한 바 있는 시 형식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의 후속 장이나 《보리스 고두노프》에는 리얼리즘으로의 이행이 엿보인다.
2. 4. 유배와 창작 활동
1817년 학습원을 졸업하고 외무성에 들어간 푸시킨은 3년간 사교계에서 방탕한 생활을 했지만, 자유주의적 정신으로 농노 제도와 전제정치를 공격하는 시 《자유》(1817), 《마을》(1819) 등을 발표하여 1820년 남러시아로 추방당했다. 그해 구어를 대담하게 채용한 서사시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발표하여 러시아 시에 새 경지를 개척하고 시인으로서의 지위를 굳혔다.[21]추방 생활 중 푸시킨은 바이런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카프카스의 포로》(1822), 《집시》(1823), 《바흐치사라이의 샘》(1824) 등 낭만주의적 색채가 농후한 서사시 및 서정시를 썼다. 이 동안에 릴레예프 등 데카브리스트와 친해졌다.[21] 1824년 오데사 총독과 충돌하여 프스코프 현에 있는 모친 영지 미하일로프스코 촌에 칩거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점차 바이런의 영향에서 벗어나 《예브게니 오네긴》, 《보리스 고두노프》 등 리얼리즘으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였다.[21]


1825년 데카브리스트 반란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 거주는 허용되었으나, 위험인물로 취급되어 황제의 직접 검열을 받아야 했다.[25] 1830년부터 새로운 창작 생활 시기에 들어가 《오네긴》을 완성하고, 《인색한 기사》(1833) 등 시작품을 내는 한편, 신문에도 손을 대 단편집 《벨킨 이야기》(1830), 《스페이드 여왕》(1834), 소설 《대위의 딸》 등 여러 걸작을 썼다.
1823년까지 키시너우에 머물면서 푸시킨은 자신에게 명성을 가져다준 두 편의 낭만주의 시 《코카서스의 포로》와 《바흐치사라이의 샘》을 썼다. 1823년 오데사로 이주했지만 다시 정부와 충돌하여 1824년부터 1826년까지 어머니의 시골 영지인 미하일롭스코예 (프스코프 근처)로 유배되었다.[21]
미하일롭스코예에서 푸시킨은 소러시아의 총독 부인인 엘리자베타 보론초바에게 헌정하는 향수 어린 사랑의 시를 썼다.[22] 그 후 푸시킨은 운문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 작업을 했다.
1825년 미하일롭스코예에서 푸시킨은 "To***"라는 시를 썼다. 이 시는 일반적으로 안나 케른에게 헌정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다른 의견도 있다. 시인 미하일 두딘은 이 시가 농노 올가 칼라시니코바에게 헌정되었다고 믿었다.[23] 푸시키니스트 키라 빅토로바는 이 시가 황후 엘리자베타 알렉세예브나에게 헌정되었다고 믿었다.[24] 바딤 니콜라예프는 황후에 대한 아이디어가 부차적이라고 주장하며 이 시가 《예브게니 오네긴》의 여주인공 타티야나 라리나에게 헌정되었음을 증명하려 하면서 논의를 거부했다.[23]
당국은 푸시킨의 시 《자유에 대한 송시》가 데카브리스트 봉기 (1825) 반란군의 소지품에서 발견되자 그를 모스크바로 소환했다. 1820년의 유배 후[25] 푸시킨의 친구들과 가족들은 끊임없이 그의 석방을 청원하며 알렉산드르 1세와 니콜라이 1세에게 편지를 보내고 만났다. 니콜라이 1세를 만난 푸시킨은 유배에서 풀려났고 황제의 국립 기록 보관소의 치적 고문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일어난 데카브리스트 봉기(1825)에서 반군들이 푸시킨의 초기 정치 시를 보관하고 있었기 때문에 황제는 푸시킨이 출판하는 모든 것을 엄격하게 통제했고, 그는 자유롭게 여행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같은 해(1825년) 푸시킨은 또한 그의 가장 유명한 희곡이 될 드라마 《보리스 고두노프》를 어머니의 영지에서 썼다. 그러나 그는 5년이 지나서야 출판 허가를 받을 수 있었다. 드라마의 원본이자 검열되지 않은 버전은 2007년에야 무대에 올려졌다.
