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반에마엘 요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반에마엘 요새는 1930년대 벨기에가 독일의 침공에 대비하기 위해 건설한 난공불락 요새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기습 공격으로 함락되었다. 1차 세계 대전 이후 중립 정책을 유지하던 벨기에는 독일의 위협에 대응하고자 리에주 지역의 뫼즈강 도하 지점에 요새를 건설했다. 독일군은 글라이더를 이용한 기습 작전과 성형작약탄을 사용하여 요새를 점령했고, 이는 전쟁에서 글라이더와 성형작약탄을 처음으로 사용한 사례로 기록되었다. 현재 에반에마엘 요새는 일반에 공개되어 있으며, 관광객들에게 투어와 관련 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에주의 건축물 - 몽타뉴 드 부랑
- 리에주의 건축물 - 스타드 모리스 뒤프란
벨기에에 위치한 스타드 모리스 뒤프랑은 UEFA 유로 2000 개최를 위해 개보수되었으며, 유로 2000 조별 리그 경기와 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 3·4위전을 개최한 경기장이다.
에반에마엘 요새 | |
---|---|
개요 | |
![]() | |
명칭 | Fort d'Ében-Émael (프랑스어) |
위치 | 에벤-에마엘, 벨기에 |
역사 | |
건설 | 1932년–1935년 |
건설 주체 | 벨기에 육군 |
사용 시기 | 제2차 세계 대전 |
전투 | 벨기에 전투 |
구조 | |
유형 | 요새 |
재료 | 강화 콘크리트, 심층 굴착, 암반 굴착 |
소유 | 벨기에 |
공개 여부 | 공개 |
추가 정보 | |
소속 | 리에주 요새 |
2. 역사적 배경
1차 세계 대전 후, 벨기에는 중립을 통한 안전 보장 정책을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1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침공을 받은 경험으로 인해 대(對) 독일 대비가 우선시되었다.
벨기에 동부의 거점인 리에주의 방어에 필요한 지점이며, 뫼즈강의 도하 지점이기도 한 에반에마엘 마을에 요새를 건설하여 독일군에 대한 방어 거점으로 삼고자 했다. 또한, 이 요새는 "만력의 틈새"라고 불리는 남쪽 방어도 담당했다. 리에주를 남쪽에서 공략하려는 적에 대한 방어 요새 구상은 19세기 말부터 존재했다. 이 생각은 알베르트 운하가 건설된 후에는 정치적으로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네덜란드령에 들어가지 않고 벨기에 주요부로의 진입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 따라서, 강과 운하 사이에 요새가 배치되는 형태로 구축되었다. 계획은 1929년에 승인되었으며, 1932년부터 건설이 시작되었다. 알베르트 운하는 1931년부터 건설이 시작되었다. 요새는 1935년에 완성되었다. 중(重) 방어력으로 인해 에반에마엘 요새는 난공불락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독일군은 먼저 요새를 공략하는 계획을 세웠다. 준비 과정에서 에반에마엘과 매우 유사한 체코슬로바키아의 요새에서 훈련을 실시했다.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는 글라이더를 이용하여 요새를 점령하고, 최고 기밀 신무기인 성형작약탄을 사용하는 계획을 작성했다. 글라이더를 이용한 강하를 선택한 이유는, 이동하는 비행기에서 좁은 지역에 다수의 인원을 낙하산으로 강하시키는 것은 어렵고, 강하 시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1940년 5월 10일 아침, 독일 제1강하엽병사단(1st Fallschirmjäger Division)의 강하엽병이 요새에 글라이더 (DFS 230)로 강하했다.
독일군 강하시, 요새에는 약 600명의 벨기에군이 있었으나, 기습으로 인해 주요 포탑과 토치카가 파괴되었고, 곧 요새는 무력화되었다. 다음 날, 육상으로 진격해 온 제151저격병연대의 지원 하에, 5월 11일 13시 30분에 요새는 완전히 제압되었다. (에반에마엘 요새 전투)
독일 측의 첩보 능력과 뛰어난 계획, 벨기에 측의 불운과 준비 부족이 1940년 5월 10일의 히틀러 계획을 신속하고 압도적인 승리로 이끌었다. 에반에마엘 요새 점령은 전쟁에서 글라이더를 공격에 사용한 최초의 사례이며, 마찬가지로 성형 작약을 최초로 사용한 전투이다. 비치히가 이끄는 글라이더는 요새의 "지붕"에 착륙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포탑을 파괴하고 무력화하기 위해 성형 작약을 사용했다. 그들은 또한 기관총좌에 화염방사기를 사용했다. 벨기에군은 독일군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중요한 다리 중 하나를 파괴했지만, 이는 동시에 요새를 구원할 군세가 도착하지 못하게 하는 결과도 낳았다.
