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핀 A11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핀 A110은 1962년 파리 모터쇼에서 프로토타입이 공개된 후 1963년부터 1977년까지 생산된 스포츠카이다. 1970년대 초 국제 랠리 무대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1971년 몬테카를로 랠리 우승과 1973년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 초대 제조사 부문 우승을 차지했다. A110은 가벼운 차체, 후륜구동 방식, 뛰어난 엔진 성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랠리에서 성공을 거두었으며, 프랑스, 스페인, 멕시코 등지에서 라이선스 생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3년 도입된 자동차 - 트라반트 601
    트라반트 601은 동독의 국민차 트라반트의 대표 모델로, 2기통 2행정 엔진을 탑재하여 1963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베를린 장벽 붕괴 당시 동독 주민들의 이동 수단으로 자유와 통일의 상징이자 동독 생활상을 보여주는 역사적 유물이다.
  • 1963년 도입된 자동차 - 란치아 풀비아
    란치아 풀비아는 1963년부터 1976년까지 란치아에서 생산된 전륜구동 소형차로, 협각 V4 엔진을 탑재하고 랠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다양한 모델로 출시되었다.
  • 1970년대 자동차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1970년대 자동차 - 포드 머스탱
    포드 머스탱은 포드 모터 컴퍼니가 생산하는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디자인과 성능 변화를 거듭하며 모터스포츠와 대중문화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 스포츠카 - BMW M8
    BMW M8은 쿠페, 컨버터블, 그란 쿠페 모델로 출시된 BMW의 고성능 럭셔리 스포츠카로, S63 트윈터보 V8 엔진을 탑재하고 M8 Competition 모델은 향상된 출력과 xDrive, 후륜구동 모드를 제공하며 뉘르부르크링 테스트를 거쳐 핸들링과 성능을 검증받았다.
  • 스포츠카 - 포르쉐 911
    포르쉐 911은 포르쉐에서 생산하는 2+2 시트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7세대에 걸쳐 후륜 수평대향 6기통 엔진과 독특한 디자인을 유지하며 스포츠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알핀 A110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A110 1300G
A110 1300G
제조사알핀
생산 기간1963년–1977년
설계자조반니 미켈로티
차종스포츠카 (S)
차체 스타일2도어 베를리네트
구동 방식리어 엔진, 후륜구동
엔진
엔진 종류1.0–1.3 L 르노 클레옹-퐁트 I4
1.5–1.65 L 르노 클레옹-알루 I4
변속기
변속기 종류5단 수동
차체 크기
축간거리2099-2180 mm
전장3850 mm
전폭1471-1550 mm
전비중량706 kg
이전/이후 모델
이전 모델알핀 A108
이후 모델알핀 A310
알핀 A110 (2017) (정신적 후속)
생산지
생산지디에프, 프랑스

2. 역사

알핀(Alpine)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디에프 출신의 랠리 선수였던 장 레델레에 의해 설립되었다. 레델레는 르노 4CV를 개조하여 랠리에 참가하며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1955년 알핀을 설립하고 독자적인 스포츠카 개발을 시작했다. 그는 르노 4CV의 3단 기어박스를 5단 수동 변속기로 교체하고, 경량 차체를 제작하는 등 성능 개선에 힘썼다. 랠리에서의 성공은 르노의 주목을 받아 재정적 지원을 이끌어냈고, 레델레는 알프스 랠리에서의 성공을 기념하여 회사 이름을 '알핀'으로 정했다.[7]

1963년 출시된 A110은 이전 모델 A108이 도핀을 기반으로 한 것과 달리, 르노 8(R8)의 부품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4] A108이 카브리올레(컨버터블)로 먼저 출시된 후 쿠페가 나온 반면, A110은 베를리네트(쿠페)가 먼저 출시되고 이후 카브리올레가 나왔다. A110은 더 커진 엔진을 수용하기 위해 후면 차체 디자인이 변경되었는데, 이는 차량에 더 공격적인 인상을 주었다. A110은 A108과 마찬가지로 강철 백본 섀시 위에 FRP 차체를 얹는 방식을 사용했다. 알핀은 가볍고 유연한 FRP 차체 제작의 선구자였으며, 이 기술은 랠리에서의 성공에 크게 기여했다. 이 백본 섀시 설계는 이후 1995년 A610까지 이어지는 알핀 차량의 기초가 되었다.[7]

