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먼스쌀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먼스쌀쥐(Euryoryzomys emmonsae)는 1998년 처음 기술된 종으로, 브라질의 아마존 열대 우림 지역에 분포하는 쌀쥐류이다. 이 종은 형태학적, 분자 계통 발생학적 연구를 통해 분류가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Euryoryzomys 속으로 분류된다. 에먼스쌀쥐는 꼬리가 길고 부드러운 털을 가진 것이 특징이며, 자세한 서식지 정보가 있는 표본은 대나무가 많은 덩굴 숲에서 포획되었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을 "자료 부족"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서식지 파괴의 위협을 받을 수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기재된 포유류 - 사테레마모셋
    사테레마모셋은 사테레마모셋의 역사, 특징, 한국 사회와의 관련성, 응용, 비판, 미래 전망 등을 다루는 문서이다.
  • 1998년 기재된 포유류 - 산지땃쥐텐렉
  • 목화쥐아과 - 단색올드필드쥐
  • 목화쥐아과 - 계곡오시쿠도
    계곡오시쿠도는 2008년 동물학자들이 학술적으로 명명한 설치류의 일종으로, 아르헨티나 투쿠만 주에서 발견된 LMC 7247 모식표본을 통해 알려졌다.
에먼스쌀쥐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학명Euryoryzomys emmonsae
명명자(Musser, Carleton, Brothers, and Gardner, 1998)
이전 학명Oryzomys emmonsae Musser et al., 1998
참고 학명[Euryoryzomys] emmonsae: Weksler, Percequillo, and Voss, 2006
브라질 중부의 에우리오리조미스 에몬사에 분포 지도.
분포 (녹색).
IUCN 보전 등급정보 부족 (DD)

2. 분류

1998년, 가이 머서 (Guy Musser), 마이클 칼튼 (Michael Carleton), 에릭 브라더스 (Eric Brothers), 알프레드 가드너 (Alfred Gardner)는 이전에 "''Oryzomys capito''"에 포함되었던 종들(''Hylaeamys'', ''Euryoryzomys'', ''Transandinomys'' 속에 분류됨)의 분류를 검토했다. 그들은 브라질 북부 파라주의 세 곳에서 수집된 17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새로운 종인 ''Oryzomys emmonsae''를 기술했는데, 이 동물들은 이전에 ''Euryoryzomys macconnelli''와 ''Euryoryzomys nitidus''로 확인되었다. 종명은 신열대 지역 포유류학에 기여한 루이스 H. 에먼스 (Louise H. Emmons)를 기리는 것으로, 그녀는 1986년에 알려진 이 종의 표본 중 세 개를 수집했는데, 여기에는 모식표본도 포함되어 있다. 그들은 새로운 종을 "''Oryzomys nitidus'' 그룹"이라고 명명했는데, 여기에는 ''O. macconnelli'', ''O. nitidus'', 그리고 ''O. russatus''가 포함되었다.

2000년, 제임스 패튼 (James Patton), 마리아 나자레트 F. 다 실바 (Maria da Silva), 제이 맬컴 (Jay Malcolm)은 브라질 서부 주루아강에서 수집된 포유류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서 그들은 머서와 동료들이 검토한 ''Oryzomys'' 종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했는데, 여기에는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b'' 유전자의 염기서열 데이터가 포함되었다. 그들의 분석 결과, ''O. emmonsae''가 별개의 종이라는 것이 재확인되었으며, ''O. macconnelli''와 ''O. russatus''와 가장 가깝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시토크롬 ''b'' 염기서열에서 약 12%의 차이를 보였다. ''O. nitidus''는 더 멀리 관련되어 있었으며, 14.7%의 차이를 보였다. 연구된 세 개의 ''O. emmonsae'' 개체 간의 평균 염기서열 차이는 0.8%였다.[1]