1825~1829년경 그는 러시아 중앙부에서 유배 생활을 하는 동안 폴란드 시인 아담 미츠키에비치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26] 1829년 그는 러시아-투르크 전쟁 중 러시아 군대에서 싸우는 친구들을 방문하기 위해 에르주룸으로 가는 길에 코카서스를 여행했다.[27] 1829년 말 푸시킨은 해외 여행을 떠나고 싶어했으며, 이러한 열망은 그의 시 "가자, 나는 준비되었다"에 반영되었다.[28] 그는 여행 허가를 신청했지만 1830년 1월 17일 니콜라이 1세로부터 부정적인 답변을 받았다.[29]
2. 5. 결혼과 창작의 절정
1831년 나탈리야 곤차로바와 결혼하였다. 나탈리야는 푸시킨보다 13년 연하의 여성으로, 첫 남편과 사별한 상태였다. 푸시킨은 격렬한 구애 끝에 어머니의 반대를 무릅쓰고 나탈리야 곤차로바와 결혼에 성공했고,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집을 마련하여 정착했다.[61] 그는 다시 관직에 등용되었고 표트르 대제 치세의 역사를 쓰도록 위촉받았다. 1834년 황제의 시종보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그의 실력보다는 부분적으로 나탈리야가 궁정 행사에 참석하기를 바란 황제의 속셈이 작용한 때문이었다.[61] 이 기간 중 그의 아내 나탈리야와 황제 표트르 간의 불륜관계라는 소문이 돌기도 하였으나 그는 개의치 않았다.1836년에는 잡지 SOVREMENNIK를 간행하는데 참여하였다.
thumb의 초상, 1831.]]
1828년경 푸시킨은 당시 16세였던 나탈리아 곤차로바를 만났는데, 그녀는 모스크바에서 가장 화제가 된 미녀 중 한 명이었다. 나탈리아는 망설임 끝에 1830년 4월 푸시킨의 결혼 제안을 받아들였지만, 차르 정부가 자유주의 시인을 박해할 의도가 없다는 확신을 받은 후에야 받아들였다. 나중에 푸시킨과 그의 아내는 궁정 사회의 단골이 되었다. 그들은 1830년 5월 6일 공식적으로 약혼했고 결혼 초청장을 보냈다. 콜레라가 발병하고 여러 가지 사정으로 결혼식이 1년 연기되었다. 결혼식은 1831년 2월 18일(구 스타일) 모스크바 볼샤야 니키츠카야 거리에 있는 대승천 교회에서 거행되었다.
푸시킨과 곤차로바의 결혼은 대체로 행복했지만, 그의 아내의 특징적인 바람기와 경박함은 7년 후 그의 치명적인 결투로 이어질 것이었는데, 푸시킨은 매우 질투심이 강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30]

1831년 푸시킨의 문학적 영향력이 커져가던 시기에 그는 러시아의 다른 영향력 있는 초기 작가 중 한 명인 니콜라이 고골을 만났다. 고골의 1831-1832년 단편 소설집 "디칸카 근처의 농가 저녁"을 읽은 후 푸시킨은 그를 지지했고, 1836년에 창간한 잡지 "동시대인"에 고골의 가장 유명한 단편 소설을 실었다.
1831년, 나탈리아 곤차로바와 결혼했다. 푸시킨과 나탈리아 사이에는 1832년에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모델로 알려진 장녀 마리아 알렉산드로브나 하르퉁, 1833년에 장남 알렉산드르, 1835년에 차남 그리고리, 1836년에 차녀 나탈리아(손녀는 조피 폰 메렌베르크) 등 2남 2녀가 태어났다.
1833년, 오랄과 오렌부르크를 방문했다.
1836년, 잡지 '동시대인'을 창간했다. 니콜라이 1세의 강권적인 전제 정치의 압정 아래 검열이나 발금 처분 등 언론에 대한 탄압에 반발했다. 같은 해 11월, '대위의 딸'을 제4호에 발표했다.
