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니아계 코소보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바니아계 코소보인은 코소보에 거주하는 알바니아인으로, 코소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들은 언어, 문화적으로 알바니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게그 방언을 사용한다. 역사적으로 알바니아인들은 코소보 지역에 오스만 제국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20세기에는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자치권을 얻기 위한 투쟁을 벌였다. 1990년대에는 코소보 해방군(KLA)의 무장 투쟁과 코소보 전쟁을 거쳐, 2008년 독립을 선언했다. 현재 코소보 알바니아인은 수니파 이슬람교를 주로 믿으며, 가톨릭 신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계 코소보인 - 도니스 아브디야이
도니스 아브디야이는 코소보 출신의 축구 선수로, 윙어 또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샬케 04 유소년팀에서 두각을 나타낸 후 여러 클럽을 거쳐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5경기 출전했다. - 코소보의 민족 - 알바니아인
알바니아인은 발칸반도 서부에 주로 거주하며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고대 일리리아인의 후예로 여겨지며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912년 독립을 쟁취했으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종교를 믿으며 서구 국가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코소보의 민족 - 유고슬라브인
유고슬라브인(Yugoslavs)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건국 이념에 따라 남슬라브족의 통일을 목표로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포괄하기 위해 만들어진 민족 범주이다.
알바니아계 코소보인 | |
---|---|
개요 | |
![]() | |
다른 지역 | 터키: 600,000+ 명 독일: 300,000 명 스위스: 200,000 명 이탈리아: 43,763 명 프랑스: 40,000 명 네덜란드: 8,500 명 북마케도니아: ? 캐나다: 2,870 명 |
언어 | 알바니아어 (게그 알바니아어) |
종교 | 주로 수니 이슬람 기독교 소수 (가톨릭 교회 · 개신교) |
관련 민족 | 알바니아인 |
명칭 | |
알바니아어 | Shqiptarët e Kosovës (슈치프타레트 에 코소베스) |
로마자 표기 | Shqiptarët e Kosovës |
별칭 | Kosovarët (코소바레트) |
2. 역사
지명 증거는 알바니아어가 이동 시대 이전에 서부 및 동부 코소보와 니시 지역에서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12] 이 시대에 코소보의 알바니아어는 당시 동부 세르비아와 마케도니아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동부 로망스와 언어적 접촉을 이루었다.[13] 1246년에서 1255년 사이에, 스테판 우로시 1세는 드레니차 계곡에서 알바니아 지명을 보고했다.
14세기에 세르비아 통치자들의 두 개의 크리소스불 또는 칙령에서 알바니아 마을과 블라흐인이 언급되었는데, 첫 번째는 화이트 드리니 강과 림 강 사이(1330)에 위치해 있었고, 두 번째(1348)는 프리스렌 인근에 총 9개의 알바니아 마을이 언급되었다.[15][16] 1348년부터 1353년 사이에 프리스렌에 있는 성 미하일과 가브릴 수도원에 주어진 세르비아 차르 스테판 두샨의 크리소스불에는 알바니아인이 메토히야의 두카진 평원, 프리즈렌 인근 및 드레니차 마을에 존재한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4] ''Arbanaška''와 ''Đjake''와 같은 지명은 후기 중세 시대부터 토플리카와 남부 모라바 지역(오늘날 코소보의 북동쪽에 위치)에 알바니아인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17][18]
1300년대의 세르비아 필사본에는 알바니아 마을 우지미르와 조나이가 언급되어 있다.[19] 조나이에는 코소보에서 가장 오래된 가톨릭 교회 중 하나가 서 있다.[20] 조나이 마을은 또한 피에테르 보그다니의 출생지로 여겨진다. 14세기와 15세기부터 언급된 다른 알바니아 마을로는 플라네제, 짐, 고로즈후브, 밀라이, 코유셰, 바투셰, 마즈레크, 복시 등이 있다.[21]
스테판 두샨 통치 기간 동안, 코소보의 알바니아 가톨릭 신자들은 강제로 정교회로 개종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추방되었으며, 가톨릭 교회는 정교회로 개조되었다.[24][25][26][27]
1455년부터 1912년까지 코소보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으며, 처음에는 루멜리아 에얄레트의 일부였고, 1864년부터는 분리된 주(빌라예트)였다.[33][31][32] 이 기간 동안 이슬람교가 코소보에 전파되었다.[33][31][32] 오늘날 수니파 이슬람은 코소보 알바니아인의 주요 종교이다.