2006년, 마르셀로 벡슬러의 광범위한 형태학적 및 분자 계통 발생학적 분석 결과, 당시 ''Oryzomys'' 속에 속했던 종들이 단일하고 일관된 (단일 계통) 그룹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O. macconnelli'', ''O. lamia'' (머서와 동료들에 의해 ''O. russatus''에 포함됨) 그리고 ''O. russatus''는 단일 자연 그룹(클레이드)으로 함께 묶였지만, ''Oryzomys''의 모식종습지쌀쥐 (''O. palustris'')와는 밀접한 관련이 없었다.[2] 2006년 후반, 벡슬러와 동료들은 이전에 ''Oryzomys'' 속에 속했던 종들을 수용하기 위해 몇 개의 새로운 속을 기술했는데, 그중에는 ''O. emmonsae''를 포함한 "''O. nitidus'' 복합체"를 위한 ''Euryoryzomys''가 있었다.[3]

따라서, 이 종은 현재 ''Euryoryzomys emmonsae''로 알려져 있다. ''Euryoryzomys''의 종으로서, 그것은 주로 남부 및 중앙 아메리카에서 온 100종 이상을 포함하는 족 Oryzomyini ("쌀쥐")에 분류된다.[4] Oryzomyini는 다시 수백 종의 주로 작은 설치류를 포함하는 쥐아과쥐과에 속한다.

2. 1. 초기 분류

1998년, 가이 머서 (Guy Musser), 마이클 칼튼 (Michael Carleton), 에릭 브라더스 (Eric Brothers), 알프레드 가드너 (Alfred Gardner)는 이전 "''Oryzomys capito''"에 포함되었던 종들의 분류를 검토했다. 그들은 브라질 북부 파라주에서 수집된 17개 표본을 바탕으로 ''Oryzomys emmonsae''를 기술했는데, 이들은 이전 ''Euryoryzomys macconnelli''와 ''Euryoryzomys nitidus''로 확인되었다. 종명은 신열대 지역 포유류학에 기여한 루이스 H. 에먼스 (Louise H. Emmons)를 기리기 위한 것이며, 그녀는 1986년에 알려진 이 종의 모식표본을 포함한 세 개의 표본을 수집했다. 머서와 동료들은 새로운 종을 ''O. macconnelli'', ''O. nitidus'', ''O. russatus''가 포함된 "''Oryzomys nitidus'' 그룹"으로 명명했다.

2000년, 제임스 패튼 (James Patton), 마리아 나자레트 F. 다 실바 (Maria da Silva), 제이 맬컴 (Jay Malcolm)은 브라질 서부 주루아강에서 수집된 포유류 보고서에서 ''Oryzomys'' 종에 대한 추가 정보와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b'' 유전자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제공했다. 그들은 ''O. emmonsae''가 별개 종이며, ''O. macconnelli''와 ''O. russatus''와 가장 가깝고(시토크롬 ''b'' 염기서열에서 약 12% 차이), ''O. nitidus''와는 더 멀리 관련되어 있다(14.7% 차이)는 것을 확인했다. 세 ''O. emmonsae'' 개체 간 평균 염기서열 차이는 0.8%였다.[1]

2006년, 마르셀로 벡슬러의 형태학적, 분자 계통 발생학적 분석 결과 ''Oryzomys'' 속에 속했던 종들이 단일 (단일 계통) 그룹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2] ''O. macconnelli'', ''O. lamia'', ''O. russatus''는 단일 클레이드로 묶였지만, ''Oryzomys''의 모식종습지쌀쥐와는 관련이 없었다.[2] 2006년 후반, 벡슬러와 동료들은 ''O. emmonsae''를 포함한 "''O. nitidus'' 복합체"를 위한 ''Euryoryzomys'' 등 새로운 속들을 기술했다.[3]

따라서 이 종은 현재 ''Euryoryzomys emmonsae''로 알려져 있다. ''Euryoryzomys''는 100종 이상을 포함하는 족 Oryzomyini ("쌀쥐")에 분류되며,[4] Oryzomyini는 다시 쥐아과쥐과에 속한다.

