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타이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타이르는 독수리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알파 아퀼라에로 불린다. 아랍어로 '나는 독수리'를 의미하는 '알타이르'라는 이름은 중세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공식 명칭으로 인정되었다. 알타이르는 지구에서 약 16.8광년 거리에 있으며, 태양보다 질량이 1.7배, 밝기가 11배 정도인 A형 주계열성이다. 자전 속도가 매우 빨라 적도 부분이 극보다 부풀어 오른 회전타원체 형태를 띠며, 1999년에는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으로 분류되었다. 동아시아에서는 견우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칠석 전설과 관련이 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석 - 직녀
    옥황상제의 딸 직녀는 견우와 사랑에 빠져 결혼했지만 옥황상제의 명령으로 헤어져 별이 되었고, 칠석날 까치들이 놓은 다리에서 일 년에 한 번 견우와 만나는 동아시아 설화의 주인공으로, 사랑하는 부부를 상징한다.
  • 칠석 - 다나바타
    다나바타는 중국 칠석에서 비롯된 일본 축제로, 견우와 직녀 설화를 바탕으로 소원을 적은 단자쿠를 대나무에 매다는 풍습이 있으며 현대에는 센다이 칠석 축제를 비롯한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팔분의자리 시그마
    팔분의자리 시그마는 남반구에서 남쪽을 찾는 데 사용되는 '남극성'으로 알려진 별이며, 델타 방패자리 변광성으로 분류되어 밝기가 변하고 브라질 국기에도 등장한다.
알타이르
기본 정보
NASA에 의한 알타이르 사진
NASA에 의한 알타이르 사진
별자리독수리자리
영어 이름Altair
다른 이름알파 아퀼라에, 독수리자리 알파별, 53 아퀼라에
관측 정보
시대J2000.0
겉보기 등급0.76
시선 속도-26.1 km/s
고유 운동 (적경)+536.23 밀리초/년
고유 운동 (적위)+385.29 밀리초/년
연주 시차194.95 밀리초각
절대 등급2.22
특징
분광형A7Vn
U-B 색 지수+0.09
B-V 색 지수+0.22
V-R 색 지수+0.14
R-I 색 지수+0.13
변광성 유형델타 스쿠티
물리적 특징
질량1.86 태양 질량
반지름1.57 ~ 2.01 태양 반지름
표면 중력4.29
자전 주기7.77 시간
광도10.6 태양 광도
표면 온도6,860 ~ 8,621 K
금속 함량-0.2
자전 속도242 km/s
나이1억 년
명칭
Bayer 명명법알파 아퀼라에
Flamsteed 명명법53 아퀼라에
다른 명칭Atair
알파 아퀼라에, 알파 Aql
53 아퀼라에, 53 Aql
BD=+08°4236
FK5=745
GCTP=4665.00
GJ=768
HD=187642
HIP=97649
HR=7557
LFT=1499
LHS=3490
LTT=15795
NLTT=48314
SAO=125122
WDS=19508+0852A
牽牛 (견우), 彦星 (언성)
추가 정보
근처 은하 이웃국부 은하군
국부 성간 구름G-클라우드
카탈로그 약칭
SIMBADalf+aql

2. 명칭 및 문화적 특기사항

알타이르라는 이름은 아랍어로 '나는 독수리'를 의미하는 النسر الطائر|안-나스르 아트-타이르ar에서 유래했으며, 중세 시대부터 사용되었다.[62] 아랍인들은 이 명칭을 베타별, 감마별에도 사용했는데, 이는 고대 바빌로니아수메르에서 알타이르를 '독수리 별'로 불렀던 것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62]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알타이르를 독수리자리 α별의 고유 명칭으로 공식 승인했다.

알타이르는 독수리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동양에서는 견우직녀 설화에 나오는 견우성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견우성은 다비흐라는 주장도 있다.[59] 서양 점성학에서는 알타이르가 도마뱀과 관련된 불길한 징조를 상징한다고 여겨졌다.[63]

그 외에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미크로네시아인, 마오리족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알타이르는 각기 다른 이름과 의미를 가진다.