점령 후, 요새는 V1 병기의 지하 공장으로 이용되었지만, 방어 거점으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 요새 점령에 사용된 방법과 동일하게 글라이더를 사용하여 거점을 점령하는 작전으로는, 전쟁 후반기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영국군이 글라이더를 이용하여 교량을 점령한 사례가 있다. (통가 작전)
에반에마엘 요새는 현재 일반 관광객에게 공개되어 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벨기에의 안보 정책
1차 세계 대전 후, 벨기에는 중립을 통한 안전 보장 정책을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1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침공을 받은 경험으로 인해 대(對) 독일 대비가 우선시되었다.벨기에 동부의 거점인 리에주의 방어에 필요한 지점이며, 뫼즈강의 도하 지점이기도 한 에반에마엘 마을에 요새를 건설하여 독일군에 대한 방어 거점으로 삼고자 했다. 또한, 이 요새는 "만력의 틈새"라고 불리는 남쪽 방어도 담당했다. 리에주를 남쪽에서 공략하려는 적에 대한 방어 요새 구상은 19세기 말부터 존재했다. 이 생각은 알베르트 운하가 건설된 후에는 정치적으로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네덜란드령에 들어가지 않고 벨기에 주요부로의 진입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 따라서, 강과 운하 사이에 요새가 배치되는 형태로 구축되었다. 계획은 1929년에 승인되었으며, 1932년부터 건설이 시작되었다. 알베르트 운하는 1931년부터 건설이 시작되었다. 요새는 1935년에 완성되었다. 중(重) 방어력으로 인해 에반에마엘 요새는 난공불락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독일군은 먼저 요새를 공략하는 계획을 세웠다. 준비 과정에서 에반에마엘과 매우 유사한 체코슬로바키아의 요새에서 훈련을 실시했다.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는 글라이더를 이용하여 요새를 점령하고, 최고 기밀 신무기인 성형작약탄을 사용하는 계획을 작성했다. 글라이더를 이용한 강하를 선택한 이유는, 이동하는 비행기에서 좁은 지역에 다수의 인원을 낙하산으로 강하시키는 것은 어렵고, 강하 시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1940년 5월 10일 아침, 독일 제1강하엽병사단(1st Fallschirmjäger Division)의 강하엽병이 요새에 글라이더 (DFS 230)로 강하했다.
독일군 강하시, 요새에는 약 600명의 벨기에군이 있었으나, 기습으로 인해 주요 포탑과 토치카가 파괴되었고, 곧 요새는 무력화되었다. 다음 날, 육상으로 진격해 온 제151저격병연대의 지원 하에, 5월 11일 13시 30분에 요새는 완전히 제압되었다. (에반에마엘 요새 전투)
독일 측의 첩보 능력과 뛰어난 계획, 벨기에 측의 불운과 준비 부족이 1940년 5월 10일의 히틀러 계획을 신속하고 압도적인 승리로 이끌었다. 에반에마엘 요새 점령은 전쟁에서 글라이더를 공격에 사용한 최초의 사례이며, 마찬가지로 성형 작약을 최초로 사용한 전투이다. 비치히가 이끄는 글라이더는 요새의 "지붕"에 착륙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포탑을 파괴하고 무력화하기 위해 성형 작약을 사용했다. 그들은 또한 기관총좌에 화염방사기를 사용했다. 벨기에군은 독일군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중요한 다리 중 하나를 파괴했지만, 이는 동시에 요새를 구원할 군세가 도착하지 못하게 하는 결과도 낳았다.
점령 후, 요새는 V1 병기의 지하 공장으로 이용되었지만, 방어 거점으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 요새 점령에 사용된 방법과 동일하게 글라이더를 사용하여 거점을 점령하는 작전으로는, 전쟁 후반기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영국군이 글라이더를 이용하여 교량을 점령한 사례가 있다. (통가 작전)
에반에마엘 요새는 현재 일반 관광객에게 공개되어 있다.
