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효율 이더넷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너지 효율 이더넷(EEE)은 이더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때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한 기술이다. EEE는 유휴 상태의 이더넷 PHY(물리 계층 장치)가 아이들 신호를 보내는 대신, 저전력 유휴(LPI) 모드를 사용하여 전력 소비를 줄인다. EEE는 슬립, 리프레시, 웨이크 신호를 사용하여 절전 모드를 관리하며, 다양한 전송 매체와 규격을 지원한다. EEE 외에도, 그린 이더넷이라는 용어는 링크 상태 감지, 케이블 길이 감지, 효율적인 회로 사용 등 다양한 절전 기술을 포괄하며, 최대 80%의 전력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와 환경 - 그린 컴퓨팅
그린 컴퓨팅은 IT 기기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부품 재활용, 에너지 절약 기술, 유해 물질 감축을 포함하며, 넓게는 IT 기술을 활용한 업무 효율성 증대와 에너지 소비 감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 컴퓨터와 환경 - 전원 관리
전원 관리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배터리 수명을 늘리며 냉각 요구 사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동적 전압/주파수 스케일링, 파워 게이팅, 최대 절전 모드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다. - 이더넷 - 기가비트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은 1 Gbit/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이더넷 표준으로, 광섬유 및 UTP 케이블을 통해 다양한 기기에 적용되어 광대역 인터넷과 기업 네트워크의 주요 기술로 사용되었으나, 더 빠른 이더넷 기술의 발전으로 비중은 줄어들고 있지만 비용 효율성과 호환성으로 인해 중요한 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더넷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는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이며, 다양한 네트워크 표준을 지원하고, 최근에는 성능 향상 기술과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도 한다. - 에너지 절약 -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은 에너지 변환 과정에서 투입된 에너지 대비 유용하게 사용되는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 수이며, 다양한 형태와 분야에서 적용된다. - 에너지 절약 - 지역 난방
지역 난방은 열을 생산하여 건물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열병합 발전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는 장점이 있으며,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1세대부터 5세대까지의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운영되고 있다.
에너지 효율 이더넷 | |
---|---|
에너지 효율 이더넷 | |
다른 이름 | 저전력 이더넷 |
종류 | 이더넷 |
표준 | IEEE 802.3az |
개발 | IEEE |
발표 | 2010년 9월 27일 |
설명 | 이더넷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전력 절약 옵션 |
2. 절감 효과
2005년에 미국의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컴퓨터, 스위치, 라우터)는 약 5.3 테라와트시의 전력을 소비한 것으로 추정된다.[7]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의 연구원에 따르면 에너지 효율 이더넷은 미국에서 연간 약 4.5억달러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절감액의 대부분은 가정 (2억달러)과 사무실 (1.7억달러)에서 발생하며, 나머지 8000만달러는 데이터 센터에서 발생한다.[8]
에너지 효율 이더넷(EEE)은 이더넷 링크에서 데이터 전송이 없을 때 물리 계층(PHY)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기술이다.[8] 기존의 패스트 이더넷 및 그 이상의 속도를 가진 링크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동안에도 송신기가 계속 활성화되어 상당한 에너지를 소비하는데, EEE는 이러한 비효율을 개선한다.
