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앙리 베크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리 베크렐은 프랑스의 물리학자로서, 4대에 걸쳐 저명한 물리학자를 배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인광 현상 연구 중 우라늄 염에서 X선과 유사한 방사선을 발견하여 방사능 연구의 길을 열었다. 베크렐은 이 발견으로 1903년 노벨 물리학상을 퀴리 부부와 공동 수상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방사능 단위 '베크렐(Bq)'이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원자력사 - 프랑스 타격군
    프랑스 타격군은 프랑스가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받고 NATO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구축한 핵전력 체계로, 핵 삼두 체제를 갖추고 가치 보복 전략과 '약자에서 강자로의 억제' 개념을 바탕으로 핵 공격 억제를 목표로 한다.
  • 프랑스의 원자력사 - 마르쿨
    마르쿨은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원자력 연구 및 공업 단지로, 핵무기 개발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플루토늄 생산 원자로, 추출 공장, MOX 연료 제조 공장, 방사성 폐기물 관리 연구소 등의 시설을 갖추고 프랑스의 핵무기 개발 및 원자력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핵물리학자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핵물리학자 - 안드레이 사하로프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소련의 물리학자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수소폭탄 개발에 기여했으나 핵실험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인권 문제를 비판하며 반체제 활동을 펼쳤으며, 핵무기 감축과 민주주의 확산을 주장하고 인권 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에는 소련 민주화에 기여했다.
  • 에콜 폴리테크니크 동문 - 조르주 소렐
    조르주 소렐은 프랑스의 사상가로,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며 신화와 직접 행동을 통한 자본주의 전복을 주장했고, 파시즘과 볼셰비즘에 양면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아나코생디칼리즘과 파시즘에 영향을 미쳤다.
  • 에콜 폴리테크니크 동문 - 알프레드 드레퓌스
    알프레드 드레퓌스는 독일 군사 기밀 판매 혐의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나 재심을 통해 무죄 판결을 받고 복권된 프랑스 육군 장교이다.
앙리 베크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앙리 베크렐 사진 (폴 나다르 촬영)
앙리 베크렐 (폴 나다르 촬영)
출생 이름앙투안 앙리 베크렐
출생 장소파리, 프랑스 제2제국
사망 장소르크루아시크, 페이드라루아르, 프랑스 제3공화국
가족베크렐
아버지에드몽 베크렐
조부앙투안 세자르 베크렐
자녀
앙리 베크렐 서명
앙리 베크렐 서명
학력
모교에콜 폴리테크니크
국립 토목학교
박사 지도교수샤를 프리델
학위 논문 제목빛의 흡수에 관한 연구 (Recherches sur l'absorption de la lumière)
학위 논문 URL빛의 흡수에 관한 연구 (Recherches sur l'absorption de la lumière)
학위 취득 년도1888년
경력
직장프랑스 국립 공예원
에콜 폴리테크니크
프랑스 국립 자연사 박물관
업적
주요 업적방사능 발견
수상
수상 내역럼퍼드 메달 (1900년)
노벨 물리학상 (1903년)
바나드 과학 공로 훈장 (1905년)
왕립 학회 회원 (1908년)
참고 정보
박사 학위 학생마리 퀴리
분야물리학, 화학

2. 생애

앙리 베크렐은 파리의 저명한 과학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앙투안 세자르 베크렐과 아버지 알렉상드르 에드몽 베크렐 역시 과학자였으며, 아들 장 베크렐Jean Becquerelfra도 물리학자의 길을 걸었다. 그는 리세 루이르 그랑, 에콜 폴리테크니크, 국립 토목 학교 등 여러 교육 기관에서 과학과 공학을 공부했다.

1908년, 프랑스 브르타뉴 지방의 Le Croisic|르 크로아지크fra에서 55세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방사능의 SI 단위는 그의 이름을 딴 베크렐(Bq)로 명명되었다.

2. 1. 가족 및 교육

베크렐은 프랑스 파리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할아버지인 앙투안 세자르 베크렐(과학자), 아버지인 알렉상드르 에드몽 베크렐(형광광화학 연구자), 그리고 아들인 장 베크렐까지 4대에 걸쳐 저명한 물리학자를 배출했다.[5]

앙리의 할아버지 앙투안 세자르 베크렐의 초상, 앙투안-장 그로


그는 파리의 예비 학교인 리세 루이르그랑에서 교육을 시작했으며,[5] 이후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자연과학을, 국립 토목 학교에서 공학을 공부했다.[6]

2. 2. 경력

리세 루이르 그랑과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자연과학을, 국립 토목 학교에서 공학을 배웠다.

