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드르 폴랸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르 폴랸스키는 1945년 해방 당시 서울 주재 소련 영사로, 부영사 아나톨리 샵신과 함께 소련 또는 평양 소련군정의 의사를 남한 공산주의자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서울 소련 영사관은 소련 체제를 선전하는 활동을 했으며, 폴랸스키는 1945년 10월 극동회의 정치고문에게 북한 행정 경제 생활을 통일적으로 지도할 단일 관리기관 수립을 건의했다. 1945년 12월 초, 한국민주당 당수 송진우가 북한에서의 소련군과 공산주의자들의 행위에 항의하며 소련군 철수를 요구하자, 폴랸스키는 이 의견을 전달하겠다고 답했으며, 이후 송진우는 암살당했다. 1946년 7월 2일 서울 소련 영사관 폐쇄로 인해 폴랸스키는 평양으로 이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외교관 -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는 조지아 공산당 제1서기, 소련 외무장관, 조지아 대통령을 역임하며 냉전 종식에 기여했으나, 재임 기간 중 부패와 민족 분쟁에 직면하여 장미 혁명으로 퇴임하고 2014년 사망했다.
  • 소련의 외교관 - 라흐몬 나비예프
    라흐몬 나비예프는 타지키스탄의 정치인으로, 1991년 타지키스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1992년 사임하고 1993년에 사망했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알렉산드르 폴랸스키
기본 정보
알렉산드르 폴랸스키
알렉산드르 폴랸스키
본명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폴랸스키
로마자 표기Aleksandr Sergeyevich Polyanskiy
출생1983년 1월 17일
출생지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키예프
사망2022년 10월 2일 (향년 39세)
사망지러시아 모스크바
사인질병
경력
소속이스탄불스포르
아르세날 키예프
아르세날 하르키우
FC 하르키우
FC 루치-에네르기야 블라디보스토크
조르야 루한스크
메탈루르흐 자포리자
FC 포르투
샤흐타르 도네츠크
포지션수비수

2. 생애

알렉산드르 폴랸스키의 생애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1945년 10월, 폴랸스키는 극동회의 정치고문 Яков Александрович Малик|야코프 알렉산드로비치 말리크ru[6]에게 보낸 보고서에서 "소련군사령부의 지도와 감독하에 북한의 행정, 경제 생활을 통일적으로 지도할 단일한 중앙집권적인 관리기관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7]

2. 1. 해방 직후 남한에서의 활동 (1945-1946)

그는 1945년 해방 당시 서울 주재 소련 영사로서 부영사 아나톨리 샵신(1910 ~ 1967)과 함께 소련 또는 평양 소련군정의 의사를 남한 공산주의자들에게 전달하는 창구 역할을 했다. 서울의 소련 영사관은 소련에 대한 우호적인 유인물을 제작하여 배포하기도 하고, 소련 영화를 들여와 상영하면서 소련 체제를 선전하는 첨병 역할도 했다. 소련 영화를 상업적으로 판매하다 물의를 빚기도 했다.[4] 1946년 7월 2일 서울 소련 영사관의 폐쇄로 인하여 폴랸스키도 영사관 직원들과 함께 평양으로 갔다.[5]

1945년 12월 초 한국민주당 당수 송진우는 소련 영사관으로 폴랸스키를 방문하여 북한 지역에서의 소련군과 공산주의자들의 행동과, 북한지역 주민들을 탄압하는데 대해 항의를 하며 소련군 철수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폴랸스키는 이런 의견을 자기 나라에 잘 전달하겠다고 정중하게 답했다고 한다.[8][9] 그 직후 송진우는 신탁통치 관련 소식이 전해지면서 일어난 반탁운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12월 30일 새벽 암살 당했다.

2. 2. 북한 관련 정책 건의

1945년 10월, 폴랸스키는 극동회의 정치고문 말리크(Яков Александрович Малик|야코프 알렉산드로비치 말리크ru)에게 보낸 보고서에서 "소련군사령부의 지도와 감독하에 북한의 행정, 경제 생활을 통일적으로 지도할 단일한 중앙집권적인 관리기관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7]

2. 3. 송진우와의 면담과 송진우 암살

1945년 12월 초 한국민주당 당수 송진우는 소련 영사관으로 폴랸스키를 방문하여 북한 지역에서의 소련군과 공산주의자들의 행동과 북한 주민 탄압에 대해 항의하며 소련군 철수를 요구했다. 폴랸스키는 이러한 의견을 본국에 전달하겠다고 답했다.[8][9] 송진우는 이 면담 직후, 신탁통치 반대 운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12월 30일 새벽 암살당했다.

참조

[1] 웹사이트 Полянский Александр Сергеевич http://www.hrono.ru/[...]
[2] 웹사이트 한국현대사 사료총서2 주한미군사 1 > Ⅲ. 간주곡 : 1945년 8월 > 러시아에 대한 두려움 http://db.history.go[...]
[3] 웹사이트 주한미군사 2 > 2부. 4장. 점령 첫 해의 미소관계(American-Soviet Relations, The First Year) > 소련영사관(The Soviet Consul) http://db.history.go[...]
[4] 웹사이트 주한미군사 2 > 2부. 4장. 점령 첫 해의 미소관계(American-Soviet Relations, The First Year) > 연락의 유지 > 소련 영사관의 폐쇄 http://db.history.go[...]
[5] 뉴스 駐京 蘇영사 일행, 昨朝 平壤에 撤歸 http://db.history.go[...] 자유신문 1946-07-03
[6] 위키백과 Yakov Malik(1906~1980) https://en.wikipedia[...]
[7] 간행물 孫世一의 비교 評傳 (83) 한국 민족주의의 두 類型 - 李承晩과 金九: 朝鮮民主黨의 創黨과 新義州學生들의 蜂起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1-02
[8] 웹사이트 Classified Outgoing Radios - Korean Situation, December 1945 http://www.nl.go.kr/[...] 2018-07-25
[9] 웹사이트 Attitudes towards Occupation Forces in Korea http://archive.histo[...] 2018-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