초기 A110에는 1.1L R8 Major 엔진 또는 R8 고르디니 엔진이 탑재되었다. 고르디니 엔진은 6,500 rpm에서 95PS의 출력을 냈다. 이후 A110은 성공적인 랠리 차량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게 되었다. (랠리에서의 구체적인 활약은 #랠리에서의 성공 섹션 참조)

알핀의 자체 공장 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라이선스 생산이 이루어졌다. 멕시코에서는 1965년부터 1974년까지 디젤 나시오날(DINA)이 '디날핀'이라는 이름으로 생산했고, 불가리아에서는 1967년부터 1969년까지 SPC 메탈힘과 ETO 불렛의 협력으로 '불가르알핀'이 생산되었다. 스페인에서는 FASA가 1967년부터 1978년까지 바야돌리드에서 프랑스 생산 모델과 동일한 사양과 이름으로 A110을 생산했다.[5] FASA는 1100 (1108cc, 1967~1970), 1300 (1289cc, 1971~1976), 1400 (1397cc, 1977~1978) 버전을 만들었다.

A110의 구조는 강관 백본 프레임 섀시에 FRP 모노코크 바디를 결합한 형태였다. 서스펜션은 R8을 기반으로 강화되었으며, 초기 모델은 R8처럼 차체 후방에 라디에이터를 두는 냉각 방식을 사용했으나, 1600 계열 등 후기 모델은 라디에이터를 전면으로 옮겼다. 엔진은 R8의 1.1L를 시작으로 고르디니 튜닝 엔진을 포함한 1.3L, 1.6L, 1.8L(경주용) 등 다양하게 탑재되었다. FRP 차체 덕분에 매우 가벼운 무게를 자랑했다.

'''알핀 A110 프랑스 생산 연표'''
연도주요 변경 사항
1963베를리네트, 카브리올레, GT4 출시
19641108cc 엔진 모델 출시
19651100 고르디니 엔진 (OHV 크로스 플로우) 탑재
19661300 고르디니 엔진 탑재
19671500, 1300S 등 5개 차종으로 라인업 확장
19681600S, V85(1300VC) 출시, 매립형 보조 라이트 장착 시작
1969디에프 공장에서 생산 시작
1971경기용 1600S 그룹 4(1600GS) 출시
19731800VA, 1600VD(1600SC, 1600SI) 출시
19751300VC, 1600VD 생산 종료
1977년 7월A110 생산 최종 종료



1971년에는 후속 모델인 A310이 등장했지만, A110의 인기로 인해 생산은 1977년까지 계속되었다. A110 생산 종료 후에도 디에프 공장은 르노 5 터보를 비롯한 고성능 르노 모델들을 생산하며 르노 스포츠의 핵심 기지로 자리 잡았다.[7] 2012년에는 A110 출시 50주년을 기념하는 콘셉트 카 A110-50이 공개되었고, 2017년에는 A110의 디자인과 철학을 계승한 신형 A110이 출시되어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다.

2. 1. 랠리에서의 성공

A110은 1970년대 초반 성공적인 랠리 차량으로 명성을 얻었다. 1960년대 후반, 주철 R8 고르디니 클레옹-폰테 엔진을 얹고 프랑스 내 여러 랠리에서 우승하며 가능성을 보였다.[7] 이후 르노 16 TS의 알루미늄 블록 클레옹-알루 엔진으로 교체하고, 2개의 웨버 45 기화기를 장착하여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 엔진은 6,000 rpm에서 125PS의 출력을 냈고, 이를 탑재한 1600S 모델은 최고 속도 210km/h에 달했다.