앙리 베크렐의 초기 경력은 1892년 국립 자연사 박물관(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의 물리학 교수직을 맡으면서 시작되었는데, 이는 그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이어 가족 중 세 번째로 해당 직책을 맡은 것이었다. 1894년에는 교량 및 고속도로부의 수석 엔지니어가 되었다. 베크렐의 초기 연구는 박사 학위 논문 주제이기도 했던 빛의 평면 편광, 인광, 그리고 결정에 의한 빛의 흡수 현상에 집중되었다.[7] 또한 경력 초기에 지구 자기장을 연구하기도 했다.[7] 1895년에는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교수로 임명되었다.[8]

베크렐의 자발적 방사능 발견은 우연의 일치, 즉 '준비된 마음에 찾아오는 행운'의 유명한 사례이다. 그는 오랫동안 한 색의 빛을 쬔 물체가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인광 현상에 관심을 가져왔다. 1896년 초,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이 1월 5일에 X선을 발견하면서 과학계에 큰 흥분이 일었다. 뢴트겐은 실험 중 크룩스관에서 검은 종이를 투과하는 새로운 종류의 보이지 않는 선, 즉 X선이 방출됨을 발견했다.[9] 베크렐은 1월 20일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의에서 동료 앙리 푸앵카레가 뢴트겐의 논문을 발표하는 것을 들으며 이 발견을 알게 되었다.[10] 그는 자신이 연구하던 인광 현상과 뢴트겐의 X선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 생각했고[9], 인광 물질이 밝은 햇빛에 노출되면 X선과 유사한 투과성 방사선을 방출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그는 실험을 위해 여러 우라늄 염을 포함한 다양한 인광 물질을 준비했다.[10]

1896년 2월 첫 주 동안, 베크렐은 동전 등으로 일부를 가린 사진건판을 두꺼운 검은 종이로 감싸고, 그 위에 인광 물질을 올려 햇빛에 몇 시간 동안 노출시키는 실험을 진행했다. 현상된 건판에는 예상대로 물체의 그림자가 나타났다. 그는 2월 24일에 이 초기 결과를 보고했다. 그러나 2월 26일과 27일은 날씨가 흐려 실험을 진행할 수 없었고, 베크렐은 준비된 건판을 어두운 서랍 속에 보관했다. 3월 1일, 그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서랍 속 건판을 현상했고 놀라운 결과를 발견했다. 햇빛에 노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건판에는 물체의 그림자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이다. 이 발견의 순간에는 윌리엄 크룩스와 베크렐의 18세 아들 장 베크렐도 함께 있었다.[10]

1896년 5월까지 비인광성 우라늄 염을 사용한 추가 실험을 통해, 그는 이 투과성 방사선이 외부 에너지원의 자극 없이 우라늄 자체에서 방출된다는 정확한 결론을 내렸다.[11] 이 발견은 이후 토륨 역시 방사성을 띤다는 사실의 규명과, 마리 퀴리피에르 퀴리 부부에 의한 폴로늄라듐 발견으로 이어지는 등 방사능 연구의 기폭제가 되었다. 베크렐 자신도 방사능 연구에 몰두하여 1896년에만 7편의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6] 그는 추가 실험을 통해 방사선이 자기장 속에서 휘어지는 현상을 관찰했고, 방사성 물질에 따라 방사선이 다른 방향으로 휘거나 전혀 휘지 않는다는 사실로부터, 방사선에는 음전하, 양전하, 그리고 전기적 중성의 세 종류가 있음을 밝혀냈다.[12]

흥미롭게도, 방사능 현상은 베크렐보다 약 40년 앞선 1857년에 발견될 뻔했다. 미셸 외젠 슈브뢰이 밑에서 사진술을 연구하던 아벨 니에프스 드 생빅토르는 우라늄 염이 사진 유제를 검게 만드는, 즉 감광시키는 방사선을 방출한다는 사실을 관찰했다.[13][14] 1861년까지 니에프스 드 생빅토르는 우라늄 염이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방사선"을 생성한다는 것을 깨달았다.[15] 니에프스 드 생빅토르는 앙리 베크렐의 아버지인 알렉상드르 에드몽 베크렐을 알고 지냈으며, 에드몽은 1868년 자신의 저서 ''La lumière: ses causes et ses effets'' (빛: 그 원인과 효과) 2권 50페이지에서, 니에프스가 햇빛에 노출된 일부 물질, 특히 질산 우라늄과 같이 빛에 쉽게 변하는 물질로 덮인 표면이 어둠 속에서도 사진건판을 감광시킬 수 있음을 관찰했다고 언급했다.[16]

아버지 알렉상드르 에드몽 베크렐과 할아버지 앙투안 세자르 베크렐 모두 과학자였으며, 아들 장 베크렐 역시 물리학자였다.