2. 6. 잡지 "동시대인" 창간
1836년 잡지 동시대인을 창간했다. 니콜라이 1세의 강권적인 전제 정치 아래 검열이나 발금 처분 등 언론 탄압에 반발했다. 같은 해 11월, 대위의 딸을 제4호에 발표했다.[57]2. 7. 비극적 죽음
1837년 귀족들은 푸시킨의 반역 정신을 적대시하여 나탈리야가 부정한 생활을 하고 있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이로 인해 푸시킨은 나탈리야와 바람을 피운다고 지목된 프랑스인 귀족 조르주 당테스와 결투를 벌이게 되었고, 이 결투에서 총상을 입어 37세의 나이로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했다.[31][32]1836년 가을, 푸시킨은 빚에 시달리고 아내가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는 소문에 직면했다. 1836년 11월 4일, 푸시킨은 조르주 단테스에게 결투를 신청했지만, 단테스의 양아버지 야코프 판 에케렌의 요청으로 결투는 연기되었다. 푸시킨의 친구들의 노력으로 결투는 취소되는 듯했으나, 11월 17일 단테스가 나탈리아 곤차로바의 여동생과 결혼했음에도 불구하고 갈등은 계속되었다. 단테스는 나탈리아를 계속 따라다녔고, 이로 인해 단테스가 나탈리아의 평판을 지키기 위해 여동생과 결혼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1837년 1월 26일 (그레고리력 2월 7일), 푸시킨은 단테스의 양아버지에게 모욕적인 편지를 보냈고, 이는 결국 결투 신청으로 이어졌다. 푸시킨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영국 총영사관의 무관 아서 매기니스에게 대역을 맡아달라고 요청했으나, 매기니스는 평화로운 해결이 무산되었다고 판단하여 이를 거절했다.[31][32]
결국 1837년 1월 27일 (그레고리력 2월 8일), 푸시킨은 체르나야 강에서 단테스와 "장벽 결투" 방식으로 결투를 벌였다. 이 결투에서 단테스가 먼저 발사한 총알이 푸시킨의 엉덩이를 관통하여 복부에 치명상을 입혔다. 푸시킨은 복막염으로 이틀 후인 1월 29일 (그레고리력 2월 10일) 오후 2시 45분에 사망했다.[33]
푸시킨의 장례식은 처음에는 성 이삭 대성당에서 거행될 예정이었으나 코뉴셴나야 교회로 옮겨져 많은 사람들이 참석한 가운데 치러졌다. 푸시킨은 현재의 푸시킨스키예 고리 근처 프스코프 근처의 스뱌토고르스키 수도원 부지에 그의 어머니 곁에 묻혔다. 그의 마지막 집은 현재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3. 작품 세계와 특징
알렉산드르 푸시킨은 러시아 문학의 낭만주의 대표자로 알려져 있지만, 낭만주의자로만 규정되지는 않는다. 러시아 평론가들은 그의 작품이 신고전주의에서 낭만주의를 거쳐 사실주의로 나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고 평가한다. 푸시킨은 낭만주의적이면서도 동시에 낭만주의를 파괴하는 모순을 다루는 능력을 지녔다는 평가도 받는다.[36]
푸시킨은 구어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어법과 근대 문장어를 확립했다. 이는 새로운 국민 문학 확립에 기여하여 후대 러시아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비사리온 벨린스키는 그를 최초의 국민 시인으로 평가했다. 미하일 레르몬토프는 푸시킨의 죽음에 대한 시 「시인의 죽음」에서 상류 사회를 살해자로 고발했다.
예브게니 오네긴의 주인공 오네긴은 러시아 사회 부적응 청년의 전형으로, 여주인공 타치야나는 귀족 출신이면서도 농민 문화를 이해하는 정열적인 여성으로 묘사되어 러시아 문학의 여성상에 영향을 주었다.
UNESCO는 2010년 푸시킨의 생일인 6월 6일을 '러시아어의 날'로 지정했다.
3. 1. 다양한 장르와 주제
비평가들은 푸시킨의 많은 작품을 걸작으로 평가하며, 그중에는 시 청동 기마상과 돈 후안의 몰락을 그린 드라마 돌 손님이 있다. 그의 시적인 단막극 모차르트와 살리에리는 피터 셰퍼의 아마데우스에 영감을 주었고,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오페라 모차르트와 살리에리의 대본으로 사용되었다.[36]푸시킨은 단편 소설로도 유명하다. 특히 결투를 포함한 연작 고(故) 이반 페트로비치 벨킨의 이야기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문학 이론가 코르넬리예 크바스는 ''벨킨 이야기''와 ''역장''에서 푸시킨이 러시아 사실주의 문학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실을 간결하게 제시하는 사실주의적 이상을 달성했다고 평가했다.[36] 푸시킨 자신은 운문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을 선호했는데, 이 작품은 몇몇 중심인물을 따르지만 어조와 초점이 크게 다르며, 위대한 러시아 소설의 전통을 시작했다.
''오네긴''은 복잡한 작품으로, 번역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그 의미를 영어로 완전히 전달하기 위해 두 권의 자료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번역의 어려움 때문에 푸시킨의 운문은 영어 독자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헨리 제임스와 같은 서구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푸시킨은 영어 번역으로 자주 앤솔로지되는 단편 소설 스페이드 여왕을 쓰기도 했다.
푸시킨의 작품은 러시아 작곡가들에게도 많은 영감을 주었다. 글린카의 루슬란과 류드밀라는 푸시킨에게 영감을 받은 초기 오페라이자 러시아 음악 전통의 이정표이다. 차이콥스키의 오페라 예브게니 오네긴(1879)과 스페이드 여왕(1890)은 러시아 밖에서 푸시킨의 원작보다 더 널리 알려졌다.
무소르그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는 가장 훌륭하고 독창적인 러시아 오페라 중 하나로 꼽힌다.[38] 푸시킨을 기반으로 한 다른 러시아 오페라로는 다르고미시스키의 루살카와 석상, 림스키코르사코프의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술탄 황제의 이야기, 황금 수탉, 큐이의 코카서스의 포로, 페스트 시대의 향연, 대위의 딸, 차이콥스키의 마제파, 라흐마니노프의 알레코와 구두쇠 기사, 스트라빈스키의 마브라, 나프라브니크의 두브로프스키가 있다.