2. 2. ''Oryzomys nitidus'' 그룹

1998년, 가이 머서 (Guy Musser), 마이클 칼튼 (Michael Carleton), 에릭 브라더스 (Eric Brothers), 알프레드 가드너 (Alfred Gardner)는 이전에 ''Oryzomys capito''에 포함되었던 종들의 분류를 검토하면서 ''Oryzomys emmonsae''를 새로운 종으로 기술하고, ''O. macconnelli'', ''O. nitidus'', ''O. russatus''를 포함하는 "''Oryzomys nitidus'' 그룹"으로 명명했다. 2000년 제임스 패튼 (James Patton) 등이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b'' 유전자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통해 ''O. emmonsae''가 별개의 종이며, ''O. macconnelli''와 ''O. russatus''와 가장 가깝다는 것을 재확인했다.[1]

2006년, 마르셀로 벡슬러의 연구 결과 ''Oryzomys'' 속에 속했던 종들이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고,[2] 2006년 후반, 벡슬러와 동료들은 ''O. emmonsae''를 포함한 "''O. nitidus'' 복합체"를 ''Euryoryzomys'' 속으로 재분류했다.[3] 따라서 현재 이 종은 ''Euryoryzomys emmonsae''로 알려져 있으며, Oryzomyini ("쌀쥐")에 분류된다.[4]

2. 3. 분자 계통학적 연구

1998년, 가이 머서 (Guy Musser), 마이클 칼튼 (Michael Carleton), 에릭 브라더스 (Eric Brothers), 알프레드 가드너 (Alfred Gardner)는 이전의 ''Oryzomys capito''에 속했던 종들의 분류를 검토하면서 ''Oryzomys emmonsae''를 신종으로 기술했다. 이 종은 신열대 지역 포유류학에 기여한 루이스 H. 에먼스 (Louise H. Emmons)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0년, 제임스 패튼 (James Patton), 마리아 나자레트 F. 다 실바 (Maria da Silva), 제이 맬컴 (Jay Malcolm)은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b'' 유전자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포함한 추가 정보를 발표했다. 이들은 ''O. emmonsae''가 별개의 종이며, ''O. macconnelli''와 ''O. russatus''와 가장 가깝고, ''O. nitidus''와는 더 멀리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1]

2006년, 마르셀로 벡슬러의 분자 계통 발생학적 분석 결과, ''Oryzomys'' 속에 속했던 종들이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2] 벡슬러와 동료들은 ''O. emmonsae''를 포함한 "''O. nitidus'' 복합체"를 ''Euryoryzomys'' 속으로 재분류했다.[3] 따라서 현재 이 종은 ''Euryoryzomys emmonsae''로 알려져 있다. ''Euryoryzomys''는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에 분포하는 100종 이상을 포함하는 족 Oryzomyini ("쌀쥐")의 일부이며,[4] Oryzomyini는 다시 쥐아과쥐과에 속한다.

2. 4. 속의 재분류 (''Euryoryzomys'')

1998년, 가이 머서, 마이클 칼튼, 에릭 브라더스, 알프레드 가드너는 이전에 ''Oryzomys capito''에 포함되었던 종들의 분류를 검토했다. 이들은 브라질 북부 파라 주에서 수집된 17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새로운 종인 ''Oryzomys emmonsae''를 기술했는데, 이 동물들은 이전에는 ''Euryoryzomys macconnelli''와 ''Euryoryzomys nitidus''로 확인되었다. 종명은 신열대 지역 포유류학에 기여한 루이스 H. 에먼스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

2000년, 제임스 패튼, 마리아 나자레트 F. 다 실바, 제이 맬컴은 주루아 강에서 수집된 포유류에 대한 보고서에서 머서와 동료들이 검토한 ''Oryzomys'' 종에 대한 추가 정보와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b'' 유전자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제공했다.[1]

