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등학교는 초등학교와 대학교 사이의 중등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이다. 미국은 주 및 학구별로 다양한 학제를 가지며, 5-3-4제가 일반적이다. 19세기에는 직업 준비 교육 기능이 추가되었고, 20세기 초에는 주니어 하이스쿨과 시니어 하이스쿨로 구분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1940년대에는 의무 교육 연한 연장과 직업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1950년대에는 과학 기술 교육이 강화되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의 여러 국가에서도 각기 다른 중등 교육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등학교 - 성인 학교
성인 학교는 성인의 문해력 향상 및 직업 교육 등을 위해 설립된 교육 기관이며, 1798년 영국에서 최초로 시작되어 초기에는 여성 노동자를 대상으로 성경 읽기 교육을 제공했다. - 교육 단계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교육 단계 - 입학
입학은 학교나 교육 기관에 학생이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국은 다양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만 5세에서 7세까지 차이가 있으며 학년 시작 시기도 다르다. - 청소년 - 소년법원
소년법원은 만 10세 이상 19세 미만 범죄 소년에게 형사처벌 대신 건전한 성장과 사회 복귀를 목표로 교육적, 치료적 보호처분을 결정하는 기관으로, 최근 강력범죄 증가에 따른 실효성 및 제도 개선 논의가 진행 중이다. - 청소년 - 청소년 접근 제한
청소년 접근 제한은 청소년에게 유해하다고 판단되는 정보나 자료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것으로, 대한민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국가들은 관련 법률 및 조례에 따라 청소년 보호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규제의 실효성 논란과 표현의 자유 침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고등학교 | |
---|---|
고등학교 | |
개요 | |
정의 | 중등 교육 이후의 교육 기관 |
유형 | 공립학교 사립학교 종합학교 특수목적고등학교 |
교육 목표 | 대학 진학 준비 직업 교육 인격 함양 |
역사 | |
기원 | 라틴어 "schola" (학교)에서 유래 |
미국 | 19세기 후반 등장, 중등학교 체계 일부 |
국가별 고등학교 | |
한국 | 고등학교 (중학교 졸업 후 진학) |
일본 | 고등학교 (중학교 졸업 후 진학) |
미국 | 고등학교 (보통 9학년~12학년) |
중국 | 고급중학 (초급중학 졸업 후 진학) |
기타 국가 |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 존재 |
교육 과정 | |
과목 |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외국어 예체능 선택 과목 |
활동 |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체육 활동 학교 행사 |
졸업 요건 | 학교별 차이 존재, 학점 이수 또는 시험 통과 필요 |
고등학교 졸업 후 | |
진로 | 대학교 진학 전문대학 진학 직업학교 진학 취업 |
고등 교육 | 대학, 전문대학 등 |
고등학교의 사회적 역할 | |
기능 | 사회 구성원 양성 지식 및 기술 습득 사회 통합 문화 전달 국가 발전 기여 |
고등학교의 문제점 | |
문제점 | 입시 경쟁 심화 교육 불평등 과도한 학업 부담 획일적인 교육 학생 인권 문제 |
참고 자료 | |
관련 문서 | 중학교 대학교 고등교육 의무교육 |
외부 링크 | 미국 교육부 대한민국 교육부 일본 문부과학성 |
2. 미국의 중등 교육 제도
미국은 주와 학구마다 교육 제도가 다양하여 전국적으로 통일된 교육 제도가 없다.[1][2] 중등 교육 제도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5-3-4제(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가 일반적이다.[2] 미국에서는 하이스쿨 자체가 학년 구성, 교수법, 교육 과정 편성, 교육 내용, 규율 등 여러 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는데, 이는 초등교육의 연장인지 고등교육의 모방인지에 대한 논쟁이었다.[2]
2. 1. 미국의 학제
미국에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교육 제도가 없고, 각 주, 심지어 학구에 따라서도 교육 제도가 다르다.[1][2]초등교육부터 중등교육까지의 학교 제도는 8-4제, 4-4-4제, 4-2-2-4제, 5-3-4제, 6-6제 등이 있지만, 미국 전체적으로는 5-3-4제(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가 일반적이다.[2] 버지니아 주 공립학교의 경우, 6-2-4제(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가 일반적이다.[1]
미국의 후기 중등교육에는 3년제 Senior High School(고등학교)이나 4년제 4-year High School(하이스쿨)이 있다.[2] 또한 중등교육을 일관해서 실시하는 6년제의 중고일관학교(Combined Junior Senior High School)도 있다.[2]
많은 하이스쿨은 보통과와 직업과를 병설하는 종합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직업기술 과정만을 두는 단과 하이스쿨도 존재한다.
