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네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세네파는 기원전 3세기 말 헬라주의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유대교의 한 분파로, 신비철학적 성격을 지녔으며 사두개파와 바리새파의 성전 중심 유대교에서 벗어나 분리주의적 입장을 취했다. '오세 하토라'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들은 엄격한 공동체 생활, 재산 공유, 금욕주의, 정결 의식 등을 강조했으며, 영혼 불멸과 종말론적 신앙을 믿었다. 에세네파는 쿰란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사해 문서 발견을 통해 그들의 사상과 생활 방식이 더욱 자세히 알려졌다. 기원후 70년 로마와의 전쟁으로 인해 멸망했으며, 일부는 기독교와 바리새파에 흡수되었다. 에세네파의 사상은 초기 기독교에 영향을 미쳤으며, 쿰란 유적과 사해 문서 발견 이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교의 종파 - 사마리아교
사마리아교는 그리심산을 하나님의 성소로 여기며, 야훼를 유일신으로 숭배하고 모세의 토라를 유일한 성경으로 인정하며 유대교와 분리된 역사를 가진 종교이다. - 유대교의 종파 - 랍비 유대교
랍비 유대교는 제2성전 붕괴 이후 율법 연구, 기도, 회당 중심의 공동체 생활을 강조하며 발전하여 유대교의 주류 형태로 자리 잡았다. - 구세주의 - 메시아
메시아는 본래 "기름을 바른 자"라는 뜻으로 이스라엘 지도자를 칭하는 용어였으나,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 등 종교에 따라 세상을 구원할 자 또는 예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다양한 종교에서 유사한 개념을 찾아볼 수 있다. - 구세주의 - 기름부음
기름 부음은 여러 문화와 종교에서 건강, 환대, 헌신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의식으로, 고대 이집트의 미라 제작, 인도 종교의 아비셰카, 유대교의 제사장 및 왕 임명 의식, 기독교의 예수 지칭, 왕권 강화 의식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에세네파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에세네파 이시임 |
로마자 표기 | Essenes, Essenians |
그리스어 | Ἐσσαῖος/-οι Ἐσσηνος/-οί Ὀσσαῖοι |
라틴어 | Esseni |
영어 | Essene(s) |
역사 | |
창립 | 기원전 2세기 |
해산 | 서기 1세기 |
활동 시기 | 기원전 2세기 서기 1세기 |
언급 시기 | 서기 75년경 서기 94년경 서기 97년경 서기 75년 서기 20–54년경 |
주요 인물 | 의로운 스승 |
제안된 본부 | 쿰란 |
사상 | |
이념 | 금욕주의 공동체주의 매일 의례적 침례 신비주의 예정설 |
종교 | 유대교 |
기타 | |
관련 문서 | 사해 문서 제2성전 시대 유대교 예수 역사 만다야교 |
2. 형성
에세네파는 헬레니즘 시대에 사두개파에 의해 제사장 직위를 잃은 진보적인 레위인 후손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이들은 사두개파와 바리새파의 토라 해석과 성전 중심의 유대교에 반발하여 분리주의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요세푸스와 필론은 에세네파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고 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쿰란 공동체가 에세네파의 분파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지만, 이 이론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학자들도 있다. 노먼 골브(Norman Golb)는 쿰란 문서와 유적에 대한 연구가 과학적 방법을 결여했고, 잘못된 결론을 도출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문서의 다양성과 유적의 군사 기지로서의 오랜 역사를 근거로 에세네파가 쿰란에 거주했을 가능성이 낮다고 본다.[62]
에세네파 형성 이론 중 하나는 이 운동이 유대교 대제사장에 의해 창립되었다는 것이다. 에세네파는 그를 의로움의 스승이라고 불렀는데, 그의 직책은 요나단 막카베우스에 의해 빼앗겼다고 한다.[65][66] 셀레우코스 왕조의 왕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가 임명한 대제사장 제이슨의 정통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항의한 집단에서 기원했다는 점에서 바리새파와 동일한 기원을 가지거나, 바리새파에서 갈라져 나온 집단으로 여겨진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와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의 기록에 따르면 에세네파는 공동생활을 하고, 입단 자격 심사를 위한 기간이 있었다고 한다.
