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티오피아의 국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티오피아의 국기는 녹색, 노란색, 빨간색의 세 가지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14년 에티오피아 제국의 국기에 사용되었다. 이 삼색기는 1897년 메넬리크 2세 황제의 명령으로 처음 만들어졌으며, 각 색상은 에티오피아를 지키기 위한 피, 평화와 조화, 희망과 비옥함을 상징한다. 1996년 2월 6일 현재의 국기가 제정되었으며, 2009년 5월 16일 문양의 크기와 색상이 변경되었다. 국기는 범아프리카주의의 상징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에티오피아의 국기는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의 상징 - 유다의 사자
    유다의 사자는 성경 속 유다 지파를 상징하며 유대교, 기독교, 에티오피아 왕실, 라스타파리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힘, 왕권, 주권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으로 사용된다.
  • 에티오피아의 상징 -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앞으로!
    에티오피아의 국가인 "ኢትዮጵያ, ኢትዮጵያ, ኢትዮጵያ ቂዳ ሚ"의 가사를 다루는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앞으로!"는 암하라어 가사, 음역, 국제 음성 기호(IPA) 표기, 영어 번역 및 한국어 해석을 제공한다.
  • 국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국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 아프리카 - 세이셸
    세이셸은 인도양 서부 마다가스카르 북동쪽에 있는 11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 공화국으로,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후 프랑스, 영국을 거쳐 독립했으며,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크레올 혼혈인들이 주로 거주하며 세 가지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아프리카 - 레소토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내륙 국가로, 모슈슈 1세가 세운 왕국이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6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입헌군주국으로 레체시 3세가 국가 원수, 샘 마테카네가 총리이다.
에티오피아의 국기
기본 정보
에티오피아 국기
국기
별칭ሰንድቅ ዐላማ (Sendeq ‘Alama)
용도111111
비율1:2
채택일1897년 10월 11일 (원래 버전), 1996년 10월 31일 (현재, 2009년 5월 16일 수정)
디자인녹색, 노란색, 빨간색의 가로 삼색기로 중앙에 국장이 겹쳐져 있음
디자이너Abebe Alambo
암하라어የኢትዮጵያ ሰንደቅ ዐላማ (Ye’ītiyop’iya sendeḳ ‘alame)

2. 색상

1914년 에티오피아 제국의 국기에 녹색, 노란색, 빨간색이 사용되었다.[1] 1897년 10월 11일, 메넬리크 2세 황제는 빨간색, 노란색, 녹색의 세 가지 페넌트를 상하로 조합하여 사각형 삼색기를 만들도록 명령했다.[2] 이후 알 수 없는 이유로 색상 순서가 바뀌어 녹색이 위, 빨간색이 아래, 노란색이 중앙에 위치하게 되었다.[1]

색상초록노랑빨강파랑
RGB7–137–48
(#078930)
252–221–9
(#FCDD09)
218–18–26
(#DA121A)
15–71–175
(#0F47AF)



각 색상의 상징은 관점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빨간색은 에티오피아를 지키기 위해 흘린 피, 노란색은 에티오피아의 다양한 민족 및 종교 집단 간의 평화와 조화, 녹색은 희망 또는 땅과 그 비옥함을 상징한다. 파란색 원반은 평화를 의미하며, 별은 에티오피아의 밝은 미래를, 별에서 발산되는 노란색 광선은 인종, 신념,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에티오피아인의 평등을 나타낸다.

에티오피아의 국기 및 지역 깃발

3. 역사

에티오피아의 국기는 오랜 역사를 거쳐 변화해왔다.

1881년 삼각형 모양(빨강, 노랑, 녹색)으로 처음 만들어졌으나, 1897년 현재와 같은 사각형 형태로 바뀌었다. 당시 국기 중앙에는 솔로몬 왕조를 상징하는 사자 문양이 있었으며, 1975년까지 사용되었다. 1974년부터 1975년까지는 사자 문양에서 왕관이 사라지고 깃대의 십자가가 창으로 바뀌었다.

