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메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메달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학회가 수여하는 상으로, 아인슈타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1979년부터 매년 과학 분야에 뛰어난 공헌을 한 인물에게 수여되며, 스티븐 호킹, 에드워드 위튼, 킵 손, LIGO 과학 공동연구소 등이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리학상 - 노벨상
노벨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인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으로, 물리학, 화학, 생리 의학, 문학, 평화, 경제학 6개 분야에서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기관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 물리학상 - 마테우치 메달
마테우치 메달은 이탈리아 과학 아카데미에서 물리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려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헤르만 폰 헬름홀츠, 마리 퀴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등 저명한 과학자들이 수상했으며 유럽과 미국, 영국 등 다양한 국적의 과학자들이 수상했지만 현재까지 한국인 수상자는 없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메달 수상자 -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은 루게릭병을 앓으면서도 특이점 정리, 호킹 복사 등의 획기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시간의 역사》와 같은 대중 과학 서적을 통해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이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메달 수상자 - 로저 펜로즈
로저 펜로즈는 수학, 물리학 분야에서 일반 상대성이론, 우주론, 양자 중력 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펜로즈 타일링을 발견했으며, 등각순환우주론을 제안하고 의식의 양자적 해석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한 학자이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광전 효과
광전 효과는 빛이 물질에 닿을 때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으로, 빛 에너지가 광자라는 덩어리로 양자화되어 있고, 아인슈타인의 광양자 가설로 설명되며, 다양한 기술에 응용되지만 문제도 야기한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극저온에서 보존 입자들이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로 응축되어 새로운 물질 상을 형성하는 현상으로, 1995년 실험적으로 관측되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초유체 현상과 같은 특이한 양자 현상을 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을 가진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메달 |
---|
2. 수상자 목록
아인슈타인 학회에서 수여하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메달의 수상자 목록은 다음과 같다.[4]
연도 | 수상자 |
---|---|
1979 | 스티븐 호킹 |
1982 | 프리드리히 트라우고트 바렌 |
1983 | 헤르만 본디 |
1984 | 빅토어 바이스코프 |
1985 | 에드워드 위튼 |
1986 | 루돌프 뫼스바우어 |
1987 | 잔느 허쉬 |
1988 | 존 아치볼드 휠러 |
1989 | 마르쿠스 피어스 |
1990 | 로저 펜로즈 |
1991 | 조지프 후턴 테일러 주니어 |
1992 | 피터 버그만 |
1993 | 막스 플뤼키거 |
아돌프 메이힐 | |
1994 | 어윈 샤피로 |
1995 | 양전닝 |
1996 | 티보 다무르 |
1998 | 클로드 니콜리에 |