2. 2. 리에주 방어 체계 강화
1차 세계 대전 이후, 벨기에는 중립 정책을 유지했으나, 독일의 침공을 받은 경험으로 인해 대독일 방어 대비를 우선시했다. 벨기에 동부 리에주 방어와 뫼즈강 도하 지점 확보를 위해 에반에마엘 마을에 요새 건설이 결정되었다. 이 요새는 남쪽 "만력의 틈새" 방어도 담당했다. 19세기 말부터 존재했던 요새 구상은 알베르트 운하 건설 이후 정치적 설득력을 얻어, 1929년 계획 승인, 1932년 착공, 1935년 완공되었다. 강과 운하 사이에 배치된 에반에마엘 요새는 중(重) 방어력으로 인해 난공불락으로 평가받았다.그러나 독일군은 요새 공략을 위해 체코슬로바키아 요새에서 훈련을 실시하고, 아돌프 히틀러는 글라이더와 성형작약탄을 사용하는 기밀 계획을 수립했다. 1940년 5월 10일 아침, 독일 제1강하엽병사단의 강하엽병이 DFS 230 글라이더로 강하하여 기습 공격을 감행, 주요 포탑과 토치카를 파괴하여 요새를 무력화했다. 5월 11일 육상으로 진격해 온 지원군과 함께 요새는 완전히 제압되었다.(에반에마엘 요새 전투)
독일군의 뛰어난 첩보 능력과 계획, 벨기에군의 준비 부족은 히틀러의 계획을 성공으로 이끌었다. 에반에마엘 요새 점령은 글라이더와 성형 작약을 최초로 사용한 전투로 기록된다. 벨기에군은 요새를 구원할 수 없도록 다리를 파괴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점령 후 요새는 V1 병기 지하 공장으로 이용되었고, 현재는 관광객에게 공개되고 있다.
2. 3. 건설 과정
1차 세계 대전 이후, 벨기에는 중립을 통한 안전 보장 정책을 취하고 있었으나, 독일의 침공을 받은 경험으로 인해 대(對) 독일 방어가 우선시되었다. 벨기에 동부의 거점인 리에주 방어와 뫼즈강 도하 지점 방어를 위해 에반에마엘 마을에 요새를 건설하여 독일군에 대한 방어 거점으로 삼고자 했다. 또한, 이 요새는 "만력의 틈새"라고 불리는 남쪽 방어도 담당했다.리에주를 남쪽에서 공략하려는 적에 대한 방어 요새 구상은 19세기 말부터 존재했다. 알베르트 운하가 건설된 후에는 정치적으로 설득력을 얻게 되어 강과 운하 사이에 요새가 배치되는 형태로 구축되었다. 계획은 1929년에 승인되었으며, 1932년부터 건설이 시작되었다. 알베르트 운하는 1931년부터 건설이 시작되었고, 요새는 1935년에 완성되었다. 중(重) 방어력으로 인해 에반에마엘 요새는 난공불락으로 평가받았다.
3. 구조 및 특징
에반에마엘 요새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 앙리 알렉시 브리알몽 장군이 설계한 원래 벨기에 방어 시설을 크게 확대한 것이다. 요새는 더 커진 형태에서도 방어용 해자와 주변에 포탑과 관측소가 비교적 조밀하게 모여 있었다. 이는 명확하게 정의된 경계가 없는 분산된 ''요새 팜메'' 개념을 기반으로 한 동시대 마지노 선 요새화에 대한 프랑스의 사고방식과는 대조적이었으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프랑스와 벨기에 요새의 경험에서 얻은 교훈이었다.[5] 새로운 벨기에 요새는 프랑스의 ''오브라지''보다 설계가 더 보수적이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의 경험으로 몇 가지 새로운 특징을 포함했다. 포탑은 덜 밀집되어 있었다. 일반적인 대량 콘크리트 대신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했으며, 콘크리트 타설 사이의 약한 조인트를 피하기 위해 더 주의를 기울여 시공했다. 환기가 크게 개선되었으며, 가스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공기 여과 시스템, 깊숙이 묻혀 보호된 탄약고, 병사들을 위한 위생 시설과 일반적인 생활 공간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6] 에반에마엘과 바티스 요새는 120mm 및 75mm 포를 갖추어 리에주 동부 지역의 넓은 지역에 있는 목표물을 포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2]
에반에마엘 요새는 에반에마엘 마을(현재 바상주의 일부)의 바로 동쪽에 있는 넓은 언덕을 차지하며 알베르 운하와 접해 있다. 불규칙한 모양의 요새는 동서 방향으로 약 600m, 남북 방향으로 약 750m이다.[7] 이는 PFL I의 다른 요새보다 더 강력하게 무장했다. 주요 무기가 포탑에 있던 다른 요새와 달리, 에반에마엘의 주요 무기는 포탑과 반포대로 나뉘어 있었다.[8] 60mm, 75mm 및 120mm 포는 리에주 시에 있는 Fonderie Royale des Canons de Belgique(F.R.C.)에서 제작되었다. 포병 포탑은 매우 잘 설계되고 시공되어 포병은 포를 발사할 때 청력 보호 장비를 착용할 필요가 없었다.