오스만 제국은 'Arnavudluk'(آرناوودلق), 즉 알바니아라는 용어를 남부 세르비아와 코소보와 같은 지역에 대해 사용했다.[33][31][32] 1660년 이 지역을 여행한 에블리야 첼레비는 오늘날 코소보의 서부와 중부 지역을 ''Arnavudluk''으로 언급했으며, 부슈트리 주민들이 알바니아어 또는 터키어를 알고 있었고 슬라브어 사용자는 거의 없다고 묘사했다.[33]
15세기와 16세기의 오스만 데프테르(장부)에는 코소보로의 새로운 유입과 버려진 장소가 기록되었지만, 이 기간 동안 이 지역의 인구가 대규모로 감소하거나 외부에서 다른 인구가 대규모로 정착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없다.[23][28] 15세기 오스만 기록은 서부 코소보에 많은 토착 알바니아 인구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21]
19세기 세르비아-오스만 전쟁 동안, 현재의 세르비아 남부에서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추방되거나 도망쳐 코소보로 이주했다.[34] 이들은 ''무하지르''로 알려졌으며,[34] 일부는 ''무하지리/무하제리''라는 성을 사용했다.[35] 오스만 제국 말기, 민족 국가적 알바니아 정체성은 코소보 알바니아어 사용 인구 전체에 존재하지 않았다.[36] 대신 집단 정체성은 사회, 경제, 지역, 종교적 정체성에 기반을 두었으며, 무슬림 알바니아인과 기독교 알바니아인 사이의 관계는 긴장되기도 했다.[36]
1878년, 코소보 출신 알바니아인들은 베를린 회의에 대한 반발로 프리즈렌 동맹을 결성,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관할권에 반대했다.[36] 세르비아는 서방 열강에 영토 점유가 지연되고 있다고 불만을 제기했고, 오스만 제국은 압력을 받아 알바니아인과 전투를 시작했다. 프리즈렌 동맹은 임시 정부를 만들었지만, 3년 간의 전쟁 끝에 패배했다. 많은 지도자들이 처형 및 투옥되었다. 1910년 알바니아 봉기가 프리슈티나에서 시작되어 1911년 6월 오스만 술탄 방문까지 지속되었다. 당시 세르비아인은 코소보 빌라예트 인구의 약 25%를 차지,[37] 터키인 및 다른 슬라브인들과 함께 알바니아의 목표에 반대했다.
1912년 발칸 전쟁 당시 코소보 동부는 세르비아 왕국에, 서부는 몬테네그로 왕국에 점령되었다. 세르비아 군은 발칸 전쟁 중 알바니아인 학살 등 많은 전쟁 범죄를 저질렀고, 세르비아 식민 가족들이 코소보로 이주하면서 알바니아 인구는 감소했다. 코소보의 알바니아인 비율은 75%[37][38]에서 1941년에는 65%[38]로 감소했다.
1918~1929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시기는 코소보 알바니아인에 대한 박해의 시기였다. 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변모 후, 코소보 영토는 여러 지역으로 분할되었다. 왕국은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추축국의 침공까지 지속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추축국 침공 후, 코소보 대부분은 이탈리아 통제 파시스트 알바니아의 일부가 되었다. 알바니아 파시스트 정치 지도부는 코소보가 알바니아의 일부로 남을 것이라고 결정,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정착민들을 추방하기 시작했다.[40] 1943년 파시스트 이탈리아 항복 전, 독일군이 이 지역을 통제했다. 코소보는 1944년 이후 해방되었고,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 내 세르비아의 주가 되었다.
1946년, 요시프 브로즈 티토 지도 아래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의 일원으로서 코소보 및 메토히야 자치 지역이 형성되었다. 196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변경 후, 코소보 자치 지역은 자치주로 격상, 1960년대에 내부 자치를 획득했다.
1974년 헌법에서 코소보 정부는 더 높은 권한을 받아 ''사실상''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지만, 세르비아 내 자치 지역으로 남았다. 세르보크로아트어와 알바니아어는 주 수준에서 공식 지정되었다. 1974년에는 "메토히야"라는 단어가 명칭에서 삭제되었다.
1970년대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은 코소보를 연방 내 공화국으로 인정받으려 했고, 극단적인 세력은 독립을 목표로 했다. 티토 정부는 임시적인 해결책만 제시했다.