A110 1600SX 랠리카


A110은 1970년부터 1972년까지 열린 제조업체 국제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유럽 전역에서 우승을 휩쓸며 국제적인 명성을 쌓았다. 특히 1971년에는 스웨덴 출신 드라이버 오베 안데르손이 운전하여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우승하는 쾌거를 이루었다.[7]

1971년 르노가 알핀을 인수한 후, 제조업체 국제 선수권 대회는 1973년부터 세계 랠리 챔피언십(WRC)으로 개편되었다. 르노는 A110으로 WRC에 참가하기로 결정하고, 베르나르 다르니체, 장-피에르 니콜라스, 장-뤽 테리에를 주축으로 한 팀을 꾸렸다. 여기에 장-클로드 앙드루에 (1973년 몬테카를로 랠리 우승)와 같은 뛰어난 드라이버들이 번갈아 참여하며 힘을 보탰다. A110은 출전한 대부분의 레이스에서 우승하며 알핀에게 초대 WRC 제조사 챔피언이라는 영광을 안겨주었다. 이후 경주용 A110에는 최대 1.8리터 엔진까지 탑재되었다.

A110의 성공 비결은 RR(리어 엔진-리어 휠 드라이브) 방식에서 오는 뛰어난 트랙션과 경쟁 차량에 비해 월등히 가벼운 차체 무게였다. 강철 튜브로 만든 백본 섀시 위에 FRP 재질의 차체를 얹어 무게를 줄였는데, 1600S 모델의 경우 약 730kg에 불과했다. 실제 경주용 차량은 여기서 50~100kg 정도 더 가볍게 만들어졌다.

하지만 1974년, 랠리 경주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미드십 엔진의 란치아 스트라토스가 등장하면서 후륜구동 방식(RR)의 A110은 점차 경쟁력을 잃어갔다. 연료 분사 방식 도입이나 DOHC 16밸브 엔진 탑재, A310의 리어 서스펜션 적용 등 여러 개선 시도가 있었지만 성능 향상에는 한계가 있었다. 스트라토스의 압도적인 성능 앞에 A110을 비롯한 여러 랠리카들이 설 자리를 잃게 되었다. 그럼에도 A110은 오늘날 몬테카를로 랠리 히스토릭과 같은 클래식카 랠리 이벤트에서 여전히 인기를 끌고 있다.

3. 모델 종류 및 특징

1963년 출시된 A110은 이전 모델 A108이 르노 도핀 기반이었던 것과 달리 르노 8(R8)의 부품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4] 초기에는 R8 Major의 1.1 L 엔진 또는 R8 고르디니 엔진을 탑재했으며, 고르디니 엔진은 당시 기준으로 95마력(PS)의 출력을 냈다.

생산 기간 동안 A110은 다양한 엔진과 사양으로 발전하며 여러 모델이 출시되었다.


  • 초기 모델 (1963~1968): 956cc 엔진으로 생산을 시작해, 1964년에는 1108cc R8 Major 엔진을 탑재한 'V70' 모델(1100 VA)이 나왔고, 1965년에는 95마력 R8 고르디니 엔진을 얹은 '100' 모델(1100 VB)이 추가되었다. 1966년부터는 1.3 L급 고르디니 엔진(1255cc, 105마력 / 1296cc, 115~120마력)을 탑재한 1300 모델들이 등장했다. 1967년에는 르노 16의 1.5 L 클레옹-알루 엔진을 사용한 1500 모델도 잠시 생산되었다.
  • 1600 시리즈 (1968~1977): 1968년, 1500 모델은 르노 16 TS의 1.6 L(1565cc) 엔진을 탑재한 1600 모델로 대체되었다. 1969년에는 이 엔진을 튜닝하고 트윈 웨버 기화기를 장착하여 출력을 125마력(PS)까지 높인 고성능 모델 1600S(1600 VB)가 출시되어 최고 속도 를 기록했다. 이 모델은 랠리에서의 성공을 통해 A110의 명성을 크게 높였다.
  • V85 / 1300 (1970~1976): 1970년에는 르노 12 TS의 1.3 L(1289cc) 엔진을 탑재한 보급형 모델 V85(이후 1300으로 변경, 1300 VC)가 출시되었다.
  • 후기 모델 (1973~1977): 1973년 이후 1600S는 R17 TS의 1.6 L(1605cc) 엔진으로 변경되었고(1600SC), 보쉬 연료 분사 시스템을 적용한 1600SI 모델도 등장했다. 이 시기에는 알핀 A310의 더블 위시본 리어 서스펜션을 적용하는 등 성능 개선 시도가 있었으나, 새로운 경쟁 차량의 등장으로 한계에 부딪혔다. 최종 모델인 1600SX(1976-1977)는 르노 16 TX의 1.6 L(1647cc) 엔진을 탑재했다.


