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리 반 데 벨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리 반 데 벨데는 벨기에 출신의 건축가, 디자이너, 예술 이론가이다. 그는 앤트워프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서 그림을 배운 후 신인상주의와 점묘주의를 거쳐 1892년 장식 미술과 실내 디자인으로 전환했다. 반 데 벨데는 아르누보 양식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독일 유겐트 양식 발전에 기여했으며, 독일 공작 연맹을 공동 설립하여 디자인 발전에 힘썼다. 그는 바이마르 대공립 공예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을 역임했으며, 겐트 대학교 교수와 라 캄브르 설립에도 기여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블루멘워프 별장, 폴크방 박물관, 빌라 에셰, 호헨호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건축가 - 빅토르 오르타
빅토르 오르타는 아르 누보 양식의 선구자이며, 타셀 저택, 솔베 저택 등을 설계했고, 브뤼셀의 개인 저택 4채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벨기에의 화가 - 야코프 요르단스
야코프 요르단스는 플랑드르 바로크 시대의 화가, 드로잉 작가, 태피스트리 및 판화 디자이너로서, 루벤스의 영향을 받아 사실적인 묘사와 민중적 요소를 결합한 독자적인 화풍으로 종교화, 신화화, 풍속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플랑드르를 대표하는 화가로 활동했다. - 벨기에의 화가 - 앙리 미쇼
앙리 미쇼는 아시아 여행에서 영감을 받아 환상, 초현실주의, 언어 실험 등을 통해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한 20세기 프랑스의 시인, 작가, 화가이다. - 안트베르펜 출신 - 토비 알데르베이럴트
토비 알데르베이럴트는 아약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토트넘 홋스퍼 등에서 활약한 벨기에의 전 축구 선수로, 중앙 수비수로서 토트넘에서 PFA 올해의 팀에 선정되는 등 뛰어난 수비력을 인정받았으며, 벨기에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했다. - 안트베르펜 출신 - 안토니 반 다이크
안토니 반 다이크는 1599년 벨기에에서 태어나 1641년 런던에서 사망한 플랑드르 출신 화가로, 찰스 1세의 궁정 화가로 활동하며 영국 초상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앙리 반 데 벨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배우자 | 마리아 제테 (1894년 결혼) |
본명 | 앙리 클레멘스 반 데 벨데 |
출생일 | 1863년 4월 3일 |
출생지 | 안트베르펜, 벨기에 |
사망일 | 1957년 10월 15일 |
사망지 | 오베레게리, 스위스 |
직업 | 화가, 건축가, 인테리어 디자이너, 미술 이론가 |
주요 건물 | |
수상 | |
수상 | (정보 없음) |
2. 생애
앙리 반 데 벨데는 앤트워프에서 태어나 앤트워프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서 수학한 후 파리에서 유학했다. 초기에는 신인상주의와 점묘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나, 1892년 회화를 포기하고 장식 미술과 실내 디자인 분야로 전환했다.
그의 예술적 전환에는 아내 마리아 세테와의 만남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함께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위클에 지은 첫 집 블루멘베르프는 미술 공예 운동의 영향을 받은 그의 초기 건축 시도였다.
1895년, 반 데 벨데는 사무엘 빙의 미술관 "라르 누보"의 인테리어와 가구를 디자인하면서 아르누보 양식의 대표적인 인물로 떠올랐다. 19세기 말에는 독일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의뢰를 받아 켐니츠에 빌라 에셰를 디자인하는 등 건축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1899년, 바이마르에 정착하여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 빌헬름 에른스트의 예술 고문으로 활동했다. 1907년에는 대공립 공예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을 역임했으며, 이 학교는 훗날 바우하우스의 모체가 되었다.