- 블록 B.I – 60mm 대전차포 2문(F.R.C Modèle 1936)과 기관총이 있는 입구 블록.[9][10]
- 블록 B.II, B.IV 및 B.VI – 60mm 포 2문과 기관총으로 해자를 횡사하기 위해 외곽 해자 주변에 위치한 측면 반포대.[9]
- 블록 B.V – II, IV 및 VI와 유사하며 60mm 포 1문이 있음.[9]
- 큐폴라 120 – 120mm 포 2문(Canon de 120 mm L mle 1931|F.R.C Modèle 1931) 포탑 1개, 사정거리는 17.5km. 120mm 가짜 포탑도 3개 있었다.[9][11][12]
- 큐폴라 노르 및 큐폴라 쉬드 – 각각 75mm 포 2문(F.R.C Modèle 1935)이 있는 1개의 접이식 포탑, 사정거리는 10.5km.[9][13][14]
- Visé I 및 IÍ – 각각 75mm 포 3문이 있으며 남쪽을 향하고 있다.[9][15][16]
- Maastricht I 및 II – 각각 75mm 포 3문이 있으며, 마스트리흐트 방향으로 북쪽을 향해 발사한다.[9][16][17]
- 운하 노르 및 쉬드 – 운하를 덮는 60mm 포와 기관총이 있는 쌍둥이 블록. '쉬드'는 운하가 확장되면서 철거되었다.[9][18][19]
- '미-노르 및 쉬드'는 요새 주 표면에 있는 기관총 블록(''mitrailleuses'')이다. 이들은 요새 상단을 방어하는 데 매우 중요했다.[9][20][21]
- '블록 O1'은 운하를 내려다보며 라네이 수문을 지켰다. 60mm 포와 기관총이 있었다.[22]
지하 갤러리는 언덕 아래 4km 이상 뻗어 있으며, 전투 블록을 연결하고 지하 병영, 발전소, 탄약고 및 기타 공간에 서비스를 제공한다.[9] 신선한 공기는 운하 위의 흡입구에서 얻었다.[23]
배치된 주요 병기는 120mm 연장포와 75mm 연장포이며,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포탑에 수용되어 있었다. 요새의 주요 부분은 거의 지하에 있으며, 지상에 있는 것은 일부 토치카와 포탑, 위장 진지뿐이다. 동쪽의 알베르 운하에 면한 절벽에도 포가 설치되어 있다. 에반에마엘 요새는 다이아몬드형 요새로, 3개의 주요 교량의 방어와 파괴 역할을 담당했다. 요새의 병력 정원은 약 1,200명이었다.
