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드워드 어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워드 어빙은 1792년 스코틀랜드 애넌에서 태어난 목사이자 작가이다.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고, 해딩턴과 커컬디에서 교사로 재직하며 신학을 공부했다. 1820년대 런던에서 설교로 명성을 얻었으며, 웅변과 초자연적인 현상에 대한 관심으로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앨버리 회의를 통해 종말론적 사상을 발전시켰고, 방언과 치유의 은사를 강조하며 가톨릭 사도 교회의 전신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이단 혐의로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파문된 후, 이즐링턴에서 활동하다 183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기독교 신학자 - 데이비드 리빙스턴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19세기 아프리카 탐험에 기여한 스코틀랜드 출신 탐험가이자 선교사로, 빅토리아 폭포 발견, 아프리카 대륙 횡단, 노예 무역 근절 노력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일강 수원지 탐색 중 헨리 모턴 스탠리를 만났고 잠비아에서 사망 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
  • 스코틀랜드의 기독교 신학자 - 제임스 바
    제임스 바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신학자이자 구약학자로서, 성경 언어 의미론과 근본주의 비판에 기여했으며, 에든버러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활발하게 활동했다.
  • 1834년 사망 - 찰스 램
    영국의 수필가이자 시인인 찰스 램은 누이 메리 램과 함께 쓴 《셰익스피어 이야기》와 《엘리아 수필》로 유명하며, 낭만주의 시대 주요 문인들과 교류하고 독특한 문체를 발전시켜 영국 수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34년 사망 -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는 영국의 시인이자 비평가, 철학자로, 윌리엄 워즈워스와 함께 영국 낭만주의 시대를 연 『서정민요집』을 출판하고 "늙은 항해사의 노래" 등의 시와 『문학전기』 등의 비평서를 통해 영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아편 중독과 정치 성향 변화 등 복잡한 삶을 살았고 칸트 철학 해석과 보수주의적 경제 비판을 포함한 사상으로 초월주의와 실용주의에도 영향을 주었다.
  • 1792년 출생 - 퍼시 비시 셸리
    퍼시 비시 셸리는 급진적인 신념과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낭만주의 시대의 영국 시인이자 작가로서, 《서풍의 노래》, 《프로메테우스의 해방》, 《오지맨디아스》 등의 작품을 통해 낭만주의적 열정과 자유, 이상을 노래하며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792년 출생 - 존 허셜
    영국의 천문학자, 수학자, 화학자이자 사진가인 존 허셜은 윌리엄 허셜의 아들로, 남반구 천체 관측, 항성 연구 기여, 율리우스일 사용 제안, 사진 용어 제안 및 청사진 발명 등 천문학과 사진술 발전에 공헌했다.
에드워드 어빙
기본 정보
에드워드 어빙
출생일1792년 8월 4일
출생지애넌, 애넌데일, 스코틀랜드
사망일1834년 12월 7일
사망지에든버러, 스코틀랜드
국적스코틀랜드
직업
직업성직자
종교
소속 교단스코틀랜드 교회
가톨릭 사도 교회 (전신)
학력
교육애넌 아카데미
에든버러 대학교 (M.A., 1809년)
학위M.A.
성직
서품1815년 6월
저서
주요 저서"For the Oracles of God, Four Orations" (1823년)
"For Judgment to come" (1823년)
"Babylon and Infidelity foredoomed" (1826년)
"Sermons", etc. (3 vols, 1828년)
"Exposition of the Book of Revelation" (1831년)
"The Coming of the Messiah" 서론
조지 혼의 "Commentary on the Psalms" 서론
가족
배우자이사벨라 마틴

2. 초기 생애와 교육

에드워드 어빙은 덤프리스 앤 갤러웨이의 애넌에서 무두질업자인 개빈 어빙과 그의 아내 메리 로우더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쪽은 프랑스 위그노 난민과 연관된 이 지역에 오랫동안 알려진 가문에서 내려왔다. 그의 어머니 쪽인 로우더 가문은 애넌데일의 농부 또는 소규모 지주였다. 그는 처음에는 토머스 페인의 친척인 페기 페인이 운영하는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그 후 애덤 호프가 가르치는 애넌 아카데미에 입학했다.