2. 1. 동양권

중국, 일본, 한국 등 동양권에서는 알타이르를 견우성으로 부르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다.[59] 실제 견우성은 우수에 속해 있으나 하고(河鼓)가 아니라 우(牛)에 속해 있으며, 다비흐가 원래의 견우성이라는 주장도 있다.[59]

견우는 동아시아의 견우직녀 전설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현대에는 전설 속 견우를 알타이르에, 두 아들을 독수리자리 베타와 감마에 비유하고 있으며, 이들과 떨어져 있는 아내이자 두 아들의 어머니 직녀 사이를 은하수가 가르고 있다고 해석한다. 전설 속에서 이들은 일 년에 단 한 번 칠월칠석 때 까치들이 만들어 주는 다리 위에서 잠깐 동안만 만날 수 있다.[60]

2. 1. 1. 한국

중국에서는 현재의 독수리자리 알파, 베타, 감마별을 별자리 우수에 속한 하위 별자리인 하고(河鼓, 강의 북)라고 불렀다.[63] 알타이르는 여기서 하고의 두 번째 별이라는 뜻으로 '하고이'(河鼓二)라고 불렸다.[58] 조선 초기 천문학 서적 《천문류초》에는 이 별이 '하고대성'(河鼓大星)으로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 중국, 일본, 한국 등 동양권 국가에서는 이 별을 '견우성'(牽牛星)으로 부르는데, 이는 실제 견우성이 우수에 속해 있기는 하나 하고(河鼓)가 아니라 우(牛)에 속해 있고, 다비흐가 원래의 견우성이라는 주장도 있기 때문에 잘못된 것이다.[59]

'견우'는 동아시아의 견우직녀 전설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중국에서는 우랑직녀(牛郎織女) 전설, 한국에서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전설로 전설 이름과 내용에 약간 차이가 있다. 현대에는 전설 속 견우를 알타이르에, 두 아들을 독수리자리 베타와 감마에 비유하고 있으며, 이들과 떨어져 있는 아내이자 두 아들의 어머니 직녀(織女) 사이를 은하수가 가르고 있다고 해석한다. 전설 속에서 둘은 일 년에 단 한 번 칠월칠석 때 까치들이 만들어 주는 다리 위에서 잠깐 동안만 만날 수 있다.[60] 한국의 칠월칠석, 일본의 타나바타(七夕) 축제가 여기에 영향을 받았다. 일본에서는 견우를 '히코보시'(彦星, ひこぼし일본어)라고 부른다.[61]

2. 1. 2. 중국

중국에서는 지금의 독수리자리 알파, 베타, 감마별을 별자리 우수에 딸린 하위 별자리인 하고(河鼓, 강의 북)로 불렀다.[63] 여기서 알타이르는 하고의 두 번째 별이라는 의미로 '''하고이'''(河鼓二)로 불렸다.[58] 오늘날 중국을 포함한 동양권 국가에는 이 별이 '''견우성'''(牽牛星)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실제 견우성은 우수에 자리 잡고 있기는 하나 하고(河鼓)가 아니라 우(牛)에 속해 있으며, 따라서 다비흐가 원래의 견우성이라는 주장도 있다.[59]

'''견우'''는 동아시아의 견우직녀 전설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중국의 경우 우랑직녀(牛郎織女) 전설로 불린다. 전설 이름과 내용은 약간 차이가 있다. 현대에는 전설상 견우를 알타이르에, 두 아들은 독수리자리 베타와 감마에 대입하고 있으며, 이들과 떨어져 있는 아내이자 두 아들의 어머니 직녀(織女) 사이를 은하수가 가르고 있다고 해석한다.

2. 1. 3. 일본

일본에서 알타이르는 히코보시(彦星, 히코보시|일본어)로 불린다.[61] 이는 견우직녀 전설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한국의 칠월칠석, 일본의 타나바타(七夕) 축제가 여기에 영향을 받았다. 전설 속에서 견우와 직녀는 일 년에 단 한 번 칠월 칠석 때 까치들이 만들어 주는 다리 위에서 잠깐 동안만 만날 수 있다.[60]

화명유취초에는 「히코보시(比古保之)」라는 이름과 함께 「이누카이보시(以奴加比保之)」라는 이름이 전해지고 있다. 이는 독수리자리 베타별, 독수리자리 감마별을 양 옆에 거느린 알타이르의 모습을 개를 데리고 있는 모습에 비유한 것으로 생각된다. 후쿠오카시에서는 「인카이보시」, 마쿠라자키시에서는 「인코돈」, 우토시에서는 「이누히키돈」, 「이누히키호시산」 등 규슈 지방 각지에서 비슷한 이름이 남아 있었다.