쿰란 공동체는 에세네파에 속한 집단 또는 에세네파 자체로 생각되어 왔지만, 노먼 골브와 같이 이의를 제기하는 학자들도 존재한다. 에세네파는 제2성전의 권위를 부정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성전 개념 자체를 부정하기보다는 자신의 공동체를 새로운 성전으로 여겼을 것이다. 에세네파는 언젠가 자신들이 사두개파를 꺾고 예루살렘 성전에서 주도권을 장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70년 예루살렘 성전 붕괴 이후 에세네파는 정체성을 상실하고, 힐렐의 영향을 받은 바리새파 집단과 합류함으로써 역사에서 사라지게 된다.
2. 1. 명칭의 기원
'에세네'라는 명칭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존재한다. 그 중 가장 유력한 주장은 '에세네'가 '오세 하토라(ʻosey haTorah)'라는 히브리어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오세 하토라'는 "토라(Torah)의 행위자들" 또는 "토라(Torah)의 실천자들"이라는 의미를 가진다.[25] 이 주장은 1947년 사해 사본(Dead Sea Scrolls)이 발견되면서 더욱 힘을 얻게 되었는데, 사해 사본에서 발견된 히브리어 자칭(self-designation)이 '오세 하토라'였기 때문이다.[26]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에세네파(Essenes)'라는 명칭 외에도 '에사이온(Essaion)', '에사이오스(Essaios)' 등 다양한 표현을 사용했다.[10][11][12][13][14][15][16][17][18][19][20]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은 '에사이오이(Essaioi)'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이 단어가 "신성함"을 의미하는 헬라어화된 형태라고 설명했지만, 정확한 어원은 아니라고 인정했다.[22] 대 플리니우스는 라틴어 본문에서 '에세니(Esseni)'라고 표기했다.[5][23]
중세 히브리어 문헌인 세페르 요시폰(Sefer Yosippon)에서는 '에세네파(Essenes)' 대신 '경건한 자들(Hassidim)'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27]
3. 사상과 신념
에세네파는 엄격한 공동체 생활, 재산 공유, 금욕주의, 정결 의식 등을 강조했다. 이들은 영혼 불멸과 내세에서의 심판을 믿었으며, 독자적인 성서 해석과 종말론적 신앙을 가졌다. 평화주의를 지향하며, 노예 제도에 반대했다.[59][60]
요세푸스와 필로의 기록에 따르면, 에세네파는 공동체 생활을 엄격하게 지켰는데, 이는 후대의 그리스도교 수도원 생활과 자주 비교된다.[36] 이들은 공동 소유,[38][39] 지도자 선출 및 복종,[40] 맹세와 동물 희생 금지[41][42] 등의 관습과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감정 조절과 평화를 중시했으며,[41] 강도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무기 휴대 외에는 폭력을 금했다.[43] 노예 소유를 반대하고 서로 섬겼으며,[44] 공동 소유를 했기에 무역에 참여하지 않았다.[45]
새로운 회원이 되기 위해서는 3년의 수습 기간[49] 후 맹세를 해야 했다.[50] 맹세 내용은 경건, 의로움, 순결, 규칙 준수, 에세네파의 책과 천사의 이름 보존 등이었다.[50] 이들의 신학에는 영혼 불멸성과 사후 영혼 회복에 대한 믿음이 포함되었다.[14][51] 미크베를 통한 정화 의식은 회개 이후에 이루어졌다.[52]
에세네파에게 순결과 청결은 매우 중요했으며, 안식일에는 배변을 삼갔다.[54]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에세네파 내의 두 주요 집단으로 나소라인과 오사이인을 구분했다.[27] 에세네파는 노예 제도에 반대했던, 당시로서는 독특한 집단이었으며, 노예 제도를 불의하고 불경건한 것으로 여겼고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태어났다고 생각했다.[59][60]
3. 1. 다른 유대교 분파와의 관계