2. 1. 출생과 가족 배경

에드워드 어빙은 덤프리스 앤 갤러웨이의 애넌에서 무두질업자인 개빈 어빙과 그의 아내 메리 로우더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쪽은 프랑스 위그노 난민과 연관된 이 지역에 오랫동안 알려진 가문에서 내려왔다. 그의 어머니 쪽인 로우더 가문은 애넌데일의 농부 또는 소규모 지주였다. 그는 처음에는 토머스 페인의 친척인 페기 페인이 운영하는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그 후 애덤 호프가 가르치는 애넌 아카데미에 입학했다.

2. 2. 교육 과정

어빙은 애넌 아카데미에서 교육받은 후, 13세에 에든버러 대학교에 입학했다.1809년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문학 석사(M.A.) 학위를 받았다.존 레슬리 경의 추천으로 해딩턴의 수학 학교 교사로 임명되었다.제인 웰시 칼라일(토머스 칼라일의 부인)과 토머스 번스가 그의 제자였다.

3. 스코틀랜드에서의 사역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M.A.를 졸업한 어빙은 존 레슬리 경의 추천으로 해딩턴의 학교 교사로 임명되었다. 그의 제자 중에는 제인 웰시가 있었다.[2] 1812년, 해딩턴에서의 임명은 파이프의 커컬디 아카데미의 직위와 교환되었다.[2]

어빙은 커컬디에서 교사로 일하면서 신학 공부를 병행하여, 1815년 6월에 설교 허가를 받았다.[2] 그는 여가 시간을 활용하여 물리학과 영어 문학을 공부했고, 리처드 후커의 작품을 탐독하며 고풍스러운 문체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2] 또한, ''천일야화''와 ''오시안''을 읽으며 경이로운 것에 대한 사랑을 키웠다.[2]

1818년 여름, 교사직을 사임한 어빙은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정규직을 얻기 위해 에든버러로 이주했다.[2] 1819년 10월, 토머스 챌머스의 도움으로 글래스고의 세인트 존 교구에서 그의 조수이자 선교사로 임명되었다.[2]

3. 1. 설교 허가와 초기 사역

1815년 6월, 에드워드 어빙은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설교 허가를 받았다. 1818년 여름, 교사직을 사임하고 에든버러에 거주하며 정규직을 얻으려 노력했지만, 안정된 직책을 얻는 것은 쉽지 않았다. 1819년 10월, 토머스 챌머스의 조치로 글래스고의 세인트 존 교구에서 그의 조수이자 선교사로 임명되었다.

어빙의 설교는 세인트 존 교구 회중들에게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토머스 챌머스는 그의 설교 스타일을 이탈리아 음악에 비유하며, 일부 감정가들만 이해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어빙은 가난한 계층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사도적 관례에 따라 "이 집에 평화가 있기를"이라는 축복을 전하며 심방 활동을 했다.

3. 2. 이사벨라 마틴과의 관계

1812년, 어빙은 이사벨라 마틴과 약혼했지만, 제인 웰시와 사랑에 빠졌다. 그는 이사벨라와의 약혼을 깨려고 했지만, 그녀의 가족 때문에 실패했다. 아이러니하게도 1821년에 토머스 칼라일을 제인 웰시에게 소개한 사람은 어빙이었다. 결국 1823년 10월, 그는 커콜디의 존 마틴 목사의 딸인 이사벨라 마틴과 결혼했다.[8]

4. 런던에서의 사역과 인기

1821년 겨울, 에드워드 어빙은 동방 선교사로의 활동을 고려하던 중 런던 해튼 가든(현재는 블룸스버리의 루멘 교회)에 위치한 칼레도니아 교회로부터 초청을 받았다.[3] 1822년 7월, 어빙은 그 직무로 인해 서품을 받았다.[3]

에드워드 어빙, 1823년 9월에 출판된 스케치.


어빙은 런던에서 설교를 시작하자마자 갑작스러운 인기를 얻었는데, 그의 웅변은 영국 하원에서 조지 캐닝의 연설에 비견될 정도였다.[3] 캐닝은 제임스 매킨토시 경이 인용한 어빙의 기도문 구절에 감탄하여 그의 교회에 출석하기도 했다.[3] 어빙은 압도적인 체격, 균형 잡힌 몸매, 멜로디컬한 천둥소리와 같은 깊고 강력한 목소리를 지녔으며, 과장된 몸짓과 예언자의 권위를 더한 어조로 청중을 사로잡았다.[3]

아이작 로버트 크루익생크의 에드워드 어빙 설교 풍자화 (1824).