1981년 코소보 알바니아 학생들은 코소보가 유고슬라비아 내 공화국이 될 것을 요구하는 시위를 조직, 가혹하게 진압되었다. 1986년,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SANU)는 SANU 각서를 작성, 세르비아 민족주의 부활을 촉구했다.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사회주의자 연맹에서 권력을 잡았다.
1990년 코소보 자치는 폐지되었고, 1974년 이전 상태가 복원되었다. 밀로셰비치는 코소보의 연방 주석단 자리를 제거하지 않고 자신의 지지자들을 앉혀 연방 정부에서 권력을 얻었다. 많은 알바니아인들은 평화적인 저항 운동을 조직했고, 다른 알바니아인들은 비알바니아인 거주자들을 폭력적으로 숙청하기 시작했다.
1990년 7월 2일, 비헌법적인[41] 민족 알바니아 의회는 코소보를 독립 국가로 선언했지만, 인정을 받지 못했다. 9월, 카차니크에서 ''코소보 공화국 헌법''을 채택했다. 1년 후, 1991년 코소보 독립 국민투표를 조직, 알바니아만이 이를 인정했다.[42] 99.88%가 코소보 독립에 찬성했다.[43] 비알바니아 인구는 투표를 거부했다.[44]
1992~1993년, 알바니아 민족은 코소보 해방군 (KLA)을 창설했다.[45] 1995년, 데이턴 협정이 서명되어 보스니아 전쟁을 종식시켰다.[46][47] KLA는 세르비아 순찰대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1996년부터 KLA는 공격에 대한 책임을 졌다.[48] 1997년 알바니아 내전 이후, KLA는 알바니아 무기고에서 약탈한 무기를 확보했다.[49] KLA는 알바니아 디아스포라 조직으로부터 자금을 받았다.
KLA 캠페인은 1999년 1월 라차크 학살로 인해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51] 프랑스 라무예에서 국제 회담이 열렸고, 라무예 협정이 제안되었으나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거부했다.[52] 회담 실패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대한 나토의 공습으로 이어졌고,[53] 군사 기술 협정 체결로 종결되었다.
1980년대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이 강화되고 코소보 자치권이 폐지되면서 갈등이 심화되었다.[41] 1990년 7월 2일, 알바니아계 의회는 코소보를 독립 국가로 선언했지만, 알바니아 민족이 유고슬라비아 시민 등록을 거부했기 때문에 인정을 받지 못했다.[41] 1991년 코소보 독립 국민투표는 알바니아를 제외한 어떤 국가에게도 인정받지 못했다.[42]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알바니아 민족은 코소보 해방군(KLA)을 창설했다.[45]
코소보 해방군은 세르비아에 대항하여 무장 투쟁을 벌였으며,[48] 1996년부터 자신들이 저지른 공격에 대한 책임을 졌다.[48] 1997년 알바니아 내전 이후, KLA는 알바니아 무기고에서 약탈한 많은 양의 무기를 확보했다.[49] 라차크 학살은 1999년 코소보 전쟁 발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50][51] 코소보 전쟁 (1998-1999)은 프랑스 라무예에서 평화 협정인 라무예 협정이 제안되었으나 유고슬라비아 정부가 거부하여, 나토의 개입과 세르비아 군 철수로 종결되었다.[52][53]
코소보 전쟁을 종식시킨 UN 안보리 결의안 1244에 따라, 코소보의 최종 지위를 결정하기 위한 국제 협상이 2006년에 시작되었다.[54] UN 특별 특사 마르티 아티사리의 주도로 '감독 하의 독립'을 제안하는 UN 안보리 결의안 초안이 제출되었으나,[54] 러시아는 국가 주권의 원칙을 훼손한다는 이유로 반대했다.[55][56] 코소보는 2008년 독립을 선언했지만, 세르비아는 여전히 코소보를 자국 영토로 간주하고 있다. 2023년 11월 현재, 100개 이상의 UN 회원국이 코소보를 독립 국가로 인정했다.
