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동 협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동 협상은 네트워크 어댑터가 최적의 작동 모드를 협상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로, 1995년 패스트 이더넷 표준에 도입되었다. IEEE 802.3 조항 28에 포함되었으며, 속도, 전이중/반이중 모드, 전송 표준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자동 협상에는 우선순위가 있으며, 연결된 장치가 서로 지원하는 기능 중 최상의 규격을 결정한다. 자동 협상은 10BASE-T의 링크 무결성 테스트 펄스와 유사한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며, 이중화 불일치와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운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자동 협상은 LAN 케이블 외에도 광섬유, 백플레인, 싱글 페어 케이블 등 다양한 전송 매체에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더넷 - 기가비트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은 1 Gbit/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이더넷 표준으로, 광섬유 및 UTP 케이블을 통해 다양한 기기에 적용되어 광대역 인터넷과 기업 네트워크의 주요 기술로 사용되었으나, 더 빠른 이더넷 기술의 발전으로 비중은 줄어들고 있지만 비용 효율성과 호환성으로 인해 중요한 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더넷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는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이며, 다양한 네트워크 표준을 지원하고, 최근에는 성능 향상 기술과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도 한다.
  • 네트워크 프로토콜 - UUCP
    UUCP는 유닉스 시스템 간 파일 복사, 원격 명령 실행, 이메일 및 유즈넷 뉴스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및 프로그램 모음으로, 초기 인터넷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TCP/IP 기반 서비스 보편화로 사용이 감소했다.
  • 네트워크 프로토콜 - 프레임 릴레이
    프레임 릴레이는 LAN 간 또는 WAN 종단점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고속 패킷 교환 방식 통신 프로토콜로, X.25 프로토콜을 간소화하여 속도를 높이고, 영구 가상 회선을 통해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하며, 서비스 품질 설정을 통해 프레임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다른 기술에 밀려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자동 협상
개요
이름자동 협상
설명이더넷 연결의 신호 메커니즘
기술 분야이더넷
상세 내용
기능속도
듀플렉스 모드
흐름 제어
작동 방식두 장치가 연결되면 서로 지원하는 최대 속도와 기타 기능을 알린다.
가장 빠른 공통 속도와 지원되는 기능에 대해 합의한다.
장점네트워크 관리자의 개입 없이 장치가 자동으로 최적의 연결 설정을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설정 오류로 인한 연결 문제를 줄여준다.
단점자동 협상에 실패하면 연결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구형 장비는 자동 협상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관련 기술
관련 기술병렬 감지
표준
표준IEEE 802.3 Clause 28

2. 표준화 및 상호 운용성

패스트 이더넷 표준이 1995년에 출시되면서, 자동 협상 프로토콜이 도입되었다. 이 프로토콜은 연결된 네트워크 어댑터들이 최상의 공유 작동 모드를 협상할 수 있게 해주었다. IEEE 802.3 조항 28에 포함된 자동 협상 프로토콜은 내셔널 세미컨덕터의 특허 기술인 '''NWay'''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5] 이 회사는 일회성 라이선스 비용으로 누구나 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증했다.[5] 이후 다른 회사들이 해당 특허에 대한 권리를 인수했다.[6]

1995년 IEEE 802.3u 패스트 이더넷 표준의 자동 협상 첫 번째 버전은 제조사별로 다르게 구현되어 상호 운용성 문제를 야기했다. 이 문제로 인해 많은 네트워크 관리자가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속도와 이중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해야 했다. 그러나 수동 구성은 이중 모드 불일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가 정상 작동하는 것처럼 보여 진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ping과 같은 간단한 네트워크 테스트 유틸리티는 유효한 연결을 보고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성능은 이중 모드 불일치로 인한 전송 중단 및 이더넷 프레임 손실로 인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자동 협상 사양은 1998년 IEEE 802.3 릴리스에서 개선되었다. 1999년에는 1000BASE-T에 대한 필수 자동 협상을 지정하는 IEEE 802.3ab 기가비트 이더넷 표준이 출시되었다. 자동 협상은 1000BASE-TX 및 10GBASE-T 구현에도 필수적이다. 현재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는 모든 액세스 포트에서 자동 협상을 사용하고 공장 기본 설정으로 활성화하는 것을 권장한다.[7][8][9]

자동 협상은 IEEE 802.3의 다음 절에서 규정되어 있다.[21]

규격설명
Clause 28트위스트 페어 규격 (100BASE-TX, 1000BASE-T, 2.5GBASE-T, 5GBASE-T, 10GBASE-T 등)
Clause 37광섬유 규격 (1000BASE-SX, 1000BASE-LX 등)
Clause 73백플레인 규격 (1000BASE-KX, 10GBASE-KR, 25GBASE-KR/CR 등)
Clause 98싱글 페어 규격 (1000BASE-T1 등)



1995년에 100 메가비트 이더넷으로 IEEE 802.3u 규격이 표준화되었을 때, 자동 협상 사양이 처음 규정되었다.[22] 이 사양은 내셔널 세미컨덕터의 NWay라는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했다.[23] 다른 메이커들은 그 특허의 이용권을 구입하여 구현했다.[24]

IEEE 802.3u 초판에서는 사양에 불충분한 점이 있어, 메이커의 구현에 차이가 있었고, 다른 메이커의 기기 간에는 자동 협상이 실패하는 경우가 있었다. 1998년 802.3 개정 시 논란이 되었던 부분이 삭제되었다.