어빙은 추상적이고 진부한 신학적 논쟁보다는 시대의 의견, 시, 정치, 풍습을 날카로운 풍자와 맹렬한 비난으로 다루었다.[3] 1823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연설''은 팸플릿, 신문, 평론에서 비판을 받았지만, 그로 인해 생긴 흥분은 피상적이고 일시적인 것에 불과했다.[3] 어빙은 교회 형식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의 목표는 이러한 형식으로 굳어진 고대의 사상과 감정을 부활시키는 것이었다.[3] 그러나 그의 시대의 사상과 일치하지 않으면서, 그의 과업 실패는 불가피했다.[3] 1827년 리젠트 광장에 그의 새로운 교회가 문을 연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그의 스타일이 유행에 뒤떨어졌고, 교회는 항상 사람들이 많이 찾았지만 더 이상 만원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빙의 초자연주의에 대한 경향은 더욱 커졌다.[3]

4. 1. 런던에서의 설교와 명성

에드워드 어빙은 1822년 7월 런던 해튼 가든(현재는 블룸스버리의 루멘 교회)에 위치한 칼레도니아 교회로 초빙되어 목사 안수를 받았다.[3] 그는 런던에서 설교를 시작하자마자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그의 설교는 영국 하원에서 조지 캐닝의 웅변에 비견될 정도였다.[3] 제임스 매킨토시 경의 소개로 캐닝이 어빙의 교회에 출석하기도 했다.[3]

어빙은 압도적인 체격, 균형 잡힌 몸매, 깊고 강력한 목소리로 청중을 사로잡았다.[3] 그는 시대의 의견, 문학, 정치, 풍습 등을 날카로운 풍자와 비난으로 다루며, 정치, 법률, 과학 분야의 사람들을 가르칠 준비를 했다고 생각했다.[3]

1823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연설''에 대한 비판이 있었지만, 어빙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계속되었다.[3] 그러나 1827년 리젠트 광장에 새로운 교회가 문을 열었을 때, 그의 스타일은 유행에서 멀어졌고, 교회는 더 이상 만원이 아니었다.[3]

4. 2. 리젠트 광장 교회와 쇠퇴

1827년, 리젠트 광장에 어빙을 위한 새로운 교회가 세워졌다.[3] 그러나 그의 설교 스타일은 점차 유행에서 멀어졌고, 교회는 사람들로 붐볐지만 예전처럼 만원을 이루지는 못했다.[3] 이러한 상황에서 어빙은 초자연주의적인 경향을 보이게 되었다.[3]

5. 가톨릭 사도 교회의 전신

에드워드 어빙은 수년간 예언의 주제에 대해 깊이 생각했으며, 그리스도의 재림이 임박했다는 그의 믿음은 "후안 호사파트 벤-에즈라"라는 가명을 사용한 예수회 신부 마누엘 라군자의 저술에 의해 매우 긍정적인 확증을 받았다. 1827년에 그는 이를 번역하여 출판했다.[4] 원래 어떤 면에서는 개신교보다 가톨릭에 더 가까웠던 어빙의 종교적 견해는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로부터 폭과 깊이를 더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점차 콜리지의 철학에 대한 그의 주된 관심은 신비주의적이고 모호한 것에 집중되었으며, 이는 천년설 교리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832년 어빙파 또는 성 가톨릭 사도 교회의 설립으로 이어진 그의 후기 발전의 첫 번째 단계는 그의 친구 헨리 드러먼드의 저택인 서리주 앨버리의 앨버리 회의(1826–1830)와 관련이 있었으며, 휴 보이드 맥닐(1795–1879)이 회의를 주재했다. 이 회의는 미완의 예언에 대한 논의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예언서, 특히 요한계시록에 대한 거의 독점적인 연구, 그리고 런던과 지방에서 열린 여러 차례의 예언 설교로 이어졌다. 1828년 그의 종말론적 강연은 여름 아침에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가장 큰 교회들을 가득 채웠다.[4]