발레와 칸타타, 수많은 가곡도 푸시킨의 시에 맞춰 작곡되었다.[39] 수페, 레온카발로, 말리피에로 역시 그의 작품을 기반으로 오페라를 만들었다.[38]
푸시킨은 러시아 문학의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인물로 여겨지지만, 낭만주의자로만 알려진 것은 아니다. 러시아 평론가들은 그의 작품이 신고전주의에서 낭만주의를 거쳐 사실주의로 나아가는 길을 보여준다고 평가한다.
푸시킨은 러시아 문학을 발전시킨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러시아 어휘력을 증진시키고, 차용어를 고안하는 등 현대 러시아 문학의 기초를 다졌다. 그의 업적은 러시아 언어와 문화 발전에 새로운 기록을 세웠으며, 19세기 러시아 문학의 아버지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모든 유럽 문학 장르와 서유럽 작가들을 러시아에 소개했으며, 자연스러운 언어와 외국의 영향을 도입하여 현대적인 러시아 시를 창조했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에 따르면, 푸시킨의 관용구는 데르자빈, 주코프스키, 바튜슈코프, 카람진, 크릴로프로부터 배운 것과 당대의 모든 러시아적 요소를 결합했다.[40]
그는 비평가 및 저널리스트로서 러시아 잡지 문화의 탄생을 알린 ''소브레메니크'' (''The Contemporary'')를 고안하고 기여했다. 푸시킨은 러시아 민담과 레스코프, 예세닌, 고리키와 같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의 러시아어 사용은 이반 투르게네프, 이반 곤차로프, 레프 톨스토이와 같은 소설가들과 미하일 레르몬토프와 같은 후대 서정 시인들의 스타일의 기초가 되었다. 푸시킨은 니콜라이 고골과 비사리온 벨린스키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벨린스키는 푸시킨의 작품에 대한 가장 완전하고 심층적인 비평 연구를 발표했다.
3. 2. 언어적 혁신과 사실주의
푸시킨은 많은 이들에게 러시아 문학의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인물로 여겨지지만, 낭만주의자로만 알려진 것은 아니다. 러시아 평론가들은 전통적으로 그의 작품이 신고전주의에서 낭만주의를 거쳐 사실주의로 나아가는 길을 보여준다고 주장해왔다. 다른 평가에서는 "그는 낭만주의에서 비롯된 듯 보이지만, 궁극적으로 모든 고정된 관점과 낭만주의를 포함한 모든 단일한 견해를 파괴하는 모순을 다루는 능력이 있었고", "그는 동시에 낭만주의적이면서 낭만주의적이지 않다"고 말한다.푸시킨은 처음으로 작품 속에 적극적으로 구어를 도입하여 독자적인 어법을 만들어 근대 문장어를 확립했고, 나아가 새로운 국민 문학을 확립하여 후대의 러시아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비사리온 벨린스키는 최초의 국민 시인으로서 푸시킨을 평가했다.
『예브게니 오네긴』의 주인공 오네긴은 러시아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청년의 전형으로 여겨졌다. 여주인공 타치야나는 정열적인 여성으로, 귀족 출신이면서도 농민 문화를 이해하는 인물이었으며, 그 후 러시아 문학의 여성상에 영향을 주었다.
3. 3. 대표작
- 차다예프에게 (1818년)
- 농촌 (1819년)
- 루슬란과 류드밀라 (1820년)
- 카프카스의 포로 (1822년)
- 바흐치사라이의 샘 (1823년)
- 예브게니 오네긴 (1823년~1830년)
- 집시 (1824년)
-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1825년)
- 보리스 고두노프 (1825년)
- 누손 백작 (1825년)
- 폴타바 (1828년)
- 인색한 기사 (1830년)
-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1830년)
- 돌의 손님 (1830년)
- 질병 때의 주연 (1830년)
- 벨킨 이야기 (1830년)
- 청동의 기사 (1833년)
- 스페이드 여왕 (1834년)
- 대위의 딸 (1836년)
비평가들은 푸시킨의 많은 작품을 걸작으로 평가하며, 그중에는 시 《청동 기마상》과 돈 후안의 몰락을 그린 드라마 《돌 손님》이 있다. 그의 시적인 단막극 《모차르트와 살리에리》는 피터 셰퍼의 《아마데우스》의 영감이 되었고,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오페라 《모차르트와 살리에리》의 대본으로 사용되었다.[36]
푸시킨은 단편 소설로도 유명하며, 특히 결투를 포함한 연작 《고(故) 이반 페트로비치 벨킨의 이야기》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36] 푸시킨은 운문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을 선호했는데, 이 작품은 위대한 러시아 소설의 전통을 시작했다.