3. 동작 원리
핵심 원리는 데이터 전송이 필요 없을 때 PHY를 저전력 유휴(LPI, Low Power Idle) 상태로 전환하여 송신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필요시 빠르게 정상 상태로 복귀하는 방식이다.[8][9][17] 이 상태에서도 수신 회로는 활성 상태를 유지하여 링크는 항상 연결된 것으로 간주된다.[9] 즉, EEE는 이더넷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을 때 기존에 계속 보내던 아이들 신호를 중지하거나 대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인다.[16]
EEE 기능은 링크 양단의 장비가 자동 협상(Auto-Negotiation)을 통해 서로 지원 여부를 확인하고 양쪽 모두 기능을 활성화했을 때 동작한다.[22] EEE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광섬유 등 다양한 전송 매체와 여러 이더넷 표준에서 지원된다.[21]
3. 1. 기본 개념
에너지 효율 이더넷(EEE)은 데이터 전송이 없을 때 이더넷 링크의 전력 소비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패스트 이더넷 및 더 빠른 링크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때에도 물리 계층(PHY)의 송신기가 계속 활성화되어 상당한 에너지를 소모한다. EEE는 이러한 비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저전력 유휴(Low Power Idle, LPI) 모드를 도입했다.[8]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제어 소프트웨어나 펌웨어는 이더넷 컨트롤러의 PHY에 LPI 요청을 보낸다. 이 요청을 받은 PHY는 먼저 지정된 시간 동안 LPI 심볼을 링크로 전송한 다음, 송신기를 비활성화하여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 링크 신호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절전 모드 중에도 주기적으로 리프레시 신호가 전송된다. 다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일반 IDLE 신호(웨이크 신호)를 전송하여 송신기를 활성화시킨다. 송신 경로는 절전 모드에 들어가지만, 수신 신호 회로는 계속 활성 상태를 유지하므로 데이터 링크는 항상 작동하는 것으로 간주된다.[9] 즉, EEE는 이더넷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을 때 기존에 계속 보내던 아이들 신호를 중지하거나 대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인다.[16]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절전 동작 요청을 받은 PHY는 슬립(Sleep), 리프레시(Refresh), 웨이크(Wake)라는 세 가지 신호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17]
1. 슬립: 전송로에 일정 시간 동안 슬립 신호를 보낸다. 상대방 PHY에서도 슬립 신호가 감지되면, 양쪽 모두 절전 모드로 진입하여 전송 동작을 중지한다.
2. 리프레시: 절전 모드 중에도 링크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리프레시 신호를 보낸다.
3. 웨이크: 절전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복귀할 때는 일정 시간 동안 웨이크 신호를 보내 송신기를 활성화하고 일반적인 전송 동작으로 돌아간다.
각 신호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과 타이밍은 물리 계층 규격마다 다르며, 절전 모드 진입 및 종료 시 프레임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1000BASE-T 규격에서는 다음과 같은 타이밍을 사용한다.[18][19][20]
EEE는 다양한 전송 매체와 이더넷 규격에서 지원된다.[21]
전송 매체 | EEE 지원 규격 |
---|---|
트위스트 페어 | 10BASE-T, 100BASE-TX, 1000BASE-T, 2.5GBASE-T, 5GBASE-T, 10GBASE-T, 25GBASE-T, 40GBASE-T |
싱글 페어 | 100BASE-T1, 1000BASE-T1, 10GBASE-T1 |
기판 상 배선 | 1000BASE-KX, 10GBASE-KX4, 10GBASE-KR, 25GBASE-KR(-S), 40GBASE-KR4, 50GBASE-KR, 100GBASE-KR2, 100GBASE-KR4, 100GBASE-KP4, XAUI, XLAUI, 25GAUI, CAUI |
다이렉트 어태치 | 25GBASE-CR(-S), 40GBASE-CR4, 50GBASE-CR, 100GBASE-CR2, 100GBASE-CR4, 100GBASE-CR10 |
광섬유 | 1000BASE-RH, 25GBASE-R, 40GBASE-R4, 40GBASE-FR, 50GBASE-R, 100GBASE-SR10, 100GBASE-R4, 100GBASE-R2, 100GBASE-R1, 200GBASE-R4, 400GBASE-SR16, 400GBASE-R8, 400GBASE-R4 |