에세네파는 사두개파와 바리새파와 토라 해석과 성전 인식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들은 기존 예루살렘 성전을 부패한 곳으로 규정하고, 자신들의 공동체를 새로운 성전으로 여겼다.[109] 에세네파는 사두개파와 바리새파의 활동과 토라 해석이 불완전하다고 보았으며, 기원전 3세기 이후 사두개파가 성전을 장악하자 더욱 분리주의적인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100]이들은 자신들만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독자적인 정결례 공간을 갖추었다. 쿰란 공동체의 문서를 통해 이들의 독자적인 신학과 율법 해석을 엿볼 수 있다. 에세네파는 언젠가 자신들이 사두개파를 꺾고 예루살렘 성전에서 주도권을 장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68] 유대 전쟁 이후 70년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되자 성전을 중시했던 사두개파는 몰락했지만, 에세네파 역시 자신들의 정체성을 잃고 힐렐의 영향을 받은 바리새파와 합류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3. 2. 초기 기독교와의 관계
에세네파와 초기 기독교는 공동 식사, 세례 의식, 종말론적 신앙 등에서 유사점을 보인다. 쿰란 문서는 메시아에 의해 제정될 빵과 포도주를 포함한 식사를 묘사하고 있으며,[88] 에세네파와 초기 기독교인 모두 세상의 심판이 언제든지 내려질 수 있는 종말론적 공동체였다.[88] 신약 성서는 또한 쿰란 공동체가 사용했던 글들을 인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누가복음 1장 31-35절은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그가 큰 자가 되고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이라 일컬어질 것이며…하나님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4Q 246의 “그가 큰 자라 일컬어지고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어지며,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이라 일컬어질 것이며…그는 공의로 세상을 심판할 것이며…모든 민족이 그에게 경배할 것이다”라는 구절과 유사하다.[88]다른 유사점으로는 순교에 이르기까지 신앙에 대한 높은 헌신, 공동기도, 자기 부인, 그리고 죄악 세상 속에서의 속박에 대한 믿음 등이 있다.[89]
일부 학자들은 세례자 요한이나 예수가 에세네파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67] 세례자 요한 또한 에세네파 출신이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요한의 사명과 에세네파 사이에는 많은 유사점이 있으며, 그가 에세네파 공동체에서 훈련을 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90]

초기 교회에서는 솔로몬의 찬가라는 책이 기록되었다. 저자는 아마도 에세네파 공동체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매우 초기의 개종자였을 것이다. 이 책은 에세네파의 신비주의적 사상과 기독교적 개념을 혼합하여 보여준다.[91]
에세네파와 기독교인 모두 자발적인 독신 생활을 실천했고 이혼을 금했다.[92] 또한 선과 악을 위해 "빛"과 "어둠"의 개념을 사용했다.[93]
일부는 에세네파가 4Q285에 근거하여 찔린 메시아의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하지만, 본문의 해석은 모호하다. 일부 학자들은 이것을 메시아 자신이 죽임을 당하는 것으로 해석했지만, 현대 학자들은 대부분 종말론적 전쟁에서 이스라엘의 적들을 처형하는 메시아로 해석한다.[94]
에세네파와 기독교인 모두 물로 침례를 받는 의식을 행했지만, 에세네파는 일회성 행사가 아닌 정기적인 실천으로 삼았다.[95]
에세네파의 사상이 초기 기독교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4. 생활 방식
에세네파는 공동체 생활을 엄격하게 지켰으며, 이는 후대의 그리스도교 수도원 생활과 자주 비교된다.[36] 요세푸스와 필로의 기록에 따르면, 에세네파는 공동 소유,[38][39] 지도자 선출과 복종,[40] 맹세와 동물 희생 금지,[41][42] 감정 조절, 평화 추구,[41] 강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무기 휴대,[43] 노예 소유 금지,[44] 무역 금지[45] 등의 관습과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Flavius Josephus)의 『유대전쟁기』(ユダヤ戦記) 제2권에 기술되어 있는 에세네파(エッセネ派)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내용 |