A110은 프랑스 디에프 공장 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라이선스 하에 생산되었다.

  • 멕시코: 디젤 나시오날(DINA)에서 '디날핀(Dinalpin)'이라는 이름으로 1965년부터 1974년까지 생산했다.
  • 불가리아: '불가르알핀(Bulgaralpine)'이라는 이름으로 1967년부터 1969년까지 생산했다.
  • 스페인: FASA-르노에서 1967년부터 1978년까지 바야돌리드에서 생산했다.[5] 프랑스 외 생산 모델 중 유일하게 알핀 A110이라는 이름과 사양을 그대로 사용했으며, 1108cc 엔진의 A110 1100 (1967-1970), 1289cc 엔진의 A110 1300 (1971-1976), 1397cc 엔진의 A110 1400 (1977-1978) 모델이 있었다.


A110은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1977년까지 생산되었으며, 특히 1600S 모델은 가벼운 차체와 뛰어난 트랙션을 바탕으로 랠리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알핀 브랜드의 위상을 높였다.

3. 1. 디자인

A110은 쿠페 형태인 베를리네트(Berlinette)로 먼저 출시되었으며, 이후 카브리올레 버전도 나왔다.[4] 이전 모델인 A108 쿠페와 비교했을 때 가장 눈에 띄는 외부 차이점은 후면 차체 스타일의 변경이었다. 이는 A110의 더 커진 엔진을 수용하기 위한 변화였으며, 차량에 더 공격적인 인상을 주었다.

A110의 구조적 특징은 강철 백본 섀시 위에 FRP(유리 섬유)로 제작된 가벼운 차체를 얹는 방식이다.[7] 알핀은 이러한 경량 FRP 차체 제작의 선구자였으며, 이 가벼움은 랠리에서의 성공에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7] 차체는 섀시에 부착되며, 후면부는 리벳을 사용하여 고정되었다.

초기 모델(1100, 1300VC 등)은 르노 8의 설계를 따라 라디에이터가 차체 후방에 위치했다.[4] 냉각 공기는 차체 후방 좌우 상단의 에어 인테이크를 통해 유입되어 라디에이터를 거친 뒤 엔진룸 하단으로 배출되었으며, 차체 하부는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매끄럽게 디자인되었다. 이후 1300G/S 일부 모델과 1600 계열 모델에서는 라디에이터가 차량 전면부로 이동되었다.

백본 프레임과 FRP 차체의 조합 덕분에 차체 중량은 매우 가벼웠다. 예를 들어 1600S 모델은 약 730kg, 1600SC는 약 840kg, 최종형인 SX 모델도 850kg 수준이었다. 경기용 차량은 더 얇은 FRP와 장비 제거 등으로 50~100kg 정도 더 가볍게 제작되기도 했다. 엔진을 뒤에 싣고 뒷바퀴를 굴리는 RR(리어 엔진-리어 휠 드라이브) 방식은 A110의 독특한 디자인 요소이자 뛰어난 접지력(트랙션)을 제공하는 핵심 특징이었다.

3. 2. 기술적 특징

A110은 이전 모델인 A108처럼 강철 백본 프레임 섀시 위에 FRP(Fiber Reinforced Plastic, 섬유 강화 플라스틱)로 제작된 가벼운 차체를 얹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7] 알핀은 FRP 차체 제작의 선구자였으며, 이 소재의 경량성과 유연성은 차량 성능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기본 구조는 이후 모델인 A610까지 이어지는 알핀 자동차의 특징이 되었다.[7] FRP 차체 덕분에 표준 모델인 1600S의 중량은 약 730kg에 불과했고, 후기형인 1600SC도 약 840kg 수준을 유지했으며, 최종형 SX 모델도 850kg을 넘지 않았다. 랠리 경주용 차량은 FRP 적층 수를 줄이고 편의 장비를 제거하는 등의 경량화를 통해 이보다 50kg에서 100kg 정도 더 가볍게 제작되었다.