2006년, 마르셀로 벡슬러의 형태학적 및 분자 계통 발생학적 분석 결과, 당시 ''Oryzomys'' 속에 속했던 종들이 단일 (단일 계통) 그룹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 2006년 후반, 벡슬러와 동료들은 ''O. emmonsae''를 포함한 "''O. nitidus'' 복합체"를 위한 ''Euryoryzomys''를 포함하여 이전의 ''Oryzomys'' 속에 속했던 종들을 수용하기 위해 몇 개의 새로운 속을 기술했다.[3] 따라서 이 종은 현재 ''Euryoryzomys emmonsae''로 알려져 있다.

''Euryoryzomys''의 종으로서, 그것은 주로 남부 및 중앙 아메리카에서 온 100종 이상을 포함하는 족 Oryzomyini ("쌀쥐")에 분류된다.[4] Oryzomyini는 다시 수백 종의 주로 작은 설치류를 포함하는 쥐아과쥐과에 속한다.

2. 5. 쌀쥐족(Oryzomyini) 내 위치

1998년, 가이 머서(Guy Musser), 마이클 칼튼(Michael Carleton), 에릭 브라더스(Eric Brothers), 알프레드 가드너(Alfred Gardner)는 이전 "''Oryzomys capito''"에 포함되었던 종들의 분류를 검토하면서, 브라질 북부 파라주에서 수집된 표본을 바탕으로 ''Oryzomys emmonsae''를 새로운 종으로 기술했다. 이들은 신열대 지역 포유류학에 기여한 루이스 H. 에먼스(Louise H. Emmons)를 기려 종명을 명명했으며, 새로운 종을 ''O. macconnelli'', ''O. nitidus'', O. russatus가 포함된 "''Oryzomys nitidus'' 그룹"으로 분류했다.

2000년, 제임스 패튼(James Patton), 마리아 나자레트 F. 다 실바(Maria da Silva), 제이 맬컴(Jay Malcolm)은 주루아강에서 수집된 포유류에 대한 보고서에서 ''O. emmonsae''가 ''O. macconnelli'', ''O. russatus''와 가장 가깝고,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b'' 유전자의 염기서열에서 약 12%의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했다.[1] ''O. nitidus''와는 14.7%의 차이를 보였다.[1]

2006년, 마르셀로 벡슬러의 연구 결과 ''Oryzomys'' 속에 속했던 종들이 단일 계통 그룹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고,[2] 2006년 후반, 벡슬러와 동료들은 ''O. emmonsae''를 포함한 "''O. nitidus'' 복합체"를 ''Euryoryzomys'' 속으로 재분류했다.[3]

따라서, 이 종은 현재 ''Euryoryzomys emmonsae''로 알려져 있으며, 쌀쥐족(Oryzomyini)에 속한다.[4] 쌀쥐족(Oryzomyini)은 다시 쥐아과쥐과에 속한다.

3. 형태

에먼스쌀쥐(''Euryoryzomys emmonsae'')는 상당히 크고, 꼬리가 길며, 길고 부드러운 털을 가진 쌀쥐류이다. 등 부분의 털은 8~10mm 정도이다. 꼬리가 더 긴 특징 등으로 일반적으로 E. nitidusla와 유사하다. E. macconnellila는 약간 더 크고 털이 더 길고 덜 윤기가 난다. 윗부분은 황갈색을 띠지만, 많은 털이 검은색 끝을 가지고 있어 머리 부분은 약간 더 어둡다. 아랫부분의 털은 기저부가 회색이고 끝부분이 흰색이며, 전체적으로 털은 대부분 흰색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표본에서 회색 기저부가 없는 가슴에 반점이 있다.