2. 1. 고대와 중세
지명 증거는 알바니아어가 이동 시대 이전에 서부 및 동부 코소보와 니시 지역에서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12] 이 시대에 코소보의 알바니아어는 당시 동부 세르비아와 마케도니아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동부 로망스와 언어적 접촉을 이루었다.[13] 1246년에서 1255년 사이에, 스테판 우로시 1세는 드레니차 계곡에서 알바니아 지명을 보고했다.14세기에 세르비아 통치자들의 두 개의 크리소스불 또는 칙령에서 알바니아 마을과 블라흐인이 언급되었는데, 첫 번째는 화이트 드리니 강과 림 강 사이(1330)에 위치해 있었고, 두 번째(1348)는 프리스렌 인근에 총 9개의 알바니아 마을이 언급되었다.[15][16] 1348년부터 1353년 사이에 프리스렌에 있는 성 미하일과 가브릴 수도원에 주어진 세르비아 차르 스테판 두샨의 크리소스불에는 알바니아인이 메토히야의 두카진 평원, 프리즈렌 인근 및 드레니차 마을에 존재한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4] ''Arbanaška''와 ''Đjake''와 같은 지명은 후기 중세 시대부터 토플리카와 남부 모라바 지역(오늘날 코소보의 북동쪽에 위치)에 알바니아인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17][18]
1300년대의 세르비아 필사본에는 알바니아 마을 우지미르와 조나이가 언급되어 있다.[19] 조나이에는 코소보에서 가장 오래된 가톨릭 교회 중 하나가 서 있다.[20] 조나이 마을은 또한 피에테르 보그다니의 출생지로 여겨진다. 14세기와 15세기부터 언급된 다른 알바니아 마을로는 플라네제, 짐, 고로즈후브, 밀라이, 코유셰, 바투셰, 마즈레크, 복시 등이 있다.[21]
스테판 두샨 통치 기간 동안, 코소보의 알바니아 가톨릭 신자들은 강제로 정교회로 개종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추방되었으며, 가톨릭 교회는 정교회로 개조되었다.[24][25][26][27]
2. 2. 오스만 제국 시기
1455년부터 1912년까지 코소보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으며, 처음에는 루멜리아 에얄레트의 일부였고, 1864년부터는 분리된 주(빌라예트)였다.[33][31][32] 이 기간 동안 이슬람교가 코소보에 전파되었다.[33][31][32] 오늘날 수니파 이슬람은 코소보 알바니아인의 주요 종교이다.오스만 제국은 'Arnavudluk'(آرناوودلق), 즉 알바니아라는 용어를 남부 세르비아와 코소보와 같은 지역에 대해 사용했다.[33][31][32] 1660년 이 지역을 여행한 에블리야 첼레비는 오늘날 코소보의 서부와 중부 지역을 ''Arnavudluk''으로 언급했으며, 부슈트리 주민들이 알바니아어 또는 터키어를 알고 있었고 슬라브어 사용자는 거의 없다고 묘사했다.[33]
15세기와 16세기의 오스만 데프테르(장부)에는 코소보로의 새로운 유입과 버려진 장소가 기록되었지만, 이 기간 동안 이 지역의 인구가 대규모로 감소하거나 외부에서 다른 인구가 대규모로 정착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없다.[23][28] 15세기 오스만 기록은 서부 코소보에 많은 토착 알바니아 인구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21]
2. 3. 근현대
19세기 세르비아-오스만 전쟁 동안, 현재의 세르비아 남부에서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추방되거나 도망쳐 코소보로 이주했다.[34] 이들은 ''무하지르''로 알려졌으며,[34] 일부는 ''무하지리/무하제리''라는 성을 사용했다.[35] 오스만 제국 말기, 민족 국가적 알바니아 정체성은 코소보 알바니아어 사용 인구 전체에 존재하지 않았다.[36] 대신 집단 정체성은 사회, 경제, 지역, 종교적 정체성에 기반을 두었으며, 무슬림 알바니아인과 기독교 알바니아인 사이의 관계는 긴장되기도 했다.[36]1878년, 코소보 출신 알바니아인들은 베를린 회의에 대한 반발로 프리즈렌 동맹을 결성,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관할권에 반대했다.[36] 세르비아는 서방 열강에 영토 점유가 지연되고 있다고 불만을 제기했고, 오스만 제국은 압력을 받아 알바니아인과 전투를 시작했다. 프리즈렌 동맹은 임시 정부를 만들었지만, 3년 간의 전쟁 끝에 패배했다. 많은 지도자들이 처형 및 투옥되었다. 1910년 알바니아 봉기가 프리슈티나에서 시작되어 1911년 6월 오스만 술탄 방문까지 지속되었다. 당시 세르비아인은 코소보 빌라예트 인구의 약 25%를 차지,[37] 터키인 및 다른 슬라브인들과 함께 알바니아의 목표에 반대했다.