1975년 공산 쿠데타제정이 폐지된 후에는 사자 문양이 제거되었고, 1987년부터 1991년까지는 사회주의를 상징하는 문장이 삽입되었다. 1991년부터 1996년까지는 다시 문장이 없는 국기가 사용되었다.

1996년 2월 6일 현재의 국기가 제정되었으며, 2009년 5월 16일 국장 크기를 확대하고 색상을 하늘색에서 파란색으로 변경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20]

녹색, 노란색, 빨간색은 1914년 에티오피아 제국 국기에 사용된 색이다.[1] 아프리카 분할 이후 탈식민지화 과정에서 아프리카의 여러 신생 국가들은 에티오피아가 외세 점령에 저항한 것을 기리며 이 세 가지 색상을 채택했다. 범아프리카주의 정치 체제와 단체들이 이 색상들을 사용하면서, 이 색상들은 범아프리카 색상이라고 불리게 되었다.[12]


3. 1. 초기 역사 (1897년 이전)

1897년 10월 11일, 아두와 전투에서 이탈리아 왕국을 물리친 지 1년 후, 메넬리크 2세 황제는 빨간색, 노란색, 녹색의 세 가지 페넌트를 위에서 아래로 배열한 사각형 삼색기를 제정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 깃발의 중앙에는 황제의 이름 첫 글자인 암하라 문자 "ም|italic=noam"가 새겨져 있었다.[2][3][4][5][6] 1913년 메넬리크 2세가 사망한 후, 이 글자는 제거되었다. 이후 알 수 없는 이유로 색상 순서가 바뀌어 녹색이 위, 빨간색이 아래, 노란색이 중앙에 위치하게 되었다.[1]

이 삼색기 구성은 19세기 초부터 존재했으며, 빨간색, 노란색, 녹색은 그 이전부터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7] 1897년 국기 제정을 기념하기 위해 에티오피아는 티킴트 (9월~10월) 첫째 주 월요일을 국기의 날로 기념한다.[8]

왕실 깃발에는 금색 중앙 부분에 왕관을 쓴 십자가를 든 유다의 사자 문장이 자주 사용되었다. 이 깃발은 에티오피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 국민, 그리고 통일된 국가 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사자가 들고 있는 행렬 십자가는 에티오피아의 이전 깃발 또는 상징이었으며, 적어도 17세기 초부터 사용되었다.[9] 19세기 중반까지는 빨간색이 삼색기 윗부분에 있었으나, 현재는 아래쪽에 위치한다. 각 색상이 상징하는 바는 다양하게 해석되지만, 일반적으로 빨간색은 에티오피아를 지키기 위해 흘린 피, 노란색은 다양한 민족 및 종교 집단 간의 평화와 조화, 녹색은 희망 또는 땅과 그 비옥함을 상징한다고 알려져 있다.

3. 2. 에티오피아 제국 (1897년 ~ 1974년)

1897년 10월 11일, 아두와 전투에서 이탈리아 왕국을 물리친 후, 메넬리크 2세 황제는 빨간색, 노란색, 녹색의 세 가지 페넌트를 위에서 아래로 배열한 사각형 삼색기를 만들도록 명령했다. 중앙에는 암하라 문자로 된 황제의 이름 첫 글자("ም|italic=noam")가 새겨져 있었다.[2][3][4][5][6] 1913년 메넬리크 2세 사망 후, 황제의 이름이 새겨진 깃발은 제거되었다. 이후 알 수 없는 이유로 색상 순서가 바뀌어 녹색이 위, 빨간색이 아래, 노란색이 중앙에 위치하게 되었다.[1]

왕실 깃발에는 금색 중앙 부분에 왕관을 쓴 십자가를 든 유다의 사자 문장이 often 포함되었다. 이 깃발은 에티오피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 국민, 그리고 통일된 국가 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사자가 들고 있는 행렬 십자가는 에티오피아의 이전 깃발 또는 상징이었으며, 적어도 17세기 초부터 사용되었다.[9]

빨간색은 에티오피아를 지키기 위해 흘린 피를, 노란색은 에티오피아의 다양한 민족 및 종교 집단 간의 평화와 조화를, 녹색은 희망 또는 땅과 그 비옥함을 상징한다.

