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스카야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카야어는 필리핀 보홀 섬에서 사용되는 인공 언어로, 에스카야족의 시조인 피나이가 인간 해부학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20세기 초 마리아노 다타한에 의해 "재발견"되어 민족 부흥 운동의 일환으로 사용되었으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스페인과의 접촉 이후 스페인어, 영어, 세부아노어를 혼합하여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에스카야어는 세부아노어와 문법적으로 유사하지만, 어휘는 스페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독특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 언어학자들은 에스카야어를 세부아노어에서 파생된 인공어로 보며, 세부아노어를 "암호화"한 언어라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공 문자 - 한글
    한글은 15세기 조선 시대에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국의 고유 문자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소리를 나타내는 음소 문자이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특징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인공 문자 - 주음부호
    주음부호는 장빙린이 창안한 중국어 표음 문자 체계로, 고대 한자 형태에서 유래한 37개 자모로 구성되어 대만에서 한자 교육, 컴퓨터 입력, 그리고 대만어와 광둥어 표기에 사용되며, 국제적으로 '보포모포'로 불린다.
  • VSO형 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VSO형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에스카야어
언어 정보
이름에스카야어
고유 이름Bisaya
Iniskaya
Eskayano
창시자마리아노 다타한
기원에스카야족의 조상인 피나이에게서 유래했다고 여겨짐
창작 시기1920년 - 1940년 경
민족3,000명 (2013년)
사용자 수550명
사용 시기2013년
언어 유형문화적 보조 언어
사용 목적노래
기도
교육
전통 문학 재생산
필리핀 보홀 섬에서 독특한 토착 문화 확립 목적
어휘세부아노어 암호화, 스페인어영어 어휘 영향
문자에스카야 문자(음절 문자)
ISO 639-3esy
글ോട്ടോ로그eska1234
글고토로그 명칭Eskayan

2. 역사

에스카야어의 역사는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나뉜다. 하나는 에스카야족의 시조인 피나이가 인간 해부학에서 영감을 받아 에스카야어와 문자를 만들었다는 전통적인 관점이다.[5][3] 다른 하나는 20세기 초 마리아노 다타한(1875년경~1949년)이 피나이의 언어를 "재발견"하고 추종자들에게 전파했다는 것이다. 다타한은 필리핀-미국 전쟁 이후 보홀 남동부에 유토피아 공동체를 세워 제국주의에 저항하고 보홀에 토착 국가를 세우려 했으며, 에스카야어와 문자는 이러한 초창기 국가 문화의 구현으로 여겨졌다.[4]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에스카야어는 스페인과의 접촉 이후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교황', '비행기'와 같이 스페인과의 접촉 이후에 등장한 문화 범주를 나타내는 "토착" 용어가 존재한다. 또한 에스카야어는 비사야어에서는 구분하지 않는 '달'과 '월' 같은 의미 차이를 스페인어와 영어처럼 구별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에스카야어 어휘가 교과서에서 스페인어-영어-비사야어 단어 목록을 가져와 비사야어 부분을 새로운 어휘로 대체하여 만들어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더불어 에스카야 문자는 19세기 동판 필기체와 매우 유사하다.[4]

이처럼 창조 신화와 함께 토착 언어를 창조한 사례는 세계 다른 곳에서도 나타난다. 카펜타리아 만의 의례 언어인 다민은 조상 칼사드가 창조했다고 전해지며, 파푸아뉴기니 메단 지역의 판다누스 언어도 비슷한 예시이다.

2. 1. 기원 신화

화자에 따르면 에스카야어와 문자는 에스카야족의 시조인 피나이가 인간의 해부학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것이다.[5][3] 피나이의 언어는 20세기 초 마리아노 다타한(1875년경~1949년)에 의해 "재발견"되었는데, 그는 메시아적 성향을 가진 반란군 병사로 추종자들에게 이 언어를 전파했다. 다타한은 필리핀-미국 전쟁 이후 보홀 남동부에 유토피아 공동체를 세워 제국주의적 요구에 저항하고 보홀에 토착 국가를 세우려 했으며, 에스카야어와 문자는 이러한 초창기 국가 문화의 구현으로 여겨졌다.[4]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에스카야어는 스페인과의 접촉이 이루어진 이후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한 증거로는 '교황'과 '비행기'와 같은 접촉 이후의 문화적 범주를 나타내는 "토착" 용어(즉, 차용어나 번역어가 아닌)가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 언어는 비사야어에서는 구별하지 않는 의미적 차이(예: '달'과 '월')를 스페인어와 영어에서 구별한다. 에스카야어 어휘는 교과서에서 스페인어-영어-비사야어 단어 목록을 가져와 비사야어 부분을 새로운 어휘로 대체하여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마지막으로, 에스카야 문자는 19세기 동판 필기체와 매우 유사하다.[4]

창조 신화와 함께 토착 언어를 창조한 사례는 세계 다른 곳에서도 나타난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사례는 조상 칼사드가 창조했다고 전해지는 카펜타리아 만의 의례 언어인 다민이며, 또 다른 예로는 파푸아뉴기니 메단 지역의 판다누스 언어가 있다.