1912년 발칸 전쟁 당시 코소보 동부는 세르비아 왕국에, 서부는 몬테네그로 왕국에 점령되었다. 세르비아 군은 발칸 전쟁 중 알바니아인 학살 등 많은 전쟁 범죄를 저질렀고, 세르비아 식민 가족들이 코소보로 이주하면서 알바니아 인구는 감소했다. 코소보의 알바니아인 비율은 75%[37][38]에서 1941년에는 65%[38]로 감소했다.
1918~1929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시기는 코소보 알바니아인에 대한 박해의 시기였다. 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변모 후, 코소보 영토는 여러 지역으로 분할되었다. 왕국은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추축국의 침공까지 지속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추축국 침공 후, 코소보 대부분은 이탈리아 통제 파시스트 알바니아의 일부가 되었다. 알바니아 파시스트 정치 지도부는 코소보가 알바니아의 일부로 남을 것이라고 결정,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정착민들을 추방하기 시작했다.[40] 1943년 파시스트 이탈리아 항복 전, 독일군이 이 지역을 통제했다. 코소보는 1944년 이후 해방되었고,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 내 세르비아의 주가 되었다.
1946년, 요시프 브로즈 티토 지도 아래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의 일원으로서 코소보 및 메토히야 자치 지역이 형성되었다. 196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변경 후, 코소보 자치 지역은 자치주로 격상, 1960년대에 내부 자치를 획득했다.
1974년 헌법에서 코소보 정부는 더 높은 권한을 받아 ''사실상''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지만, 세르비아 내 자치 지역으로 남았다. 세르보크로아트어와 알바니아어는 주 수준에서 공식 지정되었다. 1974년에는 "메토히야"라는 단어가 명칭에서 삭제되었다.
1970년대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은 코소보를 연방 내 공화국으로 인정받으려 했고, 극단적인 세력은 독립을 목표로 했다. 티토 정부는 임시적인 해결책만 제시했다.
1981년 코소보 알바니아 학생들은 코소보가 유고슬라비아 내 공화국이 될 것을 요구하는 시위를 조직, 가혹하게 진압되었다. 1986년,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SANU)는 SANU 각서를 작성, 세르비아 민족주의 부활을 촉구했다.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사회주의자 연맹에서 권력을 잡았다.
1990년 코소보 자치는 폐지되었고, 1974년 이전 상태가 복원되었다. 밀로셰비치는 코소보의 연방 주석단 자리를 제거하지 않고 자신의 지지자들을 앉혀 연방 정부에서 권력을 얻었다. 많은 알바니아인들은 평화적인 저항 운동을 조직했고, 다른 알바니아인들은 비알바니아인 거주자들을 폭력적으로 숙청하기 시작했다.
1990년 7월 2일, 비헌법적인[41] 민족 알바니아 의회는 코소보를 독립 국가로 선언했지만, 인정을 받지 못했다. 9월, 카차니크에서 ''코소보 공화국 헌법''을 채택했다. 1년 후, 1991년 코소보 독립 국민투표를 조직, 알바니아만이 이를 인정했다.[42] 99.88%가 코소보 독립에 찬성했다.[43] 비알바니아 인구는 투표를 거부했다.[44]
1992~1993년, 알바니아 민족은 코소보 해방군 (KLA)을 창설했다.[45] 1995년, 데이턴 협정이 서명되어 보스니아 전쟁을 종식시켰다.[46][47] KLA는 세르비아 순찰대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1996년부터 KLA는 공격에 대한 책임을 졌다.[48] 1997년 알바니아 내전 이후, KLA는 알바니아 무기고에서 약탈한 무기를 확보했다.[49] KLA는 알바니아 디아스포라 조직으로부터 자금을 받았다.
KLA 캠페인은 1999년 1월 라차크 학살로 인해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51] 프랑스 라무예에서 국제 회담이 열렸고, 라무예 협정이 제안되었으나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거부했다.[52] 회담 실패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대한 나토의 공습으로 이어졌고,[53] 군사 기술 협정 체결로 종결되었다.