---|---|
개요 | |
거주/소유 | |
생활/노동 | |
사람 돕기/연민 | |
서약/고문서 | |
재판/예절 |
4. 1. 입단과 추방
에세네파 입단 과정은 매우 엄격했다. 지원자는 1년 동안 공동체 생활을 하며 자격을 심사받고,[1] 이 기간 동안 에세네파 생활 방식을 따르며 적합성을 입증해야 했다.[1] 수습 기간이 끝난 후에는 2년 동안 추가적인 성격 시험을 거쳐 최종 입단 여부가 결정되었다.[1]입단이 허가되면 공동 식사 전에 엄숙한 맹세를 해야 했다.[1] 맹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에세네파 일원이 중대한 죄를 지으면 공동체에서 추방되었다.[1] 추방자는 맹세와 생활 습관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음식을 얻을 수 없어, 풀을 먹으며 연명하다 비참하게 죽는 경우가 많았다.[1] 에세네파는 죽을 때까지 고통받으면 죄가 속죄된다고 믿었다.[1]
5. 유적과 유물
현대 고고학 연구 결과, 사해 서쪽의 쿰란 유적은 에세네파의 주요 공동체 유적으로 여겨진다. 1947년 쿰란 동굴에서 발견된 사해 문서는 에세네파의 신앙과 생활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107][108]
5. 1. 쿰란 공동체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거의 모든 도시에 에세네파가 있다고 기록했고,[103] 필론은 4천 명 이상의 에세네파가 팔레스타인과 시리아에 있다고 적었는데,[104] 많은 도시와 촌락에서 에세네파는 큰 규모의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고도 했다.[105] 특히 사해 서쪽, 엔게디 북쪽에 거주한다고 했다.[106]현대 고고학 연구 결과, 쿰란에 에세네파의 주요 공동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의 증언과, 에세네파의 것으로 여겨지는 사해 문서의 발견이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한다.[107][108] 요세푸스에 따르면, 에세네파는 "모든 도시에 많은 수가 정착해 있었다"고 한다.[31] 필로는 "팔레스타인과 시리아(Roman Syria)"에 "4천 명이 넘는" 에세네파 사람들이 살았다고 말하며,[32] 보다 정확히는 "유대의 많은 도시들과 마을들에, 그리고 많은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공동체들로 모여 살았다"고 한다.[33]
플리니우스는 그들을 "사해 서쪽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 엔게디(En Gedi) 마을 위쪽"에 위치시켰다.[23]
일부 현대 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사해 연안 유대 사막의 고원 지대인 쿰란(Qumran)에 있는 유적지에 에세네파가 거주했다고 주장하며, 플리니우스 장로의 주장을 인용하고 사해 두루마리가 에세네파의 산물이라는 주장에 신빙성을 부여한다.[34] 이 이론은 아직 결정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에세네파에 대한 학계 논의와 대중적 인식을 지배하게 되었다.[35]
오랫동안 쿰란 공동체 (사해 문서)의 저자로 생각되어 왔던 쿰란 공동체는 에세네파에 속한 집단 또는 에세네파 그 자체로 생각되어 왔지만, 노먼 골브(Norman Golb)와 같이 이의를 제기하는 학자들도 존재한다.
6. 로마와의 전쟁
기원후 70년 로마 제국의 이스라엘 침공 당시, 에세네파는 사두개파, 바리새파와는 달리 반로마적 성향이 강했고, 젤롯파와도 관련이 있어 로마군의 직접적인 공격을 받았다.[31] 이로 인해 에세네파의 성소와 기록 자료는 파괴되었고, 살아남은 이들은 대부분 기독교나 바리새파에 흡수되었다.[31]
기원후 66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이 일어나고 로마의 진격이 예상되자, 서부 유대 일부 지역 지휘권은 에세네파 출신인 요한(John the Essene)에게 주어졌다.[61] 그는 타므나(Thamna, Khirbet Tibnah) 토파르키아(toparchy)를 담당했으며, 이 지역에는 뤼드(Lydda, Lod), 요파(Joppa, Jaffa), 엠마우스(Emmaus)가 포함되었다.[61]
유대 전쟁 결과, 70년 예루살렘 성전이 무너지면서 성전을 권위 기반으로 삼던 사두개파와 샴마이파는 막을 내렸다. 그러나 에세네파 역시 바라던 승리를 거두지 못하고, 결국 대립 집단이 사라지면서 정체성을 잃고 힐렐의 영향을 받은 바리새파와 합류하며 역사에서 사라졌다.