2. 2. 미국의 중등 교육 역사
미국의 중등 교육은 19세기 초 English High School의 설립으로 시작되었다.[1] 이는 고전어 학습을 원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영어 중심의 일반 및 실용 교육을 제공하기 위함이었다.[1] 1821년 보스턴 영어 고전어 학교를 시작으로, 이러한 학교들은 점차 공립 고등학교로 발전했다.[1]2. 2. 1. 19세기
1820년대에는 초등 교육 기관과의 연계를 위한 중등 교육 기관으로 English High School이 설립되기 시작했다.[1] English High School은 고전어 학습을 원하지 않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를 중심으로 한 일반 교육 및 실용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이었다.[1] 1821년 보스턴 영어 고전어 학교(Boston English Classical School)를 시작으로 이러한 형태의 학교가 나중에 공립 고등학교로 발전했다.[1] 주립 대학교를 가진 주에서는 대학교육과의 연계도 중요하게 여겨져 고등학교의 교육과정도 고전어, 근대어, 영어, 과학 등 과목별로 나누어지고, 선택 과목을 도입하는 학교도 나타나기 시작했다.[2]남북 전쟁 이후, 산업 자본주의가 발달하면서 모든 청년에 대한 중등 교육 수요가 급증했고, 공립 고등학교는 대학 입학 준비 교육뿐만 아니라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청년을 위한 직업 준비 교육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되었다.[3]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대학 입학 연령 상승과 준비 교육 부족 등의 문제를 야기했고, 19세기 후반에는 대학 측에서 비판과 불만이 나오기 시작했다.[3] 이에 미국 교육 협회(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는 초등 교육과 중등 교육의 통일적인 학교 체계, 양자 간의 연계에 대해 연구·토의하여 초등 교육 단축이나 중등 교육의 교육 내용을 초등 교육으로 일부 옮기는 것을 권고했다.[3]
2. 2. 2. 19세기 말 ~ 20세기 초
1913년 미국 교육협회(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가 설치한 "교육에서의 시간 경제 위원회(Committee on the Economics of Time in Education)"는 보고서에서 중등교육 기간을 4년제와 2년제의 두 부문으로 나누는 것을 제시했다.[1] 이 위원회의 일원이었던 H. 수자로(Suzzaro, H.)는 12세부터 18세까지의 격차가 커짐에 따라 중등교육을 주니어 하이스쿨(Junior High School) 3년과 시니어 하이스쿨(Senior High School) 3년으로 나누는 것을 제안했다.[1]1918년에는 중등교육 개조위원회가 『중등교육의 근본 원리』를 발표했다.[2] 이 보고서는 중등교육을 주니어와 시니어로 구분하고, 주니어 시기에는 학생들이 각자 자신의 소양을 탐구하며, 시니어 시기에는 주니어 시기에 선택한 분야의 훈련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3]
2. 2. 3. 1940년대
1944년, 미국 교육협회 교육정책위원회는 '모든 미국 청년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All American Youth)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여, 의무교육 연한을 만 18세까지 연장하고 중등교육을 초급, 중급, 상급으로 나누어 중급까지의 고등학교 졸업자 중 희망자에게 상급 중등교육(후일 공립 단기대학인 커뮤니티 칼리지에 해당)을 제공할 것을 권고하였다.1945년, 연방교육국 직업교육부문의 심의회는 프로서 보고서(Prosser Report)를 채택하고, 고등학교 학생 중 직업기술훈련을 받는 