2. 4. 코소보 전쟁과 독립
1980년대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이 강화되고 코소보 자치권이 폐지되면서 갈등이 심화되었다.[41] 1990년 7월 2일, 알바니아계 의회는 코소보를 독립 국가로 선언했지만, 알바니아 민족이 유고슬라비아 시민 등록을 거부했기 때문에 인정을 받지 못했다.[41] 1991년 코소보 독립 국민투표는 알바니아를 제외한 어떤 국가에게도 인정받지 못했다.[42]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알바니아 민족은 코소보 해방군(KLA)을 창설했다.[45]코소보 해방군은 세르비아에 대항하여 무장 투쟁을 벌였으며,[48] 1996년부터 자신들이 저지른 공격에 대한 책임을 졌다.[48] 1997년 알바니아 내전 이후, KLA는 알바니아 무기고에서 약탈한 많은 양의 무기를 확보했다.[49] 라차크 학살은 1999년 코소보 전쟁 발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50][51] 코소보 전쟁 (1998-1999)은 프랑스 라무예에서 평화 협정인 라무예 협정이 제안되었으나 유고슬라비아 정부가 거부하여, 나토의 개입과 세르비아 군 철수로 종결되었다.[52][53]
코소보 전쟁을 종식시킨 UN 안보리 결의안 1244에 따라, 코소보의 최종 지위를 결정하기 위한 국제 협상이 2006년에 시작되었다.[54] UN 특별 특사 마르티 아티사리의 주도로 '감독 하의 독립'을 제안하는 UN 안보리 결의안 초안이 제출되었으나,[54] 러시아는 국가 주권의 원칙을 훼손한다는 이유로 반대했다.[55][56] 코소보는 2008년 독립을 선언했지만, 세르비아는 여전히 코소보를 자국 영토로 간주하고 있다. 2023년 11월 현재, 100개 이상의 UN 회원국이 코소보를 독립 국가로 인정했다.
3. 인구
코소보의 인구는 대부분 알바니아인으로 구성되어 있다.[61][62][63]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알바니아인의 비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했다.[64]
연도 | 알바니아인 | 세르비아인 | 기타 | 출처 및 비고 |
---|---|---|---|---|
1921 | 61% | 33% | 6% | |
1931 | 58% | 29% | 13% | |
1948 | 65% | 26% | 9% | ICTY[61] |
1953 | 65% | 24% | 10% | |
1961 | 67% | 23% | 9% | |
1971 | 73% | 19% | 7% | |
1981 | 76% | 16% | 8% | |
1991 | 80% | 13% | 7% | 1991년 인구 조사[62] |
2000 | 87% | 9% | 4% | 세계 은행, OSCE[63] |
2007 | 92% | 5% | 3% | OSCE[63] |
2011 | 92.9% | 1.5% | 5.4% | 2011년 인구 조사[64] |
중앙 유럽에는 상당한 규모의 코소보 알바니아 디아스포라가 존재한다.
4. 문화
문화적으로 코소보의 알바니아인들은 알바니아의 알바니아인들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4. 1. 종교
대다수의 코소보 알바니아인은 수니파 이슬람교 신자이다.[65][66] 자코바, 프리슈티나, 클리나, 그리고 페치와 비티 인근의 몇몇 마을을 중심으로 가톨릭 알바니아 공동체도 존재한다. 코소보 알바니아 무슬림 사이에서 기독교로 개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67][68]4. 2. 예술
코소바필름은 코소보 알바니아 영화 제작자들이 제작한 알바니아어로 영화를 개봉하는 영화 산업이었다. 코소보 국립 극장은 알바니아와 국제 예술가들이 정기적으로 공연을 하는 주요 극장이다.4. 3. 음악
음악은 항상 알바니아 문화의 일부였다. 코소보의 음악은 다양하지만 (코소보를 지배했던 다양한 정권의 문화와 혼합되었기 때문에) 진정한 알바니아 음악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는 치프텔리아(알바니아 전통 악기), 만돌린, 만돌라 및 타악기의 사용으로 특징지어진다. 민속 음악은 코소보에서 매우 인기가 많으며, 많은 민속 가수와 앙상블이 있다.코소보의 현대 음악은 서방 국가에서 유래되었다. 주요 현대 장르로는 팝, 힙합/랩, 록, 재즈가 있다. RTK, RTV21 및 KTV와 같은 코소보 라디오 텔레비전은 자체 음악 차트를 가지고 있다.
5. 교육
교육은 초등, 중등 및 대학 학위 등 모든 수준에서 제공된다. 프리슈티나 대학교는 코소보의 공립 대학교로, 여러 단과 대학과 전공을 보유하고 있다. 국립 도서관(BK)은 코소보에서 가장 크고 주요한 도서관으로, 프리슈티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코소보 아메리칸 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사립 대학교와 메흐메트 아키프 칼리지와 같은 많은 중등학교 및 칼리지가 있다.