1999년 기가비트 이더넷으로 IEEE 802.3ab가 표준화되면서, 1000BASE-T에서는 자동 협상이 필수라고 규정되었다.[25] 이후, 10GBASE-T나 2.5GBASE-T 등도 모두 필수라고 규정되어 있다.[27][28]

3. 작동 방식

패스트 이더넷 표준이 1995년에 출시되면서, 연결된 네트워크 어댑터들이 최상의 공유 작동 모드를 협상할 수 있게 하는 자동 협상 프로토콜이 도입되었다.[5] 이 프로토콜은 내셔널 세미컨덕터의 특허 기술인 'NWay'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회사는 일회성 라이선스 비용으로 누구나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5]

자동 협상의 초기 버전은 제조사별로 구현 방식이 달라 상호 운용성 문제를 일으켰다. 이 때문에 많은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수동으로 속도와 이중 모드를 설정해야 했다. 그러나 수동 설정은 이중 모드 불일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중 모드 불일치가 발생하면, 반이중 모드 측은 지연 충돌을, 전이중 모드 측은 FCS 오류를 보고한다.

자동 협상 사양은 1998년과 1999년에 개선되었으며, 기가비트 이더넷 표준에서는 자동 협상이 필수로 지정되었다.[7][8][9] 현재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는 자동 협상을 기본 설정으로 사용하도록 권장한다.[7][8][9]

자동 협상은 서로 다른 전송 속도, 전이중 모드, 전송 표준을 지원하는 장치 간에 사용된다. 각 장치는 가능한 작동 모드를 알리고, 더 높은 속도와 전이중 모드를 우선하여 최상의 공통 모드를 선택한다.

자동 협상을 지원하지 않거나 비활성화된 장치에 연결될 경우, 병렬 감지를 통해 속도를 맞추고 반이중 모드로 통신한다.

자동 협상은 기가비트 이더넷에서 마스터-슬레이브 매개변수를 통신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두 장치가 연결될 경우:


  • 장치 A: 10BASE-T 반이중, 100BASE-TX 반이중 지원
  • 장치 B: 10BASE-T 전이중/반이중, 100BASE-TX 전이중/반이중, 1000BASE-T 전이중 지원


자동 협상을 통해 "100BASE-TX 반이중"으로 자동 설정되어 통신을 시작한다.

자동 협상은 통신 속도와 이중 모드 외에도, 플로우 제어, 멀티포트 대응, 마스터/슬레이브 설정, EEE 등의 매개변수를 교환한다.

OSI 참조 모델에서 자동 협상은 물리 계층에 해당한다.

4. 우선 순위

자동 협상을 할 수 있는 장치는 여러 전송 속도, 전이중 모드(반이중 및 전이중), 그리고 동일한 속도에서 다른 전송 표준을 지원할 때, 각 장치는 가능한 작동 모드인 '기술적 능력'을 알린다. 더 높은 속도를 우선하고, 동일한 속도에서는 전이중을 반이중보다 우선하여 최상의 공통 모드를 선택한다.

자동 협상을 할 수 없는 장치에 연결된 경우에는 병렬 감지가 사용된다. 이 경우, 자동 협상을 할 수 있는 장치는 속도를 결정하여 다른 장치와 맞출 수 있지만, 이중 기능은 결정할 수 없어 항상 반이중으로 가정한다.

두 장치가 서로 상대 장치의 지원 기능을 수신하면, 양쪽에서 공통으로 지원하는 기능 중에서 최상의 규격을 결정한다. 802.3의 2018년판이 규정하는 트위스트 페어 규격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으며[29], 장치가 공통으로 지원하는 것 중 이 목록 상위에 있는 통신 속도가 적용된다.


  • 40GBASE-T 전이중
  • 25GBASE-T 전이중
  • 10GBASE-T 전이중
  • 5GBASE-T 전이중
  • 2.5GBASE-T 전이중
  • 1000BASE-T 전이중
  • 1000BASE-T 반이중
  • 100BASE-T2 전이중
  • 100BASE-TX 전이중
  • 100BASE-T2 반이중
  • 100BASE-T4 반이중
  • 100BASE-TX 반이중
  • 10BASE-T 전이중
  • 10BASE-T 반이중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대응 규격을 가진 두 장치를 LAN 케이블로 연결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 장치 A 대응 규격: 10BASE-T 반이중, 100BASE-TX 반이중
  • 장치 B 대응 규격: 10BASE-T 전이중・반이중, 100BASE-TX 전이중・반이중, 1000BASE-T 전이중


이 경우 자동 협상 기능을 통해, 양쪽 모두에서 공통 프로토콜 중 속도가 가장 빠른 "100BASE-TX 반이중"으로 자동적으로 링크를 확립하고 통신을 시작한다.