1908년 브르타뉴의 르 크로아지크(Le Croisic프랑스어)에서 55세의 나이로 급사했다. 그의 사인은 마리 퀴리와 마찬가지로 방사선 노출로 인한 방사선 장애로 추정된다.

오늘날 방사능의 SI 단위인 베크렐(Bq)은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2. 3. 방사능 발견

뢴트겐이 1895년 11월 X선을 발견한 것은 과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9] 1896년 1월, 앙리 푸앵카레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의에서 뢴트겐의 논문을 소개했고, 이때 베크렐은 X선 발견 소식을 접했다.[10] 푸앵카레는 베크렐에게 "X선이 형광을 발생시킨다면, 형광으로부터 어떤 방사선이 발생할지도 모른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당시 베크렐은 아버지 에드몽 베크렐의 뒤를 이어 인광과 형광 현상을 연구하고 있었기에, 자연스럽게 이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9] 그는 인광 물질이 밝은 햇빛에 노출되면 X선과 유사한 투과력을 가진 방사선을 방출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실험에 착수했다.[10]

베크렐은 사진 건판을 두꺼운 검은 종이로 감싸 빛을 차단한 뒤, 그 위에 인광 물질(주로 우라늄 염)을 올려놓고 햇빛에 노출시키는 실험을 반복했다. 1896년 2월, 그는 햇빛에 노출된 우라늄 염이 검은 종이를 투과하여 사진 건판을 감광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학계에 보고했다.[17][18] 처음에는 햇빛이 인광 물질을 자극하여 X선과 같은 방사선이 방출된다고 생각했다.

베크렐 실험실


그러나 결정적인 발견은 우연한 계기로 이루어졌다. 1896년 2월 말, 파리는 며칠간 흐린 날씨가 계속되어 베크렐은 햇빛을 이용한 실험을 할 수 없었다. 그는 실험 준비물(우라늄 염과 검은 종이로 싼 사진 건판)을 서랍 속에 넣어두었다. 며칠 뒤인 3월 1일, 실험을 재개하기 전에 서랍 속 사진 건판을 현상해 보았는데, 햇빛을 전혀 쬐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우라늄 염 자리에 선명한 상이 현상되었다.[10][19][20] 이는 우라늄 염 자체가 외부 에너지원(햇빛) 없이도 스스로 눈에 보이지 않는 투과성 방사선을 방출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그는 이 현상이 인광과는 다른 새로운 현상임을 직감했다. 비록 우연한 계기로 발견했지만, 이는 인광 현상에 대한 그의 깊은 이해와 꾸준한 연구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성과였다.

1896년 5월까지 추가 실험을 통해, 베크렐은 이 방사선이 우라늄 자체에서 기인하며, 사진 작용, 형광 작용, 공기 전리 작용 등의 성질을 가짐을 밝혀냈다.[11] 그는 이 새로운 방사선에 '베크렐선'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베크렐의 발견은 마리 퀴리피에르 퀴리 부부에게 큰 영감을 주었으며, 이들은 곧 토륨에서도 비슷한 현상을 발견하고 '방사능'이라는 용어를 정의했다. 이후 폴로늄, 라듐 등 새로운 방사성 원소들이 연이어 발견되었다.[6]

베크렐은 방사능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03년 퀴리 부부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방사능의 세기를 나타내는 SI 단위는 베크렐(Bq)로 명명되었다.