얼굴의 가장 긴 수염은 귀를 약간 넘어 뻗어 있다. 눈꺼풀은 검은색이다. 귀는 작고 황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전체적으로 짙은 갈색으로 보인다. 발은 위쪽은 흰색 털, 아래쪽은 갈색 털로 덮여 있다. 발바닥 표면에는 6개의 발바닥이 있지만, 새끼발가락(hypothenar)은 감소되어 있다. 발톱 기저부를 둘러싼 털 뭉치인 발톱 털뭉치는 잘 발달되어 있다. 꼬리는 위쪽은 몸과 색깔이 같고, 아래쪽은 대부분 흰색이지만, 꼬리 끝에서 10mm 부분은 아래쪽이 갈색이다.

E. nitidusla 및 E. macconnellila와 비교했을 때, 두개골은 비교적 작고 가늘다. 넓고 짧은 절치공을 가지고 있으며, 접형골-구개 와가 없고, 중격익상와를 관통한다. 머리의 동맥 패턴은 다른 속의 구성원과 유사하다. 접형골 뼈의 연장인 접형골 지주는 드물게 존재하며, E. nitidusla에서 더 자주 나타난다. 세 번째 어금니 뒤의 하악골이 솟아오른 캡슐 과정은 대부분의 ''Euryoryzomys''에서 아래 절치의 뒤쪽 끝을 수용하지만, E. emmonsaela와 E. macconnellila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5] 치아의 특징은 E. nitidusla 및 다른 ''Euryoryzomys''의 특징과 유사하다.[5]

핵형은 80개의 염색체와 총 86개의 주요 팔(2n = 80; FN = 86)을 갖는다. X 염색체는 아원위 중심체이며, Y 염색체는 단원체이다. 상염색체 중에서, 4쌍은 중심체 또는 아중심체이고, 35쌍은 단원체이다. 이 핵형은 ''Euryoryzomys''의 다른 알려진 구성원의 핵형과 유사하다.

측정된 13개 표본에서 머리와 몸통 길이는 120~142mm, 꼬리 길이(12개 표본)는 130~160mm, 뒷발 길이는 32~35mm, 귀 길이(3개 표본)는 23~24mm, 몸무게는 46~78g이다.[6]

3. 1. 외부 형태

에먼스쌀쥐(''Euryoryzomys emmonsae'')는 상당히 크고, 꼬리가 길며, 길고 부드러운 털을 가진 쌀쥐류이다. 등 부분의 털은 8~10mm 정도이다. 꼬리가 더 긴 특징 등으로 일반적으로 ''E. nitidus''와 유사하다. ''E. macconnelli''는 약간 더 크고 털이 더 길고 덜 윤기가 난다. 윗부분은 황갈색을 띠지만, 많은 털이 검은색 끝을 가지고 있어 머리 부분은 약간 더 어둡다. 아랫부분의 털은 기저부가 회색이고 끝부분이 흰색이며, 전체적으로 털은 대부분 흰색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표본에서 회색 기저부가 없는 가슴에 반점이 있다.

얼굴의 가장 긴 수염은 귀를 약간 넘어 뻗어 있다. 눈꺼풀은 검은색이다. 귀는 작고 황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전체적으로 짙은 갈색으로 보인다. 발은 위쪽은 흰색 털, 아래쪽은 갈색 털로 덮여 있다. 발바닥 표면에는 6개의 발바닥이 있지만, 새끼발가락(hypothenar)은 감소되어 있다. 발톱 기저부를 둘러싼 털 뭉치인 발톱 털뭉치는 잘 발달되어 있다. 꼬리는 위쪽은 몸과 색깔이 같고, 아래쪽은 대부분 흰색이지만, 꼬리 끝에서 10mm 부분은 아래쪽이 갈색이다.