5. 전기적 신호

자동 협상은 10BASE-T 장치에서 연결 감지에 사용되는 펄스와 유사한 펄스를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링크 무결성 테스트''(LIT) 펄스는 이더넷 장치가 프레임을 보내거나 받지 않을 때 전송된다. 이 펄스는 공칭 지속 시간이 이고 최대 펄스 폭이 인 단극 양극성 전기 펄스이며,[14] 의 시간 간격으로 생성되며 시간 변동 허용 오차는 이다. 장치는 50-150 ms 동안 프레임이나 두 개의 LIT 펄스를 수신하지 못하면 링크 오류를 감지한다. 자동 협상 사양에서 이러한 펄스를 '''정상 링크 펄스'''(NLP)라고 한다.

정상 링크 펄스 시퀀스, 10BASE-T 장치가 링크 무결성을 설정하는 데 사용됨


자동 협상에서 사용되는 NLP는 여전히 단극성, 양극성이고 공칭 지속 시간은 이지만, 각 LIT는 간격으로 전송되는 17~33개의 펄스로 구성된 펄스 버스트로 대체된다. 각 펄스 버스트를 '''빠른 링크 펄스'''(FLP) 버스트라고 한다. 각 FLP 버스트 시작 사이의 시간 간격은 NLP 사이와 동일한 이다.

자동 협상 장치가 기능을 선언하는 데 사용하는 세 개의 ''빠른 링크 펄스'' 버스트


FLP 버스트는 의 허용 오차로 의 시간 간격으로 17개의 NLP로 구성된다. 각 연속적인 두 NLP 쌍 사이(즉, 펄스 쌍의 첫 번째 NLP 이후 )에 추가적인 양극성 펄스가 존재할 수 있다. 이 추가 펄스의 존재는 논리 1을 나타내고, 부재는 논리 0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모든 FLP에는 16비트 데이터 워드가 포함된다. 이 데이터 워드를 ''링크 코드 워드''(LCW)라고 한다. LCW의 비트는 0에서 15까지 번호가 매겨지며, 비트 0은 시간상 첫 번째 가능한 펄스에 해당하고 비트 15는 마지막 펄스에 해당한다.

링크 코드 워드(16비트 워드)가 빠른 링크 펄스 버스트로 인코딩되는 방식

패스트 이더넷 표준이 1995년에 출시되면서, 서로 다른 속도 옵션을 가진 네트워크 장치들이 연결될 때 최적의 작동 모드를 자동으로 협상하는 기능이 필요해졌다. IEEE 802.3 조항 28에 포함된 자동 협상 프로토콜은 내셔널 세미컨덕터의 특허 기술인 '''NWay'''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5] 이 기술은 일회성 라이선스 비용으로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개방되었다.[6]

자동 협상 과정에서 각 장치는 자신이 지원하는 작동 모드('기술적 능력')를 알린다. 가장 높은 속도와 전이중 모드가 우선적으로 선택되어 최상의 공통 모드가 결정된다.

각 빠른 링크 펄스(FLP) 버스트는 링크 코드 워드(LCW)라고 하는 16비트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중 첫 번째 워드를 ''기본 링크 코드 워드''(base link code word)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다.

  • 0–4: 선택 필드 - IEEE 802.3 또는 IEEE 802.9 중 어떤 표준이 사용되는지 나타낸다.
  • 5–12: 기술 능력 필드 - 10BASE-T 및 100BASE-TX 모드 간의 가능한 작동 모드를 나타낸다(아래 표 참조).
  • 13: 원격 오류 - 장치가 링크 오류를 감지하면 1로 설정된다.
  • 14: 확인 응답(ACK) - 상대 장치로부터 기본 링크 코드 워드를 3회 이상 정확하게 수신하면 1로 설정된다.
  • 15: 다음 페이지 - 기본 링크 코드 워드 이후에 추가적인 링크 코드 워드를 보낼지 여부를 나타낸다.


기술 능력 필드는 8비트로 구성되며, IEEE 802.3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비트 0: 10BASE-T 지원
  • 비트 1: 10BASE-T 전이중 지원
  • 비트 2: 100BASE-TX 지원
  • 비트 3: 100BASE-TX 전이중 지원
  • 비트 4: 100BASE-T4 지원
  • 비트 5: 일시 중지 프레임 지원
  • 비트 6: 전이중에 대한 비대칭 일시 중지 지원
  • 비트 7: 예약됨


링크 코드 워드는 ''페이지''라고도 불리며, 기본 링크 코드 워드는 기본 페이지라고 한다. 추가 페이지를 통해 더 많은 기능을 주고받을 수 있다.

자동 협상은 통신 속도와 이중 통신 모드 외에도, 플로우 제어, 멀티포트 대응, 마스터/슬레이브 설정, EEE 등의 매개변수를 교환한다.

OSI 참조 모델에서 자동 협상은 물리 계층에 해당한다.

자동 협상에서는, 통신 속도와 이중 통신 모드 외에도, 기가비트 이더넷의 마스터-슬레이브 매개변수를 통신하는 데 사용된다.

FLP 버스트는 16비트씩 데이터를 전송한다. 연결 시 첫 번째 전송 데이터는 베이스 페이지(base page) 또는 베이스 LCW(base link codeword)라고 부르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보낸다.