1999 | 프리드리히 히르체부르흐 |
2000 | 구스타프 탐만 |
2001 | 요하네스 가이스 |
위베르 레브 | |
2003 | 조지 스무트 |
2004 | 미셸 마요르 |
2005 | 머리 겔만 |
2006 | 가브리엘레 베네치아노 |
2007 | 라인하르트 겐첼 |
2008 | 베노 에크만 |
2009 | 킵 손 |
2010 | 헤르만 니콜라이 |
2011 | 애덤 리스 |
솔 펄머터 | |
2012 | 알랭 아스페 |
2013 | 로이 커 |
2014 | 톰 키블 |
2015 | 스탠리 데저 |
찰스 W. 미스너 | |
2016 | 알렉세이 스미르노프 |
2017 | LIGO 과학 공동연구소 |
2018 | 후안 말다세나 |
2019 | 클리포드 마틴 윌 |
2020 | 사상수평선망원경 |
2023 | 뤽 블랑셰 |
2024 | 조지 에프스타시우 |
2. 1. 연도별 수상자
연도 | 수상자 |
---|---|
1979 | 스티븐 호킹 |
1982 | 프리드리히 트라우고트 바렌 |
1983 | 헤르만 본디 |
1984 | 빅토어 바이스코프 |
1985 | 에드워드 위튼 |
1986 | 루돌프 뫼스바우어 |
1987 | 잔느 허쉬 |
1988 | 존 아치볼드 휠러 |
1989 | 마르쿠스 피어스 |
1990 | 로저 펜로즈 |
1991 | 조지프 후턴 테일러 주니어 |
1992 | 피터 버그만 |
1993 | 막스 플뤼키거 |
아돌프 메이힐 | |
1994 | 어윈 샤피로 |
1995 | 양전닝 |
1996 | 티보 다무르 |
1998 | 클로드 니콜리에 |
1999 | 프리드리히 히르체부르흐 |
2000 | 구스타프 탐만 |
2001 | 요하네스 가이스, 위베르 레브 |
2003 | 조지 스무트 |
2004 | 미셸 마요르 |
2005 | 머리 겔만 |
2006 | 가브리엘레 베네치아노 |
2007 | 라인하르트 겐첼 |
2008 | 베노 에크만 |
2009 | 킵 손 |
2010 | 헤르만 니콜라이 |
2011 | 애덤 리스, 솔 펄머터 |
2012 | 알랭 아스페 |
2013 | 로이 커 |
2014 | 톰 키블 |
2015 | 스탠리 데저 |
찰스 W. 미스너 | |
2016 | 알렉세이 스미르노프 |
2017 | LIGO 과학 공동연구소 |
2018 | 후안 말다세나 |
2019 | 클리포드 마틴 윌 |
2020 | 사상수평선망원경 |
2023 | 뤽 블랑셰 |
2024 | 조지 에프스타시우 |
2. 1. 1. 1979년 ~ 1990년
연도 | 수상자 |
---|---|
1979 | 스티븐 호킹 |
1982 | 프리드리히 트라우고트 바렌 |
1983 | 헤르만 본디 |
1984 | 빅토어 바이스코프 |
1985 | 에드워드 위튼 |
1986 | 루돌프 뫼스바우어 |
1987 | 잔느 허쉬 |
1988 | 존 아치볼드 휠러 |
1989 | 마르쿠스 피어스 |
1990 | 로저 펜로즈 |
2. 1. 2. 1991년 ~ 2000년
년도 | 수상자 | 비고 |
---|---|---|
1991 | 조지프 후턴 테일러 주니어 | 미국의 천체물리학자, 펄사 연구를 통해 중력파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증명 |
1992 | 피터 버그만 | 독일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 일반 상대성 이론 연구에 기여 |
1993 | 막스 플뤼키거 | 스위스의 물리학자 |
아돌프 메이힐 | 스위스의 의사 | |
1994 | 어윈 샤피로 | 미국의 천체물리학자, 샤피로 지연 효과 예측 |
1995 | 양전닝 | 중국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 약력과 패리티 보존 법칙 연구 |
1996 | 티보 다무르 | 프랑스의 이론물리학자, 중력파 연구에 기여 |
1998 | 클로드 니콜리에 | 스위스 최초의 우주비행사 |
1999 | 프리드리히 히르체부르흐 | 독일의 수학자, 위상수학 및 대수기하학 연구에 기여 |
2000 | 구스타프 탐만 | 스위스의 천문학자, 우주 거리 척도 연구에 기여 |
2. 1. 3. 2001년 ~ 2010년
연도 | 수상자 |
---|---|
2001 | 요하네스 가이스, 위베르 레브 |
2003 | 조지 스무트 |
2004 | 미셸 마요르 |
2005 | 머리 겔만 |
2006 | 가브리엘레 베네치아노 |
2007 | 라인하르트 겐첼 |
2008 | 베노 에크만 |
2009 | 킵 손 |
2010 | 헤르만 니콜라이 |
2. 1. 4. 2011년 ~ 현재
솔 펄머터우주의 가속 팽창 발견
양자 얽힘 실험
커 계량 발견
우주 끈 및 위상 결함 연구
일반 상대성 이론 연구
일반 상대성 이론 연구
중성미자 진동 연구
AdS/CFT 대응성 제안
일반 상대성 이론의 실험적 검증에 기여
중력파 연구[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