흥미롭게도, 방사능 현상은 베크렐보다 약 40년 전인 1857년, 사진술을 연구하던 아벨 니에프스 드 생빅토르에 의해 관찰될 뻔했다. 그는 우라늄 염이 사진 유제를 감광시키는 방사선을 방출한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이 현상의 중요성을 깊이 파악하지는 못했다.[13][14] 앙리 베크렐의 아버지인 에드몽 베크렐도 니에프스의 관찰 결과를 알고 있었고, 자신의 저서에 이를 언급하기도 했다.[16]

2. 4. 말년

1900년, 베크렐은 베타 입자의 성질을 측정하여 핵에서 나오는 고속 전자와 같은 값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했다.[6][21] 1901년에는 방사능이 의학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발견했는데, 이는 조끼 주머니에 넣어둔 라듐 조각 때문에 화상을 입은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이 발견은 훗날 암 치료에 사용되는 방사선 치료의 개발로 이어졌다.[6] 1908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회장으로 선출되었으나, 같은 해 8월 25일 프랑스 Le Croisic|르 크루아지크프랑스어에서 55세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7] 공식적인 사인은 심장 마비로 알려졌지만,[10] 방사성 물질 취급으로 인한 심각한 피부 화상[22]이나 마리 퀴리와 마찬가지로 방사선 장애가 원인일 수 있다는 추측도 있다. 방사능의 SI 단위인 베크렐 (Bq)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업적

형광, 광화학 등을 연구한 아버지 에드몽 베크렐의 영향을 받아 자연스럽게 연구의 길에 들어섰다. 그는 인광 및 형광 현상을 연구하던 중, 1895년 11월 독일의 뢴트겐이 X선을 발견했다는 소식을 접했다. 베크렐의 동료였던 푸앵카레는 뢴트겐의 논문을 베크렐에게 건네며, X선이 형광을 발생시킨다면 형광 물질 자체에서도 어떤 방사선이 나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에 베크렐은 모든 발광물질이 X선을 방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자 했다.

베크렐은 불투명한 종이로 사진 건판을 감싸고 그 위에 인광물질 결정을 올려놓은 뒤, 인광물질에서 나오는 빛이 사진 건판을 감광시키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시작했다. 햇빛에 노출시킨 적이 있는 인광물질은 실제로 사진 건판을 감광시켰으나, 햇빛을 쬐지 않은 인광물질은 감광시키지 못했다. 이를 통해 인광 현상 자체는 X선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잠정적인 결론을 내렸다.

1896년 2월, 베크렐은 자신의 초기 실험 결과를 과학아카데미에 발표했다. 그러던 중 예상치 못한 발견을 하게 된다. 흐린 날씨 때문에 실험을 잠시 중단하고, 햇빛에 노출시키지 않은 우라늄 염(황산 칼륨 우라늄 염)을 검은 종이에 싸서 사진 건판과 함께 서랍 안에 넣어두었다. 며칠 뒤 실험을 재개하기 전에 확인해 보니, 빛에 노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진 건판 위에 우라늄 염의 형상이 뚜렷하게 감광되어 있었다.

이 발견에 다시 몰두한 베크렐은 1896년 5월, 우라늄 염 자체가 눈에 보이지 않는 특수한 광선을 방출하여 사진 작용, 형광 작용, 그리고 공기를 이온화시키는 작용(전리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광선은 뢴트겐이 발견한 X선과 유사한 성질을 가졌지만, 외부 에너지원 없이 물질 자체에서 방출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베크렐은 이 새로운 광선에 '베크렐선'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는 방사성 물질에서 방사선이 처음으로 확인된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베크렐선의 발견은 과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2년 후, 피에르 퀴리마리 퀴리 부부는 베크렐의 연구를 바탕으로 자연계에 베크렐선과 유사한 현상을 보이는 다른 원소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고, 이러한 성질에 '방사능'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또한 퀴리 부부는 우라늄의 농도에 따른 방사선의 세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토륨, 폴로늄, 라듐과 같은 새로운 방사성 원소를 연이어 발견했다.

베크렐은 방사선 발견의 선구적인 공로를 인정받아 1903년 퀴리 부부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의 위대한 업적을 기리기 위해 국제단위계(SI)에서는 방사능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그의 이름인 '베크렐'(Bq)을 사용하고 있다.

4. 수상

베크렐의 사진 건판. 우라늄 염의 방사선에 노출되어 포그 현상이 나타났으며, 건판과 염 사이에 놓인 금속 몰타 십자의 그림자가 보인다.


1889년, 베크렐은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그는 다양한 상과 영예를 안았다.