베이스 페이지(clause 28)의 형식[35][36]
비트명칭내용
4-0셀렉터지원 규격을 나타낸다.(값은 비트4→비트0 순)
00001: IEEE 802.3
00010: IEEE 802.9a (폐지)
00011: IEEE 802.5v (폐지)
00100: IEEE 1394
00101: INCITS
5지원 기능
(technology ability)
10BASE-T (반이중) 지원
610BASE-T 전이중 지원
7100BASE-TX (반이중) 지원
8100BASE-TX 전이중 지원
9100BASE-T4 지원
10전이중의 대칭 PAUSE 지원
11전이중의 비대칭 PAUSE 지원
12추가 페이지 있음베이스 페이지 후에 추가 페이지(확장판)를 전송할 때 사용한다.
13원격 오류링크 다운을 감지하고 있을 때(펄스를 수신하지 못함) 1을 나타낸다.
14확인 응답(ACK)상대 측에서 베이스 페이지를 같은 내용으로 최소 3회 수신했을 때 1을 나타낸다.
15추가 페이지 있음베이스 페이지 후에 추가 페이지를 전송할 때 사용한다.



비트 10에 해당하는 PAUSE 설정에서는, 양쪽이 1일 경우에만 양방향으로 PAUSE를 송수신한다. 또한, 양쪽에서 비트 10・11의 값이 0・11・1의 조합이 된 경우, 전자는 PAUSE 전송만, 후자는 수신만 한다.[37]

비트 14에 해당하는 확인 응답은, 상대의 베이스 페이지를 올바르게 수신했음을 알리기 위해 사용한다. 상대의 베이스 페이지를 같은 내용으로 최소 3회 수신했을 때 1을 나타내며, 이후 이 비트를 1로 유지한 채 베이스 페이지를 6~8회 전송한다.[38]

비트 12・15에 해당하는 추가 페이지 있음 비트는, 추가 페이지를 전송하려고 할 때 1로 설정된다. 베이스 페이지의 이 비트가 1이 된 것을 양쪽의 기기가 수신했을 경우에만, 이후의 추가 페이지가 전송된다.

5. 2. 추가 페이지 (Message and Unformatted Next Page)

자동 협상은 기가비트 이더넷의 마스터-슬레이브 매개변수를 통신하는 데 사용된다.[15] 기본 페이지는 장치가 10BASE-T, 100BASE-TX 및 100BASE-T4 모드 중 어떤 것을 지원하는지 알리기에 충분하지만, 기가비트 이더넷의 경우 두 개의 다른 페이지가 필요하다. 이러한 페이지는 두 장치 모두 다음 페이지 비트가 1로 설정된 기본 페이지를 보낸 경우 전송된다.

추가 페이지는 "메시지 페이지"와 "형식 없는 페이지" 두 종류가 있다. 이 페이지들은 기본 페이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펄스로 인코딩된 16비트 워드이다. 첫 11비트는 데이터이고, 두 번째에서 마지막 비트는 페이지가 메시지 페이지인지 형식 없는 페이지인지를 나타낸다. 각 페이지의 마지막 비트는 추가 페이지의 존재를 나타낸다.

1000BASE-T 지원 모드와 마스터-슬레이브 데이터(두 장치 중 어느 장치가 마스터로 작동하고 어느 장치가 슬레이브로 작동할지 결정하는 데 사용됨)는 단일 메시지 페이지와 단일 형식 없는 페이지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메시지 페이지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반이중 기능
  • 장치가 단일 포트인지 다중 포트인지 여부
  • 마스터/슬레이브가 수동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
  • 장치가 수동으로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구성되었는지 여부


형식 없는 페이지에는 마스터-슬레이브 시드 값이라고 하는 10비트 워드가 포함되어 있다.

추가 페이지(Next Pages)를 사용하면, 앞서 나온 매개변수 외에도 다른 매개변수를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기본 페이지에 포함되지 않은 1000BASE-T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속도에 이 페이지가 사용된다.

추가 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종류가 있다. 16비트 버전을 사용할 때는 기본 페이지의 비트 15를 `1`로, 48비트 확장 버전을 사용할 때는 기본 페이지의 비트 12를 `1`로 설정한다.

  • 메시지 페이지(message page): 16비트
  • 자유 서식 페이지(unformatted page): 16비트
  • 메시지 페이지 확장 버전(extended message page): 48비트
  • 자유 서식 페이지 확장 버전(extended unformatted page): 48비트