반 데 벨데는 독일공작연맹의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독일 디자인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1914년 베르크분트 회의에서 헤르만 무테지우스와 표준화 문제를 두고 대립하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바이마르를 떠나 스위스와 네덜란드에서 활동했으며, 오테를로의 크뢸러-뮐러 미술관을 디자인했다. 1925년에는 겐트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고, 1926년에는 브뤼셀에 라 캄브르를 설립했다.
1933년에는 겐트 대학교 도서관 (보켄토렌) 설계를 의뢰받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완공이 지연되었다. 그는 취리히에서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1863-1889)
앙리 반 데 벨데는 1863년 벨기에 안트베르펜에서 태어났다. 안트베르펜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서 샤를 베를라에게 그림을 배웠고, 이후 파리에서 화가 카롤뤼스-뒤랑에게 1년간 사사했다.[3] 젊은 시절 폴 시냐크와 조르주 쇠라의 영향을 받아 신인상주의 양식과 점묘주의를 채택했다.1889년 브뤼셀을 기반으로 한 예술가 그룹 "레 뱅"의 회원이 되었다. 빈센트 반 고흐가 레 뱅의 연례 전시회에 작품을 출품한 후, 반 데 벨데는 반 고흐의 영향을 받은 최초의 예술가 중 한 명이 되었다. 이 시기에 그는 화가 테오 판 르셀베르헤와 조각가 콩스탕탱 뫼니에와 지속적인 우정을 쌓았다.
2. 2. 예술적 전환과 아르 누보 (1890-1898)
1890년 반 데 벨데는 "미래 사회에는 모든 사람에게 쓸모없는 것은 설 자리가 없을 것이다."라고 자신의 예술관을 밝혔다.[3] 1892년, 그는 회화를 포기하고 장식 미술과 실내 디자인(은 세공 및 금 세공, 도자기 및 식기류, 패션 디자인, 카펫 및 직물 디자인)에 전념했다. 그의 아내 마리아 세테와의 만남은 이러한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들은 벽지 디자인과 여성 의류 디자인을 포함한 여러 프로젝트에서 함께 협력했다. 그들의 첫 번째 집인 위클의 블루멘베르프는 반 데 벨데가 처음 시도한 건축물이었으며 영국의 미술 공예 운동에서 영감을 받았다. 그 외관은 윌리엄 모리스의 베즐리히스 레드 하우스와 매우 유사했다. 마리아 세테는 집 주변의 정원을 디자인했다. 블루멘워프 별장은 꽃의 작업장을 의미하며 반 데 벨데의 디자인 이론을 입증하는 모델로 창호, 가구, 카펫, 커튼에서부터 식기류에 이르는 집안 모든 것을 일관된 스타일로 디자인되어 아르 누보 특유의 총체 예술적 특징을 보여줬다.1895년 앙리 반 데 벨데는 파리의 미술관 "라르 누보"의 사무엘 빙을 위한 인테리어와 가구를 디자인했는데, 이 상점에서 아르누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3] 그는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서 빙의 파빌리온에 참여하여 자신의 작품을 전시했다. 반 데 벨데는 존 러스킨과 윌리엄 모리스의 영국의 미술 공예 운동에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 자연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 추상적인 스타일로 곡선을 적용한 최초의 건축가 또는 가구 디자이너 중 한 명이었다.
2. 3. 독일에서의 활동과 공작연맹 (1899-1925)
1899년, 앙리 반 데 벨데는 독일 바이마르에 정착하여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 빌헬름 에른스트의 예술 고문으로 고용되었다. 1907년에는 대공의 후원으로 대공립 공예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을 맡았으며, 1911년에는 학교 건물을 직접 설계하기도 했다.[9]반 데 벨데는 산업계와 예술가 간의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여 독일 디자인을 개선하고 홍보하기 위한 협회인 독일 공작연맹에서 주요 회원으로 활약했다. 1914년에 개최된 제1회 독일 공작연맹 쾰른 전에서는 제품의 규격화 및 표준화를 바탕으로 한 고품질, 대량생산을 추진하는 헤르만 무테지우스와 대립하며 작가의 예술성과 개성을 주장하는 논쟁을 펼쳤으나, 결국 반 데 벨데 세력은 독일 공작연맹을 떠나게 되었다.[9]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반 데 벨데는 공예학교 교장직을 독일 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에게 위임했다.[9] 이 공예학교는 훗날 바우하우스의 모체가 되었다.
