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언양시외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양시외버스터미널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에 위치했던 시외버스터미널로, 1980년 통합되어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1995년 울산광역시와 울주군의 통합으로 인해 시내버스 노선이 조정되었고, 2002년 대우여객의 철수로 울산 시내버스는 터미널에 진입하지 않게 되었다. 시설 노후화, 부지 협소, 교통 체증 유발 등의 문제로 터미널 이전이 추진되었으나, 운영사의 경영난으로 2017년 임시 터미널로 운영이 변경되었다. 현재는 시외버스만 임시 터미널을 이용하며, 인접 지역을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과 경주시 시내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버스 교통 - 울산광역시의 시외버스
    울산광역시의 시외버스는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정보 문서로, 울산고속버스터미널, 울산시외버스터미널, 언양터미널, 방어진터미널과 다수의 간이정류소를 통해 시민 편의를 제공하며, 각 터미널 및 정류소별 운행 노선, 시간표, 경유지 정보를 상세히 안내한다.
  • 울산광역시의 버스 교통 -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21개 업체에서 183개 노선을 운행하며 리무진, 직행좌석, 일반, 지선, 마을, 마실버스로 구성, 준공영제 없이 단독배차제를 운영하고 시계외요금 징수, 교통카드 할인, 무료 환승 제도를 시행하며 2003년부터 현재의 노선 번호 체계를 사용하고 경주시, 부산광역시, 양산시와 연결된다(2022년 12월 기준).
  • 울주군의 건축물 - 울산역
    울산역은 경부고속선에 위치한 KTX, SRT 정차역으로, 울산광역시 외곽에 있지만 시내 및 주변 지역 접근성이 좋아 이용객이 많으며, 2면 5선의 승강장을 갖춘 경부고속선 주요 역이다.
  • 울주군의 건축물 - 울산암각화박물관
    울산암각화박물관은 울주군에 위치한 반구대암각화와 천전리각석을 중심으로 국내 암각화 연구를 선도하는 전문박물관으로, 고래 형상 건물에 암각화 모형과 입체 영상 전시, 선사시대 생활상 자료, 어린이 전시관, 체험 시설,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1980년 설립 -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는 남부 아프리카 16개국의 사회·경제 협력 및 정치·안보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된 기구이며, 자유 무역 지대를 운영하고, 개발, 경제 성장, 빈곤 감소를 목표로 한다.
  • 1980년 설립 - 평택고속버스터미널
    평택고속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하며, 금호고속과 동양고속이 공동 운행하는 평택-서울경부 노선과 평택-안중 노선이 주요 노선이다.
언양시외버스터미널
기본 정보
공식 명칭언양시외버스터미널
종류터미널
주소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헌양길 7 (남부리)
개장일제강점기
이전1980년 9월
2017년 11월 1일
폐지2017년 10월 31일
운영 기관울주군시설관리공단
표기언양
고속버스 운행 여부미운행
시외버스 운행 여부운행
시내버스 운행 여부운행
웹사이트언양시외버스터미널 웹사이트

2. 역사

일제강점기부터 동부리 188번지(구 언양초등학교 정문 앞)에 있었던 시외버스 정류장과, 간주마당(남부2리에 있었던 옛 싸전)에 있었던 경진여객울산여객이 운영하던 시외버스 정류장으로 나뉘어 있었던 것을 1980년 9월에 두 정류장을 통합하여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2] 뒤에 대우여객이 설립되면서 울산 시내버스 업체는 언양터미널에서 철수했다.[2]

1995년 1월 1일에 울산시·울산군(울주군)과 경주시·경주군(월성군)이 통합하면서 대우여객의 모든 노선과 울산~언양(~석남사)노선이 울산시내버스로, 언양~산내노선이 경주시내버스로 전환되고, 1995년 8월 4일에는 언양~부산 완행노선 등이 양산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2] 2002년 3월 5일에 대우여객이 언양터미널에서 철수하고 노선들의 기점을 메가마트 언양점으로 이전하면서 울산광역시 면허의 일반시내버스는 언양터미널로 진입하지 않는다.

시설이 노후화되고 부지가 협소한 데다, 언양읍 시가지 중심부에 위치하여 주변 개발의 걸림돌이 되고, 국도 제35호선(반구대로)의 교통흐름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터미널 이전이 추진되고 있으며, 2016년 1월 21일 터미널 이전 부지로 언양읍 동부리 42-1의 옛 한국도로공사 영남지사 부지를 매입하였다.[3]

그러나 터미널을 운영하는 (주)가현산업개발이 막대한 적자 및 경영난으로 2017년 11월 1일 부로 운영면허를 내려놓으면서 시가지 중심부에 있던 터미널은 문을 닫고, 언양공영주차장에 현재 임시버스터미널을 지어 운영 중이다. 이에 따라, 시외버스만 임시버스터미널 내에 정차하고, 울산좌석버스는 임시버스터미널 내에 진입하지 않는다.

