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얼가니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얼가니새는 슴새과의 조류로, 1760년 마튀랭 자크 브리송에 의해 Sula 속으로 분류되었다. 영어 이름인 "booby"는 "어리석은"을 의미하는 스페인어 속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배에 쉽게 착륙하여 잡히는 습성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 6종의 얼가니새가 Sula 속에 속하며, 다른 3종의 가넷은 Morus 속에 속한다. 얼가니새는 바다로 잠수하여 물고기를 사냥하며, 섬이나 해안에서 집단 번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얼가니새속 - 붉은발얼가니새
    붉은발얼가니새는 얼가니새과에 속하는 작은 종으로, 붉은 다리와 독특한 부리 색깔, 다양한 깃털 색깔을 가지며,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고 물고기와 오징어를 먹으며 집단 번식지에서 번식하지만, 과거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현재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 의해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대한민국에서는 길 잃은 새로 분류된다.
  • 얼가니새속 - 푸른발얼가니새
    푸른발얼가니새는 멕시코에서 페루, 갈라파고스 제도에 분포하는 얼가니새과의 바닷새로, 푸른 발은 건강 상태를 나타내며 수컷은 구애 춤을 추고, 작은 물고기를 먹으며, 개체수 감소가 관찰된다.
얼가니새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푸른발얼가니새가 발을 올리며 구애하는 모습
푸른발얼가니새가 발을 올리며 구애하는 모습
학명Sula
명명자Brisson, 1760
속 유형Pelecanus leucogaster
속 유형 명명자Boddaert, 1783
영어 이름Booby
일본어 이름카츠오도리속
분포 시기마이오세 (랑기아절) - 현재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조강
가다랭이잡이목
가다랭이잡이과
하위 분류
푸른발얼가니새 (S. nebouxii)
페루얼가니새 (S. variegata)
푸른얼굴얼가니새 (S. dactylatra)
나스카얼가니새 (S. granti)
붉은발얼가니새 (S. sula)
갈색얼가니새 (S. leucogaster)

2. 분류

마튀랭 자크 브리송은 1760년에 ''Sula'' 속을 도입했으며,[3] 모식종은 얼가니새이다.[4] ''Sula''라는 이름은 고대 노르드어아이슬란드어슴새과의 다른 구성원인 가넷을 뜻하는 단어 ''súla''에서 유래되었다.[5]

얼가니새는 보통 10종으로 나뉘는데 그중 6종이 ''Sula'' 속에 속하며, 3종의 가넷은 일반적으로 ''Morus'' 속에 속한다.[8] 애보트얼가니새는 이전에 ''Sula''에 포함되었지만, 현재는 단형 속 ''Papasula''에 속한다. 일부 학자들은 10종 모두를 ''Sula'' 속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9]

얼가니새의 화석 기록은 가넷만큼 잘 문서화되어 있지 않다. 이는 얼가니새의 종 분화가 후기 마이오세에서 플라이오세까지 낮았거나, 대부분의 지역이 적도 또는 남반구에 위치하기 때문에 얼가니새 화석 종 기록이 아직 불완전하기 때문이다.[9]

2. 1. 종 목록

"얼가니새"라는 영어 이름 "booby"는 boboes라는 스페인어 속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어리석은"을 의미한다.[6] 이 새들은 항해하는 배에 착륙하는 습성이 있었고, 쉽게 잡혀서 먹혔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7]

''Sula'' 속에 속하는 종[2]
이름학명그림분포 지역
푸른발얼가니새S. nebouxii
캘리포니아 만에서 중앙 및 남아메리카 서해안을 따라 페루까지
페루얼가니새S. variegata
페루
가면얼가니새S. dactylatra--열대 해양의 섬
나스카얼가니새S. granti
바하 캘리포니아의 섬에서 갈라파고스 제도 및 에콰도르의 이슬라 데 라 플라타와 콜롬비아의 말펠로까지의 동부 태평양
붉은발얼가니새S. sula--스리랑카, 크리스마스 섬, 동부 중부 태평양
갈색얼가니새S. leucogaster
대서양과 태평양의 열대 지역의 섬과 해안


2. 2. 계통

마튀랭 자크 브리송은 1760년에 ''Sula'' 속을 도입했다.[3] 모식종은 얼가니새이다.[4] 속명은 고대 노르드어아이슬란드어슴새과의 다른 구성원인 가넷을 뜻하는 단어 ''súla''에서 유래되었다.[5]