- 75mm Mle1934 곡사포 4문
- 60mm 대전차포 12문
- 120mm Mle1931 곡사포 2문
- 75mm 야전 곡사포 12문
- 7.65mm FN M30 기관총 11정
- 7.65mm M12 맥심 기관총 24정
3. 1. 지리적 위치 및 규모
에반에마엘 요새는 알베르트 운하를 따라 위치하며, 벨기에와 네덜란드 국경이 만나는 지점의 깊은 절개지를 지난다. 리에주에서 북동쪽으로 약 20km, 마스트리흐트에서 남쪽으로 약 10km 떨어져 있다.[2] 1920년대에는 생피에르 산을 관통하는 카스터 절개지를 만들어 운하를 벨기에 영토 안에 유지하기 위한 대규모 굴착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요새에 강화된 자연 방어벽이 생겼으며, 이 위치는 19세기에 앙리 알렉시 브리알몽에 의해 추천되었다.[2]요새 굴착 작업은 운하 쪽에 집중되었는데, 이곳은 시야에서 가려져 굴착된 토사를 바지선에 효율적으로 실어 운반하기 편리했다. 운하보다 높은 곳에 요새가 있어 내부 배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졌고, 에반에마엘은 다른 요새보다 더 건조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었다.[4] 1930년대에 건설된 네 개의 요새 중 가장 큰 요새였으며, 리에주 요새화 지역 I (''Position Fortifiée de Liège I'' (PFL I))에 속했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새로운 요새는 에반에마엘, 오뱅-뇌샤토 요새, 바티스 요새, 탕크레몽 요새였다. 탕크레몽과 오뱅-뇌샤토는 에반에마엘과 바티스보다 작다. 리에주를 둘러싼 19세기에 앙리 알렉시 브리알몽 장군이 설계한 여러 요새가 재건되어 PFL II로 지정되었다.[3]
3. 2. 방어 시설
에반에마엘 요새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 앙리 알렉시 브리알몽 장군이 설계한 벨기에 방어 시설을 크게 확장한 것이다.[5] 요새는 더 커진 형태에서도 방어용 해자와 주변에 포탑과 관측소가 비교적 조밀하게 모여 있었다. 새로운 벨기에 요새는 프랑스의 ''오브라지''보다 설계가 더 보수적이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의 경험으로 몇 가지 새로운 특징을 포함했다. 포탑은 덜 밀집되었고,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했으며, 콘크리트 타설 사이의 약한 조인트를 피하기 위해 더 주의를 기울여 시공했다. 환기가 크게 개선되었으며, 가스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공기 여과 시스템, 깊숙이 묻혀 보호된 탄약고, 병사들을 위한 위생 시설과 일반적인 생활 공간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6]에반에마엘 요새는 에반에마엘 마을(현재 바상주의 일부)의 바로 동쪽에 있는 넓은 언덕을 차지하며 알베르 운하와 접해 있다. 불규칙한 모양의 요새는 동서 방향으로 약 600m, 남북 방향으로 약 750m이다.[7] 주요 무기가 포탑에 있던 다른 요새와 달리, 에반에마엘의 주요 무기는 포탑과 반포대로 나뉘어 있었다.[8] 60mm, 75mm 및 120mm 포는 리에주 시에 있는 Fonderie Royale des Canons de Belgique(F.R.C.)에서 제작되었다. 포병 포탑은 매우 잘 설계되고 시공되어 포병은 포를 발사할 때 청력 보호 장비를 착용할 필요가 없었다.
방어시설로는 블록 B.I (60mm 대전차포 2문과 기관총이 있는 입구),[9][10] B.II, B.IV, B.VI (60mm 포 2문과 기관총으로 해자를 횡사),[9] B.V (60mm 포 1문),[9] 큐폴라 120 (120mm 포 2문(F.R.C Modèle 1931) 포탑 1개, 사정거리 17.5km, 120mm 가짜 포탑 3개),[9][11][12] 큐폴라 노르 및 큐폴라 쉬드 (각각 75mm 포 2문(F.R.C Modèle 1935)이 있는 1개의 접이식 포탑, 사정거리 10.5km),[9][13][14] Visé I 및 IÍ (각각 75mm 포 3문, 남쪽 방향),[9][15][16] Maastricht I 및 II (각각 75mm 포 3문, 마스트리히트 방향),[9][16][17] 운하 노르 및 쉬드 (60mm 포와 기관총, '쉬드'는 운하 확장으로 철거),[9][18][19] '미-노르 및 쉬드' (요새 주 표면에 있는 기관총 블록),[9][20][21] '블록 O1' (라네이 수문, 60mm 포와 기관총) 등이 있다.[22]
지하 갤러리는 언덕 아래 4km 이상 뻗어 있으며, 전투 블록을 연결하고 지하 병영, 발전소, 탄약고 및 기타 공간에 서비스를 제공한다.[9] 신선한 공기는 운하 위의 흡입구에서 얻었다.[23] 배치된 주요 병기는 120mm 연장포와 75mm 연장포이며,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포탑에 수용되어 있었다. 요새의 주요 부분은 거의 지하에 있으며, 지상에 있는 것은 일부 토치카와 포탑, 위장 진지뿐이다. 동쪽의 알베르 운하에 면한 절벽에도 포가 설치되어 있다. 에반에마엘 요새는 다이아몬드형 요새로, 3개의 주요 교량의 방어와 파괴 역할을 담당했다.