2. 4. 후기 생애 (1926-1957)
제1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벨기에로 돌아온 반 데 벨데는 이후 스위스와 네덜란드에 거주하였다. 이곳에서 네덜란드 오터로에 있는 크뢸러 뮐러 미술관을 설계했고, 1925년에는 벨기에 헨트 대학교 고고미술사학 연구소 교수로 임명되어 1926년부터 1936년까지 건축과 응용 미술을 강의하였다. 1926년에는 브뤼셀에서 오늘날 라 캉브르라는 이름으로 건축 및 시각 예술 학교로 유명한 "Institut supérieur des Arts decoratifs"를 설립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그는 건축과 디자인 분야에서 활동을 이어갔는데, 1910년 즈음에 인기가 쇠퇴한 아르 누보 양식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시기에 그는 벨기에의 위대한 건축가인 빅토르 부르주아를 지도했다. 1933년, 헨트 대학교 도서관(유명한 보켄토렌)의 새로운 건물을 설계하는 의뢰를 받았다. 건설은 1936년에 시작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완공되지 못했다. 예산상의 이유로 최종 건설은 원래 설계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열람실 바닥은 반 데 벨데가 원래 의도했던 검은색 고무 대신 대리석으로 시공되었다. 그는 또한 겐트 대학교 병원 건설에도 참여했다.
그는 취리히에서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작업 세계
1890년, 반 데 벨데는 "미래 사회에는 모든 사람에게 쓸모없는 것은 설 자리가 없을 것이다."라고 썼다.
1892년, 그는 회화를 포기하고 장식 미술과 실내 디자인(은 세공 및 금 세공, 도자기 및 식기류, 패션 디자인, 카펫 및 직물 디자인)에 전념했다. 그의 아내인 마리아 세테와의 만남은 이러한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들은 벽지 디자인과 여성 의류 디자인을 포함하여 여러 프로젝트에서 함께 협력했다. 그의 첫 번째 건축 시도인 위클의 블루멘베르프는 영국의 미술 공예 운동에서 영감을 받았다.
반 데 벨데는 존 러스킨과 윌리엄 모리스의 영향을 받아, 자연 기반이 아닌 추상적인 스타일로 곡선을 적용한 최초의 건축가 또는 가구 디자이너 중 한 명이었다. 그의 디자인 작업은 ''Innen-Dekoration''과 같은 잡지를 통해 독일에서 알려졌고, 베를린에서 인테리어 디자인을 의뢰받았다. 19세기 말, 네덜란드에 빌라 르링, 켐니츠에 빌라 에셰를 디자인하여 아르누보 양식을 보여주었다. 하겐의 폴크방 박물관과 바이마르의 니체 아카이브 인테리어도 디자인했다.
1899년, 독일 바이마르에 정착하여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 빌헬름 에른스트의 예술 고문으로 고용되었다. 1907년, 대공의 후원 아래 대공립 공예학교를 설립하고 건물을 디자인했으며, 초대 교장을 역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벨기에 국적 때문에 사임했고, 발터 그로피우스를 후임으로 제안했다. 1919년, 이 학교는 바이마르 예술 아카데미와 합병하여 바우하우스를 형성했다.