두 기기가 EE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결 시 자동 협상(Auto-Negotiation) 과정을 통해 서로의 EEE 지원 여부 및 설정을 교환해야 한다. 양쪽 기기 모두 EEE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절전 모드가 동작하게 된다.[22]
25Gbps 이상의 고속 통신 규격에서는 절전 모드 중에도 전송 동작을 완전히 멈추는 대신, 일반적인 아이들 신호 대신 특수한 'fast wake' 신호를 계속 보내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더 빠른 복귀 시간을 가능하게 한다.[17] 이러한 fast wake 신호의 세부 파라미터는 LLDP(Link Layer Discovery Protocol)를 통해 교환될 수 있다.[23]
3. 2. 상세 동작 (일본어 위키 참고)
에너지 효율 이더넷(EEE)은 이더넷 링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때 전력 소비를 줄이는 기술이다.[8] 기존 이더넷의 PHY(물리 계층 장치)는 이더넷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을 때에도 지속적으로 아이들(Idle) 신호를 보내 에너지를 소모하지만, EEE는 이 아이들 신호 전송을 중지하거나 대체하여 전력 절감을 구현한다.[16]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을 때, 데이터 링크 계층의 제어 소프트웨어나 펌웨어는 PHY에 저전력 유휴(LPI, Low Power Idle) 요청을 보낸다.[8][17] LPI 요청을 받은 PHY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신호(슬립, 리프레시, 웨이크)를 사용하여 절전 모드로 전환하고 유지한다.[17]
1. 슬립(Sleep) 신호 전송: PHY는 링크 상대방에게 일정 시간 동안 슬립 신호를 보낸다. 상대방 PHY에서도 슬립 신호가 오면, PHY는 송신기를 비활성화하고 절전 모드로 들어간다.[8][17]
2. 리프레시(Refresh) 신호 전송: 절전 모드 중에도 링크 연결 상태(Link integrity)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짧은 리프레시 신호를 보낸다.[8][17]
3. 웨이크(Wake) 신호 전송: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PHY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웨이크 신호를 보내 상대방 PHY를 깨우고, 이후 일반적인 아이들 신호를 전송하며 정상 전송 상태로 복귀한다.[8][17]
이러한 슬립, 리프레시, 웨이크 신호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과 타이밍은 100BASE-TX, 1000BASE-T 등 각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개별적으로 정의된다. 이는 절전 모드 진입 및 해제 시 프레임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17] 절전 모드 중에도 수신 신호 회로는 계속 활성 상태를 유지하므로, 데이터 링크는 항상 작동 가능한 상태로 간주된다.[9]
EEE는 다양한 전송 매체와 이더넷 규격에서 지원된다.[21]
전송 매체 | EEE 지원 규격 |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 10BASE-T, 100BASE-TX, 1000BASE-T, 2.5GBASE-T, 5GBASE-T, 10GBASE-T, 25GBASE-T, 40GBASE-T |
싱글 페어 | 100BASE-T1, 1000BASE-T1, 10GBASE-T1 |
기판 상 배선 (백플레인) | 1000BASE-KX, 10GBASE-KX4/KR, 25GBASE-KR(-S), 40GBASE-KR4, 50GBASE-KR, 100GBASE-KR2/KR4/KP4, XAUI/XLAUI/25GAUI/CAUI |
다이렉트 어태치 케이블 | 25GBASE-CR(-S), 40GBASE-CR4, 50GBASE-CR, 100GBASE-CR2/CR4/CR10 |
광섬유 | 1000BASE-RH, 25GBASE-R, 40GBASE-R4/FR, 50GBASE-R, 100GBASE-SR10/R4/R2/R1, 200GBASE-R4, 400GBASE-SR16/R8/R4 |
링크 양단의 장비는 자동 협상(Auto-Negotiation) 과정을 통해 서로의 EEE 지원 여부와 설정을 교환하며, 양쪽 모두 EEE를 사용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만 절전 모드가 활성화된다.[22]
25Gbps 이상의 고속 통신 규격에서는 절전 모드 중에도 전송 동작을 완전히 멈추는 대신, 일반 아이들 신호 대신 특수한 'fast wake' 신호를 계속 전송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더 빠른 복귀 시간을 가능하게 한다.[17] 이러한 fast wake 신호의 세부 파라미터는 LLDP(Link Layer Discovery Protocol)를 통해 교환될 수 있다.[23]
3. 2. 1. 1000BASE-T의 예
1000BASE-T 규격에서는 에너지 효율 이더넷(EEE) 동작 시 다음과 같은 신호 타이밍을 사용한다.[17]4. 지원 규격
EEE는 다음의 전송 매체 및 규격에서 지원된다[21].