2. 2. 마리아노 다타한과 민족 부흥 운동

에스카야어와 문자는 에스카야족의 시조인 피나이가 인간의 해부학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것이라고 전해진다.[5][3] 피나이의 언어는 20세기 초 마리아노 다타한(1875년경~1949년)에 의해 "재발견"되었다. 마리아노 다타한은 메시아적 성향을 가진 반란군 병사로 추종자들에게 이 언어를 전파했다. 다타한은 필리핀-미국 전쟁 이후 보홀 남동부에 유토피아 공동체를 세워 제국주의적 요구에 저항하고 보홀에 토착 국가를 세우려 했다. 에스카야어와 문자는 이러한 초창기 국가 문화의 구현으로 여겨졌다.[4]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에스카야어는 스페인과의 접촉 이후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교황', '비행기'와 같이 접촉 이후의 문화적 범주를 나타내는 "토착" 용어(차용어나 번역어가 아닌)가 있다는 점이 그 증거이다. 또한 이 언어는 비사야어에서는 구별하지 않는 '달'과 '월'과 같은 의미적 차이를 스페인어와 영어에서 구별한다. 에스카야어 어휘는 교과서에서 스페인어-영어-비사야어 단어 목록을 가져와 비사야어 부분을 새로운 어휘로 대체하여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에스카야 문자는 19세기 동판 필기체와 매우 유사하다.[4]

창조 신화와 함께 토착 언어를 창조한 사례는 세계 다른 곳에서도 나타난다. 카펜타리아 만의 의례 언어인 다민은 조상 칼사드가 창조했다고 전해지며, 파푸아뉴기니 메단 지역의 판다누스 언어도 그 예이다.

2. 3. 현대의 연구와 재평가

에스카야어와 문자는 에스카야족의 시조인 피나이가 인간의 해부학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것이라고 전해진다.[5][3] 20세기 초, 메시아적 성향을 가진 반란군 병사였던 마리아노 다타한(1875년경~1949년)은 피나이의 언어를 "재발견"하고 추종자들에게 전파했다. 다타한은 필리핀-미국 전쟁 이후 보홀 남동부에 유토피아 공동체를 세워 제국주의에 저항하고 보홀에 토착 국가를 세우려 했으며, 에스카야어와 문자는 이러한 초창기 국가 문화의 구현으로 여겨졌다.[4]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에스카야어는 스페인과의 접촉 이후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교황', '비행기'와 같이 스페인과의 접촉 이후에 등장한 문화 범주를 나타내는 "토착" 용어(차용어나 번역어가 아닌)가 존재한다는 점이 그 증거 중 하나이다. 또한, 에스카야어는 비사야어에서는 구분하지 않는 의미 차이(예: '달'과 '월')를 스페인어와 영어처럼 구별한다. 에스카야어 어휘는 교과서에서 스페인어-영어-비사야어 단어 목록을 가져와 비사야어 부분을 새로운 어휘로 대체하여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에스카야 문자는 19세기 동판 필기체와 매우 유사하다.[4]

창조 신화와 함께 토착 언어를 창조한 사례는 세계 다른 곳에서도 나타난다. 카펜타리아 만의 의례 언어인 다민은 조상 칼사드가 창조했다고 전해지며, 파푸아뉴기니 메단 지역의 판다누스 언어도 비슷한 예시이다.

3. 언어 분류

에스카야어는 세부아노어의 "정교한 암호화"이다.[5] 세부아노어를 제외한 필리핀 토착 언어와 어휘적 유사성을 보이지 않으며, 문법적으로는 세부아노어와 동일하다.[6][7] 대부분의 단어는 스페인어와 영어 어휘 및 음운론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졌다.[4] 일부 스페인어 단어는 의미가 변경되기도 하였다.