벨기에인이었지만, 반 데 벨데는 독일 유겐트 양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07년, 독일공작연맹을 공동 설립하여 산업과 디자이너 간의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고 독일 디자인을 개선, 홍보했다. 1914년 베르크분트 회의에서 헤르만 무테지우스와 대립했는데, 반 데 벨데는 예술가들의 개성을 지지한 반면, 무테지우스는 발전을 위한 핵심으로 표준화를 요구했다. 반 데 벨데는 엔지니어들의 이성과 계산 적용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의 모든 측면에 논리를 통합하는 것을 옹호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반 데 벨데는 바이마르를 떠나 벨기에로 돌아갔다. 이후, 스위스와 네덜란드에 거주하며 오테를로의 크뢸러-뮐러 미술관을 디자인했다. 1925년, 겐트 대학교 미술사 및 고고학 연구소 교수로 임명되어 1926년부터 1936년까지 건축과 응용 미술을 강의했다. 1926년, 브뤼셀에서 건축 및 시각 예술 학교인 라 캄브르프랑스어(''Institut supérieur des Arts décoratifs프랑스어'')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05년 10월 12일, 반 데 벨데가 디자인한 찻주전자가 브뤼셀 보자르 경매장에서 17만 유로(170000EUR)에 낙찰되었다.
'''앙리 반 데 벨데의 주요 작품:'''
연도 | 국가 | 도시 | 건물명 |
---|---|---|---|
1895–96 | 위클 | 반 데 벨데의 첫 번째 개인 주택 "Bloemenwerf" | |
1895 | 파리 | 지크프리트 빙의 미술 갤러리 "Maison de l'art nouveau" 실내 장식 | |
1898 | 브뤼셀 | 프레데릭 드 메로드 기념비 | |
1900–02 | 하겐 | 폴크방 박물관 내부 | |
1902–03, 1911 (확장) | 켐니츠 | "빌라 에셰" | |
1903 | 바이마르 | 니체 아카이브 확장 및 실내 장식 | |
1906–07 | 켐니츠 | "Chemnitzer Lawn-Tennis-Club" 클럽하우스 (철거됨) | |
1907–08 | 하겐 | 카를 에른스트 오스토하우스를 위한 저택 "호헨호프" | |
1907–08 | 바이마르 | 반 데 벨데의 개인 주택 "하우스 호헤 파펠른" | |
1909–11 | 예나 | 에른스트 아베 기념관 (막스 클링거, 콩스탕탱 뫼니에와 협력) | |
1912–13 | 바이마르 | 뒤르크하임 백작 궁전 | |
1913–14 | 쾰른 | 독일 공작 연맹 전시회 "Werkbund-Theater" | |
1913–14 | 게라 | "빌라 슐렌부르크" | |
1913–14 | 켐니츠 | 테오 쾨르너 박사를 위한 주택 | |
1927–28 | 테르뷔렌 | 반 데 벨데의 개인 주택 "라 누벨 메종" | |
1929 | 브뤼셀 익셀 | "울퍼스 하우스" | |
1929–31 | 하노버 | 미나 운트 야코프 하이네만 재단 노인 요양원 | |
1933–35 | 겐트 인근 "아스테네" | 아드리안 마르텐스 박사를 위한 종합 진료소 및 "빌라 랜딩" | |
1933–38 | 겐트 | 겐트 대학교 도서관과 "보켄토런" | |
1936–42 | 루벤 | 학교 건물 "Technische School" | |
1937 | 파리 | 1937년 파리 만국 박람회 벨기에 파빌리온 | |
1937 | 블랑켄베르흐 | "블랑켄베르흐 역" | |
1939 | 뉴욕 | 1939년 뉴욕 세계 박람회 벨기에 관 |
3. 1. 아르 누보