이들은 메시지 페이지, 자유 서식 페이지 순서로 전송된다. 선행하는 메시지 페이지에서는 데이터 종류만을 통지하고, 후발하는 자유 서식 페이지에서는 데이터 종류에 따라 그 내용이나 페이지 수가 변경된다. 모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추가 페이지(clause 28)의 서식[39]
비트명칭내용
10-0데이터 종류/데이터메시지 페이지의 경우: 데이터 종류
(이하는 주요한 것, 값은 비트 0을 LSB로 한 11비트 값)
7: 100BASE-T2 용도
8: 1000BASE-T 용도
9: 1Gbps 이상 용도
10: EEE 용도
자유 서식 페이지의 경우: 데이터
(메시지 페이지에서 표시된 종류에 따라 다르다)
11토글1페이지마다 `0`과 `1`을 번갈아 변경하여 전송한다. 누락 방지용.
12확인 응답(ACK)상대 측에서 추가 페이지를 올바르게 수신했음을 나타낸다.
13페이지 종류`0`: 자유 서식 페이지
`1`: 메시지 페이지
14확인 응답2(ACK2)상대 측에서 온 추가 페이지의 내용에 대응 가능한지를 나타낸다.
15추가 페이지 있음이 페이지 뒤에 다른 페이지를 전송할 때 사용한다.
47-16자유 서식(확장 버전만)



예를 들어, 1000BASE-T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총 4페이지가 사용된다. 기본 페이지, 메시지 페이지를 전송한 후 자유 서식 페이지를 2페이지 분량 전송하는 방식이 규정되어 있다.

1000BASE-T 자동 협상에서의 페이지 전송 절차, 서식[40]
페이지비트내용
1: 기본 페이지4-0`1`: IEEE 802.3 지원
11-5(100BASE-TX나 10BASE-T 등의 지원이 있는 경우에는 지원 값이 들어간다)
15`1`: 추가 페이지 있음
2: 메시지 페이지10-0`8`: 1000BASE-T 용도
13`1`: 메시지 페이지
15`1`: 추가 페이지 있음
3: 자유 서식 페이지10마스터/슬레이브 고정 설정
1`1`: 마스터, `0`: 슬레이브 (비트 0이 `1`일 때만 유효)
21000BASE-T 멀티 포트 지원
31000BASE-T 전이중 지원
41000BASE-T 반이중 지원
10-5(0 고정)
13`0`: 자유 서식 페이지
15`1`: 추가 페이지 있음
4: 자유 서식 페이지210-0마스터/슬레이브용 의사 난수 값
(상대보다 큰 값이면 마스터, 앞 페이지의 비트 0이 `0`일 때만 유효)
13`0`: 자유 서식 페이지
15`0`: 최종 페이지



1Gbps를 초과하는 규격 지원의 예로, 다음과 같이 48비트 확장 버전의 추가 페이지를 사용한다.

1Gbps 이상의 자동 협상에서의 페이지 전송 절차, 서식[41]
페이지비트내용
1: 기본 페이지4-0`1`: IEEE 802.3 지원
11-5(100BASE-TX나 10BASE-T 등의 지원이 있는 경우에는 지원 값이 들어간다)
12`1`: 추가 페이지 있음
2: 메시지 페이지
확장 버전
10-0`9`: 1Gbps 이상 용도
13`1`: 메시지 페이지
15`1`: 추가 페이지 있음
3: 자유 서식 페이지
확장 버전
10-0(0 고정)
13`0`: 자유 서식 페이지
15`0`: 최종 페이지
26-16마스터/슬레이브용 의사 난수 값
(상대보다 큰 값이면 마스터, 비트 27이 `0`일 때만 유효)
27마스터/슬레이브 고정 설정
28`1`: 마스터, `0`: 슬레이브 (비트 27이 `1`일 때만 유효)
29멀티포트 지원
301000BASE-T 전이중 지원
311000BASE-T 반이중 지원
3210GBASE-T 지원
33(1 고정, 슬레이브에 의한 수신 클럭의 전송 이용)
34쇼트 리치 동작
3510GBASE-T fast retrain 지원
36(0 고정, 상대에 대한 PMA 트레이닝 리셋 요구)
37(0 고정)
38100BASE-TX EEE 지원
391000BASE-T EEE 지원
4010GBASE-T EEE 지원
4125GBASE-T 지원
4240GBASE-T 지원
432.5GBASE-T 지원
445GBASE-T 지원
47-45(0 고정)


6. 이중화 불일치 (Duplex Mismatch)

패스트 이더넷 표준이 1995년에 출시되면서, 연결된 네트워크 어댑터들이 최상의 작동 모드를 협상할 수 있게 되었다. IEEE 802.3 조항 28에 포함된 자동 협상 프로토콜은 내셔널 세미컨덕터의 특허 기술인 '''NWay'''에서 개발되었다.[5]

1995년 IEEE 802.3u 패스트 이더넷 표준의 자동 협상 초기 버전은 제조사별로 구현이 달라 상호 운용성 문제를 일으켰다. 이 때문에 많은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속도와 이중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해야 했다. 그러나 수동 구성은 이중 모드 불일치를 유발할 수 있는데, 이는 네트워크가 정상 작동하는 것처럼 보여 진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ping 같은 간단한 네트워크 테스트는 유효한 연결을 보고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이중 모드 불일치로 인한 전송 중단 및 이더넷 프레임 손실로 인해 네트워크 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이중 모드 불일치가 발생하면 반이중 모드 측은 지연 충돌을, 전이중 모드 측은 FCS 오류를 보고한다.