그러나 1830년에 그는 믿음의 부재로 인해 보류되었을 뿐이라고 이미 1828년에 스스로 확신했던 예언과 치유의 은사가 부활하는 것을 경험했다. 그는 새로운 능력을 기꺼이 받아들였으며, 비록 이로 인해 가장 소중한 친구들의 이탈, 자신의 종속적인 지위로의 하락, 그리고 교회로부터의 거부로 이어졌음에도 말이다. 1830년 런던 장로회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그의 교리를 발표한 혐의로 그를 파문하고, 이듬해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에서 이 견해를 비난한 것은 부차적인 사건이었다. 이는 그의 경력의 주요 문제에 영향을 미쳤는데, 그를 교회와의 공감에서 더욱 고립시켰고, 은사 발현과 관련된 불규칙성은 점차 자신의 회중 대다수를 멀어지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의 지역 교회가 이전에 권위를 거부했던 런던 장로회에 대한 위탁자들의 불만에 따라, 그는 리젠트 광장의 국립 스코틀랜드 교회의 목사직을 유지할 자격이 없다고 선언되었다.

1832년 그와 그를 따르는 사람들(스스로를 성 가톨릭 사도 교회라고 칭함)이 뉴먼 스트리트에 있는 새로운 건물로 이사한 후, 그는 1833년 3월, 이단 혐의로 애난 장로회에 의해 스코틀랜드 교회 목사직에서 해임되었다.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추방된 후, 어빙은 이즐링턴에서 야외 설교를 하다가, 그와 그의 추종자들을 위해 이즐링턴 던컨 스트리트에 새로운 교회가 세워졌다. 이 교회는 어빙의 런던 교회의 전직 장로인 반스버리의 던컨 매켄지가 자금을 지원했고, 홀본의 기업 스티븐슨 & 래미지가 건축했다. 1970년대에 폐쇄되었다.[5]

얼마간의 지연 후, 그는 뉴먼 스트리트에 모인 교회의 수석 목사로 다시 임명되었다. 그는 1834년 12월 7일에 사망했다. 그는 글래스고 대성당의 지하 묘지에 성 문고의 무덤 근처에 묻혔다.[6]

5. 1. 앨버리 회의와 예언 연구

에드워드 어빙은 예언의 주제에 대해 깊이 생각했으며, 예수회 신부 마누엘 라군자의 저술을 통해 그리스도의 재림이 임박했다는 믿음을 확고히 했다.[4] 1827년, 어빙은 라군자의 저술을 번역하여 출판했다.[4] 어빙의 종교적 견해는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의 영향을 받아 폭넓어졌지만, 점차 신비주의적인 것에 집중되었으며, 이는 천년설 교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4]

1826년부터 1830년까지, 어빙은 헨리 드러먼드의 저택인 서리주 앨버리에서 열린 앨버리 회의에 참여했다.[4] 휴 보이드 맥닐이 회의를 주재했다.[4] 이 회의는 미완의 예언에 대한 논의로 시작하여, 요한계시록을 비롯한 예언서 연구에 집중했다.[4] 또한 런던과 지방에서 여러 차례 예언 설교가 이루어졌다.[4] 1828년, 어빙의 종말론적 강연은 여름 아침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의 가장 큰 교회들을 가득 채울 정도로 큰 관심을 받았다.[4]

5. 2. 방언과 치유의 은사

1830년, 에드워드 어빙은 방언과 치유의 은사가 부활했다고 믿게 되었다. 그는 이러한 능력을 기꺼이 받아들였으나, 이로 인해 가장 소중한 친구들을 잃고, 교회로부터 멀어지게 되었다. 어빙은 이미 1828년에 믿음의 부재로 인해 이러한 은사들이 보류되었을 뿐이라고 확신했다.

5. 3. 이단 논란과 파문

에드워드 어빙은 천년설을 주장하며, 예수회 신부 마누엘 라군자의 저술을 번역, 출판하기도 하였다.[4] 1830년, 어빙은 런던 장로회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교리 문제로 파문당했다. 1831년,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는 어빙의 견해를 비난했다.