''E. nitidus'' 및 ''E. macconnelli''와 비교했을 때, 두개골은 비교적 작고 가늘다. 넓고 짧은 절치공을 가지고 있으며, 접형골-구개 와가 없고, 중격익상와를 관통한다. 머리의 동맥 패턴은 다른 속의 구성원과 유사하다. 접형골 뼈의 연장인 접형골 지주는 드물게 존재하며, ''E. nitidus''에서 더 자주 나타난다. 세 번째 어금니 뒤의 하악골이 솟아오른 캡슐 과정은 대부분의 ''Euryoryzomys''에서 아래 절치의 뒤쪽 끝을 수용하지만, ''E. emmonsae''와 ''E. macconnelli''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5] 치아의 특징은 ''E. nitidus'' 및 다른 ''Euryoryzomys''의 특징과 유사하다.[5]

핵형은 80개의 염색체와 총 86개의 주요 팔(2n = 80; FN = 86)을 갖는다. X 염색체는 아원위 중심체이며, Y 염색체는 단원체이다. 상염색체 중에서, 4쌍은 중심체 또는 아중심체이고, 35쌍은 단원체이다. 이 핵형은 ''Euryoryzomys''의 다른 알려진 구성원의 핵형과 유사하다.

측정된 13개 표본에서 머리와 몸통 길이는 120~142mm, 꼬리 길이(12개 표본)는 130~160mm, 뒷발 길이는 32~35mm, 귀 길이(3개 표본)는 23~24mm, 몸무게는 46~78g이다.[6]

3. 2. 두개골 및 치아

에먼스쌀쥐(''Euryoryzomys emmonsae'')의 두개골은 비교적 작고 가늘다. 넓고 짧은 절치공을 가지고 있으며, 접형골-구개 와가 없어 중격익상와를 관통한다. 머리의 동맥 패턴은 다른 속의 구성원과 유사하다. 두개골의 두 구멍 (교근-협근공 및 난원공 부속공)을 분리하는 접형골 뼈의 연장인 접형골 지주는 드물게 존재하며, ''E. nitidus''에서 더 자주 나타난다. 세 번째 어금니 뒤의 하악골 뼈가 솟아오른 캡슐 과정은 대부분의 ''Euryoryzomys''에는 있지만, ''E. emmonsae''와 ''E. macconnelli''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5] 치아의 특징은 ''E. nitidus'' 및 다른 ''Euryoryzomys''의 특징과 유사하다.[5]

3. 3. 핵형

에먼스쌀쥐는 80개의 염색체를 포함하며 총 86개의 주요 팔(2n = 80; FN = 86)을 갖는다. X 염색체는 아원위 중심체 (한 쌍의 긴 팔과 한 쌍의 짧은 팔)이며, Y 염색체는 단원체 (한 쌍의 팔만 있거나, 아주 작은 두 번째 쌍)이다. 상염색체 (성 염색체 외 염색체) 중에서, 4쌍의 중심체 또는 아중심체 (다른 팔과 길이가 같거나 거의 짧지 않은 두 쌍의 팔) 염색체는 작고, 35쌍의 단원체는 크기에서 작기까지 다양하다. 그중 일부는 아주 작은 두 번째 팔을 가지고 있으며, 아원위 중심체로 분류될 수도 있으며, 이는 FN을 90으로 올릴 수 있다. 이 핵형은 ''Euryoryzomys''의 다른 알려진 구성원의 핵형과 유사하다.