7. 현대의 연구
사해 문서 발견 이후 에세네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쿰란 공동체와 에세네파의 관계, 초기 기독교와의 연관성 등이 주요 연구 주제이다.[34]
일부 현대 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사해 연안 유대 사막의 고원 지대인 쿰란 유적지에 에세네파가 거주했다고 주장하며, 플리니우스 장로의 주장을 인용하고 사해 두루마리가 에세네파의 산물이라는 주장에 신빙성을 부여한다.[34] 이 이론은 아직 결정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에세네파에 대한 학계 논의와 대중적 인식을 지배하게 되었다.[35]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와 필론(Philo)의 기록에 따르면, 에세네파는 공동체 생활을 엄격하게 지켰는데, 이는 후대의 그리스도교 수도원 생활과 자주 비교된다.[36]
에세네파와 기독교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쿰란 문서는 메시아가 제정할 빵과 포도주를 포함한 식사를 묘사하고 있으며, 두 집단 모두 세상의 심판이 언제든지 내려질 수 있는 종말론적 공동체였다.[88] 신약 성서는 쿰란 공동체가 사용했던 글들을 인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누가복음 1장 31-35절은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그가 큰 자가 되고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이라 일컬어질 것이며…하나님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4Q 246의 “그가 큰 자라 일컬어지고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어지며,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이라 일컬어질 것이며…그는 공의로 세상을 심판할 것이며…모든 민족이 그에게 경배할 것이다”라는 구절과 유사하다.[88]
다른 유사점으로는 순교에 이르기까지 신앙에 대한 높은 헌신, 공동기도, 자기 부인, 그리고 죄악 세상 속에서의 속박에 대한 믿음 등이 있다.[89]
세례자 요한 또한 에세네파 출신이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요한의 사명과 에세네파는 많은 유사점이 있으며, 그가 에세네파 공동체에서 훈련을 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90]
8. 소멸
기원후 70년 로마 제국과의 전쟁에서 사두개파, 바리새파와 달리 반로마 제국 성향을 강하게 띠었던 에세네파는 젤롯파와의 연관성 때문에 로마군의 직접적인 공격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에세네파의 성소와 기록 자료들이 소실되었고, 살아남은 사람들은 대부분 기독교와 바리새파에 흡수되었다.[90] 이후 에세네파에 대한 기록은 간접적인 자료와 약간의 문헌으로만 전해져 왔다.
1947년, 쿰란 부근 동굴에서 에세네파의 문헌이 대규모로 발견되면서 이들의 사상과 생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기독교와 후기 유대교인 바리새파 유대교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에세네파는 제2성전(예루살렘 성전)의 권위를 부정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성전 자체를 부정했다기보다는 자신들의 공동체를 새로운 성전으로 여겼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언젠가 사두개파를 꺾고 예루살렘 성전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던 것 같다. 그러나 유대 전쟁 결과, 70년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되면서 성전을 기반으로 했던 사두개파와 샴마이 집단은 몰락했다. 에세네파 역시 바라던 승리를 얻지 못하고, 결국 대립 집단의 소멸과 함께 정체성을 잃고 힐렐의 영향을 받은 바리새파와 합류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성전 붕괴 이후, 유대교는 바리새파 중 힐렐 학파를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에세네파의 "성전에 의존하지 않고도 신을 섬길 수 있다"는 사상은 기독교 발생에 영향을 주었으며, 성전 붕괴 이후 유대교를 지탱하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참조
[1]
서적
תולדות התגליות הארכאולוגיות בקומראן
יד יצחק בן-צבי
[2]
서적
The Panarion of Epiphanius of Salamis: Book I (sects 1-46)
https://books.google[...]
BRILL
2009
[3]
서적
T&T Clark Encyclopedia of Second Temple Judaism
T&T Clark
2020
[4]
서적
Second Thoughts on the Dead Sea Scrolls
Paternoster Press
[5]
서적
Historia Naturalis
https://penelope.uch[...]
[6]
서적
Qumran Cave 1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3-31
[7]
서적
The Wars of the Jews
[8]
서적
Sadducees and Essenes after 70 CE
https://brill.com/di[...]
Brill
2023-08-02
[9]
학술지
About the Links between the Dead Sea Scrolls and Mandaean Liturgy
https://poj.peeters-[...]