영어 이름 "booby"는 "어리석은"을 의미하는 boboes라는 스페인어 속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6] 이 새들은 항해하는 배에 착륙하는 습성이 있었고, 쉽게 잡혀서 먹혔기 때문에 난파된 선원들이 자주 잡아먹었다는 언급이 있다. 특히 ''바운티''의 윌리엄 블라이와 그의 추종자들이 플레처 크리스천과 그의 추종자들에게 표류된 후의 항해에서 그랬다.[7]

현존하는 슴새류 10종 중 6종이 ''Sula'' 속에 속하며, 3종의 가넷은 일반적으로 ''Morus'' 속에 속한다.[8] 애보트얼가니새는 이전에 ''Sula''에 포함되었지만, 현재는 ''Morus''에 더 가까운 고대 계통을 나타내는 단형 속 ''Papasula''에 속한다. 일부 학자들은 10종 모두를 ''Sula''에서 동속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이들은 골학으로 쉽게 구별된다. 가넷과 얼가니새의 뚜렷한 계통은 적어도 중기 마이오세부터 이러한 형태로 존재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얼가니새의 화석 기록은 가넷만큼 잘 문서화되어 있지 않다. 이는 얼가니새의 종 분화가 후기 마이오세에서 플라이오세까지 낮았거나(가넷의 다양성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대부분의 지역이 적도 또는 남반구에 위치하기 때문에 얼가니새 화석 종 기록이 아직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3. 생태

얼가니새는 높은 곳에서 물 속으로 뛰어들어 물고기를 사냥하는 습성을 가진 새이다. 피부 아래의 얼굴 공기주머니가 수압을 완충해 준다. 성질이 순해서 항해 중인 배에 잘 앉는 습성이 있으며, 선원들에게 쉽게 잡힌다. ‘부비’라는 이름은 스페인어의 ‘천치’라는 뜻의 속어 ''bubi''에서 왔을 가능성이 있으며, ‘얼가니새’라는 한국어 이름도 그래서일 가능성이 크다.bubi|부비es

3. 1. 번식

얼가니새는 섬과 해안에서 집단으로 번식한다. 일반적으로 땅이나 때로는 나무 둥지에 하나 이상의 분필처럼 푸른 알을 낳는다.[10] 자원 경쟁을 통해 선택 압력이 작용하여 태평양에 서식하는 6종의 얼가니새의 생태 형태와 먹이 행동을 형성했다.[10]

4. 인간과의 관계

얼가니새는 성질이 순해 항해 중인 배에 잘 앉는 습성이 있으며, 선원들에게 쉽게 잡힌다.[1] '부비'라는 이름은 스페인어의 '천치'라는 뜻의 속어 ''bubi''에서 왔을 가능성이 있으며, '얼가니새'라는 한국어 이름도 이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1]

5. 갤러리

''S. nebouxii'']]

참조

[1] 웹사이트 Sula Brisson 1760 (booby) https://paleobiodb.o[...] 2019-07-08
[2] 논문 A multilocus phylogeny of the Sulidae (Aves: Pelecaniformes)
[3] 서적 Ornithologie, ou, Méthode contenant la division des oiseaux en ordres, sections, genres, especes & leurs variétés Jean-Baptiste Bauche
[4]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biodiversity[...]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2017-11-21
[5] 간행물 Sula, n.
[6] 간행물 booby, n.
[7] 서적 The Bounty: The True Story of the Mutiny on the Bount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04-05-25
[8] 논문 Molecular support for species status of the Nazca Booby
[9] 서적 Avian Biology Academic Press 2017-11-22
[10] 논문 Ecomorphology and foraging behaviour of Pacific boobies
[11] 간행물 "''Sula nebouxii''" 2018
[12] 간행물 "''Sula leucogaster''" 2018
[13] 간행물 "''Sula dactylatra''" 2018
[14] 간행물 "''Sula granti''" 2018
[15] 간행물 "''Sula variegata''" 2018
[16] 간행물 "''Sula sula''" 2018
[17] 웹사이트 Storks, frigatebirds, boobies, cormorants, darters https://www.worldbir[...] Gill, F & D Donsker (Eds) 2020-09-08
[18] 문서 日本鳥学会「カツオドリ属」『日本鳥類目録 改訂第7版』日本鳥学会(目録編集委員会)編、[[日本鳥学会]]、2012年、68-70頁
[19] 문서 [[山階芳麿]] 「カツオドリ属」『世界鳥類和名辞典』、[[大学書林]]、1986年、26-27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