2. 1. 일제강점기 및 해방 초기

일제강점기에는 동부리 188번지(구 언양초등학교 정문 앞)에 시외버스 정류장이 있었고, 간주마당(남부2리)에는 경진여객울산여객이 운영하는 시외버스 정류장이 있었다.[2]

2. 2. 1980년대 터미널 통합

1980년 9월, 일제강점기부터 동부리 188번지(구 언양초등학교 정문 앞)에 있었던 시외버스 정류장과 간주마당(남부2리에 있었던 옛 싸전)에 있었던 경진여객울산여객이 운영하던 시외버스 정류장을 통합하여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2] 대우여객이 설립되면서 울산 시내버스 업체는 언양터미널에서 철수했다.[2]

2. 3. 1990년대 이후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울주군)과 경주시·경주군(월성군)이 통합하면서 대우여객의 모든 노선과 울산~언양(~석남사) 노선이 울산시내버스로, 언양~산내 노선이 경주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2] 1995년 8월 4일에는 언양~부산 완행 노선 등이 양산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2] 2002년 3월 5일 대우여객이 언양터미널에서 철수하고 노선 기점을 메가마트 언양점으로 이전하면서 울산광역시 면허의 일반시내버스는 언양터미널로 진입하지 않는다.[2]

시설 노후화, 부지 협소, 언양읍 시가지 중심부 위치로 인한 주변 개발 걸림돌, 국도 제35호선(반구대로) 교통 흐름 방해 등의 문제로 터미널 이전이 추진되었다.[3] 2016년 1월 21일 터미널 이전 부지로 언양읍 동부리 42-1의 옛 한국도로공사 영남지사 부지를 매입하였다.[3]

그러나 터미널 운영사인 (주)가현산업개발의 적자 및 경영난으로 2017년 11월 1일 부로 운영 면허가 내려지면서 시가지 중심부에 있던 터미널은 문을 닫고, 언양공영주차장에 임시버스터미널을 지어 운영 중이다. 시외버스만 임시버스터미널 내에 정차하고, 울산좌석버스는 임시버스터미널 내에 진입하지 않는다.

2. 4. 터미널 이전 추진 및 임시 터미널 운영

일제강점기부터 동부리 188번지(구 언양초등학교 정문 앞)에 있었던 시외버스 정류장과 간주마당(남부2리에 있었던 옛 싸전)에 있었던 경진여객울산여객이 운영하던 시외버스 정류장이 1980년 9월에 통합되어 현 위치로 이전되었다.[2] 이후 대우여객이 설립되면서 울산 시내버스 업체는 언양터미널에서 철수했다.[2]

시설 노후화, 부지 협소, 언양읍 시가지 중심부 위치, 국도 제35호선(반구대로) 교통 흐름 방해 등의 문제로 터미널 이전이 추진되었다.[3] 2016년 1월 21일, 터미널 이전 부지로 언양읍 동부리 42-1의 옛 한국도로공사 영남지사 부지를 매입하였다.[3]

그러나 터미널 운영사인 (주)가현산업개발의 경영난으로 2017년 11월 1일 터미널 운영이 중단되었다. 이에 따라 시가지 중심부에 있던 기존 터미널은 문을 닫고, 언양공영주차장에 임시 터미널이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시외버스만 임시 터미널 내에 정차하며, 울산 좌석버스는 임시 터미널 내에 진입하지 않는다.

3. 운행 노선

3. 1. 시외버스

시외버스는 인접한 영남권 노선만 운행하고 있다.