3. 3.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1936년 ~ 1941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1936년 ~ 1941년)' 시기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

3. 4. 에티오피아 제국 (1941년 ~ 1974년)

1897년 10월 11일, 아두와 전투에서 이탈리아 왕국을 물리친 지 1년 후, 메넬리크 2세 황제는 빨간색, 노란색, 녹색의 세 가지 페넌트를 상하로 조합하여 사각형 삼색기를 만들도록 명령했고, 중앙 줄에는 자신의 이름 첫 글자(암하라 문자 ም|므am)를 넣었다.[2][3][4][5][6] 메넬리크의 이름이 새겨진 깃발은 1913년 사망 후 제거되었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색상 순서가 바뀌어 녹색이 위에, 빨간색이 아래에, 노란색이 중앙에 위치하게 되었다.[1]

왕실 깃발에는 종종 금색 중앙 부분에 왕관을 쓴 십자가를 든 유다의 사자 문장이 새겨져 있었다. 이 깃발은 에티오피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 국민, 그리고 통일된 국가 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사자가 들고 있는 행렬 십자가는 에티오피아의 이전 깃발 또는 상징이었으며, 적어도 17세기 초부터 사용되어 왔다.[9]

일반적으로 빨간색은 에티오피아를 지키기 위해 흘린 피를, 노란색은 에티오피아의 다양한 민족 및 종교 집단 간의 평화와 조화를, 녹색은 희망 또는 땅과 그 비옥함을 상징한다고 한다.

3. 5. 군사정부 (데르그) 시대 (1974년 ~ 1991년)

1974년부터 1975년까지는 왕관이 빠지고 깃대에 있는 십자가 대신 창으로 바뀌었다. 공산 쿠데타제정이 폐지된 이후로는 사자 문양이 빠졌으며, 1987년부터 1991년까지는 사회주의를 상징하는 문장이 삽입되기도 하였다(비율 1:2).

3. 6. 과도 정부 (1991년 ~ 1996년)

1991년부터 1996년까지 문장이 삽입되지 않은 국기가 사용되었다.

3. 7. 에티오피아 연방 민주 공화국 (1996년 ~ 현재)

1996년 2월 6일 현재의 국기가 제정되었다. 2009년 5월 16일 문장의 크기를 확대하고 색상을 하늘색에서 파란색으로 변경하였다.[20]

국기의 중앙에 있는 별은 녹색과 빨간색 줄무늬 위에 겹쳐진 파란색 원반 위에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별은 에티오피아의 밝은 미래를 상징하며, 별에서 발산되는 노란색 광선은 인종, 신념,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에티오피아인의 평등을 나타낸다.

2009년, 에티오피아 의회는 법령 654/2009(연방 국기 선언)을 통과시켰다. 이 법령은 "문장이 없는 국기 사용", "국기에 글을 쓰거나 기호를 표시하거나 문장이나 그림을 표시하는 것" 등을 금지했다.[20] 위반 시에는 "3000 비르 또는 최대 1년의 징역형"으로 처벌받았지만, 문장 사용을 의무화하는 첫 번째 위반 행위는 "5000 비르 또는 최대 1년 6개월의 징역형"으로 처벌이 강화되었다.[20]

4. 국장에 담긴 의미

'''녹색'''은 노동, 발전, 비옥함을 나타낸다. '''노란색'''은 희망을 나타낸다. '''빨간색'''은 에티오피아를 지키기 위해 피를 나타낸다. 문장의 원형 '''파란색''' 배경은 평화를 의미한다.

