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프 더 호프 스헤퍼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프 더 호프 스헤퍼르는 네덜란드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2004년부터 2009년까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나 라이덴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한 그는 네덜란드 외무성에서 근무하며 외교관 경력을 쌓았다. 1986년 네덜란드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기독교 민주 시민 호소(CDA) 당 대표를 거쳐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네덜란드 외무부 장관을 지냈다. NATO 사무총장으로 재임하며 아프가니스탄에서의 NATO 작전을 지원하고,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의장직을 수행했다. 퇴임 후에는 학계와 기업 이사로 활동하며 다양한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 - 마르크 뤼터
마르크 뤼터는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하고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며, 자유민주국민당 대표를 지냈고, 긴축 재정 정책을 추진하다 2023년 사임했다.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 - 하비에르 솔라나
하비에르 솔라나는 스페인 사회노동당 출신으로 문화부 장관, 교육부 장관, 외무부 장관 등 주요 각료직을 역임하고 NATO 사무총장과 유럽 연합 공동 외교·안보 정책 고위대표를 지낸 스페인의 물리학자이자 정치인, 외교관이다. - 네덜란드의 외교관 - 후고 그로티우스
후고 그로티우스는 국제법의 아버지로 불리며, 자연법에 기초한 국제법을 주창하고 《전쟁과 평화의 법》 등의 저서를 통해 전쟁의 정당한 이유와 바다의 자유로운 이용을 주장했다. - 네덜란드의 외교관 - 피터 나이츠
피터 나이츠는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서 활동하며 호주 남부 해안 탐험, 네덜란드령 포르모사 총독, 주일 네덜란드 대사 등을 역임한 상인이자 외교관, 탐험가였으나, 타이오완 사건으로 불명예스럽게 해고된 후 고향에서 지역 행정관으로 활동했고 사후 그의 저서가 출판되었다. - 네덜란드의 정치인 - 드리스 판 아흐트
드리스 판 아흐트는 네덜란드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1977년부터 1982년까지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했으며, 법학 박사 학위 취득 후 변호사, 정부 관료, 하원 의원, 법무장관, 부총리, 기독교민주당 대표, 노르트브라반트 주지사, 유럽 연합 대사를 역임했고, 정계 은퇴 후에는 중동 문제 비판적 활동을 하다 2024년 사망했다. - 네덜란드의 정치인 - 아브라함 카이퍼
아브라함 카이퍼는 신칼뱅주의를 주창하고 영역 주권 사상을 발전시킨 네덜란드의 신학자이자 정치인, 언론인으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를 설립하고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했으며, 기독교적 가치관에 기초한 사회 보수주의를 주창하며 네덜란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야프 더 호프 스헤퍼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제11대 NATO 사무총장 |
임기 시작 | 2004년 1월 1일 |
임기 종료 | 2009년 8월 1일 |
이전 | 알레산드로 미누토-리초 (대행) |
이후 |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
직책 1 | 외무부 장관 |
임기 시작 1 | 2002년 7월 22일 |
임기 종료 1 | 2003년 12월 3일 |
총리 1 | 얀 페터 발케넨데 |
이전 1 | 요지아스 반 아르트센 |
이후 1 | 벤 보트 |
직책 2 | 기독교 민주당 아펠 대표 |
임기 시작 2 | 1997년 3월 27일 |
임기 종료 2 | 2001년 10월 1일 |
부대표 2 | 한스 힐렌 (1998–2001) 얀 페터 발케넨데 (2001) |
이전 2 | 에네위스 헤르마 |
이후 2 | 얀 페터 발케넨데 |
직책 3 | 지도자 기독교 민주당 아펠 하원에서 |
임기 시작 3 | 1997년 3월 27일 |
임기 종료 3 | 2001년 10월 1일 |
이전 3 | 에네위스 헤르마 |
이후 3 | 얀 페터 발케넨데 |
직책 4 | 의원 하원 |
임기 시작 4 | 1986년 6월 3일 |
임기 종료 4 | 2002년 5월 23일 |
출생 이름 | 야코프 헤이스버르트 더 호프 스헤퍼르 |
출생일 | 1948년 4월 3일 |
출생지 |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국적 | 네덜란드 |
정당 | 기독교 민주당 아펠 (1982년 이후) |
다른 정당 | 민주66 (1979–1982) |
배우자 | 제아니네 반 오르쇼트(1979년 결혼) |
자녀 | 딸 2명 |
거주지 | 헤이그 |
모교 | 레이던 대학교 (LL.B., LL.M.) |
직업 | 정치인 외교관 공공 서비스 법률가 기업 이사 비영리 이사 로비스트 교수 |
군대 | |
복무 기간 | 1974–1976 (징병) 1976–1978 (예비역) |
계급 | [[File:Netherlands-AirForce-OF-1b.svg|15px]] 소위 |
전투 | 냉전 |
2. 초기 생애 및 교육
야프 더 호프 스헤퍼르는 1948년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났다. 1961년 3월부터 1966년 4월까지 암스테르담에 있는 이그나티우스 김나지움에서 공부하였고, 1968년 6월 라이덴 대학교에 법학 전공으로 입학하여 1970년 6월 법학사 학위를, 1974년 7월 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4년 8월부터 1976년 9월까지 네덜란드 왕립 공군에 징병되어 소위로 복무했다.