3. 4. 크기 및 무게

에먼스쌀쥐는 상당히 크고, 꼬리가 긴 쌀쥐로, 길고 부드러운 털을 가지고 있다. 등 부분의 털은 8~10mm 정도이다. 꼬리가 더 길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E. nitidus''와 유사하다. ''E. macconnelli''는 약간 더 크고 털이 더 길고 덜 윤기난다. 윗부분은 황갈색을 띠지만, 많은 털이 검은색 끝을 가지고 있어 머리 부분은 약간 더 어둡다. 아랫부분의 털은 기저부가 회색이고 끝부분이 흰색이며, 전체적으로 털은 대부분 흰색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표본에서 회색 기저부가 없는 가슴에 반점이 있다. 얼굴의 가장 긴 수염은 귀를 약간 넘어 뻗어 있다. 눈꺼풀은 검은색이다. 귀는 작고 황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전체적으로 짙은 갈색으로 보인다. 발은 위쪽은 흰색 털, 아래쪽은 갈색 털로 덮여 있다. 발바닥 표면에는 6개의 발바닥이 있지만, 새끼발가락(hypothenar)은 감소되어 있다. 발톱 기저부를 둘러싼 털 뭉치인 발톱 털뭉치는 잘 발달되어 있다. 꼬리는 위쪽은 몸과 색깔이 같고, 아래쪽은 대부분 흰색이지만, 꼬리 끝에서 10mm 부분은 아래쪽이 갈색이다.

''E. nitidus'' 및 ''E. macconnelli''와 비교했을 때, 두개골은 비교적 작고 가늘다. 넓고 짧은 절치공을 가지고 있으며, 접형골-구개 와가 없고, 중격익상와를 관통한다. 머리의 동맥 패턴은 다른 속의 구성원과 유사하다. 두개골의 두 구멍을 분리하는 접형골 뼈의 연장인 접형골 지주는 드물게 존재하며, ''E. nitidus''에서 더 자주 나타난다. 세 번째 어금니 뒤의 하악골 뼈가 솟아오른 캡슐 과정은 대부분의 ''Euryoryzomys''에서는 아래 절치의 뒤쪽 끝을 수용하지만, ''E. emmonsae''와 ''E. macconnelli''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5] 치아의 특징은 ''E. nitidus'' 및 다른 ''Euryoryzomys''의 특징과 유사하다.

핵형은 80개의 염색체를 포함하며 총 86개의 주요 팔(2n = 80; FN = 86)을 갖는다. X 염색체는 아원위 중심체이며, Y 염색체는 단원체이다. 상염색체 중에서, 4쌍의 중심체 또는 아중심체는 작고, 35쌍의 단원체는 크기에서 작기까지 다양하다. 그중 일부는 아주 작은 두 번째 팔을 가지고 있으며, 아원위 중심체로 분류될 수도 있으며, 이는 FN을 90으로 올릴 수 있다. 이 핵형은 ''Euryoryzomys''의 다른 알려진 구성원의 핵형과 유사하다.

13개 표본에서 머리와 몸통 길이는 120~142mm, 꼬리 길이(12개 표본)는 130~160mm, 뒷발 길이는 32~35mm, 귀 길이(3개 표본)는 23~24mm, 몸무게는 46~78g이다.[6]

4. 분포 및 생태

''에먼스쌀쥐''(Euryoryzomys emmonsae)의 알려진 분포 지역은 아마존 강 남쪽, 파라 주의 아마존 열대 우림 일부, 싱구 강과 토칸틴스 강 사이로 제한되어 있지만, 그 분포 범위의 한계는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7] 유사한 분포를 가진 다른 남아메리카 열대 우림 쥐상과 설치류는 알려져 있지 않다.[7] Musser와 동료들은 세 곳에서 이 종을 보고했으며, Patton 등은 네 번째 지역을 추가했다. 이 지역들 중 일부에서는 ''E. macconnelli'' 또는 ''Hylaeamys megacephalus''와 함께 발견된다.[7]

상세한 서식지 정보가 있는 ''E. emmonsae'' 표본은 종종 많은 대나무를 포함하는 미세 서식지인 "덩굴 숲"에서 포획되었다. 모두 땅에서 포획되었으며, 일부는 대나무 덤불 속에서, 다른 하나는 통나무 아래에서 발견되었다.[7] Musser와 동료들은 ''E. emmonsae''가 유사하게 긴 꼬리를 가진 쌀쥐인 ''Cerradomys subflavus''처럼 땅에서도 시간을 보내고 식물에 오르며 경보성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7]