전송 매체 | EEE 지원 규격 |
---|---|
트위스트 페어 | 10BASE-T, 100BASE-TX, 1000BASE-T, 2.5GBASE-T, 5GBASE-T, 10GBASE-T, 25GBASE-T, 40GBASE-T |
싱글 페어 | 100BASE-T1, 1000BASE-T1, 10GBASE-T1 |
기판 상 배선 | 1000BASE-KX, 10GBASE-KX4, 10GBASE-KR, 25GBASE-KR, 25GBASE-KR-S, 40GBASE-KR4, 50GBASE-KR, 100GBASE-KR2, 100GBASE-KR4, 100GBASE-KP4, XAUI, XLAUI, 25GAUI, CAUI |
다이렉트 어태치 | 25GBASE-CR, 25GBASE-CR-S, 40GBASE-CR4, 50GBASE-CR, 100GBASE-CR2, 100GBASE-CR4, 100GBASE-CR10 |
광섬유 | 1000BASE-RH, 25GBASE-R, 40GBASE-R4, 40GBASE-FR, 50GBASE-R, 100GBASE-SR10, 100GBASE-R4, 100GBASE-R2, 100GBASE-R1, 200GBASE-R4, 400GBASE-SR16, 400GBASE-R8, 400GBASE-R4 |
접속 시 기기는 자동 협상을 통해 서로 EEE 설정을 통지하며, 양쪽 모두 유효 설정일 때 절전 모드가 동작한다[22].
25Gbps 통신 이상의 고속 통신 규격에서는 절전 모드 중에도 전송 동작을 멈추지 않고, 일반적인 아이들 신호 대신 특수 심볼(fast wake 신호)을 계속 보내는 것을 필수 요건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17]. fast wake 신호의 각종 파라미터는 LLDP로 교환할 수 있다[23].
5. 그린 이더넷(Green Ethernet)
IEEE 802.3az 표준(에너지 효율 이더넷, EEE)이 제정되기 이전부터 일부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들은 자체적인 절전 기술을 구현하여 제품에 적용했으며[24], 이러한 기술들을 통칭하여 '그린 이더넷'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5] 그린 이더넷 기술은 EEE 표준의 기능을 포함하거나 유사한 접근 방식을 가지며, 때로는 EEE 표준의 상위 집합으로 간주되기도 했다.[10]
그린 이더넷은 주로 두 가지 방식으로 전력 소모를 줄인다. 첫째, 이더넷 포트에 연결된 장치가 꺼져 있거나 비활성 상태일 때 해당 포트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링크 상태 감지). 둘째, 연결된 LAN 케이블의 길이를 감지하여 필요한 만큼만 신호 전송 전력을 사용하도록 조절한다(케이블 길이 감지).[10] 표준 이더넷 규격은 최대 100m 길이의 케이블 연결을 지원하지만,[10][26] 실제 SOHO 환경이나 소규모 데이터 센터 내부에서는 5m에서 10m 내외의 짧은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10] 케이블 길이에 따른 전력 조절이 효과적이다. 또한, 전송 전력을 낮춤으로써 신호 간섭의 일종인 누화 발생을 줄여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부가적인 이점도 있다.[10]
이 외에도 이더넷 칩 자체의 전력 효율을 높인 회로 설계,[6] 네트워크 서버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등에서 TCP 오프로드 엔진을 사용하여 CPU 부하를 줄이는 기술,[6][27] Wi-Fi 무선 라우터에서 사용자가 Wi-Fi를 사용하지 않는 특정 시간대를 설정하여 무선 신호 송출을 중단하는 기능[11][28] 등도 그린 이더넷이라는 용어에 포함되기도 한다.
이러한 그린 이더넷 기술을 적용한 스위치는 최대 80%까지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12] 이는 장비의 발열 감소로 이어져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13]
5. 1. 주요 기능
에너지 효율 이더넷(EEE) 규격이 제정되기 이전부터 일부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들은 자체적인 전력 절감 기술을 구현하여 제품에 적용했으며[24], 이러한 기술들을 통칭하여 '그린 이더넷'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5] 그린 이더넷 기술은 EEE 표준의 기능을 포함하면서도, 다음과 같은 벤더 고유의 추가적인 절전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링크 상태 감지: 컴퓨터와 같이 이더넷 포트에 연결된 장치가 꺼져 있거나 비활성 상태여서 링크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해당 포트로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최소화하여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인다.
- 케이블 길이 감지: 이더넷 포트에 연결된 LAN 케이블의 길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길이에 필요한 만큼만 신호 전송 전력을 조절한다. 표준 이더넷 규격은 최대 100m 길이의 케이블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충분한 전력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지만,[10][26] 실제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 환경, 또는 데이터 센터 내부에서는 5m에서 10m 내외의 짧은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0] 그린 이더넷은 이렇게 짧은 케이블 연결 시 과도한 전력 사용을 막아 에너지를 절약한다. 또한, 전송 전력을 낮춤으로써 신호 간섭의 일종인 누화 발생을 줄여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부가적인 이점도 있다.