야프 더 호프 스헤퍼르는 1948년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나 라이덴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네덜란드 공군에서 병역을 마친 후 예비역 장교가 되었고, 1976년부터 1986년까지 외무성에서 근무했다. 처음 2년 동안 가나 주재 네덜란드 대사관에서 근무했고, 이후 1980년까지 브뤼셀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본부 네덜란드 대표부에서 일했다.
3. 정치 경력
1982년 기독교 민주당 아펠(CDA) 당원이 되었고, 1986년 네덜란드 총선에서 네덜란드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당의 외교 문제 담당 대변인을 맡았다. 1997년부터 2001년까지는 기민당 상원 의원단을 이끌며 당 대표를 역임했다.
2002년 네덜란드 총선을 앞두고 당 의장 마르니크스 판 레이와의 권력 투쟁으로 당 대표직을 사임했다. 이후 얀 페테르 발케넨더가 당 대표 및 2002년 총선의 CDA 후보자 명단 1위가 되었다.
3. 1. 하원 의원 (1986-2002)
데 호프 스헤퍼르는 1979년부터 1982년까지 사회 자유주의 정당인 민주 66 (D66)의 당원이었으나, 이후 기독교 민주당 아펠 (CDA)로 당적을 변경했다. 1986년 1986년 네덜란드 총선에서 기독교 민주당 아펠 (CDA) 소속으로 네덜란드 하원 의원에 당선되어 1986년 6월 3일부터 의정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하원에서 개발 협력 위원회와 외무 위원회 의장을 맡았으며, 외무, 유럽 문제, NATO, 개발 협력 및 개발 원조 대변인을 역임했다.
3. 2. 기독교민주당 아펠 대표 (1997-2001)
에네우스 헤르마의 리더십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면서, 헤르마는 대표직과 하원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기민당 지도부는 데 호프 스헤퍼르를 후임 대표로 지명했고, 데 호프 스헤퍼르는 이를 수락하여 1997년 3월 27일 대표 겸 원내대표가 되었다.
1998년 총선에서 데 호프 스헤퍼르는 ''최고 후보''로 나섰으나, 기민당은 5석을 잃으며 하원 의석 29석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 2001년 10월 1일, 데 호프 스헤퍼르는 당 의장 마르닉스 판 라이와의 권력 다툼 끝에 대표직과 원내대표직에서 사임하고 2002년 총선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3. 3. 네덜란드 외무부 장관 (2002-2003)
2002년 네덜란드 총선에서 기독교민주당(CDA)이 승리하여 새로운 연립 정부 구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총리 발케넨더는 자신의 단명한 제1차 발케넨데 내각에서 더 호프 스헤퍼르를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했으며, 2003년 1월 22일 선거 이후 제2차 발케넨데 내각에서도 이 직책을 유지했다.
2003년 네덜란드의 외교 정책은 더 호프 스헤퍼르와 발케넨더에 의해 주로 결정되었다. 주요 외교 정책 결정은 이라크 자유 작전에 "정치적" 지원은 하되 "군사적" 지원은 하지 않는다는 형태로 모호하게 기여한 것이었다. 그러나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알무타나 남부 지역에서 이라크 안정화군의 일환으로 1,100명의 네덜란드 군인이 배치되었으며, 두 명이 전투 중 사망했다.[1]
2003년 야프 더 호프 스헤퍼르는 유럽 안보 협력 기구 의장직을 맡았다.[2]
4. NATO 사무총장 (2004-2009)
그는 2004년 1월 5일 제11대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이 되었으며,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이 직책을 맡았던 조지 로버트슨의 뒤를 이었다. 이 발표는 2003년 9월 22일에 이루어졌다.[3] 사무총장으로서 데 호프 스헤퍼르는 NATO 회원국들에게 아프가니스탄의 국제 안보 지원군과 같은 NATO 작전에 더 많은 기여를 할 것을 촉구했다.[4]
2008년 아프가니스탄 방문 중 준달라 지도자 압돌말렉 리기를 만났다는 의혹이 있었으나, 북대서양 조약 기구는 이를 부인했다.[8]
2009년 7월 21일, 데 호프 스헤퍼르는 심장 마비를 겪었다. 그는 혈관 성형술을 받았으며, 이후 안정적인 상태로 보고되었다.[9][10]
2009년 8월 1일, 안데르스 포그 라스무센이 그의 후임으로 취임하였다.
