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앨버트 블라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앨버트 블라이스는 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인이다. 그는 1942년 공수 부대에 입대하여 유럽 전선에 참전했으며,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카랑탕 전투에 참여하여 부상을 입었다. 이후 한국 전쟁에도 참전하여 동성 훈장과 은성 훈장을 받았다. 블라이스는 1967년 임무 수행 중 독일에서 사망했으며, HBO의 미니시리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 등장하여 그의 삶이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밴드 오브 브라더스 등장인물 - 로버트 싱크
    로버트 싱크는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인으로, 제506 공수보병연대장으로서 주요 작전을 지휘했으며, 그의 공적을 기리는 기념물과 미디어 묘사가 존재한다.
  • 밴드 오브 브라더스 등장인물 - 리처드 윈터스
    리처드 윈터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 이지 중대의 소대장으로 주요 전투에 참여하여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으며, 《밴드 오브 브라더스》를 통해 알려졌고, 종전 후에는 사업가로 활동했다.
  • 미국 육군공수학교 동문 - 박종규 (1930년)
    박종규는 5·16 군사정변에 참여하고 박정희 대통령의 경호실장을 지낸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대통령 경호실장으로서 박정희 정권의 안정에 기여, 국회의원 당선, 경남대학교 설립 관여, 대한체육회 회장 역임, 서울올림픽 유치 기여 등의 활동을 했으나, 과격한 행동으로 논란을 일으키고 부정축재 혐의로 정계 은퇴 후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 미국 육군공수학교 동문 - 존 A. 위컴 주니어
    존 A. 위컴 주니어는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4성 장군으로, 1983년부터 1987년까지 미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으며 주한미군사령관으로서 한국의 정치적 긴장 완화에 기여했으나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작전통제권 이양 승인 결정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미국 육군포병학교 동문 - 이기백 (1931년)
    대한민국의 육군 대장 출신 군인이자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인 이기백은 아웅산 묘역 폭탄 테러 당시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 생존, 평화의 댐 건설을 주도했으나, 금강산댐 과장 보도 논란과 5·18 민주화운동 관련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으로 비판받았으며, 군 주요 직책과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거쳐 예편 후 보수 정당에서 정치 활동을 했다.
  • 미국 육군포병학교 동문 - 이희성 (1924년)
    이희성(1924년~2022년)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무직공무원으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군수사령부 정보참모, 사단장, 국방부 기획국장, 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중앙정보부 부장서리,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등을 지냈으며, 12·12 군사반란 당시 신군부 세력에 협조하여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는 등 신군부 집권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앨버트 블라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2년 캠프 토코아에서 앨버트 블라이스
1942년 캠프 토코아에서 앨버트 블라이스
별명Al(알)
출생일1923년 6월 25일
출생지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사망일1967년 12월 17일
사망 장소서독 비스바덴
안장 장소알링턴 국립묘지
배우자케이 ()
자녀고든 ()
군 복무 정보
소속미국 육군
복무 기간1942년 ~ 1967년
최종 계급[[파일:Army-USA-OR-08b.svg|22px]] 상사
소속 부대제101공수사단, 506낙하산보병연대, 2대대, E중대
제187공수연대전투단
주요 참전 전투/전쟁제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전투
한국 전쟁
서훈 내역은성 훈장
동성 훈장(3)
퍼플 하트(3)
기타 정보
웹사이트


2. 생애

앨버트 블라이스는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고등학교 3학년을 마친 후 1942년 8월 18일 고향에서 공수 부대에 입대했다.[5]

2. 1. 초기 생애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고 자랐다.[5] 고등학교 3학년을 마친 후, 1942년 8월 18일 고향에서 공수 부대에 입대했다.[5]

2. 2. 제2차 세계 대전

앨버트 블라이스는 1942년 8월 조지아주 토코아 훈련소에서 허버트 소벨 대위의 지휘 아래 훈련을 받았다. 블라이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대규모 공수 작전의 일환으로 점령된 프랑스로 강하했으나, 착륙 지점에서 길을 잃었다. 이후 낙하에 실패한 다른 공수부대원들과 합류하여 함께 팀을 이루어 이지 중대를 찾았다.

1944년 10월 1일, 블라이스는 부상으로 인해 유럽 전선으로 돌아가지 않았다.[2] 1945년 10월 8일 육군 병원에서 퇴원했으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말에 발급된 그의 전역 서류로 확인되었다. 제101공수사단 협회의 첫 번째 연례 동창회에 참석했으며,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로 돌아가 웨스팅하우스 전기에서 경력을 시작했다.

2. 2. 1. 노르망디 상륙 작전

스티븐 앰브로즈의 실화 소설을 바탕으로 한 HBO의 미니시리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 앨버트 블라이스는 제101공수사단, 506낙하산보병연대, 2대대, E중대의 일원으로 등장한다. 블라이스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의 일환으로 독일군에게 점령된 프랑스 노르망디에 강하했지만, 착륙 후 자신이 혼자 고립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얼마 후, 블라이스는 자신처럼 낙하에 실패한 다른 공수부대원들과 합류했고, 이들은 함께 생 메르꾸르까지 이동하여 이지 중대를 찾았다.[6]