푸시킨의 작품은 러시아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글린카의 《루슬란과 류드밀라》는 푸시킨에게 영감을 받은 초기 오페라이자 러시아 음악 전통의 이정표이다. 차이콥스키의 오페라 《예브게니 오네긴(1879)》과 《스페이드 여왕(1890)》은 러시아 밖에서 더 널리 알려졌다. 무소르그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는 가장 훌륭하고 독창적인 러시아 오페라 중 하나로 꼽힌다.[38]
4. 평가와 영향
알렉산드르 푸시킨은 러시아 근대 문학의 창시자로, 시와 산문 등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의 간결하고 명료한 시는 많은 시인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19세기 러시아 리얼리즘의 기초를 확립했다는 평가를 받는다.[62]
푸시킨은 '러시아 국민 문학의 아버지', '위대한 국민 시인' 등으로 불리며, 막심 고리키는 그를 '시작의 시작'이라고 칭했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를 포함한 많은 비평가들은 푸시킨의 작품이 모든 것을 포용하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고 평가했다.[62] 그는 고전주의, 낭만주의, 사실주의의 요소를 모두 수용하면서도 새로운 예술사조의 가능성을 열어놓았다.[62]
1812년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러시아에서는 애국주의 사상과 민족적 자각이 고조되었는데, 푸시킨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러시아 국민의 사상과 감정을 훌륭하게 표현하여 러시아 국민 문학 및 러시아 문학어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이반 투르게네프는 푸시킨 이후의 작가들이 그가 개척한 길을 따라갈 수밖에 없었다고 말하며 그의 문학적 영향력을 강조했다.[62]
4. 1. 러시아 문학에 끼친 영향
그는 러시아 근대문학의 창시자로서 문학의 온갖 장르에 걸쳐 그 재능을 발휘했다. 지난 100년간 러시아 시 분야에서 그의 간결하고 평이 명료한 시 영향을 조금이라도 받지 않은 시인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산문에 있어서도 19세기 러시아 리얼리즘의 기초는 그에 의해 구축되었다.[62]푸시킨은 ‘러시아 국민 문학의 아버지’, ‘위대한 국민 시인’ 등으로 불린다. 막심 고리키의 말대로 ‘시작의 시작’이라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많은 비평가 역시 푸시킨의 작품을 심도 있게 연구하면서 ‘모든 것을 포용하는 보편성’(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표현)을 강조했다. 그의 문학작품은 모든 예술사조(ism)를 수용하면서 새로운 예술사조의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그는 고전주의, 낭만주의, 사실주의의 모든 요소를 받아들이는 동시에 모든 것을 부정하는 아이러니한 대화를 하고 있다.[62]
그는 1812년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리로 고무된 러시아 민족의 애국주의 사상, 민족적 자각과 민족적 기운이 고조되는 역사적 시기에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러시아 국민 사상과 감정을 훌륭히 표현한 러시아 국민 문학의 창시자이자 러시아 문학어의 창시자다. 국민 생활과의 밀접한 유대, 시대의 선구적 사상의 반영, 풍부한 내용 등의 측면에서 그를 따를 러시아 작가는 없다. 이반 투르게네프가 푸시킨 이후의 작가들은 그가 개척한 길을 따라갈 수밖에 없었다고 말한 것처럼 그의 문학적 영향력은 매우 크다.[62]
푸시킨은 처음으로 작품 속에 적극적으로 구어를 도입하여 독자적인 어법을 만들어 근대 문장어를 확립했고, 나아가 새로운 국민 문학을 확립하여 후대의 러시아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비사리온 벨린스키는 최초의 국민 시인으로서 푸시킨을 평가했다. 푸시킨의 죽음을 알게 된 시인 미하일 레르몬토프는 「시인의 죽음」이라는 제목의 시를 써서 살해자로서의 상류 사회를 고발했다.
『예브게니 오네긴』의 주인공 오네긴은 러시아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청년의 전형으로 여겨졌다. 여주인공 타치야나는 정열적인 여성으로, 귀족 출신이면서도 농민 문화를 이해하는 인물이었으며, 그 후 러시아 문학의 여성상에 영향을 주었다.
2010년, UNESCO는 푸시킨의 생일인 6월 6일을 '러시아어의 날'로 지정했다.