2. 2. 서양권

알타이르라는 이름은 중세부터 사용되어 왔다. 원래 이름은 아랍어로 '나는 독수리'라는 의미인 النسر الطائر|안-나스르 아트-타이르ar에서 유래한 것이다. 아랍인들은 이 이름을 베타별, 감마별을 부르는 명칭으로 함께 사용했다. 뜻의 유래는 고대 바빌로니아수메르 사람들이 알타이르를 '독수리 별'로 부른 것에서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62] 중세 아랍인들은 긴 이름 외에 약어 알타이르 표기를 함께 사용해 왔다.[63]

알타이르는 독수리자리 베타와 독수리자리 감마와 함께, '독수리자리의 손잡이'로 종종 불려왔다.[64]

점성학에서 알타이르는 '도마뱀이 가져다주는 위험함'을 암시하는, 불길한 징조의 상징이었다.[63]

''알파 아퀼라에''(α Aquilae)는 별의 바이어 명명법이다. 전통적인 이름인 ''알타이르''(Altair)는 중세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이것은 아랍어 구절 النسر الطائر|Al-Nisr Al-Ṭa'irar(나는 독수리영어)의 약자이다.[11]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별의 고유한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다.[12] WGSN의 2016년 7월 첫 번째 공고[13]에는 WGSN이 승인한 이름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배치 목록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이 별에 대한 ''알타이르''(Altair)가 포함되었다. 현재 이 이름은 IAU 별 이름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4]

알타이르(Altair)라는 고유명은 아랍어로 "날아가는 독수리"를 의미하는 النسر الطائر|an-nasr aṭ-ṭā’irar (안 나스르 앗 타일)이 축약된 것이다.[52] 실제로 아랍어에서도 알타이르를 النسر الطائر라고 부른다. 2016년 6월 30일에 국제천문연맹의 항성 명명에 관한 워킹 그룹(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은 ''Altair''를 독수리자리 α별의 고유명칭으로 공식 승인했다.

2. 3. 기타 문화권

오스트레일리아 쿠리족은 알타이르를 쐐기꼬리독수리인 ''분질''(Bunjil)로 보았고, β와 γ 물병자리는 그의 두 아내인 흑고니였다고 한다. 머레이 강 사람들은 이 별을 ''토티어길''(Totyerguil)로 불렀다.[23] 머레이 강은 사냥꾼 ''토티어길''이 거대한 머레이대구인 ''오트주트''(Otjout)를 창으로 찌르면서 형성되었는데, 상처를 입은 오트주트는 하늘로 들어가 돌고래자리가 되기 전에 호주 남부를 가로질러 수로를 만들었다고 한다.[23]

중국에서는 알타이르, β 물병자리, γ 물병자리로 구성된 별자리를 ''허구''(河鼓, 河鼓|강 북중국어)라고 불렀다.[21] 알타이르의 중국 이름은 ''허구얼''(河鼓二, 河鼓二|강 북의 두 번째 별중국어)이다.[24] 하지만 알타이르는 ''견우성''(牽牛星, ) 또는 ''우랑성''(牛郎星, 牛郎星|소치기 별중국어)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25][26] 이는 견우와 직녀 설화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견우(알타이르)와 그의 두 자녀(β 물병자리, γ 물병자리)는 아내이자 어머니인 직녀(베가)와 은하수 때문에 헤어졌다가 일 년에 한 번 까치들이 만든 다리를 통해 만난다는 이야기이다.[26][27]

미크로네시아 사람들은 알타이르를 "크고 오래된 빵나무"를 의미하는 ''마이-라파''(Mai-lapa)라고 불렀고, 마오리족은 이 별을 "하늘의 기둥"을 의미하는 ''푸투-테-랑기''(Poutu-te-rangi)라고 불렀다.[28]

부기스족 선원들은 알타이르를 "동쪽 별"을 의미하는 ''빈토엥 티모로''(bintoéng timoro)라고 부르며 항해에 사용했다.[29]

3. 물리적 특징

알타이르와 태양의 크기 비교


알타이르는 분광형 A형 주계열성으로, 지구로부터 약 16.8광년(5.14파섹) 떨어져 있으며 겉보기 등급은 0.7이다. 밝은 별 중 하나로, 질량은 태양의 약 1.8배, 밝기는 약 11배이다.[10][65]