20%와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20%를 제외한 60%의 학생들이 제도적으로 방치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들 학생들의 현실적인 요구를 충족하는 생활 적응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1947년부터 청년을 위한 생활 적응 교육 위원회(1950년부터 제2차 위원회)에서 프로서 보고서를 바탕으로 논의가 진행되어 중등교육에 관한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2. 2. 4. 1950년대
1956년, 대학입학시험위원회(CEEB)는 고등학교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학생들에게 대학 수준의 과정을 제공하고 과목별 시험과 학점 인정을 하는 특별 진급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1957년 스푸트니크 쇼크 이후에는 과학기술 경쟁 강화를 위해 능력주의적 경향이 더욱 강해졌다.[2] 1958년에는 국가방위교육법이 제정되어 과학, 수학, 외국어 교육 진흥, 중급 기술자 양성, 대학생 대출 장학금 및 대학원생 급여 장학금 등 교육에 대한 연방 지원이 대폭 확대되었다.[3]
2. 2. 5. 1960년대
미국 민권 운동이 1960년대를 중심으로 대규모로 전개되었다.[1] 1954년 연방 대법원의 브라운 판결에 의해 남부를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던 "분리되어 있으나 동등한"이라는 인종차별 정책은 부정되었고, 적어도 법률상의 차별은 사라졌다.[1] 존슨 행정부 하에서 1964년 경제 기회 법과 1965년 초등·중등 교육법 등이 제정되었으며, 초등·중등 교육법에서는 초등·중등 교육에 대한 연방 정부의 재정 지원이 강화되어 다양한 보상 교육이 실시되게 되었다.[1]1966년 연방 교육국이 발표한 콜먼 보고서에서는 교육 기회 균등을 둘러싼 인종차별 문제가 지적되었고, 공립학교에서의 사실상의 차별, 교육 시설 및 교직원의 자질 면에서의 약간의 차이, 표준 테스트에서의 중간 점수의 격차 등의 문제가 학생의 가정적 배경과 인근 사회의 경제적·문화적 환경의 차이에 그 요인이 있다고 결론지었다.[1] 연방 정부는 이러한 사실상의 차별에 대처하기 위해 백인과 흑인 학교의 페어 방식, 학구 재편, 통합 학구 제도, 자발적인 전학 장려 계획, 통학 시 버스 수송, 학교 통합 등을 추진했다.[2]
3. 아시아 지역의 중등 교육 제도
아시아 여러 국가의 교육 제도는 국가별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된다.
3. 1. 캄보디아
캄보디아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의 6-3-3 학제이다.[3]3. 2. 스리랑카
스리랑카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5년, 중학교 전기 과정 4년, 중학교 후기 과정 2년, 고등학교 2년의 5-4-2-2 제도이다.[3] 초중등 일관 교육도 있다.[3]3. 3. 필리핀
필리핀의 교육 제도는 초등 교육 6년, 중등 교육 4년, 고등 교육 4년의 6-4-4 제도이다.[4] 하이스쿨은 중등 교육 학교를 가리킨다. 공립학교의 중등 교육은 무상이다.[4]3. 4. 베트남
베트남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5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3년의 5-4-3 제도이다.[3]3. 5. 미얀마
미얀마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5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2년의 5-4-2 제도이다.[3]4. 아프리카 지역의 중등 교육 제도
아프리카 여러 국가의 교육 제도는 국가별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된다.