3. 1. 인공어로서의 특징

에스카야어는 세부아노어의 "정교한 암호화"이다.[5] 세부아노어를 제외한 필리핀 토착 언어와 어휘적 유사성을 보이지 않으며, 문법적으로는 세부아노어와 동일하다.[6][7] 대부분의 단어는 스페인어와 영어 어휘 및 음운론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졌다.[4] 일부 스페인어 단어는 그 의미가 변경되었는데, 예를 들어 astro|아스트로esy는 '별'에서 '해'로, tre|트레esy는 '셋'에서 '둘'로 변경되었다.

언어학자 에르네스토 콘스탄티노(필리핀 대학교 언어학과 교수)는 비사얀-에스카야 민족언어가 자연적으로 진화한 것이 아니라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의식적으로 고안된 음운론, 문법 및/또는 어휘를 가진 인공어라고 주장했다. 이 민족언어는 목적은 다르지만, 기원 면에서는 에스페란토와 이도어와 유사하다.[8]

4. 문자 체계

에스카야 문자는 알파벳과 음절 문자를 모두 가지고 있다. 46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기본 '알파벳'은 에스카야어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소리와 음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1,000개가 넘는 더 넓은 하위 집합은 나머지 음절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자음과 모음의 이례적인 다양성이 이러한 상대적으로 많은 복합 문자를 차지하며, 여기에는 불필요한 기호도 포함된다.[6]

이 기호들은 인체 해부학의 일부를 기반으로 한다고 하지만, 많은 기호들은 필기체 로마자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분명하다. 에스카야어의 로마자 표기는 교육 목적으로 문화 학교에서 사용된다. 엄격하게 표준화되지는 않았지만, 이 표기법은 한때 세부아노어를 음역하는 데 사용되었던 스페인어 체계와 공통 요소를 가지고 있다.[3]

4. 1. 에스카야 문자

에스카야 문자는 알파벳과 음절 문자를 모두 가지고 있다. 46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기본 '알파벳'은 에스카야어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소리와 음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1,000개가 넘는 더 넓은 하위 집합은 나머지 음절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자음과 모음의 이례적인 다양성이 이러한 상대적으로 많은 복합 문자를 차지하며, 여기에는 불필요한 기호도 포함된다.[6]

이 기호들은 인체 해부학의 일부를 기반으로 한다고 하지만, 많은 기호들은 필기체 로마자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분명하다.

4. 2. 로마자 표기

에스카야어의 로마자 표기는 교육 목적으로 문화 학교에서 사용된다. 엄격하게 표준화되지는 않았지만, 이 표기법은 한때 세부아노어를 음역하는 데 사용되었던 스페인어 체계와 공통 요소를 가지고 있다.[3] 예를 들어, 문자 'i'와 'e'는 /ɪ/|/ɪ/영어 소리를 나타내는 상호 교환 가능한 기호이며, 'll' 조합은 /lj/|/lj/영어로 발음되고, 문자 'c'는 스페인어에서와 같이 전설 모음 앞에 오면 /s/|/s/영어로 발음된다. 에스카야어 로마자 표기법의 주목할 만한 혁신은 /d͡ʒ/|/d͡ʒ/영어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 조합 'chd'이다.[3]

5. 음운론 및 음운 배열

에스카야어는 보홀라노-비사야어(보홀에서 사용되는 세부아노어의 한 변종)와 동일한 음소를 공유하며, maayo|마아요phi ('좋은')와 같은 비사야어 단어에 나타나는 독특한 보홀라노 유성 경구개 파찰음을 포함하고 있다. 이 음소를 제외하면 에스카야어는 세부아노-비사야어, 타갈로그어 및 기타 많은 필리핀 언어와 동일한 기본적인 음운론을 공유한다.[3]

반면에, 에스카야어의 음운 배열은 보홀라노-비사야어 및 일반적으로 필리핀 언어와는 상당히 다르다. 이는 ('뱀장어'), ('얼굴'), ('무릎') 및 ('꽃')과 같은 에스카야어 단어에서 볼 수 있는데, 이 단어들은 필리핀 언어에 나타나지 않는 자음 배열 /sd/, /np/, /sl/, /lkd/ 및 /str/을 포함한다. 또한 상당수의 에스카야어 단어는 스페인어 또는 보홀라노-비사야어로 차용된 스페인어에서 흔히 나타나지만 차용되지 않은 단어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음운 배열을 가지고 있다.[3]

6. 격 체계

에스카야어는 세부아노어와 동일한 구문 및 형태 구조를 따른다. 따라서 에스카야어 명사는 굴절되지 않지만, 여러 격 표지 중 하나를 사용하여 격을 표시할 수 있다.[9]