알타이르의 물리적 특징
특성
분광형A형 주계열성
질량1.8 M☉
밝기11 L☉
거리16.8광년 (5.14파섹)
겉보기 등급0.7


3. 1. 빠른 자전과 회전타원체

알타이르는 자전 주기가 6시간 30분(다른 관측 자료에 따르면 9시간 또는 10.4시간)으로 매우 빠르게 자전한다.[56] 태양의 자전 주기가 25일 정도임을 감안하면 이는 매우 빠른 속도이다. 이러한 빠른 자전 속도 때문에 알타이르는 적도 부분이 극보다 20% 더 부풀어 오른 회전타원체 모양을 하고 있다.[55][66]

이론에 따르면, 알타이르의 빠른 자전으로 인해 별 적도 부분의 표면중력유효온도는 극보다 낮아지고, 밝기 또한 낮아진다. 중력 감광 또는 폰 지펠 효과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2001년 네이비 프로토타입 광학 간섭계를 이용하여 관측함으로써 입증되었으며,[56][69] 2004년 오이시 연구진, 2006년 페터슨 연구진이 분석했다. 2005년 A. 도미시아노 연구진은 팔로마 및 네이비 간섭계, VLT 내 VINCI로 측정한 새로운 측정값을 이용하여 중력 감광 현상이 일어남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70]

CHARA 간섭계로 촬영한 알타이르의 직접 이미지를 보면 폰 지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 극 부분은 흰색의 반점이 보이는 반면 적도 부분은 어두운 푸른색을 띠고 있다. 알타이르의 적도 반지름은 태양 반지름의 2.03배인데, 양극 반지름은 태양의 1.63배로 적도가 극보다 20% 더 부풀어 있다.[55]

CHARA 간섭계로 촬영한 알타이르의 직접적인 이미지

3. 2. 변광성

1999년 와이드필드 적외선 탐사기를 통한 위성 관측 결과, 알타이르의 밝기는 수천분의 일 등급 수준으로 미세하게 변화하는 것이 밝혀졌다.[15] 이러한 관측 결과에 따라 2005년 알타이르는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으로 분류되었다. 알타이르의 광도 곡선은 0.8 ~ 1.5시간 주기를 갖는 여러 개의 사인파를 더하여 근사할 수 있다.[15]

Buzasi 외 (2005)에 맞춰진 알타이르의 광도 곡선


알타이르는 코로나에서 X선을 방출하는 미약한 근원이기도 하다. 가장 활발하게 X선을 방출하는 곳은 별의 적도 부근으로, 이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적도에서 형성되는 대류층 세포 때문으로 추정된다.

3. 3. 관측 역사

알타이르는 1960년대에 R. 브라운 연구진이 간섭계를 통해 시지름을 측정했는데, 그 결과 3밀리초각이 나왔다.[68] 브라운은 알타이르가 자전 속도가 빨라 찌그러져 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이를 구체적으로 증명할 자료는 부족했다. 이후 1999년부터 2000년까지 팔로마 테스트베드 간섭계로 시지름을 다시 측정하여 알타이르가 납작하게 부풀어 있음을 확인했고, 이 결과는 2001년에 G. T. 벨 연구진의 이름으로 발표되었다.[66]

이론에 따르면 알타이르의 빠른 자전 때문에 별 적도 부분의 표면중력과 유효온도는 양극보다 낮고, 밝기 또한 낮아진다. 중력 감광 또는 폰 지펠 효과로 불리는 이 현상은 2001년 네이비 프로토타입 광학 간섭계를 이용하여 관측되었고, 2004년 오이시 연구진, 2006년 페터슨 연구진이 분석했다.[56][69] 2005년 A. 도미시아노 연구진은 팔로마 및 네이비 간섭계, VLT 내 VINCI로 측정한 새로운 측정값을 이용하여 중력 감광 현상을 입증했다.[70]

1999년 와이드필드 적외선 탐사기를 통한 위성 관측 결과, 알타이르의 밝기는 수천분의 일 등급 수준으로 밝았다가 어두워지는 변광 현상을 보였다. 2005년에는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으로 분류되었으며, 광도곡선은 여러 개의 사인 파동을 합쳐 놓은 모양과 비슷하고 파동 간격은 0.8 ~ 1.5시간이다.[67]

3. 3. 1. 표면 사진 촬영

CHARA 간섭계를 이용하여 알타이르의 표면을 직접 촬영한 것은 항성 표면을 촬영한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이다.[71] 2006년부터 2007년까지 J. D. 모니어 연구진은 CHARA 어레이 내 MIRC 관측기구를 이용하여 알타이르 표면의 적외선 사진을 촬영했는데, 이는 태양을 제외한 주계열성 중 최초로 원반 표면 모습을 사진으로 찍은 업적이다. 이 사진은 2007년에 공개되었다.[71]