3. 3. 무장
에반에마엘 요새의 주요 무기는 리에주 시에 있는 Fonderie Royale des Canons de Belgique (F.R.C.)에서 제작한 60mm, 75mm, 120mm 포였다.[2] 포병 포탑은 매우 잘 설계되고 시공되어 포병은 포를 발사할 때 청력 보호 장비를 착용할 필요가 없었다.에반에마엘 요새는 다른 요새와 달리 주요 무기가 포탑과 반포대로 나뉘어 있었다.[8]
- 120mm 포: 큐폴라 120에 2문의 120mm 포(Canon de 120 mm L mle 1931|F.R.C Modèle 1931)가 설치되어 있었고, 사정거리는 17.5km였다. 3개의 120mm 가짜 포탑도 있었다.[9][11][12]
- 75mm 포: 큐폴라 노르 및 큐폴라 쉬드에 각각 2문의 75mm 포(F.R.C Modèle 1935)가 있는 접이식 포탑이 설치되어 있었고, 사정거리는 10.5km였다.[9][13][14] Visé I 및 IÍ, Maastricht I 및 II에는 각각 75mm 포 3문이 설치되어 있었다.[9][15][16]
- 60mm 포: 블록 B.I에 2문,[9][10] 블록 B.II, B.IV, B.VI에 2문,[9] 블록 B.V에 1문의 60mm 포(F.R.C Modèle 1936)가 설치되어 있었다.[9] 운하 노르 및 쉬드, 블록 O1에도 60mm 포가 설치되어 있었다.[9][18][19][22]
이 외에도 미-노르 및 쉬드에는 요새 주 표면을 방어하기 위한 기관총 블록(''mitrailleuses'')이 있었다.[9][20][21]
3. 4. 주둔 병력
1940년, 에반에마엘 요새의 지휘관은 요트랑 소령이었다.[24] 요새에는 약 1,200명의 벨기에군이 주둔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크게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첫 번째 그룹은 요새에 상시 주둔하는 200명의 기술 인력(의사, 요리사, 무기 정비 기술자, 행정 직원 등)이었다. 나머지 두 그룹은 각각 500명의 포병으로 구성되었다. 평시에는 한 그룹이 일주일 동안 요새에 주둔하고, 다른 그룹은 약 5km 떨어진 옹크 마을에서 예비로 대기하며 매주 교대했다.장교와 부사관을 제외한 대부분의 병사들은 징집병이었다. 이들 중 대다수는 1939년 폴란드 침공 이후 소집된 예비군으로, 순수 포병으로 간주되어 보병 훈련은 부실했다.[24]
배치된 주요 병기는 콘크리트 포탑에 수용된 120mm 연장포와 75mm 연장포였다. 요새의 주요 부분은 거의 지하에 있었고, 지상에는 일부 토치카와 포탑, 위장 진지뿐이었다. 동쪽의 알베르 운하에 면한 절벽에도 포가 설치되어 있었다. 에반에마엘 요새는 다이아몬드형 요새로, 3개의 주요 교량 방어와 파괴를 담당했으며 병력 정원은 약 1,200명 이었다.