5. 퇴임 이후
2009년 9월 1일, 라이덴 대학교의 피터 코이만스 평화, 법률 및 안보 연구 석좌 교수로 임명되었다. 이 직책은 파트타임이며, 임기는 최대 3년이다.[11]
그는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직책들을 역임했다.
- 에어 프랑스-KLM 이사회 독립 이사[11]
- 바레인 전략, 국제 및 에너지 연구 센터(DERASAT) 국제 자문 위원회 위원[12]
- 유럽의 친구들 이사회 위원[13]
- 삼각위원회 유럽 그룹 위원[14]
- 네덜란드 내각 윤리 고문 (2024년 3월 시작)[15]
6. 서훈
훈장 | 국가 | 날짜 | 비고 |
---|---|---|---|
Nederland|네덜란드nl | 2002년 5월 22일 | ||
Nederland|네덜란드nl | 2003년 12월 12일 | ||
Nederland|네덜란드nl | 2009년 7월 6일 |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사무총장으로서의 공로 | |
България|불가리아bg | 2009년 | ||
![]() | Hrvatska|크로아티아hr | 2009년 2월 5일 |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국제적 지위 강화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크로아티아 공화국 간의 협력 증진에 대한 탁월한 공헌 |
Eesti|에스토니아et | 2009년 7월 6일 | ||
Italia|이탈리아it | 2009년 2월 16일 | ||
![]() | Latvija|라트비아lv | 2004년 11월 | 유럽 통합에 대한 헌신 |
Lietuva|리투아니아lt | 2009년 6월 26일 | ||
Polska|폴란드pl | 2009년 3월 12일 | ||
România|루마니아ro | 2004년 5월 10일 | ||
Slovensko|슬로바키아sk | 2009년 | ||
Slovenija|슬로베니아sl | 2009년 |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2010년 2월 10일 |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대한 공로 |
참조
[1]
웹사이트
NATO - Biography Jaap de Hoop Scheffer
http://www.nato.int/[...]
[2]
웹사이트
Distinguished Fellows
https://www.universi[...]
2022-09-28
[3]
웹사이트
New Secretary General takes up office
http://www.nato.int/[...]
NATO
2004-01-07
[4]
뉴스
Nato boss pleads for Afghan focus
http://news.bbc.co.u[...]
BBC
2004-06-19
[5]
간행물
Is the world too big to fail?
http://www.salon.com[...]
Salon.com
2011-04-21
[6]
뉴스
Canada should stay in Afghanistan past 2009, NATO chief says
https://www.cbc.ca/n[...]
CBC News
2007-06-21
[7]
뉴스
Canada should stay in Afghanistan past 2009, NATO chief says
https://www.cbc.ca/n[...]
CBC News
2007-06-21
[8]
뉴스
Iran arrests most wanted man after police board civilian flight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0-02-23
[9]
웹사이트
http://www.ad.nl/bin[...]
[10]
웹사이트
De Hoop Scheffer gaat goed vooruit
http://www.nu.nl/alg[...]
2009-07-22
[11]
웹사이트
Board of Directors
https://www.airfranc[...]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Advisory Board
http://www.derasat.o[...]
[13]
웹사이트
Board of Trustees
https://friendsofeur[...]
[14]
문서
Trilateral Commission membership list of March 2017
http://trilateral.or[...]
[15]
뉴스
Oud-ministers Sorgdrager en De Hoop Scheffer vertrouwensfunctionarissen kabinetsleden
https://nos.nl/artik[...]
2024-03-15
[16]
웹사이트
Hoge onderscheiding voor De Hoop Scheffer
http://www.volkskran[...]
de Volkskrant
[17]
웹사이트
Ridder Grootkruis in de Orde van Oranje Nassau voor De Hoop Scheffer
http://www.minaz.nl/[...]
Ministry of General Affairs
[18]
웹사이트
J. G. de Hoop Schefferile riikliku autasu andmin
https://president.ee[...]
President of Estonia
[19]
웹사이트
Lithuanian Presidency
http://www.lrp.lt/lt[...]
[20]
웹사이트
Decretul 301 din 10 mai 2004 (Decretul 301/2004)
http://www.legestart[...]
[21]
웹사이트
State honours
http://www.slovak-re[...]
Slovak republic website
[22]
웹사이트
http://foto.sta.si/#[...]
[23]
웹사이트
Hoge Britse ridderorde voor De Hoop Scheffer
http://www.nu.nl/bui[...]
www.nu.nl
[24]
웹사이트
New Secretary General takes up office
http://www.nato.int/[...]
NATO
2004-01-07
[25]
웹사이트
Nato boss pleads for Afghan focus
http://news.bbc.co.u[...]
BBC
2004-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