자동 협상 사양은 1998년에 개선되었고, 1999년 1000BASE-T에 대한 필수 자동 협상을 지정하는 IEEE 802.3ab 기가비트 이더넷 표준이 출시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는 모든 액세스 포트에서 자동 협상을 사용하고 공장 기본 설정으로 활성화하는 것을 권장한다.[7][8][9]

이중화 불일치는 연결된 두 장치가 서로 다른 이중화 모드로 구성될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한 장치는 자동 협상으로, 다른 장치는 전이중 모드로 고정된 경우이다. 이 경우 자동 협상 장치는 속도는 올바르게 감지하지만 이중화 모드는 잘못 감지하여 반이중 모드로 설정된다.

한 장치가 전이중, 다른 장치가 반이중으로 작동하면 연결은 매우 낮은 처리량에서만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전이중 장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동시에 전송할 수 있지만, 반이중 장치는 전송 중 데이터를 수신하면 충돌을 감지하고 전송을 중단한다. 전이중 장치는 중단된 전송에 대해 FCS 오류를 보고한다. 반이중 쪽에서 보고된 지연 충돌과 전이중 쪽에서 보고된 FCS 오류의 조합은 이중화 불일치가 있음을 나타낸다.

가정용 및 업무용 네트워크 장비는 대부분 자동 협상을 지원하고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다.[18][19] 그러나 자동 협상은 잘못된 사용이나 부주의한 해제로 인해 네트워크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 장비 A: 자동 협상 설정
  • 장비 B: 10BASE-T 또는 100BASE-TX의 전이중 모드로 고정


이 경우 장비 A는 반이중으로 자동 설정되어 A-B 간에 이중 통신 모드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도 네트워크는 불안정하게나마 동작하므로 ping을 이용한 통신 확인 시험에서는 문제를 인지할 수 없다. 그러나 대량의 패킷 폐기가 발생하여 처리량이 대폭 감소한다.

일반적으로 100Mbps 이하의 LAN 케이블 통신에서는 양쪽 모두 자동 협상의 유효/무효를 일치시켜야 하며, 기본적으로는 활성화하는 것이 권장된다.[20]

두 장치 중 하나는 전이중, 다른 하나는 반이중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두 장치가 동시에 프레임을 전송하려고 하면 매우 낮은 처리량의 연결이 발생한다. 전이중 모드에서는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지만, 반이중 모드에서는 한 번에 한 방향으로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겉으로는 사용자에게 단방향 통신으로 보이는 경우에도 패킷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TCP 통신과 같이 송신측이 보낸 패킷을 수신측이 확인 응답하는 환경에서는, 실제 데이터가 한 방향으로만 전송되더라도 역방향으로 전송되는 확인 응답 패킷과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중 통신 모드의 불일치를 찾는 방법으로 양쪽 장치의 통계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전이중 장치에서는 FCS 오류를, 반이중 장치에서는 지연 충돌(레이트 콜리전)을 보고하는 것을 통해 문제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7. 운용 상의 주의

가정용 및 업무용 네트워크 장비의 상당수는 자동 협상에 대응하며,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다.[18][19] 저가형 장비는 자동 협상을 해제하고 통신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동 협상을 의식하지 않고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다. 그러나 자동 협상은 잘못된 사용법이나 부주의한 해제로 인해 네트워크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두 장비를 직접 연결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 장비 A: 자동 협상 설정
  • 장비 B: 10BASE-T 또는 100BASE-TX의 전이중 모드로 고정 동작하는 것


이 경우 장비 A는 자동 협상 사양에 따라 반이중으로 자동 설정되므로 A-B 간에 이중 통신 모드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도 네트워크는 불안정하게나마 동작하므로 ping을 이용한 통신 확인 시험에서는 문제를 인지할 수 없다. 그러나 대량의 패킷 폐기가 발생하여 처리량이 대폭 감소한다.

일반적으로 100Mbps 이하의 LAN 케이블 통신에서는 양쪽 모두 자동 협상의 유효/무효를 일치시켜야 한다. 기본적으로는 활성화하는 것이 권장된다.[20] 그러나 구형 장비나 저가형 장비 등 10BASE-T에만 대응하는 장비와의 연결은 자동 협상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연결 측의 자동 협상을 비활성화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8. 특허

1995년 패스트 이더넷 표준이 출시되면서, 연결된 네트워크 어댑터들이 최상의 작동 모드를 협상할 수 있도록 자동 협상 프로토콜이 포함되었다. 이 프로토콜은 IEEE 802.3 조항 28에 포함되었으며, 내셔널 세미컨덕터의 특허 기술인 'NWay'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5] 내셔널 세미컨덕터는 일회성 라이선스 비용으로 누구나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5] 이후 다른 회사들이 해당 특허 권리를 인수했다.[6]

자동 협상은 다음 특허들에 의해 보호된다.

국가특허 번호/출원 번호
미국5617418
미국5687174
미국RE39405 E
미국RE39116 E
미국971,018 (1992년 11월 2일 출원)
미국146,729 (1993년 11월 1일 출원)
미국430,143 (1995년 4월 26일 출원[24])
유럽93308568.0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대한민국286791
대만098359
일본3705610
일본4234 (출원 SN H5-274147)
대한민국출원 SN 22995/93
대만출원 SN 83104531


9. 기타 전송 매체

자동 협상은 LAN 케이블 연결 외의 규격에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1000BASE-X의 각종 광섬유 규격에 옵션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백플레인, 다이렉트 어태치 케이블등에도 사용된다.