4. 2. 세계 문학에 끼친 영향
그는 러시아 근대문학의 창시자로서 문학의 온갖 장르에 걸쳐 그 재능을 발휘했다. 과거 100년간 러시아 시분야에서 그의 간결하고 평이 명료한 시 영향을 조금이라도 받지 않은 시인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산문에 있어서도 19세기 러시아 리얼리즘의 기초는 그에 의해 구축되었다.[62]푸시킨은 ‘러시아 국민 문학의 아버지’, ‘위대한 국민 시인’ 등으로 불린다. 막심 고리키의 말대로 ‘시작의 시작’이라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많은 비평가 역시 푸시킨의 작품을 심도 있게 연구하면서 ‘모든 것을 포용하는 보편성’(도스토옙스키의 표현)을 강조했다. 그의 문학작품은 모든 예술사조(ism)를 수용하면서 새로운 예술사조의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그는 고전주의, 낭만주의, 사실주의의 모든 요소를 받아들이는 동시에 모든 것을 부정하는 아이러니한 대화를 하고 있다.[62]
그는 1812년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리로 고무된 러시아 민족의 애국주의 사상, 민족적 자각과 민족적 기운이 고조되는 역사적 시기에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러시아 국민 사상과 감정을 훌륭히 표현한 러시아 국민 문학의 창시자이자 러시아 문학어의 창시자다. 국민 생활과의 밀접한 유대, 시대의 선구적 사상의 반영, 풍부한 내용 등의 측면에서 그를 따를 러시아 작가는 없다. 투르게네프가 푸시킨 이후의 작가들은 그가 개척한 길을 따라갈 수밖에 없었다고 말한 것처럼 그의 문학적 영향력은 매우 크다.[62]
푸시킨은 처음으로 작품 속에 적극적으로 구어를 도입하여 독자적인 어법을 만들어 근대 문장어를 확립했고, 나아가 새로운 국민 문학을 확립하여 후대의 러시아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비사리온 벨린스키는 최초의 국민 시인으로서 푸시킨을 평가했다. 푸시킨의 죽음을 알게 된 시인 미하일 레르몬토프는 「시인의 죽음」이라는 제목의 시를 써서 살해자로서의 상류 사회를 고발했다.
『예브게니 오네긴』의 주인공 오네긴은 러시아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청년의 전형으로 여겨졌다. 여주인공 타치야나는 정열적인 여성으로, 귀족 출신이면서도 농민 문화를 이해하는 인물이었으며, 그 후 러시아 문학의 여성상에 영향을 주었다.
2010년, UNESCO는 푸시킨의 생일인 6월 6일을 '러시아어의 날'로 지정했다.
4. 3. 한국 문학과의 관련성
푸시킨의 작품은 한국 문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그의 작품들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다. 특히, 그의 동화들은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많다. 다음은 푸시킨의 주요 동화 목록이다.발표 연도 | 작품 제목 | 한국어 번역 |
---|---|---|
1822 | Царь Никита и сорок его дочерей | 차르 니키타와 그의 마흔 딸들 |
1825 | Жених | 신랑 |
1830 | Сказка о попе и о работнике его Балде | 사제와 그의 일꾼 발다의 이야기 |
1830 | Сказка о медведихе | 암곰의 이야기 (미완성) |
1831 | Сказка о царе Салтане | 차르 살탄의 이야기 |
1833 | Сказка о рыбаке и рыбке | 어부와 물고기의 이야기 |
1833 | Сказка о мертвой царевне | 죽은 공주의 이야기 |
1834 | Сказка о золотом петушке | 황금 수탉의 이야기 |
4. 4. 기념 사업
1937년 푸시킨 사후 100주년을 기념하여, 소련 전역에서 그의 이름을 딴 거리 명칭 변경이 대규모로 이루어졌다.[41] 이는 1928년 레프 톨스토이 탄생 100주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였다.[43]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에서는 그의 기념비가 철거되고, 그의 이름을 딴 거리는 명칭이 변경되었다.[41][42]푸시킨 사후 얼마 지나지 않아, 미하일 레르몬토프는 〈시인의 죽음〉을 썼는데, 이 시는 귀족을 푸시킨의 죽음에 대한 진정한 범인으로 비난했다.[44] 레르몬토프는 체포되어 코카서스의 한 연대로 유배되었다.[46]


- 1937년, 차르스코예 셀로는 그의 업적을 기려 푸시킨으로 개명되었다.
- 러시아에는 푸시킨을 기리는 여러 박물관이 있다.
- 2000년, 알렉산드르 푸시킨 동상 (워싱턴 D.C.)이 건립되었고, 미국의 시인 월트 휘트먼의 동상이 모스크바에 세워졌다.
- 1977년 소련 천문학자 니콜라이 체르니흐가 발견한 소행성 2208 푸시킨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7]
- MS ''알렉산드르 푸시킨''
- 타슈켄트 지하철역
- 캐나다 온타리오주 코크레인 지구의 벤 네비스 타운십에는 푸시킨 언덕[48]과 푸시킨 호수[49]
- UN 러시아어의 날은 매년 6월 6일에 기념하며, 푸시킨의 생일에 맞춰 기념하기로 했다.[50]
- 알렉산드르 푸시킨 다이아몬드는 러시아에서 발견된 두 번째로 큰 다이아몬드이다.