사진에서 천구북극은 위쪽, 동쪽은 왼쪽이며, 항성을 관통하는 흰 선은 알타이르의 자전축을 나타낸다. 검은 선들은 위도 및 경도를 개략적으로 표시한다. 사진은 가색상(false-color)으로, 밝고 표면 온도가 높은 부분은 흰색, 상대적으로 어둡고 차가운 부분은 푸른색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폰 지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 극 부분은 흰색 반점이 보이는 반면 적도 부분은 어두운 푸른색을 띤다.[55]

알타이르의 적도 반지름은 태양의 2.03배, 양극 반지름은 태양의 1.63배로, 적도가 극보다 20% 더 부풀어 있다.[55] 이는 빠른 자전으로 인해 적도 부분의 표면중력유효온도가 양극보다 낮아져 밝기가 낮아지는 중력 감광 현상 때문이다.

4. 겉보기 동반성

밝은 주계열 별인 알타이르는 다중성 지정 WDS 19508+0852A를 가지며, 여러 개의 희미한 시각 동반성 WDS 19508+0852B, C, D, E, F, G를 가지고 있다.[34] 이들은 모두 알타이르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으며 물리적으로 관련이 없다.[33]

WDS 19508+0852 겉보기 동반성
식별 문자겉보기 등급 (V)측정 시기위치각 (°)각거리 (″)적경적위SIMBAD
B9.82015286195.8CCDM+19508%2B0852B[35]
C10.32015110186.4CCDM+19508%2B0852C[36]
D11.9201510526.8
E11.02015354157.3
F10.3201548292.4CCDM+19510%2B0856AB
G13.02015121185.1



WDS 19508+0852계 (J2000.0)[49]
-적경적위주성과의 간격주성과의 방위각실시 등급
B[50]192.1″287°9.69
C[51]189.6″107°10.32
D--31.7″97°11.9