아래 표는 에스카야어의 기본적인 격 체계를 보여주며, 괄호 안에는 세부아노어에 해당하는 표현이 나와 있다.[9]

인칭 명사 표지비인칭 명사 표지
주격ye|예esy 또는 e|에esy (si|시ceb)특정(관사)esto|에스토esy (ang|앙ceb)
소유격kon|콘esy (ni|니ceb)기울어진 특정ya|야esy (sa|사ceb)
여격puy|푸이esy (kang|캉ceb)기울어진 비특정chda|츠다esy (ug|욱ceb)



Kon|콘esy과 esto|에스토esy스페인어 con|콘es ('~와 함께')와 esto|에스토es ('그것')와 유사하며, 세부아노어 ni|니ceb와 ang|앙ceb에 대한 스페인어 번역과 대략 일치한다.

7. 대명사

(전치)소유격₂
(후치)간접격1인칭 단수naren|나렌esy (ako|아코ceb, ko|코ceb)damo|다모esy (akong|아콩ceb)tompoy|톰포이esy (nako|나코ceb, ko|코ceb)tompoy|톰포이esy (kanako|카나코ceb, nako|나코ceb)2인칭 단수samo|사모esy (ikaw|이카우ceb, ka|카ceb)gona|고나esy (imong|이몽ceb)nistro|니스트로esy (nimo|니모ceb, mo|모ceb)nistro|니스트로esy (kanimo|카니모ceb, nimo|니모ceb)3인칭 단수atcil|앗칠esy (siya|시야ceb)chdel|츠델esy (iyang|이야ceb)kon chdil|콘 츠딜esy (niya|니야ceb)mininos|미니노스esy* (kaniya|카니야ceb, niya|니야ceb)1인칭 복수 포괄arhitika|아르히티카esy (kita|키타ceb, ta|타ceb)chdaro|츠다로esy (atong|아통ceb)[] (nato|나토ceb)[] (kanato|카나토ceb, nato|나토ceb)1인칭 복수 배타kim|킴esy (kami|카미ceb, mi|미ceb)gramyu|그라뮤esy (among|아몽ceb)[] (namo|나모ceb)[] (kanamo|카나모ceb, namo|나모ceb)2인칭 복수chdicto|츠딕토esy (kamo|카모ceb, mo|모ceb)[] (inyong|인용ceb)[] (ninyo|닌요ceb)[] (kaninyo|카닌요ceb, ninyo|닌요ceb)3인칭 복수[] (sila|실라ceb)persiyan|페르시얀esy (ilang|일랑ceb)[] (nila|닐라ceb)[] (kanila|카닐라ceb, nila|닐라ceb)


8. 어휘

에스카야어는 세부아노어의 "정교한 암호화"이다.[5] 세부아노어를 제외한 필리핀 토착 언어와 어휘적 유사성을 보이지 않으며, 문법적으로는 세부아노어와 동일하다.[6][7]

대부분의 단어는 스페인어영어 어휘 및 음운론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졌다.[4] 일부 스페인어 단어는 그 의미가 변경되었는데, 예를 들어 astro|아스트로esy는 '별'에서 '해'로, tre|트레esy는 '셋'에서 '둘'로 변경되었다.

언어학자 에르네스토 콘스탄티노(필리핀 대학교 언어학과 교수)는 비사얀-에스카야 민족언어가 자연적으로 진화한 것이 아니라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의식적으로 고안된 음운론, 문법 및/또는 어휘를 가진 인공어라고 주장했다. 이 민족언어는 목적은 다르지만, 기원 면에서는 에스페란토와 이도어와 유사하다.[8]

8. 1. 세부아노어의 영향

에스카야어는 세부아노어와 구조적으로는 같지만, 어휘적인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았다. 핵심 스워데시 목록을 비교하면 8개의 동일 어원 단어가 확인된다.[3]

영어에스카야어세부아노어
at (~에)ya|야esysa|사ceb
that (그, 그것)cano|카노esyka'na|카나ceb
we (우리) (포함/배타)arhitika/kim|아르히티카/킴esykita/kami|키타/카미ceb
who (누구)kinya|키냐esykinsa|킨사ceb
four (4)pat|팟esyupat|우팟ceb
six (6)nom|놈esyun'um|우눔ceb
eight (8)wal|왈esywalo'|왈로ceb
nine (9)sem|셈esysiam|시암ceb