이 외에도 그린 이더넷이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은 기술들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 이더넷 칩 자체의 전력 효율을 높인 회로 설계[6]
- 네트워크 서버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등에서 오프로드 엔진을 사용하여 CPU의 부하를 줄이고 전력 소모를 개선하는 기술[6][27]
- 무선 라우터에서 사용자가 Wi-Fi를 사용하지 않는 특정 시간대를 설정하여 해당 시간에는 무선 신호 송출을 중단하는 기능[11][28]
이러한 그린 이더넷 기술을 적용한 스위치는 최대 80%까지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2] 이는 장비의 발열 감소로 이어져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13]
5. 2. 추가 절전 기술
IEEE 802.3az 표준 제정 이전에도 여러 절전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기술들은 종종 "'''그린 이더넷'''"이라는 포괄적인 이름으로 불렸다.[24][25] 에너지 효율 이더넷(EEE) 표준 외에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절전 기술들은 다음과 같다.- 링크 상태 감지: 이더넷 포트에 연결된 장치가 꺼져 있거나 링크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해당 포트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대기 상태로 전환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인다.[10]
- 케이블 길이 감지 및 전력 조정: 연결된 LAN 케이블의 길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길이에 맞춰 신호 전송에 필요한 전력 수준을 최적화한다.[10] 표준 이더넷 규격은 최대 100m 길이의 케이블 연결을 지원하지만[26], 실제 가정 환경이나 소규모 데이터 센터에서는 5m에서 10m 정도의 짧은 케이블이 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0] 따라서 케이블 길이에 맞게 전송 전력을 낮추면 상당한 에너지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짧은 거리에서 전송 전력을 줄이면 신호 간섭의 일종인 누화 현상을 감소시켜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부가적인 장점도 있다.
- 고효율 회로 설계: 이더넷 칩(IC) 내부 회로의 전력 효율을 높여 칩 자체의 에너지 소비를 줄인다.[6][27]
- 오프로드 엔진 활용: 네트워크 서버용으로 설계된 이더넷 인터페이스 카드(NIC)에서 오프로드 엔진과 같은 기능을 사용하여 CPU의 부하를 줄이고 시스템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6][27]
- 무선 통신 비활성 기간 설정: 무선 라우터와 같은 Wi-Fi 장비에서 사용자가 직접 무선 신호 송수신이 필요 없는 시간대를 설정하여 해당 시간에는 무선 기능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인다.[11][28]
이러한 그린 이더넷 기술들을 통해 최대 80%의 전력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12], 이는 장비의 발열 감소로 이어져 제품 수명 연장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5. 3. 효과
그린 이더넷 스위치를 사용하면 최대 80%의 전력 절감이 예상되며,[12] 이는 발열 감소로 이어져 제품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도 가져온다.[13]에너지 효율 이더넷(EEE) 표준인 IEEE 802.3az 이전에도 '그린 이더넷'이라는 이름으로 유사한 절전 기술들이 존재했다.[24][25] 이러한 기술들은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 링크 상태 감지: 컴퓨터 등 연결된 장치가 꺼져 있거나 이더넷 링크가 활성화되지 않은 포트는 자동으로 대기 모드로 전환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는다.
- 케이블 길이 감지: 연결된 LAN 케이블의 길이를 감지하여 신호 전송에 필요한 만큼만 전력을 사용하도록 조절한다. 표준 이더넷 규격은 최대 100m 길이의 케이블 연결을 지원하지만,[10][26] 실제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 데이터 센터 등에서는 5m에서 10m 정도의 짧은 케이블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10], 길이에 맞춰 전력을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짧은 거리 연결 시 전송 전력을 낮추면 누화 현상이 줄어들어 통신 품질이 향상되는 부가적인 장점도 있다.
이 외에도 이더넷 칩 내부 회로의 효율성을 높이거나, 네트워크 서버용 이더넷 인터페이스 카드에 TCP 오프로드 엔진을 탑재하는 방식,[6][27] Wi-Fi 무선 라우터에서 사용자가 Wi-Fi 신호의 비활성 기간을 설정하여 전력 소비를 줄이는 기능[11][28] 등도 그린 이더넷 기술의 일부로 언급되기도 한다.