반 데 벨데는 앤트워프에서 태어나 앤트워프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서 샤를 베를라에게 그림을 배웠고, 파리에서 화가 카롤뤼스-뒤랑에게 1년간 배웠다.[3] 그는 젊은 시절 폴 시냐크와 조르주 쇠라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신인상주의 양식과 점묘주의를 채택했다. 1889년, 브뤼셀을 기반으로 한 예술가 그룹 "레 뱅"의 회원이 되었다. 빈센트 반 고흐가 레 뱅의 연례 전시회에 작품을 출품한 후, 반 데 벨데는 반 고흐의 영향을 받은 최초의 예술가 중 한 명이 되었다. 이 시기에 그는 화가 테오 판 르셀베르헤와 조각가 콩스탕탱 뫼니에와 지속적인 우정을 쌓았다.1892년부터 붓을 놓고 응용미술에 전념하게 된 반 데 벨데의 디자인 작업은 건축, 실내, 가구 디자인 영역에 걸쳐 있다. 반 데 벨데의 블루멘워프 별장 내 의자 디자인에서 휘어져 내려가는 곡선의 움직임은 아르 누보의 요소지만, 그 곡선에 흘러넘치는 강력한 활기는 화려하고 우아한 빅토르 오르타의 곡선과는 분명 다르다. 빅토르 오르타의 디자인에서는 언제나 식물이나 동물의 몸 같은 자연이 느껴지지만, 반 데 벨데의 디자인은 더욱 추상적이고 디자인 대상이나 그 디자인이 부착될 대상의 기능을 드러내려 한다. 후에 그는 자신의 양식을 ‘다이나모그래픽’이라 불렀으며, 그 의도를 ‘구조화’라고 정의했다.[10]
3. 2. 블루멘워프 별장
벨기에 위클에 있는 앙리 반 데 벨데의 첫 번째 개인 주택인 블루멘워프 별장은 1895년에서 1896년 사이에 지어졌다. 이 별장은 윌리엄 모리스의 레드 하우스와 흡사한 외관을 통해 반 데 벨데가 영국의 미술공예운동에서 받은 영향을 보여준다. '꽃의 작업장'을 의미하는 블루멘워프 별장은 반 데 벨데의 디자인 이론을 보여주는 모델로, 창문, 가구, 카펫, 커튼에서 식기류에 이르기까지 집안의 모든 것을 일관된 스타일로 디자인하여 아르 누보 특유의 총체 예술적 특징을 보여주었다.[11]
반 데 벨데는 집을 수수하고 튼튼한 가구와 간결한 자연주의적인 벽지로 디자인했다. 벽지 디자인은 전체에 통일감을 주기 위한 것이었다. 자주색, 청색, 녹색 등의 세 가지 색은 회반죽을 바른 벽, 회색과 진녹색의 방공 벽, 불그스레한 지붕 타일에 반복되었다. 가구는 곡선의 흐름으로 보아 아르누보적이지만 빅토르 오르타의 곡선과는 다른 긴장된 힘을 표현하고 있다.[11]
3. 3. 독일공작연맹 전시회의 극장 (Werkbund-Theater)
1914년 쾰른에서 열린 독일공작연맹 전시회의 베르크분트 극장은 앙리 반 데 벨데가 주도하여 완공되었다.[9] 반 데 벨데는 이 극장에서 산업적 효용성과 단순성, 그리고 선의 미학을 보여주고자 했다.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합리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극장 종사자에게 필요한 보안 영역과 무대, 관객이 머무는 로비와 복도 등을 목적에 맞게 설계하였다. 무대는 기둥을 기준으로 3개로 나뉘었으나, 레일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 가변적인 구조였다. 객석은 평평한 직사각형 위에 의자를 놓고 계단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천장과 벽면의 직선은 무거운 지붕의 윤곽을 강조하였다. 반 데 벨데는 무대에서 연극인을 비롯한 예술가들이 작품을 표현하고 선보일 수 있는 유연하고 총체적인 연극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9]4. 주요 작품
연도 | 작품명 | 위치 | 비고 |
---|---|---|---|
1895–96 | Bloemenwerf | 벨기에 위클 | 반 데 벨데의 첫 번째 개인 주택 |
1895 | Maison de l'art nouveau | 프랑스 파리 | 지크프리트 빙의 미술 갤러리 실내 장식 |