6. 주요 인물
코소보 알바니아인 출신의 저명한 인물 목록은 코소보 알바니아인 목록 문서에서 다룬다.
참조
[1]
간행물
2020-09-27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osovo
[3]
웹사이트
Emigration in Kosovo (International Emigation) – Page 32-38
https://web.archive.[...]
Kosovo Agency of Statistics, KAS
[4]
웹사이트
Die kosovarische Bevölkerung in der Schweiz
https://web.archive.[...]
2015-01-25
[5]
뉴스
Donner une autre image de la diaspora kosovare
https://web.archive.[...]
2015-01-25
[6]
웹사이트
Kosovari in Italia – statistiche e distribuzione per regione
https://www.tuttital[...]
[7]
웹사이트
Relations bilatérales France-Kosovo
https://www.diplomat[...]
[8]
웹사이트
8,5 duizend Kosovaren in Nederland
https://www.cbs.nl/n[...]
2008-03-03
[9]
웹사이트
Ethnic Origin (279), Single and Multiple Ethnic Origin Responses (3), Generation Status (4), Age (12) and Sex (3) for the Population in Private Household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17-10-25
[10]
서적
World music: the rough guide. Africa, Europe and the Middle East
https://archive.org/[...]
Rough Guides
2013-07-13
[11]
웹사이트
Minority Communities in the 2011 Kosovo Census Results: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https://web.archive.[...]
European Centre for Minority Issues Kosovo
2014-09-03
[12]
문서
[13]
서적
The Disintegration of Yugoslavia
https://books.google[...]
Rodopi
[14]
서적
La question nationale en Europe du Sud-Est : genèse, émergence et développement de l'indentité nationale albanaise au Kosovo et en Macédoine
P. Lang
2008-01-25
[15]
서적
Kosovo: A short history
Macmillan
[16]
논문
Jugoslav Kosmet: The evolution of a frontier province and its landscape
[17]
서적
Jeta dhe veprimtaria e sqiptarëve të Sanxhakut të Nishit deri më 1912 [Life and activity of Albanians in the Sanjak of Nish up to 1912]
Verana
[18]
논문
Formation of a Diasporic Community: The History of Migration and Resettlement of Muslim Albanians in the Black Sea Region of Turkey
[19]
서적
Popullsia shqiptare e Kosovës gjatë shek: studime dhe dokumente. XV-XVI (in Albanian)
8 Nëntori
[20]
웹사이트
Muslim Kosovars rediscover their long-forgotten Roman Catholic roots
https://religionnews[...]
2015-05-06
[21]
서적
Popullsia shqiptare e Kosovës gjatë shek: studime dhe dokumente. XV-XVI (in Albanian)
8 Nëntori
[22]
문서
Vilajet of Pashtrik 1452–53
https://docplayer.ne[...]
[23]
서적
Popullsia shqiptare e Kosovës gjatë shek: studime dhe dokumente. XV-XVI (in Albanian)
8 Nëntori
[24]
서적
The Kosova issue--a historic and current problem: symposium held in Tirana on April 15-16, 1993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history
[25]
서적
Monasticism in Eastern Europe and the Former Soviet Republ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6]
서적
Essays on Politics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Lulu.com
[27]
서적
Albanian Stalinism: Ideo-Political Aspects
https://books.google[...]
Eastern European Monographs
[28]
서적
Kosovo: A Short History
[29]
서적
Rebels, Believers, Survivors
[30]
서적
Popullsia Shqiptare e Kosoves Gjate Shekujve
[31]
논문
The Ottoman Empire in Recent International Politics-II: The Case of Kosovo
https://eprints.bbk.[...]
[32]
서적
The Ottoman Empire, the Balkans, the Greek lands: toward a social and economic history: studies in honor of John C. Alexander
https://books.google[...]
Isis Press
[33]
논문
The Ottoman Empire in Recent International Politics – II: The Case of Kosovo
[34]
논문
The Emigration of Muslims from the New Serbian Regions 1877/1878
http://balkanologie.[...]