4. 1. 분포 지역

에먼스쌀쥐(''Euryoryzomys emmonsae'')의 알려진 분포 지역은 아마존 강 남쪽, 파라 주의 아마존 열대 우림 일부, 싱구 강과 토칸틴스 강 사이로 제한되어 있지만, 그 분포 범위의 한계는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7] 유사한 분포를 가진 다른 남아메리카 열대 우림 쥐상과 설치류는 알려져 있지 않다.[7] Musser와 동료들은 세 곳에서 이 종을 보고했으며, Patton 등은 네 번째 지역을 추가했다. 이 지역들 중 일부에서는 ''E. macconnelli'' 또는 ''Hylaeamys megacephalus''와 함께 발견된다.[7]

4. 2. 서식지

에먼스쌀쥐(''Euryoryzomys emmonsae'')의 알려진 분포 지역은 아마존 강 남쪽, 파라 주의 아마존 열대 우림 일부, 싱구 강과 토칸틴스 강 사이로 제한되어 있지만, 그 분포 범위의 한계는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7] 유사한 분포를 가진 다른 남아메리카 열대 우림 쥐상과 설치류는 알려져 있지 않다.[7] Musser와 동료들은 세 곳에서 이 종을 보고했으며, Patton 등은 네 번째 지역을 추가했다. 이들 지역 중 일부에서는 ''E. macconnelli'' 또는 ''Hylaeamys megacephalus''와 함께 발견된다.[7]

상세한 서식지 정보가 있는 ''E. emmonsae'' 표본은 종종 많은 대나무를 포함하는 "덩굴 숲"에서 포획되었다. 모두 땅에서 포획되었으며, 일부는 대나무 덤불 속에서, 다른 하나는 통나무 아래에서 발견되었다.[7] Musser와 동료들은 ''E. emmonsae''가 유사하게 긴 꼬리를 가진 쌀쥐인 ''Cerradomys subflavus''처럼 땅에서도 시간을 보내고 식물에 오르며 경보성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7]

4. 3. 행동

에먼스쌀쥐(''Euryoryzomys emmonsae'')는 아마존 강 남쪽, 파라 주의 아마존 열대 우림 일부, 싱구 강과 토칸틴스 강 사이에서 발견된다. 분포 범위의 한계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유사한 분포를 가진 다른 남아메리카 열대 우림 쥐상과 설치류는 알려져 있지 않다. Musser와 동료들은 세 곳에서 이 종을 보고했으며, Patton 등은 네 번째 지역을 추가했다. 그 중 일부 지역에서는 ''E. macconnelli'' 또는 ''Hylaeamys megacephalus''와 함께 발견된다.

에먼스쌀쥐 표본은 종종 많은 대나무를 포함하는 미세 서식지인 "덩굴 숲"에서 포획되었다. 모두 땅에서 포획되었으며, 일부는 대나무 덤불 속에서, 다른 하나는 통나무 아래에서 발견되었다. Musser와 동료들은 에먼스쌀쥐가 유사하게 긴 꼬리를 가진 쌀쥐인 ''Cerradomys subflavus''처럼 땅에서도 시간을 보내고 식물에 오르며 경보성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5. 보존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현재 에먼스쌀쥐를 "자료 부족"으로 등재하고 있다. 산림 벌채와 벌목으로 위협받을 수 있지만, 적어도 한 곳의 보호 구역인 타피라페-아쿠이리 국립 산림에 서식한다.

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논문 Patton et al., 2000, fig. 99; table 37
[2] 논문 Weksler, 2006, figs. 34–39
[3] 논문 Weksler et al., 2006, p. 11
[4] 논문 Weksler et al., 2006, table 1
[5] 논문 Weksler et al., 2006, p. 12
[6] 논문 Musser et al., 1998, table 37
[7] 논문 Patton et al., 2000, p. 146
[8] 간행물 Euryoryzomys emmonsae http://www.iucnredli[...] 2010-03-14
[9] 서적 MSW3 Muroid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