  • 과거 언양~양산~김해~오산~수원~안산 노선이 있었지만 KTX 울산역의 개통으로 수요가 급감하여 2012년 12월 1일 양산~안산으로 단축되면서 운행 중단되었다.
  • 2017년 11월 1일 임시터미널로 이전하면서 동서울행 노선이 양산으로 단축되면서 운행 중단되었다.
  • 2018년 7월 2일 서울남부행도 운행 중단되면서 수도권으로 운행하던 시외버스 노선은 모두 폐지되었다.[4]


운행
노선
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시간표
언양 ↔ 경산[5]경산버스언양경산운문령(경북도계), 운문산자연휴양림, 삼계리, 통점, 신원, 운문사, 소진, 대천, 동곡, 김전, 소천, 용성, 자인4회09:10, 13:00, 15:40, 18:50
언양 ↔ 김해금아여행언양김해무정차60~70분첫차: 08:45 (언양 기준)
막차: 21:15 (언양 기준)
언양 ↔ 부산(노포동)푸른교통언양부산(노포동)통도사20~30분첫차: 06:20 (언양 기준)
막차: 22:00 (언양 기준)
언양 ↔ 포항금아여행언양포항경주50~70분첫차: 08:00 (언양 기준)
막차: 21:30 (언양 기준)
언양 ↔ 해운대[6]해운대고속언양해운대통도사[7], 양산3회10:30, 15:00, 19:50
언양 ↔ 창원금아여행언양창원양산5회09:05, 12:15, 15:45, 18:45, 21:55



그 외 밀양 등지로 가는 노선이 울산 방면에 한해 구.언양터미널 쪽에서 하차만 가능하다. 밀양 쪽으로 가려면 석남사에서 밀양행 시외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3. 1. 1. 상세 노선 (표)

노선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시간표언양 ↔ 경산[5]경산버스언양↔경산운문령(경북도계), 운문산자연휴양림, 삼계리, 통점, 신원, 운문사, 소진, 대천, 동곡, 김전, 소천, 용성, 자인4회09:10, 13:00, 15:40, 18:50언양 ↔ 김해금아여행언양↔김해무정차60~70분첫차: 08:45 (언양 기준)
막차: 21:15 (언양 기준)언양 ↔ 부산(노포동)푸른교통언양↔부산(노포동)통도사20~30분첫차: 06:20 (언양 기준)
막차: 22:00 (언양 기준)언양 ↔ 포항금아여행언양↔포항경주50~70분첫차: 08:00 (언양 기준)
막차: 21:30 (언양 기준)언양 ↔ 해운대[6]해운대고속언양↔해운대통도사[7], 양산3회10:30, 15:00, 19:50언양 ↔ 창원금아여행언양↔창원양산5회09:05, 12:15, 15:45, 18:45, 21:55


3. 2. 시내버스

터미널 내부로 진입하는 노선과 터미널 바깥 정류장에서 운행하는 노선으로 구분된다.

운행 노선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시간표
경주 355새천년미소언양산내공용정류장[8], 경주역상북면, 궁근정, 대현, 산내공용정류장, 건천3회첫차:10:40
2번째:14:00
막차:18:40



그 외 터미널 바깥 정류장에서 각종 시내버스 노선들이 운행한다.

3. 2. 1. 상세 노선 (표)

wikitable

운행 노선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시간표
경주 355새천년미소언양산내공용정류장[8], 경주역상북면, 궁근정, 대현, 산내공용정류장, 건천3회첫차:10:40
2번째:14:00
막차:18:40


4. 문제점 및 개선 방안

4. 1. 시설 노후화 및 부지 협소 문제

4. 2. 교통 체증 유발

4. 3. 터미널 이전 지연 문제

4. 4. 지역 경제 활성화 연계

5. 향후 과제

참조

[1] 웹사이트 울산광역시청 홈페이지>정보공개>행정정보공개>사전정보공개>버스터미널 현황 http://www.ulsan.go.[...]
[2] 서적 언양읍지 (주)동아인업(도서출판 지평) 2001-10-25
[3] 웹인용 언양시외버스터미널 이전 가시화 …지역발전 기대감 http://www.ksilbo.co[...] 2016-01-21
[4] 웹사이트 서울남부 - 양산 - 언양 노선 운행 중단안내 http://www.nambuterm[...] 서울남부터미널 2018-06-12
[5] 문서 본래 동대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지만, 언양에서는 경산까지만 발권 가능하다. 대구로 가려면 언양 옆에 있는 울산역으로 가야 한다.
[6] 문서 2015년 5월 1일 신설.
[7] 문서 통도사시외버스터미널이 아니라 국도 제35호선의 통도사입구교차로 인근에 정차한다.
[8] 문서 저녁 먹고 19:40분에 산내정류소 출발 단 승객없으면 바로 회사로 들어간다
[9] 고시 울산광역시고시 제2001-40호 울산광역시 도로명 제·개정 고시
[10]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11] 웹사이트 원효터널외 1개 구조물 비파괴검사(터널스캐너) 조사 - 과업내용서 https://www.kalis.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