[10]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11]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12]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13]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14]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15]
서적
The Life of Flavius Josephus
[16]
서적
The Wars of the Jews
[17]
서적
The Wars of the Jews
[18]
서적
The Wars of the Jews
[19]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20]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21]
웹사이트
The Life of Josephus Flavius
http://www.deusdiape[...]
[22]
서적
Quod Omnis Probus Liber
http://www.earlyjewi[...]
[23]
서적
Natural History
[24]
서적
Beyond the Essene hypothesis: the parting of the ways between Qumran and Enochic Judaism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5]
서적
The Dead Sea Scrolls after Fifty Years: A Comprehensive Assessment
Brill Publishers
[26]
서적
Identity and History of the Community
Brill
[27]
서적
St. Paul's epistles to the Colossians and to Philemon: a revised text with introductions, notes, and dissertations
https://archive.org/[...]
Macmillan Publishers
[28]
웹사이트
Mishnah Megillah 4:8
https://www.sefaria.[...]
Sefaria
[29]
웹사이트
Discovery and Acquisition, 1947–1956
http://cojs.org/disc[...]
Jewish Publication Society
2020-04-16
[30]
서적
The Jewish War
[31]
서적
The Wars of the Jews
[32]
서적
Quod Omnis Probus Liber
http://www.earlyjewi[...]
[33]
서적
Hypothetica
http://www.earlychri[...]
[34]
웹사이트
Who Were the Essenes?
https://www.biblical[...]
Biblical Archeology Society
2022-05-09
[35]
서적
Jesus—One Hundred Years Before Christ: A Study in Creative Mythology
[36]
서적
Personal religion in Egypt before Christianity
1909
[37]
서적
The Wars of the Jews
75
[38]
서적
The Wars of the Jews
75
[39]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94
[40]
서적
The Wars of the Jews
75
[41]
서적
The Wars of the Jews
75
[42]
문서
Philo, §75: ου ζωα καταθυοντες [= not sacrificing animals]
[43]
서적
The Wars of the Jews
75
[44]
서적
Every Good Man is Free
[45]
서적
The Wars of the Jews
75
[46]
서적
Comrades: A History of World Communism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47]
웹사이트
Essenes
https://anarchyinact[...]
2019-12-12
[48]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 Essenes
http://www.jewishenc[...]
1906
[49]
서적
The Wars of the Jews
75
[50]
서적
The Wars of the Jews
75
[51]
서적
The Wars of the Jews
75
[52]
논문
Initiation and the Ritual Purification from Sin: Between Qumran and the Apostolic Tradition
2016-11-08
[53]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ume 7
[54]
서적
The Shabbat Elevator and other Sabbath Subterfuges: An Unorthodox Essay on Circumventing Custom and Jewish Character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4-10-27
[55]
서적
Panarion
378
[56]
서적
Panarion
378
[57]
서적
The Literature of the Jewish People in the Period of the Second Temple and the Talmud, Volume 1 Mikra: Text, Translation, Rea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Hebrew Bible in Ancient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BRILL
1988-01-01
[58]
서적
The Impact of the Dead Sea Scrolls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2009
[59]
서적
Essenes in Judaean Society: The sectarians of the Dead Sea Scrolls
Oxford University Press's Academic Insights for the Thinking World
2021
[60]
웹사이트
Essenes in Judaean Society: The sectarians of the Dead Sea Scrolls
https://blog.oup.com[...]
2021-01-17
[61]
서적
For the Freedom of Zion: the Great Revolt of Jews against Romans, 66-74 CE
Yale University Press
2021
[62]
서적
Who wrote the Dead Sea Scrolls?: the search for the secret of Qumran
Simon & Schuster
1996
[63]
서적
Jewish War, Book II
[64]
서적
De Vita Contemplativa
http://www.earlychri[...]
[65]
잡지
Scholar Claims Dead Sea Scrolls 'Authors' Never Existed
http://www.time.com/[...]
2009-03-17
[66]
웹사이트
Rachel Elior Responds to Her Critics
http://jwest.wordpre[...]
Jim West
2009-03-17
[67]
서적
A History of the Bible
Beacon Press
1967
[68]
서적
The Meaning of the Dead Sea Scrolls
[69]
백과사전
Mandaeans ii. The Mandaean Religion
https://iranicaonlin[...]
