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을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을산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에 위치한 산이다. 산 정상의 모양이 비녀를 닮아 비녀산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등산객들이 양을촌을 기점으로 산을 오르면서 양을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군량 창고로 사용하며 밤에도 불을 밝혀 마치 태양이 떠오르는 듯한 모습에서 유래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1961년부터 1972년까지 제주도로 무선 송신을 보내던 KT 송신탑이 있었으며, 2005년부터 도시자연공원으로 조성되어 등산로, 운동시설, 쉼터, 정자 양을루 등이 설치되었다. 2012년에는 산림욕장이 조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포시의 지리 - 유달산
유달산은 정식 둘레길은 없지만, 중턱 등산로들이 유선각 윗쪽 갈림길에서 시작하여 여러 명소를 거쳐 다시 유선각 윗쪽 갈림길로 돌아오는 순환 코스를 이루며 둘레길 역할을 한다. - 목포시의 지리 - 외달도
외달도는 목포시에서 관광객 유치를 위해 해수풀장, 한옥민박 등의 시설을 갖추고 낚시, 보트, 야영을 즐길 수 있는 섬이다. - 전라남도의 산 - 추월산
- 전라남도의 산 - 불갑산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양을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양을산(陽乙山) |
다른 이름 | 해당사항 없음 |
높이 | 151 |
높이 설명 | 해당사항 없음 |
돌출 높이 | 해당사항 없음 |
돌출 높이 설명 | 해당사항 없음 |
어미산 | 해당사항 없음 |
위치 | 전라남도 목포시 |
산맥 | 해당사항 없음 |
지질학적 정보 | |
종류 | 해당사항 없음 |
나이 | 해당사항 없음 |
최종 분화 | 해당사항 없음 |
등반 정보 | |
첫 등정 | 해당사항 없음 |
등산로 | 해당사항 없음 |
목록 | 해당사항 없음 |
2. 유래
양을산의 이름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진다. 산의 모양이 비녀를 닮았다는 설과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과 관련된 일화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다.[1]
2. 1. 비녀 형상
양을산 정상은 유난히 일자형(一字形)으로, 마치 비녀(簪)와 같은 형상(形象)을 하고 있다. 또한 산기슭에 있는 바위가 여인의 비녀 쪽지를 닮았다고 하여 예로부터 비녀산으로 불려왔다고 한다. 현재의 양을산이라는 이름은 등산객들이 산 아래 양을촌에서 오르기 시작했다고 하여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다른 설에 따르면,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李舜臣, 1545~1598) 장군이 군량미를 쌓아둔 노적가리를 창고로 사용하며 밤에도 불을 밝혀 지켰는데, 멀리서 보면 마치 이 산에서 태양이 떠오르는 것처럼 보여 양을산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진다.[1]
2. 2. 이순신 장군과 군량 창고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군량 창고로 노적(露積, 곡식 더미를 쌓아둠)을 두고 밤에도 불을 켜서 지키게 했는데, 멀리서 보면 이 산에서 태양이 떠오르는 것처럼 보였다 하여 양을산이라 불렀다는 설이 있다.[1]3. 역사
(내용 없음)
3. 1. KT 송신탑
1961년부터 1972년까지 제주도로 무선 신호를 보내던 송신탑이 있었다.[2] 이 송신탑 때문에 당시부터 이미 도로가 정비되어 있었다.4. 지리
(내용 없음)
4. 1. 등산로
양을산의 등산로는 별도의 둘레길 없이 능선길과 능선길에서 옆으로 난 우회길로 이루어져 있다.등산로와 연결되는 주요 지점은 다음과 같다.
- 목포실내체육관
- 금호장례식장
- 목포실내수영장
- 목포보훈지청
- 제1수원지
- 용해동 주민센터
- 성신고등학교
- 목포항도여자중학교
- 빛과소금교회
- 청산푸른아파트
- 목포상동초등학교
- KT송신탑 진입로 (아스팔트 포장도로)
- 목포대학교 용해캠퍼스
- 목포과학대학교
- 상동현대아파트
- 한국농어촌공사 영산강사업단
체육공원은 목포실내체육관 부근과 목포대학교 용해캠퍼스 갈림길이 있는 아스팔트 포장도로 중턱, 두 곳에 마련되어 있다.