Balkanologie
[35]
서적
E drejta mbi vatrat dhe pasuritë reale dhe autoktone nuk vjetërohet: të dhëna në formë rezimeje [The rights of homes and assets, real and autochthonous that does not disappear with time: Data given in the form of estate portions regarding inheritance]
Shoqata e Muhaxhirëvë të Kosovës
[36]
간행물
Catholic Albanian warriors for the Sultan in late Ottoman Kosovo: The Fandi as a socio-professional group and their identity patterns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11
[37]
뉴스
Is Kosovo Serbia? We ask a historia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04-23
[38]
웹사이트
Who Deserves Kosovo? An Argument from Social Contract Theory
http://www.seep.ceu.[...]
2008-07-07
[39]
웹사이트
Prishtine – mon amour
http://bturn.com/eve[...]
bturn.com
2012-09-07
[40]
서적
The Emerging Strategic Environment: Challeng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9-08-21
[41]
서적
Kosovo: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98
[42]
뉴스
Statement of Prime Minister of Albania Mr. Sali Berisha on Recognition of Independence of Kosova
http://www.keshillim[...]
Republic of Albania Council of Ministers
2008-02-18
[43]
웹사이트
Kosovo (Jugoslawien), 30 September 1991 : Unabhängigkeit
https://www.sudd.ch/[...]
2019-04-15
[44]
웹사이트
Kosovo (Yugoslavia), 30 September 1991: Independence
http://www.sudd.ch/e[...]
[45]
서적
Mediation and Liberal Peacebuilding: Peace from the Ashes of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2-15
[46]
웹사이트
Dayton Peace Accords on Bosnia
https://1997-2001.st[...]
US Department of State
2006-03-19
[47]
웹사이트
A flawed recipe for how to end a war and build a state: 20 years since the Dayton Agreement
https://blogs.lse.ac[...]
2022-08-24
[48]
서적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Secession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3-04-28
[49]
서적
The Fragmentation of Yugoslavia: Nationalism and War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1-08
[50]
문서
Judah 2000
[51]
웹사이트
Massacre that started long haul to justice
https://www.telegrap[...]
Telegraph.co.uk
2023-01-17
[52]
간행물
NATO's Intervention in the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https://www.cambridg[...]
2023-01-17
[53]
웹사이트
NATO & Kosovo: Index Page
https://www.nato.int[...]
2016-10-26
[54]
뉴스
UN frustrated by Kosovo deadlock
http://news.bbc.co.u[...]
BBC News
2006-10-09
[55]
뉴스
Russia reportedly rejects fourth draft resolution on Kosovo status (SETimes.com)
http://www.setimes.c[...]
[56]
뉴스
UN Security Council remains divided on Kosovo (SETimes.com)
http://www.setimes.c[...]
[57]
뉴스
Kosovo's Heart Bleeds for Albania's Suffering
https://balkaninsigh[...]
2019-11-29
[58]
뉴스
Shqiptarët solidarizohen me tërmetin, ja sa është shuma e grumbulluar deri më tani
https://insajderi.co[...]
2019-11-30
[59]
뉴스
Albania Search, Rescue Operation For Earthquake Survivors Ends
https://www.voanews.[...]
2019-11-30
[60]
뉴스
Albania Seeks International Support for Earthquake Recovery
https://www.voanews.[...]
2019-12-01
[61]
웹사이트
Report on the size and ethnic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of Kosovo
http://www.icty.org/[...]
ICTY
2002-08-14
[62]
서적
Political Parties of Eastern Europe: A Guide to Politics in the Post-Communist Era
https://books.google[...]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63]
문서
Statistics Office of Kosovo, World Bank (2000), OSCE (2007)
[64]
뉴스
ECMI: Minority figures in Kosovo census to be used with reservations
http://www.infoecmi.[...]
ECMI
2019-04-15
[65]
서적
Faith- Based Diplomacy Trumping Realpolitik
Oxford University Press
[66]
서적
Nordic, Central, and Southeastern Europe 2020–2022
Rowman & Littlefield
[67]
웹사이트
Out of hiding, some Kosovars embrace Christianity
https://www.reuters.[...]
Reuters
2008-09-29
[68]
뉴스
Muslim Kosovars rediscover their long-forgotten Roman Catholic roots
https://www.washingt[...]
2015-05-06
[69]
서적
World music: the rough guide. Africa, Europe and the Middle East
https://archive.org/[...]
Rough Guides
2013-07-13
[70]
웹인용
Minority Communities in the 2011 Kosovo Census Results: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http://www.ecmikosov[...]
European Centre for Minority Issues Kosovo
2014-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