에스카야어 단어는 세부아노어와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가지므로, 세부아노어에서 동음이의어인 두 단어는 에스카야어에서도 동음이의어이다. 그러나 동사 형태는 상당히 다르다. 세부아노어에는 문법적 상과 다른 특징을 나타내는 24개의 동사 접사가 있는 반면, 에스카야어에는 단 5개 (''muy-'', ''dil-'', ''pur-'', ''yu-'', ''yi-'')만 있으며, 각각 세부아노어 접사를 대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스카야어 문법은 모호해지는 경우가 많으며, 병렬적인 세부아노어 텍스트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일부 에스카야어 동사는 형태론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세부아노어 동사의 특정 활용형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기본 어근인 에스카야어 imprus|임프루스esy ('~에 실렸다')는 세부아노어 gipuslan|기푸슬란ceb을 번역하는데, 여기서 ''gi-''는 동작이 완료 상이며, 행위자에 의해 수행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는 많은 에스카야어 단어의 원형이 초기 영어-스페인어-비사얀어 삼중 언어였으며, 비사얀어 (세부아노어) 해설이 지워지고 에스카야어로 대체되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5]

8. 2. 스페인어의 영향

에스카야어 어휘는 뚜렷한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지만,[10] 차용 패턴을 파악하기는 어렵다.[3] 일부 스페인어 단어는 의미나 음성적 변경 없이 에스카야어로 직접 차용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남편'을 뜻하는 에스카야어 단어 merido|메리도esy는 '남편'을 뜻하는 스페인어 marido|마리도es에서 차용된 것이 분명하다. 다른 단어들은 원래 단어의 의미적 속성 중 일부만 유지한다. 예를 들어, 단어 astro|아스트로esy는 에스카야어에서 '태양'을 의미하지만 스페인어에서는 '별; 유명인'을 의미한다. 흥미로운 경우 중 일부는 에스카야어 어휘 항목이 차용되었지만 완전히 새로운 의미가 할당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에스카야어 memorya|메모랴esy ('하늘')는 스페인어 memoria|메모리아es ('기억')와 의미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중단된 차용'의 가장 흥미로운 예 중 하나는 에스카야어 tre|트레esy ('2')가 스페인어 tres|트레스es ('3')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여기서는 '수'의 의미적 속성이 유지되었지만, 실제로 나타내는 수량은 재할당되었다.[3]

9. 예시 텍스트

에스카야어[11][12]보홀라노어영어
{{lang|esy|Samnat yo bantelar,{{lang|ceb|Yuta kong minahal,이것은 내가 사랑하는 땅,
신이 나에게 주신 땅,
태양의 애무를 받고,
바다에 잠기며,
시원한 바람에 입맞춤을 받네
밤낮으로.
여기 초창기 영웅들이 살았고,
여기서 그들은 평화를 이루고 피를 흘렸네,
여기 경이로운 원뿔 모양의 언덕이 솟아오르고,
여기 달콤한 킨파이가 자라네.


10. 이론 및 논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에스카야 공동체는 그들의 언어가 기원적으로 특이하다는 생각을 조장하는 지역 신비주의자들의 관심을 끌었다.[13] 오늘날 에스카야어를 연구한 소수의 언어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에스카야어가 구조적으로는 세부아노어와 유사하지만 어휘적으로 혁신적이라는 데 동의하며, 에스카야어가 세부아노어에서 파생된 보조 언어이거나 고도로 정교한 변형된 형태의 언어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참조

[1] 논문 The Morphology of the Eskaya Language The Pontifical and Royal University of Santo Tomas 1991-10
[2] harvp 1997
[3] 연구보고서 The Classification of the Eskayan Language of Bohol http://www.esnips.co[...] National Commission on Indigenous Peoples, Bohol, The Philippines 2006-07
[4] harvp 2012c
[5] harvp 2012a
[6] harvp 1993
[7] 논문 Iniskaya: A Linear Linguistic Description Cebu Normal University 2005
[8] 논문 Lexical Retrieval in L1, L2, L3, and L4 of the Bilingual Eskayan Tribe in Taytay, Duero, Bohol University of San Carlos 2013
[9]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typological characteristics Routledge 2005
[10] 문서 Gahum ug Gubat & The Classification of the Eskayan Language of Bohol
[11] 웹사이트 Song Translation http://www.ling.hawa[...]
[12] 웹사이트 Recording http://www.ling.hawa[...] 2015-08-14
[13] 웹사이트 Visayan-Eskaya Secondary Source Materials: Survey & Review'' Part One: 1980–1993 http://www.esnips.co[...] National Commission on Indigenous Peoples, Bohol, Philippine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