알타이르는 WDS 19508+0852A라고도 불리며, 그 주위에는 여러 개의 희미한 겉보기 반성이 있으며, 각각 WDS 19508+0852B, WDS 19508+0852C, WDS 19508+0852D로 불린다.[48] 이 중 B는 A와 고유 운동이 다르므로 중력적으로 결합된 것이 아니다. C와 D는 고유 운동이 불분명하며, 중력적으로 결합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결론을 얻을 수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Altair: definition of Altair in Oxford dictionary (American English) https://web.archive.[...]
[2]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Sky Pub 2006
[3] 학술저널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2002
[4] 웹사이트 Summer Triangle http://www.daviddarl[...] 2008-11-26
[5] 서적 The brightest stars : discovering the universe through the sky's most brilliant stars John Wiley & Sons, Inc.
[6] 웹사이트 Our Local Galactic Neighborhood https://web.archive.[...] NASA
[7] 뉴스 Into the Interstellar Void http://www.centauri-[...] 2017-03-26
[8] 문서 From values of ''v'' sin ''i'' and ''i'' in the second column of Table 1, Monnier et al. 2007.
[9] 학술저널 Altair's Oblateness and Rotation Velocity from Long-Baseline Interferometry http://stacks.iop.or[...]
[10] 학술저널 Imaging the surface of Altair
[11]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altair https://www.dictiona[...] 2018-09-30
[12]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13]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14] 웹사이트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15] 학술저널 Altair: The Brightest δ Scuti Star 2005-02
[16] 학술저널 The stellar interferometer at Narrabri Observatory-II. The angular diameters of 15 stars
[17] 학술저널 Asymmetric Surface Brightness Distribution of Altair Observed with the Navy Prototype Optical Interferometer
[18] 학술저널 Gravitational-darkening of Altair from interferometry
[19] 간행물 Gazing up at the Man in the Star? https://www.nsf.gov/[...]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22-08-03
[20] 학술저널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1895-06
[21] 서적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http://archive.org/d[...] New York, Leipzig [etc.] G.E. Stechert
[22] 학술저널 Zoomorphic Astrolabes and the Introduction of Arabic Star Names into Europe
[23] 문서 Aboriginal mythology: an A-Z spanning the history of aboriginal mythology from the earliest legends to the present day HarperCollins
[24]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Hong Kong Space Museum 2008-11-26
[25] 서적 The Chinese reader's manual: A handbook of biographical, historical ... http://archive.org/d[...]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26] 문서 p. 72, ''China, Japan, Korea Culture and Customs: Culture and Customs''
[27] 문서 pp. 105–107, ''Magic Lotus Lantern and Other Tales from the Han Chinese'' Libraries Unlimited
[28] 서적 The Lexicon of Proto-Oceanic: The Culture and Environment of Ancestral Oceanic Society. The physical environment. Volume 2 https://books.google[...] ANU E Press 2007-03-01
[29] 서적 Exploring Ancient Skies: A Survey of Ancient and Cultural Astronomy https://books.google[...] Springer
[30] 뉴스 'Anybody there?' Astronomers waiting for a reply from Altair https://www.asahi.co[...] 2023-08-25
[31] 뉴스 NASA names next-gen lunar lander Altair http://www.collectsp[...] 2022-08-03
[32] 간행물 Results of the competition for the best personal names for the Be-103 and the Be-200 amphibious aircraft https://web.archive.[...] Beriev Aircraft Company 2022-08-03
[33] 문서 "{{cite DR2}}"
[34] 웹사이트 Entry 19508+0852,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http://ad.usno.navy.[...] United States Naval Observatory 2008-11-25
[35] SIMBAD CCDM+19508%2B0852B BD+08 4236B -- Star in double system SIMBAD 2008-11-25
[36] SIMBAD CCDM+19508%2B0852C SIMBAD 2008-11-25
[37] 문서 "'|æ|l|t|ɛər|"
[38] 웹사이트 Our Local Galactic Neighborhood http://interstellar.[...] NASA 2019-07-07
[39] 뉴스 Into the Interstellar Void http://www.centauri-[...] 2010-09-01
[40] 웹사이트 夏の大三角(ナツノダイサンカク)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019-07-09
[41] 웹사이트 夏の星空を楽しもう https://www.astroart[...] 2019-07-09
[42] 웹사이트 Altair https://www.daviddar[...] 2019-07-09
[43] 웹사이트 Summer Triangle https://www.daviddar[...] 2019-07-09
[44] 서적 The brightest stars : discovering the universe through the sky's most brilliant stars John Wiley & Sons, Inc.
[45] 논문 The stellar interferometer at Narrabri Observatory-II. The angular diameters of 15 stars
[46] 논문 Asymmetric Surface Brightness Distribution of Altair Observed with the Navy Prototype Optical Interferometer
[47] 논문 Gravitational-darkening of Altair from interferometry
[48] 웹사이트 HR 7557 http://webviz.u-stra[...] ストラスブール天文データセンター 2019-07-09
[49] 웹사이트 Entry 19508+0852 https://web.archive.[...] アメリカ海軍天文台 2019-07-09
[50] 웹사이트 Results for BD+08 4232 https://simbad.u-str[...] CDS 2019-07-09
[51] 웹사이트 Results for BD+08 4238 https://simbad.u-str[...] CDS 2019-07-09
[52] 문서
[53] 웹인용 NAME ALTAIR -- Variable Star of delta Sct type http://simbad.u-stra[...] SIMBAD
[54] 문서 HR 7557 http://webviz.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55] 저널 Imaging the Surface of Altair 2007-07-20
[56] 저널 Resolving the Effects of Rotation in Altair with Long-Baseline Interferometry 2006-01
[57] 서적 별과 행성 두산동아 2005-08-10
[58]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Hong Kong Space Museum 2008-10-25
[59] 뉴스 31일 밤 직녀, ‘진짜 견우’만날까 http://media.daum.ne[...] 경향신문 2006-07-30
[60] 서적 Magic Lotus Lantern and Other Tales from the Han Chinese Libraries Unlimited
[61] 간행물 The Romance of the Milky Way http://books.google.[...] 1905-08
[62]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Sky Publishing
[63] 서적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http://books.google.[...] G. E. Stechert
[64] 문서
[65] 서적 The Brightest Stars: Discovering The Universe Through The Sky's Most Brilliant Stars John Wiley & Sons, Inc.
[66] 저널 Altair's Oblateness and Rotation Velocity from Long-Baseline Interferometry 2001-10-01
[67] 저널 Altair: The Brightest δ Scuti Star 2005-02
[68] 문서
[69] 저널 Asymmetric Surface Brightness Distribution of Altair Observed with the Navy Prototype Optical Interferometer 2004-12-01
[70] 저널 Gravitational-darkening of Altair from interferometry 2005-11
[71] 간행물 Gazing up at the Man in the Star? http://www.nsf.gov/n[...]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07-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