참조
[1]
문서
IEEE 802.3 Clause 78
[2]
웹사이트
Energy Efficient Ethernet hits standards milestone — InternetNews:The Blog — Sean Michael Kerner
https://web.archive.[...]
2009-07-17
[3]
웹사이트
IEEE 802.3 Energy Efficient Ethernet Study Group
http://www.ieee802.o[...]
2011-07-05
[4]
뉴스
IEEE ratifies new 8023az standard to reduce network energy footprint
https://web.archive.[...]
2011-07-05
[5]
간행물
Top OEMs 'Go Green' With Broadcom's 65nm SMB Switch Family
http://www.broadcom.[...]
Broadcom Corporation
2011-07-05
[6]
웹사이트
Broadcom Energy Efficiency Initiatives
https://web.archive.[...]
Broadcom
2011-07-05
[7]
뉴스
Energy-Efficient Ethernet
https://spectrum.iee[...]
IEEE
2011-07-05
[8]
뉴스
Energy-efficient Ethernet standard gains traction
http://www.eetimes.c[...]
2011-07-05
[9]
서적
Ethernet: The Definitive Guide
O'Reilly
[10]
웹사이트
Ethernet 100BaseTX and 10BaseT Cables: Guidelines and specifications
http://www.cisco.com[...]
Cisco Systems
2010-08-29
[11]
웹사이트
D-Link First Company to Offer Green Wi-Fi Home Networking
https://web.archive.[...]
D-Link
2008-07-28
[12]
뉴스
D-Link First Company to Offer 'Green Ethernet™' Technology for Network Connectivity, Embrace Energy-Saving Initiatives
https://web.archive.[...]
D-Link
2007-10-24
[13]
뉴스
Green Ethernet
https://web.archive.[...]
2011-07-05
[14]
문서
IEEE 802.3-2022, Clause 78
[15]
웹사이트
IEEE 802.3az-2010, IEEE Standard for Information technology, Amendment 5: Media Access Control Parameters, Physical Layers, and Management Parameters for Energy-Efficient Ethernet
https://standards.ie[...]
2023-11-04
[16]
뉴스
Energy-efficient Ethernet standard gains traction
http://www.eetimes.c[...]
2011-07-05
[17]
문서
IEEE 802.3-2022, Clause 78.1.3.3 PHY LPI operation
[18]
문서
IEEE 802.3-2022, Clause 35.2.2.6 Transmit direction LPI transition
[19]
문서
IEEE 802.3-2022, Table 78–2, Summary of the key EEE parameters for supported PHYs or interfaces
[20]
문서
IEEE 802.3-2022, Table 78–4, Summary of the LPI timing parameters for supported PHYs or interfaces
[21]
문서
IEEE 802.3-2022, Clause 78.1.4 PHY types optionally supporting EEE
[22]
문서
IEEE 802.3-2022, Clause 78.3 Capabilities Negotiation
[23]
문서
IEEE 802.3-2022, Clause 78.4 Data Link Layer capabilities
[24]
간행물
Top OEMs 'Go Green' With Broadcom's 65nm SMB Switch Family
http://www.broadcom.[...]
Broadcom Corporation
2011-07-05
[25]
웹사이트
Configure Green Ethernet Port Settings on a Switch
https://www.cisco.co[...]
Cisco Systems
2023-11-04
[26]
웹사이트
Ethernet 100BaseTX and 10BaseT Cables: Guidelines and specifications
http://www.cisco.com[...]
Cisco Systems
2010-08-29
[27]
웹사이트
Broadcom Energy Efficiency Initiatives
https://web.archive.[...]
Broadcom
2011-07-05
[28]
웹사이트
D-Link First Company to Offer Green Wi-Fi Home Networking
http://www.dlinkgree[...]
D-Link
2008-07-28
[29]
웹인용
Energy Efficient Ethernet hits standards milestone — InternetNews:The Blog — Sean Michael Kerner
https://web.archive.[...]
2009-07-17
[30]
뉴스
IEEE ratifies new 8023az standard to reduce network energy footprint
http://www.lightwave[...]
2011-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