4. 1940년 전투 (에반에마엘 요새 전투)
1940년 5월 10일, 독일 제7 "플리거" (나중의 제1 "공수" 사단)의 78명의 강하엽병들이 DFS 230 군용 글라이더를 타고 요새에 착륙하여 특수 고성능 폭탄으로 요새와 그 포를 공격했다. 요새 방어군의 대부분은 완전히 기습을 받았다.[25] 에반에마엘의 함락은 벨기에군이 회복할 수 없는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26]
4. 1. 독일군의 공격 계획
아돌프 히틀러는 에반에마엘 요새를 점령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은 성형작약탄과 DFS 230 글라이더를 이용한 기습 공격을 포함했다.[25] 독일군은 체코슬로바키아 요새에서 이 공격을 위한 사전 훈련을 진행했다. 1940년 5월 10일, 독일 제7 "플리거"(나중의 제1 "공수" 사단) 소속 78명의 강하엽병들이 DFS 230 군용 글라이더를 타고 요새에 착륙하여 특수 고성능 폭탄으로 요새와 포를 공격했고, 요새 방어군은 완전히 기습을 받았다.[25] 에반에마엘의 함락은 벨기에군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26]4. 2. 기습 공격
1940년 5월 10일, 독일 제7 "플리거"(나중의 제1 "공수" 사단) 소속 78명의 강하엽병들이 DFS 230 군용 글라이더를 이용해 요새에 착륙했다.[25] 이들은 특수 고성능 폭탄(성형작약탄)을 사용하여 요새와 그 포를 공격했으며, 요새 방어군은 기습을 받았다.[25] 에반에마엘의 함락은 벨기에군에게 회복 불가능한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26]4. 3. 요새 함락
1940년 5월 10일, 독일 제7 "플리거"(나중의 제1 "공수" 사단) 소속 78명의 강하엽병들이 DFS 230 군용 글라이더를 이용, 요새에 착륙했다.[25] 이들은 특수 고성능 폭탄으로 요새와 포를 공격했고, 방어군은 대부분 기습을 받아 무력화되었다.[25] 에반에마엘 요새의 함락은 벨기에군에게 회복 불가능한 치명타를 입혔다.[26]4. 4. 전투의 결과
1940년 5월 10일, 독일 제7 "플리거"(나중의 제1 "공수" 사단) 소속 78명의 강하엽병들이 DFS 230 군용 글라이더를 타고 요새에 착륙, 특수 고성능 폭탄으로 요새와 포를 공격했다. 요새 방어군은 대부분 기습을 받았다.[25] 에반에마엘 요새의 함락은 벨기에군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26]5. 전투 이후
5. 1. 독일군 점령기
5. 2. 현재
에반에마엘 요새는 현재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여전히 군사 시설이지만, 에반에마엘 요새 협회에서 관리하며, 이곳에서 투어와 활동을 제공한다.[27][28]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The Capture of Fort Eben – History Learning Site
http://www.historyle[...]
2018-11-14
[2]
서적
Fort Eben Emael: The Key to Hitler's Victory in the West
Osprey
[3]
서적
Fortress Europe: European Fortifications of World War II
Combined Publishing
[4]
웹사이트
Eben-Emael – Sous-sol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5]
서적
Hommes et Ouvrages de la Ligne Maginot, Tome 1
Histoire & Collections
[6]
서적
The Forts of the Meuse in World War I
Osprey
[7]
문서
Kauffmann, p. 126
[8]
문서
Kauffmann, pp. 107, 109, 124
[9]
문서
Kauffmann, p. 108
[10]
웹사이트
Eben-Emael – Bloc I – Entrée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11]
웹사이트
Eben-Emael – Coupole 120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12]
문서
Dunstan, p. 28
[13]
웹사이트
Eben-Emael – Coupole Nord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14]
웹사이트
Eben-Emael – Coupole Sud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15]
웹사이트
Eben-Emael – Visé I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16]
웹사이트
Eben-Emael -Visé II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17]
웹사이트
Eben-Emael -Visé II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18]
웹사이트
Eben-Emael – Canal Nord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19]
웹사이트
Eben-Emael -Canal Sud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20]
웹사이트
Eben-Emael – Mi Nord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21]
웹사이트
Eben-Emael -Mi Sud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22]
웹사이트
Eben-Emael -O 1 Observatoire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23]
문서
Dunstan, p. 29
[24]
웹사이트
Organigramme 1940
http://www.fortiff.b[...]
fortiff.be
2010-10-27
[25]
문서
Dunstan, pp. 45-55
[26]
Youtube
The Fall Of Fort Eben Emael (Part 1/5)
https://www.youtube.[...]
2007-12-13
[27]
문서
Dunstan, p. 60
[28]
웹사이트
Home
http://www.fortissim[...]
ASBL Fort Eben-Emael
2010-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