마크 워렌이 연기한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 블라이스는 카랑탕 전투를 격렬하게 치른 후 일시적인 신경성 실명 증세를 보였다.[6] 그는 회복하여 며칠 후 농가를 수색하는 순찰대에 참여했다가 저격수의 총에 맞아 쇄골을 관통하는 부상을 입었다.[7] 그는 부상에서 회복했고[7] 1944년 6월 25일 퍼플 하트 훈장을 받았다.[8]

2. 2. 2. 카랑탕 전투와 부상

스티븐 앰브로즈의 실화 소설을 바탕으로 한 HBO 미니시리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 앨버트 블라이스는 카랑탕 전투를 격렬하게 치른 후 일시적인 신경성 실명 증세를 보였다.[6] 회복 후 며칠 뒤 농가를 수색하는 순찰대에 참여했다가 저격수의 총에 맞아 쇄골을 관통하는 부상을 입었다.[7] 블라이스는 이 부상으로 1944년 6월 25일 퍼플 하트 훈장을 받았다.[8]

2. 3. 한국 전쟁 참전과 이후

블라이스는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제187 공수 연대 전투단 소속으로 복무했으며, 적진 뒤에 뛰어들어 중국 대대에게 포위된 공로로 동성 훈장과 은성 훈장을 받았다.[9] 이후 군사 지원 자문단에 배속되어 타이완에서 근무했다. 그는 군 복무에서 은퇴하지 않았다.

2. 4. 사망

블라이스는 1967년 12월 17일 독일 바이스바덴 공군 병원에서 임무 수행 중 사망했다.[1] 그는 바스토뉴에서 열린 벌지 전투 기념식에 참석하고 돌아온 주말부터 몸에 이상을 느꼈다.[1] 1967년 12월 11일, 블라이스는 응급실로 이송되어 천공성 궤양 진단을 받고 입원했다.[1] 12월 12일 응급 수술을 받았으나, 12월 16일 복막염으로 발전했고, 결국 12월 17일 신부전증으로 악화되어 사망했다.[1] 군종 목사 토머스 F. 데챔프 소령의 지휘 아래 추모식이 열렸고,[1] 블라이스는 12월 28일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1]

3.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의 묘사

스티븐 앰브로즈의 실화 소설을 바탕으로 한 HBO 미니시리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 앨버트 블라이스는 제101공수사단 506낙하산보병연대 E중대 소속으로 묘사된다. 세 번째 에피소드 "카랭탕"에서 영국 배우 마크 워렌이 앨버트 블라이스 역을 맡았다.

블라이스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강하했지만, 자신이 고립되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이후 잘못 강하한 다른 공수부대원들과 합류하여 생 메르꾸르에서 이지 중대를 찾는다.

작품에서 블라이스는 카렝탕 점령 전투 중 히스테리성 시각 장애를 겪는 것으로 그려진다. 회복 후 정찰 임무 중 저격수의 총에 맞아 퍼플 하트 훈장을 받는다.

3. 1. 드라마와 실제의 차이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 앨버트 블라이스는 카렝탕 점령 전투 중 히스테리성 시각 장애를 겪고, 며칠 뒤 정찰 중 저격수의 총에 맞아 퍼플 하트 훈장을 받는 것으로 묘사된다.[10] 미니시리즈 제작 당시 이지 중대 퇴역 군인들은 인터뷰에서 블라이스가 부상에서 회복하지 못하고 1948년 필라델피아에서 사망했다고 기억했다.[10] 그러나 밴드 오브 브라더스 방영 이후 블라이스의 가족들은 블라이스가 오른쪽 어깨에 총상을 입었으며 회복 후 제101공수사단 친목회에도 참석했고, 600회가 넘는 공수 강하를 했으며 타이완에서 군사 고문단 임무도 수행했다고 밝혔다.[10]

드라마 3화 "카랑탕" 마지막 화면에는 블라이스가 "노르망디에서 입은 부상에서 회복하지 못했다"고 하며 1948년에 사망했다는 언급이 나오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10] 다른 이지 중대 참전 용사들이 그의 행방을 알지 못해 1948년에 사망했다고 믿었기 때문에 발생한 오류였다.[10] 스티븐 앰브로스는 참전 용사들의 기억을 바탕으로 이를 자신의 저서에 기록했으나, 블라이스 가족의 반박으로 이후 판에서 수정되었다.[10] 그러나 드라마 시리즈와 DVD, 블루레이 디스크는 수정되지 않아 여전히 잘못된 정보를 담고 있다.[10]

참조

[1] 웹사이트 Blithe's DA-638 Recommendation for Award http://www.arlington[...]
[2] 웹사이트 MSG Albert Blithe http://www.506infant[...] Currahee 2007-10-24
[3] 웹사이트 Albert Blithe in the U.S. Social Security Death Index, 1935-2014 https://www.ancestry[...] 2024-11-30
[4] 서적 A Company of Heroes Penguin 2020-03-03
[5] 웹사이트 NARA – AAD – Display Full Records – Electronic Army Serial Number Merged File, ca. 1938 – 1946 (Enlistment Records) https://aad.archives[...] 2016-09-13
[6] 문서 Ambrose, p. 98
[7] 문서 Ambrose, p. 103
[8] 웹사이트 Band Of Brothers: "Carentan" https://www.avclub.c[...] The A.V. Club 2014-04-16
[9] Youtube Maj. Dick Winters on Albert Blithe SURVIVING World War II (Band of Brothers) https://www.youtube.[...]
[10] 웹사이트 How Band Of Brothers Changed Blithe's Death (What Really Happened) https://screenrant.c[...] 2021-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