차분 맨체스터 부호에 의해 반이중으로 48비트의 기본 페이지를 주고받는다.[46] 신호 속도는 두 종류가 있다.[47]


  • 고속 모드: 16+2/3 Mbps (60나노초/bit)
  • 저속 모드: 625 kbps (1.6마이크로초/bit, 10BASE-T1L용)


싱글 페어 규격에서도 1포트에서 여러 규격을 지원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우선 순위가 규정되어 있다.[48]

# 10GBASE-T1

# 5GBASE-T1

# 2.5GBASE-T1

# 1000BASE-T1

# 100BASE-T1

# 10BASE-T1S 전이중

# 10BASE-T1S 반이중

# 10BASE-T1L

9. 1. 광섬유

8b/10b 특수 심볼[42]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16비트 기본 페이지를 주고받는다.

1000BASE-X 기본 페이지(clause 37) 형식[43]
비트내용
4-0(0 고정)
51000BASE-X 전이중 지원
61000BASE-X 반이중 지원
7전이중 대칭 PAUSE 지원
8전이중 비대칭 PAUSE 지원
11-9(0 고정)
13-12원격 오류
00: 정상, 10: 전송 중지, 01: 수신 없음, 11: 자동 협상 실패
14ACK
15추가 페이지 있음


9. 2. 백플레인, 다이렉트 어태치 케이블

156.25Mbps(6.4 나노초/bit)의 차분 맨체스터 부호화를 통해 다음과 같은 48비트 베이스 페이지를 교환한다.[44]

베이스 페이지(clause 73) 형식[45]
비트명칭내용
4-0 (S4-S0)선택자(트위스트 페어 규격과 동일)
9-5 (E4-E0)수신 의사 난수
(Echoed Nonce)
ACK 시 상대방으로부터 온 T4-T0 값을 저장한다.
11-10 (C1-C0)기능PAUSE 설정 (트위스트 페어 규격과 동일)
12 (C2)(0 고정)
13원격 오류(트위스트 페어 규격과 동일)
14ACK(트위스트 페어 규격과 동일)
15추가 페이지 있음(트위스트 페어 규격과 동일)
20-16 (T4-T0)전송 의사 난수
(Transmitted Nonce)
상대방으로부터 온 E4-E0 값을 비교한다.
21 (A0)지원 기능
(Technology Ability)
1000BASE-KX
22 (A1)10GBASE-KX4
23 (A2)10GBASE-KR
24 (A3)40GBASE-KR4
25 (A4)40GBASE-CR4
26 (A5)100GBASE-CR10
27 (A6)100GBASE-KP4
28 (A7)100GBASE-KR4
29 (A8)100GBASE-CR4
30 (A9)25GBASE-KR-S 또는 25GBASE-CR-S
31 (A10)25GBASE-KR 또는 25GBASE-CR
32 (A11)2.5GBASE-KX
33 (A12)5GBASE-KR
34 (A13)50GBASE-KR 또는 50GBASE-CR
35 (A14)100GBASE-KR2 또는 100GBASE-CR2
36 (A15)200GBASE-KR4 또는 200GBASE-CR4
43-37 (A22-16)(0 고정)
44 (F2)FEC 지원25G RS-FEC 동작
45 (F3)25G BASE-R FEC 동작
46 (F0)10Gbps FEC 기능 있음
47 (F1)10Gbps FEC 동작


9. 3. 싱글 페어 케이블

단일 쌍 이더넷은 자체적인 자동 협상 방식을 갖는다. 이는 차동 맨체스터 부호를 사용하여 반이중 방식으로 기능을 협상하며, 48비트의 기본 페이지를 주고받는다.[46] 신호 속도는 두 가지가 있다.[47]

  • 고속 모드: 16.667Mbit/s (60나노초/bit)
  • 저속 모드: 625kbit/s (1.6마이크로초/bit, 10BASE-T1L용)


싱글 페어 규격에서는 1포트에서 여러 규격을 지원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우선 순위가 규정되어 있다.[48]