4. 2. 체육공원
양을산에는 체육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실내체육관이 있으며, KT 송신탑으로 올라가는 아스팔트 포장도로 중턱의 목포대학교 용해캠퍼스 갈림길 부근에 위치한다.5. 공원 조성
2005년부터 목포시는 양을산 일대에 도시자연공원 조성을 시작하여 시민들을 위한 휴식 공간을 마련하고자 노력했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등산로 곳곳에 운동 시설과 쉼터가 설치되었으며, 2007년에는 산 정상 KT 전송탑 옆에 '양을루'라는 정자가 세워졌다.[3][4] 또한, 체육공원 확충과 등산로 조성을 위해 식목일을 기해 해송, 단풍나무, 왕벚나무 등을 심는 식목 사업도 이루어졌다.[4] 2012년에는 양을산 동북사면의 편백나무 조림지와 제1수원지 주변에 산림욕장을 조성하는 계획을 발표하며, 지속적으로 공원을 가꾸려는 노력을 보였다.[5]
5. 1. 양을루
2007년 양을산 꼭대기 KT 전송탑 옆에 '양을루'라는 정자가 세워졌다.[3][4] 이는 2005년부터 시작된 도시자연공원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당시 등산로 곳곳에 운동시설과 쉼터가 함께 마련되었다.5. 2. 식목 사업
양을산에는 2005년부터 공원 시설 배치를 위한 도시자연공원 조성이 시작되었으며, 등산로 곳곳에 운동 시설과 쉼터가 마련되었다. 2007년에는 산 정상 KT 전송탑 옆에 '양을루'라는 정자가 세워졌다.[3]식목일에는 체육공원 확충과 등산로 조성을 위해 시에서 해송, 단풍나무, 왕벚나무 등을 심는 사업을 진행했다.[4] 또한, 2012년에는 '늘 푸른 숲속의 도시'를 만들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양을산 동북쪽 사면의 편백나무 집단 조림지와 제1수원지 주변 친수공간 16ha에 20억원을 투자하여 산림욕장을 조성하기로 했다.[5]
연도 | 주요 사업 내용 | 비고 (목적, 규모 등) | 출처 |
---|---|---|---|
2005년 | 도시자연공원 조성 시작 | 공원시설 배치, 등산로 곳곳 운동시설 및 쉼터 설치 | |
2007년 | 정상 KT 전송탑 옆 양을루 정자 건립 | [3] | |
미상 | 식목일 기념 식수 (해송, 단풍나무, 왕벚나무) | 체육공원 확충 및 등산로 조성 | [4] |
2012년 | 산림욕장 조성 계획 (동북사면 편백나무 집단 조림지, 제1수원지 주변 친수공간) | 늘 푸른 숲속의 도시 조성, 16ha, 20억원 투입 | [5] |
5. 3. 산림욕장 조성
2005년부터 도시자연공원 조성이 시작되어 등산로 곳곳에 운동 시설과 쉼터가 마련되었다. 2007년에는 정상의 KT 전송탑 옆에 '양을루'라는 정자가 세워졌다. 또한, 체육공원 확충과 등산로 조성을 위해 식목일에 시에서 해송, 단풍나무, 왕벚나무 등을 심기도 했다.[3][4] 2012년에는 '늘 푸른 숲속의 도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양을산 동북사면의 편백나무 집단 조림지와 제1수원지 주변 친수공간 16ha에 20억원을 투입하여 산림욕장을 조성하기로 계획했다.[5]참조
[1]
서적
한국지명유래집 전라 · 제주편
https://terms.naver.[...]
국토지리정보원
2010
[2]
웹사이트
양을산
http://100.naver.com[...]
[3]
뉴스
제61회 식목일행사 추진
https://news.naver.c[...]
[4]
뉴스
목포시, '양을 도시자연공원' 조성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2-10
[5]
뉴스
목포 양을산 편백나무 숲에 산림욕장 조성
http://media.daum.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