- 2019년, 모스크바의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은 푸시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3]
5. 작품 목록
- 차다예프에게 (1818년)
- 농촌 (1819년)
- 루슬란과 류드밀라 (1820년)
- 카프카스의 포로 (1822년)
- 바흐치사라이의 샘 (1823년)
- 집시 (1824년)
- 예브게니 오네긴 (1823년~1830년)
-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1825년)
- 보리스 고두노프 (1825년)
- 누손 백작 (1825년)
- 폴타바 (1828년)
- 인색한 기사 (1830년)
-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1830년)
- 돌의 손님 (1830년)
- 질병 때의 주연 (1830년)
- 벨킨 이야기 (1830년)
- 스페이드의 여왕 (1834년)
- 청동의 기사 (1833년)
- 대위의 딸 (1836년)
- 시베리아로 보내는 시 (1827년) - 시베리아로 유배된 친구 오도예프스키 공작에게 보낸 시
- 소 비극 (Скупой рыцарь|구두쇠 기사ru, Моцарт и Сальери|모차르트와 살리에리ru, 돌의 손님, Пир во время чумы|흑사병 시대의 향연ru 4편, 1830년)
- Повести Белкина|벨킨 이야기ru (단편집, 산문, 1831년)
- * Выстрел (повесть)|그 한 발ru
- * Метель (повесть)|눈보라ru
- * Гробовщик (повесть)|장의사ru
- * Станционный смотритель (повесть)|역장ru
- * Барышня-крестьянка|아양 떠는 아가씨ru
- Сказка о царе Салтане|술탄 왕의 이야기ru (1831년)
- Сказка о золотом петушке|황금 수탉 이야기ru (1834년)
- Сказка о рыбаке и рыбке|어부와 물고기 이야기ru (1835년)
- История Пугачёва|푸가초프 반란사ru (산문, 1834년)
- Арап Петра Великого|표트르 대제의 에티오피아인ru (1837년) - 주인공 이브라힘의 모델은 조부 아브람 가니발.
- Египетские ночи|이집트의 밤ru (1837년)
- 인어 (사후에 출판된 미완성 작품으로 알렉산드르 다르고미시스키의 오페라 루살카의 원작이 되었다)
푸시킨의 작품 중 일부는 러시아 및 소련 작곡가에 의해 오페라로 만들어졌다.
작곡가 | 작품명 | 원작 |
---|---|---|
미하일 글린카 | 루슬란과 류드밀라 | 루슬란과 류드밀라 |
알렉산드르 다르고미슈스키 | 석상의 손님 | 돌의 손님 |
체자르 큐이 | 카프카스의 포로 흑사병 시대의 향연 | 카프카스의 포로 질병 때의 주연 |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 | 보리스 고두노프 | 보리스 고두노프 |
표트르 차이콥스키 | 에프게니 오네긴 스페이드 여왕 | 예브게니 오네긴 스페이드 여왕 |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술탄 황제의 이야기 황금 수탉 |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Сказка о царе Салтане|술탄 왕의 이야기ru Сказка о золотом петушке|황금 수탉 이야기ru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레코 구두쇠 기사 | Цыганы (поэма)|집시ru Скупой рыцарь|구두쇠 기사ru |
니콜라이 코르도르프 | 흑사병 시대의 향연 | 질병 때의 주연 |
참조
[1]
논문
Two Hundred Years of Pushkin, Volume III
2004
[2]
서적
Pushkin
http://dictionary.re[...]
[3]
서적
Pushkin and Romanticism
Blackwell
2005
[4]
웹사이트
Short biography from University of Virginia
http://www.faculty.v[...]
2006-11-24
[5]
웹사이트
Russia's Greatest Poet/Scoundrel
http://www.worldandi[...]
2006-09-02
[6]
뉴스
Pushkin fever sweeps Russia
http://news.bbc.co.u[...]
BBC News
1999-06-05
[7]
뉴스
Biographer wins rich book price
http://news.bbc.co.u[...]
BBC News
2003-06-10
[8]
웹사이트
Biography of Pushkin at the Russian Literary Institute "Pushkin House"
http://www.pushkinsk[...]
2006-09-01
[9]
웹사이트
Pushkin, An Appraisal
http://www.marxists.[...]
2006-09-01
[10]
웹사이트
Alexander Sergeevich Pushkin - Russian famous poet. Biography and interesting facts about his life
https://www.moscover[...]
2016-07-07
[11]
문서
2007
[12]
논문
Предки А.С. Пушкина в Германии и Скандинавии(предположительно): происхождение Христины Регины Шёберг (Ганнибал) от Клауса фон Грабо из Грабо
2006-11
[13]
논문
Aus Brandenburg nach Skandinavien, dem Baltikum und Rußland. Eine Abstammungslinie von Claus von Grabow bis Alexander Sergejewitsch Puschkin 1581–1837
[14]
서적
New Statesman
https://books.google[...]