2022-01-03
[70]
서적
Ginza, der Schatz, oder das Grosse Buch der Mandaer
1925
[71]
서적
The secret Adam, a study of Nasoraean gnosis
http://holybooks.lic[...]
Clarendon Press
1960
[72]
학술지
The Israelite Origins of the Mandaean People
https://scholarsarch[...]
2016-01-29
[73]
서적
Mandaic Dictionary
Clarendon Press
1963
[74]
서적
Die Araber in der alten Welt II: Bis zur Reichstrennung
Berlin
1965
[75]
서적
The Panarion of Epiphanius of Salamis, Book I (Sects 1–46)
E.J. Brill
1987
[76]
서적
Iconography of Religions: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Chris Robertson
1977
[77]
학술지
War Der Verfasser Der Oden Salomos Ein "Qumran-Christ"? Ein Beitrag zur Diskussion um die Anfänge der Gnosis
Peeters
1964-04
[78]
PhD
The story of creation in the Mandaean holy book in the Ginza Rba
https://discovery.uc[...]
University College London
[79]
학술지
The Wisdom Stance of Enoch's Redactor
Brill
1982-12
[80]
웹사이트
Sacred Text and Esoteric Praxis in Sabian Mandaean Religion
http://isamveri.org/[...]
[81]
백과사전
The War of the Sons of Light Against the Sons of Darkness
https://www.britanni[...]
2022-03-04
[82]
서적
The Haran Gawaita and the Baptism of Hibil-Ziwa
Biblioteca Apostolica Vaticana
[83]
서적
The Mandaeans of Iraq and Iran
Oxford at the Clarendon Press
[84]
서적
Ancient Jewish Art and Archaeology in the Land of Israel
https://books.google[...]
E. J. Brill
[85]
서적
Proximity to Power and Jewish Sectarian Groups of the Ancient Period
https://books.google[...]
Koninklijke Brill NV
2006
[86]
뉴스
Save the Gnostics
https://www.nytimes.[...]
2022-05-13
[87]
학술지
About the Links between the Dead Sea Scrolls and Mandaean Liturgy
https://poj.peeters-[...]
[88]
뉴스
The Essenes and the origins of Christianity
https://www.jpost.co[...]
2022-04-12
[89]
웹사이트
BBC - History - Ancient History in depth: Lost and Hidden Christianity
https://www.bbc.co.u[...]
BBC
2022-05-11
[90]
백과사전
St. John the Baptist - Possible relationship with the Essenes
https://www.britanni[...]
2022-04-12
[91]
웹사이트
Odes of Solomon: Early Hymns of the Jewish Christian Mystical Tradition
https://www.academia[...]
[92]
뉴스
The Essenes and the origins of Christianity
https://www.jpost.co[...]
2022-06-19
[93]
서적
The Impact of the Dead Sea Scrolls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2009
[94]
서적
T&T Clark Encyclopedia of Second Temple Judaism Volume On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9-12-26
[95]
서적
The Bible and the Dead Sea Scrolls: The scrolls and Christian origins
https://books.google[...]
Baylor University Press
2006
[96]
백과사전
Magharians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97]
서적
Geschichte der Juden
[98]
서적
The Panarion of Epiphanius of Salamis: Book I (sects 1-46)
https://books.google[...]
BRILL
2009
[99]
서적
The Wars of the Jews
75
[100]
서적
Quod Omnis Probus Liber
http://www.earlyjewi[...]
20–54
[101]
서적
Hypothetica
http://www.earlychri[...]
[102]
서적
Second Thoughts on the Dead Sea Scrolls
Paternoster Press
1956
[103]
서적
The Wars of the Jews
75
[104]
서적
Quod Omnis Probus Liber
http://www.earlyjewi[...]
20–54
[105]
서적
Hypothetica
http://www.earlychri[...]
[106]
서적
Natural History
[107]
웹사이트
Who Were the Essenes?
https://www.biblical[...]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22-05-09
[108]
서적
Jesus—One Hundred Years Before Christ: A Study in Creative Mythology
London
1999
[109]
서적
유대교와 헬레니즘: 기원전 2세기 중반까지 팔레스타인을 중심으로 한 유대교와 헬레니즘의 만남 연구
나남
2012
[110]
서적
예수평전
김영사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