1832년, 어빙과 그의 추종자들은 뉴먼 스트리트로 옮겨 '성 가톨릭 사도 교회'를 설립했다. 그러나 어빙은 1833년에 이단 혐의로 애넌 장로회에 의해 스코틀랜드 교회 목사직에서 최종 해임되었다.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추방된 이후, 어빙은 이즐링턴에서 야외 설교를 하다가, 던컨 스트리트에 새로운 교회가 세워지기도 하였다.[5]

6. 말년과 죽음

6. 1. 이즐링턴 던컨 스트리트 교회와 사망

7. 유산과 평가

7. 1. 어빙파와 가톨릭 사도 교회

7. 2. 기념물과 저서

애넌 교회 묘지에 있는 에드워드 어빙의 동상


스코틀랜드 덤프리스셔의 애넌 올드 교구 교회 부지에는 어빙의 동상이 있는데, 이 동상은 덤프리스의 J. W. 도즈가 조각했다.[7] 이 동상은 어빙의 탄생 100주년이 되는 1892년에 아치볼드 차터리스에 의해 공개되었다.[1]

어빙이 생전에 출판한 저서는 ''신탁을 위하여, 네 개의 연설''(1823), ''심판을 위하여''(1823), ''바빌론과 불신은 운명 지워졌다 – 다니엘과 묵시록의 예언에 관한 담론, 후대에 관한 것, 그리고 재림까지''(1826, 2판 1828), ''설교'', 기타 (3권, 1828), ''요한계시록 해설''(1831), 마누엘 라쿤자의 책 번역본인 ''영광과 위엄 속에 오시는 메시아'' 서문, 호른의 ''시편 주석'' 서문 등이 있다.

그의 전집은 개빈 칼라일에 의해 편집되어 5권으로 출판되었다. 마가렛 올리판트의 ''에드워드 어빙의 생애''는 1862년 2권으로 출판되었다. 이전에 출판된 많은 전기들 중 워싱턴 윌크스의 전기(1854)가 어느 정도 가치가 있다. 또한 윌리엄 해즐릿의 ''시대의 정신''; 콜리지의 ''영국 신학자들에 대한 노트''; 칼라일의 ''잡문집'', 그리고 칼라일의 ''회상록'', 1권(1881)을 참조하라.

7. 3. 후대의 평가

8. 어빙의 신학 사상과 한국 개신교

9. 저서

어빙이 생전에 출판한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신의 신탁에 관하여, 네 개의 연설'' (1823)
  • ''심판이 오리라'' (1823)
  • ''바빌론과 불신은 운명 지워지다 – 다니엘과 묵시록의 예언에 관한 담론, 후대에 관한 것, 그리고 재림까지'' (1826, 2판 1828)
  • ''설교집'' 등 (3권, 1828)
  • ''요한 계시록 해설'' (1831)
  • 마누엘 라쿤자의 책 번역본인 ''영광과 위엄 속에 오시는 메시아'' 서문
  • 조지 혼의 ''시편 주석'' 서문.


그의 전집은 개빈 칼라일에 의해 편집되어 5권으로 출판되었다. 마가렛 올리판트의 ''에드워드 어빙의 생애''는 1862년 2권으로 출판되었다. 이전에 출판된 많은 전기들 중 워싱턴 윌크스의 전기(1854)가 어느 정도 가치가 있다. 또한 윌리엄 해즐릿의 ''시대의 정신''; 콜리지의 ''영국 신학자들에 대한 노트''; 칼라일의 ''잡문집'', 그리고 칼라일의 ''회상록'', 1권(1881)을 참조하라.

참조

[1] 웹사이트 Full text of "Fasti ecclesiae scoticanae : the succession of ministers in the Church of Scotland from the reformation" (archived) https://archive.org/[...]
[2] 서적 Carlyle Till Marriage 1795 To 1826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19-08-19
[3] 웹사이트 UCL Bloomsbury Project https://www.ucl.ac.u[...]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9-08-19
[4] 웹사이트 Albury Village | History http://www.albury.or[...] 2007-05-10
[5] 웹사이트 Islington: Protestant nonconformity, A History of the County of Middlesex: Volume 8, Islington and Stoke Newington Parishes https://www.british-[...] Originally published by Victoria County History 2020-07-19
[6] 간행물 Hew Scott'', Fasti Ecclesiae Scoticanae''
[7] 웹사이트 Edward Irving Statue, Church Street, Annan, Annan, Dumfries and Galloway https://britishliste[...]
[8] 웹사이트 Edward Irving (Preacher) https://www.english-[...] English Heritage Blue Plaques 2023-06-18
[9] 문서 エペソ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