New Statesman Limited
2005
[15]
서적
Under the Sky of My Africa: Alexander Pushkin and Blackness
https://books.google[...]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06
[16]
뉴스
Jean-Paul Marat - Notice Generale
http://docplayer.fr/[...]
[17]
서적
Rationalism and Nationalism in Russian Nineteenth Century Political Thought
Yale University Press
1967
[18]
서적
Pushkin's Lyric Intelligence
OUP Oxford
2008
[19]
서적
The Letters of Alexander Pushki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7
[20]
웹사이트
Pushkin, poet and troublemaker - the early years
https://www.bl.uk/on[...]
[21]
간행물
Images of Pushkin in the works of the black "pilgrims".
2001-12-22
[22]
서적
Don Juan List of A. S. Pushkin
1923
[23]
웹사이트
To whom «Magic Moment» has been dedicated?
http://www.lych.ru/o[...]
[24]
웹사이트
http://esdek.narod.r[...]
[25]
뉴스
Pushkin descendant puts Russian poet's turbulent life on stage for first time
https://www.theguard[...]
2018-04-21
[26]
서적
Mickiewicz Adam Bernard
1975
[27]
논문
The Literary Travelogue
Springer
1973
[28]
웹사이트
Поедем, я готов; куда бы вы, друзья...
http://feb-web.ru/fe[...]
[29]
서적
Sobranie sochinenii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30]
서적
Tales of Belkin and Other Prose Writings
Penguin Books
1998
[31]
뉴스
Pushkin
https://archive.org/[...]
1922
[32]
서적
Pushkin: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7
[33]
서적
Pistols at Dawn: A History of Duelling
Little, Brown Book Group Limited
2011-01-01
[34]
웹사이트
Pushkin Genealogy
https://www.pbs.org/[...]
PBS
[35]
서적
The Little Tragedies by Alexander Pushkin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36]
서적
The Boundaries of Realism in World Literature
Lexington Books
[37]
웹사이트
Pushkin in 'The Aspern Papers'
http://www2.newpaltz[...]
2000-03-00
[38]
서적
Pushkin in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Macmillan
[39]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women composers
1987
[40]
서적
Verses and Versions
[41]
웹사이트
Pushkin must fall: monuments to Russia's national poet under threat in Ukraine
https://www.theguard[...]
2023-05-05
[42]
웹사이트
Bandera Street appeared in the liberated Izium
https://www.pravda.c[...]
2022-12-03
[42]
웹사이트
Kyiv renamed Pushkinska Street to Chikalenka, Nekrasivska to Dracha
https://ukranews.com[...]
2022-10-28
[42]
웹사이트
Monuments to Pushkin, Lomonosov, and Gorky will be removed from public space in Dnipro - city council
https://www.pravda.c[...]
2022-12-06
[42]
웹사이트
Poltava decided to demolish monuments to two Soviet generals and Pushkin
https://www.pravda.c[...]
2023-04-07
[43]
서적
Sergey Prokofiev and His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44]
웹사이트
Mikhail Yuryevich Lermontov Biography
http://www.homeengli[...]
2005
[45]
웹사이트
Mikhail Iurevich Lermontov (1814-1841)
http://novaonline.nv[...]
2010
[46]
웹사이트
Лермонтов Михаил Юрьевич
http://www.rulex.ru/[...]
[47]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Verlag
[48]
cgndb
Pushkin Hills
[49]
cgndb
Pushkin Lake
[50]
뉴스
Celebrating Russian Language Day
https://web.archive.[...]
2013-06-06
[51]
간판
Alexander Pushkin (1799–1837)
https://web.archive.[...]
[52]
뉴스
В Эритрее появится памятник Пушкину
http://www.vesti.ru/[...]
2009-11-26
[53]
웹사이트
Sheremetyevo named for Pushkin in national airport scheme
https://www.flightgl[...]
2018-12-05
[54]
문서
プーシュキン表記
[55]
문서
当時の正書法
[56]
서적
図説 ロシアの歴史
河出書房新社
[57]
서적
サンクト・ペテルブルグ よみがえった幻想都市
中央公論新社
[58]
서적
人間の死にかた
新潮選書
[59]
서적
新版 ロシアを知る事典
平凡社
2004-01-21
[60]
뉴스
ロシア各地の空港、大統領令で改名 サハリン島にチェーホフ空港誕生
https://www.afpbb.co[...]
2019-06-01
[61]
웹사이트
푸슈킨
http://enc.daum.net/[...]
[62]
블로그
대위의 딸 지만지 책소개
http://zmanz.blogi.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