1898 | 프레데릭 드 메로드 기념비 | 벨기에 브뤼셀 | |
1900–02 | 폴크방 박물관 | 독일 하겐 | 내부 장식 |
1902–03, 1911 | 빌라 에셰 | 독일 켐니츠 | 1911년 확장 |
1903 | 니체 아카이브 | 독일 바이마르 | 확장 및 실내 장식 |
1906–07 | Chemnitzer Lawn-Tennis-Club | 독일 켐니츠 | 클럽하우스 (철거됨) |
1907–08 | 호헨호프 | 독일 하겐 | 카를 에른스트 오스토하우스를 위한 저택 |
1907–08 | 하우스 호헤 파펠른 | 독일 바이마르 | 반 데 벨데의 개인 주택 |
1909–11 | 에른스트 아베 기념관 | 독일 예나 | 막스 클링거, 콩스탕탱 뫼니에와 협력 |
1912–13 | 뒤르크하임 백작 궁전 | 독일 바이마르 | |
1913–14 | Werkbund-Theater | 독일 쾰른 | 독일 공작 연맹 전시회 참여작 |
1913–14 | 빌라 슐렌부르크 | 독일 게라 | |
1913–14 | 테오 쾨르너 박사 주택 | 독일 켐니츠 | |
1927–28 | 라 누벨 메종 | 벨기에 테르뷔렌 | 반 데 벨데의 개인 주택 |
1929 | 울퍼스 하우스 | 벨기에 브뤼셀 익셀 | |
1929–31 | 미나 운트 야코프 하이네만 재단 | 독일 하노버 | 노인 요양원 |
1933–35 | 아드리안 마르텐스 박사 종합 진료소 및 빌라 랜딩 | 벨기에 겐트 인근 아스테네 | |
1933–38 | 겐트 대학교 도서관, 보켄토런 | 벨기에 겐트 | |
1936–42 | Technische School | 벨기에 루벤 | 학교 건물 |
1937 | 1937년 파리 만국 박람회 벨기에 파빌리온 | 프랑스 파리 | |
1937 | 블랑켄베르흐 역 | 벨기에 블랑켄베르흐 | |
1939 | 1939년 뉴욕 세계 박람회 벨기에 관 | 미국 뉴욕 |
5. 어록
"우리 영혼을 풍요롭게 하고 일어나 행동하게 하며 장식과 장식미술의 형태를 완전하게 개선한 계기는 분명 존 러스킨과 윌리엄 모리스의 작품과 영향력에 있다"
"이제 기계가 미의 인도를 받으면, 곧 무쇠 팔의 거친 놀림으로부터 아름다움이 창조되리라."
"돌로 궁전을 만드는 예술가가 철로 같은 것을 만드는 예술가보다 우월해야 할 이유가 대체 무엇인가?"
참조
[1]
웹사이트
Henry Van de Velde, Facts
http://www.henry-van[...]
2010-12-24
[2]
서적
Swiss Graphic Design: The Origins and Growth of an International Style
Yale University Press
[3]
서적
Design of the 20th Century
Taschen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kmkg-mrah[...]
2019-08-20
[5]
문서
Henry Van de Velde, Récit de ma vie: Anvers, Bruxelles, Paris, Berlin I. 1863–1900
Versa; Flammarion
[6]
문서
Henry Van de Velde, Récit de ma vie: Anvers, Bruxelles, Paris, Berlin I. 1863–1900
Versa; Flammarion
[7]
간행물
On Henry van de Velde's "Manuscript on Ornament"
https://www.jstor.or[...]
2003
[8]
서적
ブリュッセル歴史散歩 中世から続くヨーロッパの十字路
日経BP企画
[9]
저널
문제제기식 해결방법 모색을 통한 근대 디자인 운동발달에 관한 연구
[10]
서적
모던 디자인의 선구자들
[11]
저널
아르누보 양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