A110은 르노의 부품을 많이 활용했는데, 초기에는 R8의 부품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4] 엔진 역시 르노에서 가져와 튜닝하여 사용했다. 처음에는 1.1 L R8 Major 또는 R8 고르디니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고르디니 엔진은 95PS (SAE)의 출력을 냈다. 이후 1960년대 후반 프랑스 랠리에서 성공을 거두면서 성능 향상을 위해 르노 16 TS에 사용된 알루미늄 블록 클레옹-알루 엔진으로 교체되었다. 이 엔진은 두 개의 웨버 45 트윈 벤츄리 기화기를 사용하여 125PS (DIN)의 출력을 발휘했고, 이를 탑재한 1600S 모델은 최고 속도 210km/h를 달성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대 1.8리터 엔진까지 탑재되기도 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A110이 터보차저 엔진을 랠리에 성공적으로 도입한 선구적인 사례라는 것이다. 1972년 세벤느 랠리에서 장-뤽 테리에가 운전한 A110은 터보차저 엔진을 장착하고 우승했는데, 이는 터보차저 엔진 차량이 국제 랠리에서 거둔 최초의 우승 기록이다.[7] 이는 아우디 콰트로보다 8년이나 앞선 성과였다.

변속기는 초기에는 4단 수동변속기가 주로 사용되었으나(스페인 생산 모델 중 1300VC는 4단 변속기 사양), 이후 성능 향상과 함께 5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된 모델도 등장했다.

서스펜션은 르노 8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강화되었다. 초기 일부 모델을 제외하고는 앞뒤 모두 각 바퀴당 2개의 쇼크 업소버를 사용하여 성능을 높였다. 1973년 이후에는 알핀 A310의 더블 위시본 리어 서스펜션을 적용한 모델(SC, SI 등)도 등장했지만, 란치아 스트라토스와 같은 새로운 경쟁 차량의 등장으로 A110의 개발 잠재력은 한계에 다다랐다.

냉각 시스템은 초기 모델의 경우 르노 8과 유사하게 라디에이터가 차체 뒤쪽에 위치했다. 차체 후방 좌우의 에어 인테이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라디에이터를 식힌 후 엔진룸 하단으로 배출하는 방식이었다. 이후 1300G/S 일부 모델과 1600 계열 모델에서는 라디에이터가 차체 앞으로 이동되었다.

A110의 성공 비결은 RR(리어 엔진, 후륜 구동) 방식에서 오는 뛰어난 트랙션과 경쟁 차량 대비 압도적으로 가벼운 차체 중량에 있었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 덕분에 A110은 1970년대 초반 랠리 무대를 석권하며 1973년 세계 랠리 챔피언십에서 알핀에게 초대 WRC 제조사 챔피언 타이틀을 안겨주었다.

아래는 A110 양산 모델에 탑재된 주요 엔진 제원이다. (프랑스 생산 모델 기준)

이름연도모델엔진 설명형식배기량출력
A110 9561963–1965R8 클레옹-퐁트689956 cc55PS
A110 1100 "70"1964–19691100 VAR8 Major 클레옹-퐁트688[8]1,108 cc66PS
A110 1100 "100"1965–19681100 VBR8 Gordini 클레옹-퐁트804[8]1,108 cc95PS
A110 1300 "Super"[9] / S1966–19711300 VB튜닝된 R8 Gordini 클레옹-퐁트804[8]1,296 cc115PS
120PS
A110 1300 / 1300 G1967–19711300 VAR8 Gordini 1300 클레옹-퐁트812[8]1,255 cc105PS
A110 15001967–19681500 VAR16 클레옹-알루 (로터스 유로파에서)A1K1,470 cc82PS
A110 16001969–19701600 VAR16 TS 클레옹-알루807-24[8]1,565 cc92PS
102PS
A110 V85 / 13001970–19761300 VCR12 TS 클레옹-퐁트810-30[8]1,289 cc68PS (81 SAE)
A110 1600S1970–19731600 VB튜닝된 R16 TS 클레옹-알루807-24[8]1,565 cc125PS (138 SAE)
A110 1600S1973–19751600 VC/SCR17 TS[10] 클레옹-알루844–32[8]1,605 cc126.5PS (140 SAE)
A110 1600S SI1974–19751600 VDR17 TS 클레옹-알루 연료 분사844-341,605 cc128PS (140 SAE)
A110 1600S SX1976–19771600 VHR16 TX 클레옹-알루843[8]1,647 cc93PS


4. 생산

알핀 A110은 창립자 장 레델레가 세운 프랑스 디에프의 공장에서 주로 생산되었다.[7] 1963년에 처음 출시되어 1977년까지 생산 라인이 가동되었다. 프랑스에서 생산된 주요 모델로는 1100 고르디니, 1300 고르디니, 1600S, 1600SC, 1600SX 등이 있다.