주요 수상 내역
연도상훈명수여 기관/사유
1900럼퍼드 메달왕립 학회 (우라늄의 방사능 발견)[23]
1900레지옹 도뇌르 훈장 장교프랑스 정부[7]
1901헬름홀츠 메달베를린-브란덴부르크 과학 인문 아카데미[24]
1903노벨 물리학상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자발적 방사능 발견 공로, 피에르 퀴리, 마리 퀴리와 공동 수상)[7]
1905버나드 메달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26]



또한 1902년 미국철학회 회원,[25] 1908년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ForMemRS)으로 선출되었다.[1] 생전에 린체이 아카데미베를린 왕립 아카데미의 회원이기도 했다.[7]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서는 1906년 부회장으로 선출되었고, 1908년 사망한 해에 종신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27]

그의 업적을 기려 여러 대상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방사능의 SI 단위인 베크렐(Bq)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28] 달에는 베크렐 충돌구가 있으며,[29] 화성에도 베크렐 충돌구가 있다.[30] 우라늄 기반 광물인 베크렐라이트[31]소행성 6914 베크렐[32] 역시 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5. 기타

연도수상 내역
1900Rumford Medal
1901Helmholtz Medal
1903노벨 물리학상
1905Barnard Medal


  • 방사능에 관한 SI 단위인 베크렐(Bq)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 달과 화성에 그의 이름을 딴 '베크렐 분화구'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2] 웹사이트 Becquerel, Henri, 1852–1908 https://history.aip.[...] history.aip.org 2022-04-17
[3] 서적 Becquerel http://www.dictionar[...]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4] 웹사이트 The Discovery of Radioactivity https://web.archive.[...] 2012-05-28
[5] 서적 Henri Becquerel Great Neck Publishing 2006
[6] 웹사이트 Henri Becquerel https://www.nobelpri[...] Nobel Prize 2019-07-15
[7] 웹사이트 Henri Becquerel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8] 웹사이트 Henri Becquerel – Nuclear Museum https://ahf.nuclearm[...] 2023-07-10
[9] 웹사이트 American Physical Society https://www.aps.org/[...] 2008-03
[10] 서적 Inward bound: of matter and forces in the physical world Clarendon Press [u.a.] 2002
[11] 학술지 This month in physics history March 1, 1896 Henri Becquerel discovers radioactivity http://www.aps.org/p[...] 2008-03
[12] 웹사이트 The Discovery of Radioactivity http://www2.lbl.gov/[...] 2000-08-09
[13] 간행물 Mémoire sur une nouvelle action de la lumière https://books.google[...] 1857
[14] 간행물 Deuxième mémoire sur une nouvelle action de la lumière http://visualiseur.b[...] 1858
[15] 웹사이트 The man who Discover the world http://famousinfomat[...] 2018-04-13
[16] 서적 La lumière: ses causes et ses effets https://books.google[...] F. Didot 1868
[17] 학술지 Sur les radiations émises par phosphorescence http://gallica.bnf.f[...]
[18] 학술지 Sur les radiations émises par phosphorescence http://web.lemoyne.e[...] 2019-03-02
[19] 학술지 Sur les radiations invisibles émises par les corps phosphorescents https://gallica.bnf.[...]
[20] 학술지 Sur les radiations invisibles émises par les corps phosphorescents http://web.lemoyne.e[...] 2019-03-02
[21] 웹사이트 Henri Becquerel – Biography, Facts and Pictures https://www.famoussc[...] www.famousscientists.org 2018-03-06
[22] 뉴스 Benchmarks: Henri Becquerel discovers radioactivity on February 26, 1896 https://www.earthmag[...] 2018-04-13
[23] 웹사이트 Rumford Medal https://royalsociety[...] royalsociety.org 2018-03-12
[24] 웹사이트 Henri Becquerel http://www.nndb.com/[...] www.nndb.com 2018-04-25
[25]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search.amphilsoc.org 2021-05-19
[26] 웹사이트 Becquerel, Henri, 1852–1908 https://history.aip.[...] history.aip.org 2018-03-12
[27] 학술지 Antoine Henri Becquerel (1852–1908): a scientist who endeavored to discover natural radioactivity 2015-01
[28] 웹사이트 BIPM – Becquerel https://web.archive.[...] www.bipm.org 2018-04-13
[29] 웹사이트 Planetary Names: Crater, craters: Becquerel on Moon https://web.archive.[...] planetarynames.wr.usgs.gov 2018-04-13
[30] 웹사이트 Planetary Names: Crater, craters: Becquerel on Mars https://web.archive.[...] planetarynames.wr.usgs.gov 2018-04-13
[31] 웹사이트 Becquerelite: Becquerelite mineral information and data. https://www.mindat.o[...] www.mindat.org 2018-04-13
[32]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https://link.springe[...] Springer 2003
[33] 웹사이트 放射線防護に用いる量と単位~第1回 ベクレル~ https://www.kantei.g[...] 首相官邸ホームページ 2020-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