국가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이집트 | 6년 | 3년 | 3년 |
가나 | 6년 | 3년 | 3년 |
기니 | 6년 | 4년 | 3년 |
기니비사우 | 6년 | 4년 | 3년 |
잠비아 | 7년 | 2년 | 3년 |
짐바브웨 | 7년 | 4년 | 2년 |
탄자니아 | 7년 | 4년 | 2년 |
토고 | 6년 | 4년 | 3년 |
니제르 | 6년 | 4년 | 3년 |
부르키나파소 | 6년 | 4년 | 3년 |
4. 1. 이집트
이집트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Primary School) 6년, 중학교(Middle School) 3년, 고등학교(High school) 3년의 6-3-3제이다.[3]4. 2. 가나
가나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의 6-3-3 제도이다.[3]4. 3. 기니
기니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3년의 6-4-3 학제이다.[3]4. 4. 기니비사우
기니비사우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Primary School) 6년, 중학교(Middle School) 4년, 고등학교(High school) 3년의 6-4-3 제도이다.[3]4. 5. 잠비아
잠비아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7년, 중학교 2년, 고등학교 3년의 7-2-3 제도이다.[3]4. 6. 짐바브웨
짐바브웨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7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2년의 7-4-2 학제이다.[3]4. 7. 탄자니아
탄자니아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7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2년의 7-4-2 제도이다.[3]4. 8. 토고
토고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3년의 6-4-3 제도이다.[3]4. 9. 니제르
니제르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3년의 6-4-3 제도이다.[3]4. 10. 부르키나파소
부르키나파소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3년의 6-4-3 학제이다.[3]참조
[1]
웹사이트
世界の学校を見てみよう! アメリカ合衆国
https://www.mofa.go.[...]
外務省
2018-05-14
[2]
웹사이트
グローバル化時代の国際教育のあり方国際比較調査 第6章 アメリカの教育課程
https://www.jica.go.[...]
JICA
2018-05-28
[3]
웹사이트
各国の教育制度
http://www.plan-inte[...]
公益財団法人プラ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ジャパン
2018-05-28
[4]
웹사이트
世界の学校を見てみよう! フィリピン共和国
https://www.mofa.go.[...]
外務省
2018-05-28
[5]
텍스트
[6]
웹사이트
고등학교 (高等學校, senior high school)
https://terms.naver.[...]
하우동설
1995-06-2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고교 축구대회 응원 강제’ 진정에…인권위 “응원문화 개선해야”
중앙대, 2028학년도 대입 권장과목 발표
[8뉴스 예고] 특검, 김건희 구속기소…역대 영부인 최초
오늘의 SBS 8뉴스 예고 (8월 29일)
부산 한 고교에 폭발물 설치 협박 팩스…학생 500여 명 대피
인천 고교 2곳에도 ‘폭발물 설치’ 협박···“해당 학교 전교생 귀가”
서울 고교 7곳에 폭발물 설치 협박…일부 학교 대피
[자막뉴스] 이번엔 고등학교 6곳에 동시다발 팩스…"폭발물 설치" 협박에 학생 긴급 대피
[단독] ‘학생들이 규정 만들어’ ‘스스로 통제하길’···100개 초중고 스마트폰 사용 규정 보니
아들에게 쓰는 ‘나의 묘비명’
인천 모 고등학교 축구부 불법 찬조금 의혹…경찰 수사
‘기후우울’ 겪은 고3 수험생은 논문을 쓰기 시작했다
경남지역 고등학교 입학한 60대, “학생님이라 불러라”
고교 입학한 60대 '학생님'의 갑질…"무더기 학폭 신고까지"
고등학교 입학 후 3학년까지 줄곧 시험지 빼돌려 '전교 1등'
경북 안동서 벌어진 ‘시험지 절도’ 사건…학부모·행정실장·학생 송치
코로나로 떨어진 중고등생 학력 회복세…지역 간 격차는 여전
중3 학업성취도 ‘지역 격차’ 더 벌어졌다…‘갈등 해결’ 등 사회적 역량도 감소
잇따른 시험지 유출 시도…경북도교육청, 보안 강화 대책 마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