프랑스 디에프 공장 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A110이 생산되었다. 대표적으로 스페인(FASA-르노), 멕시코(디날핀), 불가리아(불가르알핀), 브라질(인테르라고스) 등에서 현지 생산이 이루어졌다. 해외 생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A110의 생산이 종료된 이후에도 디에프 공장은 계속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르노 5 터보와 같은 상징적인 모델들이 이 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이후에는 르노 스포츠의 본거지가 되어 여러 고성능 차량의 개발과 생산을 담당하는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7]

4. 1. 해외 생산

알핀 A110은 프랑스 디에프의 자체 공장 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생산되었다.

멕시코에서는 르노 차량을 생산하던 디젤 나시오날(DINA)이 1965년부터 1974년까지 A110을 생산했으며, 현지에서는 '디날핀(Dinalpin)'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불가리아에서도 1967년부터 1969년까지 SPC 메탈힘과 ETO 불렛의 협력 하에 '불가르알핀(Bulgaralpine)'이라는 이름으로 A110이 생산되었다. 이 파트너십은 불가르르노 차량 생산으로도 이어졌다.

스페인에서는 FASA-르노가 바야돌리드 공장에서 1967년부터 1978년까지 A110을 생산했다.[5] 스페인에서 생산된 A110은 프랑스 외 지역에서 생산된 모델 중 유일하게 프랑스 현지와 동일한 이름 및 사양으로 판매되었다. FASA는 다양한 엔진을 탑재한 버전을 생산했는데, 1108cc 엔진의 A110 1100 (1967년-1970년), 1289cc 엔진의 A110 1300 (1971년-1976년), 그리고 1397cc 엔진의 A110 1400 (1977년-1978년)이 있었다.

5. 월드 랠리 챔피언십 (WRC) 우승 기록

A110은 수많은 랠리에서 우승을 비롯하여 많은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1973년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에서는 총 6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초대 WRC 제조사 챔피언의 영예를 안았다.

번호대회시즌드라이버공동 드라이버
1모나코 42회 몬테카를로 랠리1973년장-클로드 앙드리에미셸 비슈 프티
2포르투갈 7회 TAP 포르투갈 랠리1973년장-뤽 테리에자크 조베르
3모로코 16회 모로코 랠리1973년베르나르 다르니슈알랭 마에
4그리스 제21회 아크로폴리스 랠리1973년장-뤽 테리에크리스티앙 델페리에
5이탈리아 15회 산레모 랠리1973년장-뤽 테리에자크 조베르
6프랑스 17회 투르 드 코르스1973년장-피에르 니콜라미셸 비알


참조

[1] 웹사이트 Designer http://www.ajovalo.n[...] 2012-02-08
[2] 논문 The Cumberford Perspective 2016-08
[3] 서적 Illustrated Dictionary of Automobile Body Styles Mcfarland & Co Inc 2007-10-01
[4] 서적 The Classic Car Adventure: Driving Through History on the Road to Nostalgia
[5] 웹사이트 Alpine A110 http://www.clasicosy[...]
[6] 서적 Alpine Renault Ultimate Portfolio 1958–1995 2007-05
[7] 웹사이트 7 Incredible Things You Didn't Know About Alpine https://www.carthrot[...] Car Throttle 2023-03-28
[8] 문서 Christian Descombes, Alpine, Label bleu, série et compétition, édition E.P.A.
[9] 간행물 Auto-Rétro n°32 1983-04
[10] 웹사이트 1961–1973 Renault Alpine A110 https://www.topspeed[...] TopSpeed 2007-08-16
[11] 논문 The Cumberford Perspective 201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