1. 10GBASE-T1

2. 5GBASE-T1

3. 2.5GBASE-T1

4. 1000BASE-T1

5. 100BASE-T1

6. 10BASE-T1S 전이중

7. 10BASE-T1S 반이중

8. 10BASE-T1L

참조

[1] 간행물 IEEE Standard for Ethernet https://ieeexplore.i[...]
[2] 서적 Administering Data Centers Servers, Storage, and Voice over IP. John Wiley & Sons 2005
[3] 서적 Switched network services Wiley Computer Pub. 1998
[4] 웹사이트 Part 3: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 access method and Physical Layer specifications http://standards.iee[...] SECTION TWO: This section includes Clause21 through Clause 33 and Annex 22A through Annex 33E. 2014-06-03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negotiate[...] 2009-12-02
[6] 웹사이트 NWay/IEEE Standard Patent License Offer | Negotiated Data Solutions LLC http://www.negotiate[...] Negotiateddata.com 2010-02-02
[7] 웹사이트 Configuring and Troubleshooting Ethernet 10/100/1000Mb Half/Full Duplex Auto-Negotiation http://www.cisco.com[...] Cisco 2012-01-12
[8] 웹사이트 Ethernet Autonegotiation Best Practices http://www.sun.com/b[...] Sun Microsystems 2004-07
[9] 웹사이트 Gigabit Ethernet Auto-Negotiation http://www.dell.com/[...] Dell 2012-01-12
[10] 웹사이트 Auto-Negotiation; 802.3-2002 http://standards.iee[...] IEEE 2007-11-05
[11] 간행물 DP83865 datasheet https://www.ti.com/l[...] 2023-05-19
[12] 문서 IEEE 802.3-2018 Annex 28B
[13] 웹사이트 Port speed and duplex mode configuration http://docs.ruckuswi[...] 2020-09-25
[14] 웹사이트 IEEE Link Task Force Autodetect, Specification for NWay Autodetect http://www.negotiate[...]
[15] 문서 IEEE 802.3 Clause 28.2.1.2.6 Next Page
[16] 문서 IEEE 802.3 Clause 98
[17] 문서 IEEE 802.3 Annex 98B
[18] 웹사이트 Configuring and Troubleshooting Ethernet 10/100/1000Mb Half/Full Duplex Auto-Negotiation http://www.cisco.com[...] Cisco 2012-01-12
[19] 웹사이트 Ethernet Autonegotiation Best Practices http://www.sun.com/b[...] サン・マイクロシステムズ 2004-07
[20] 웹사이트 Gigabit Ethernet Auto-Negotiation http://www.dell.com/[...] Dell 2012-01-12
[21] 간행물 IEEE 802.3 http://standards.iee[...]
[22] 서적 Administering Data Centers Servers, Storage, and Voice over IP. John Wiley & Sons 2005
[2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negotiate[...] 2009-12-02
[24] 웹사이트 NWay/IEEE Standard Patent License Offer | Negotiated Data Solutions LLC http://www.negotiate[...] Negotiateddata.com 2010-02-02
[25] 웹사이트 Part 3: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 access method and Physical Layer specifications http://standards.iee[...] SECTION TWO: This section includes Clause21 through Clause 33 and Annex 22A through Annex 33E. 2014-06-03
[26] 웹사이트 SUMMARY: gigabit - fix spd/dpx on the switch ? or autoneg ? https://www.sunmanag[...] 2009-04-22
[27] 문서 IEEE 802.3-2018, Clause 55.1.1 Objectives
[28] 문서 IEEE 802.3-2018, Clause 126.1.2 Relationship of 2.5GBASE-T and 5GBASE-T to other standards
[29] 문서 IEEE 802.3-2018, Annex 28B
[30] 웹사이트 IEEE Link Task Force Autodetect, Specification for NWay Autodetect http://www.negotiate[...]
[31] 서적 Switched network services Wiley Computer Pub. 1998
[32] 문서 IEEE 802.3-2018, Clause 14.2.1.7, Link Integrity Test function requirements
[33] 문서 IEEE 802.3-2018, Table 28–1, FLP Burst timing summary
[34] 문서 IEEE 802.3-2018, Clause 28.2.1.1, Link pulse transmission
[35] 문서 IEEE 802.3-2018, Clause 28.2.1.2, Link codeword encoding
[36] 문서 IEEE 802.3-2018, Table 28B–1, Technology Ability Field bit assignments
[37] 문서 IEEE 802.3-2022, Table 28B-3 - Pause resolution
[38] 문서 IEEE 802.3-2022, Clause 28.2.1.2.5 Acknowledge
[39] 문서 IEEE 802.3-2018, Clause 28.2.3.4, Next Page function
[40] 문서 IEEE 802.3-2018, Table 40-4, 1000BASE-T Base and Next Pages bit assignments
[41] 문서 IEEE 802.3-2018, Table 126–16, 2.5GBASE-T and 5GBASE-T Base and Next Pages bit assignments
[42] 문서 IEEE 802.3-2018, Table 36–3, Defined ordered sets
[43] 문서 IEEE 802.3-2018, Clause 37.2.1.1 Base Page to management register mapping
[44] 문서 IEEE 802.3-2018, Clause 73
[45] 문서 IEEE 802.3-2018, Table 73–4, Technology Ability Field encoding
[46] 문서 IEEE 802.3-2018, Clause 98
[47] 문서 IEEE 802.3-2022, Table 98–1, DME page timing summary
[48] 문서 IEEE 802.3-2022, Annex 98B
[49] 인용 IEEE 802.3 https://ieeexplore.i[...]
[50] 서적 Administering Data Centers Servers, Storage, and Voice over IP. John Wiley & Sons 2005
[51] 서적 Switched network services https://archive.org/[...] Wiley Computer Pub. 1998
[52] 웹인용 Part 3: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 access method and Physical Layer specifications http://standards.iee[...] SECTION TWO: This section includes Clause21 through Clause 33 and Annex 22A through Annex 33E. 2014-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