별은 에티오피아의 밝은 미래를 상징하며, 별에서 나오는 노란색 광선은 인종, 신념,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에티오피아인의 평등을 나타낸다.[20]

5. 범아프리카색과의 관계

녹색, 노란색, 빨간색은 1914년 에티오피아 제국의 국기에 사용되었다.[1] 이 삼색 구성은 19세기 초부터 존재했으며, 그 이전부터 빨간색, 노란색, 녹색은 특별한 중요성을 지녔다.[7]

아프리카 분할로부터 탈식민지화를 거치면서, 아프리카의 여러 신생 국가들은 에티오피아가 외세 점령에 저항한 것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이 세 가지 색상을 채택했다. 범아프리카주의 정치체와 단체들이 이 색상을 활동에 채택했을 때, 이 색상은 종종 범아프리카 색상이라고 불린다.[12]

6. 과거의 기



초기 에티오피아 제국의 국기는 세 가지 색상의 페넌트를 조합한 형태였다. 1897년 아두와 전투에서 이탈리아 왕국을 물리친 후, 메넬리크 2세 황제는 빨간색, 노란색, 녹색의 페넌트를 상하로 조합하여 사각형 삼색기를 만들도록 명령했다.[2][3][4][5][6] 중앙에는 암하라어 글자( ም|italic=noam)로 그의 이름 첫 글자를 새겼다.[2][3][4][5][6] 1913년 메넬리크 2세 사망 후, 이름이 새겨진 깃발은 제거되고 알 수 없는 이유로 색상 순서가 바뀌어 녹색이 위, 빨간색이 아래, 노란색이 중앙에 위치하게 되었다.[1]

왕실 깃발에는 금색 중앙 부분에 왕관을 쓴 십자가를 든 유다의 사자 문장이 있었다. 이는 에티오피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 국민, 통일된 국가 간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사자가 든 행렬 십자가는 에티오피아의 이전 상징으로, 최소 17세기 초부터 사용되었다.[9]

19세기 중반까지 빨간색이 삼색기 위에 있었으나 이후 아래로 바뀌었다. 각 색상은 관점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닌다. 일반적으로 빨간색은 에티오피아 수호를 위한 피, 노란색은 민족 및 종교 간 평화와 조화, 녹색은 희망 또는 땅과 비옥함을 상징한다. 이 색상들은 국가 색상 채택 전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사용되었으며(빨간색은 신앙과 권력, 노란색은 교회와 평화, 녹색은 자연), 에티오피아 풍경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생산하기 쉬웠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10]

아프리카 분할 이후 탈식민지화 과정에서 여러 아프리카 신생 국가들이 에티오피아의 저항 정신을 기리며 이 세 가지 색상을 채택했다. 범아프리카주의 단체들도 이 색상을 사용하면서 범아프리카 색상으로 불리게 되었다.[12]

시기국기설명
1870년대 이전
border
에티오피아 제국의 페넌트. 전통 색상은 전쟁기와 교회에서 사용.[2][10]
1897년–1913년
border
메넬리크 2세는 1897년 10월 6일 빨강, 노랑, 초록색 사각형 삼색기를 명령. 중앙에 이름 첫 암하라어 글자 새김.[3][21][5]
1870?–1897년, 1913년–1936년, 1941년–1974년
border
유다의 사자가 새겨진 에티오피아 제국 국기. 라스타파리 운동, 군주주의자, 에티오피아 민족주의자들에게 인기.
메넬리크 통치 이후--에티오피아 제국의 빈 삼색기.
1936년–1941년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국기[22]
1955년–1974년
border
제국 에티오피아 해군 전쟁기. 블루 엔사인 기반.
1974년–1975년
border
하이레 셀라시에 전복 후 사자 머리 왕관 제거, 십자형 끝을 창 끝으로 변경.[23]
1974년–1975년
border
제국 에티오피아 해군 전쟁기.
1975년–1987년
border
에티오피아 민간 국기.
1975년–1987년
border
데르그 통치 하 국가기. 1987년 국기 전신.
1987년–1991년
border
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 국기. 비율 1:2 도입.
1991년–1996년
border
에티오피아 과도 정부 민간 국기.[2]
1992년 5월 28일 채택
border
에티오피아 과도 정부 국가기.
1996년-2009년
border
에티오피아 연방 민주 공화국 국기.[24]
2009년-현재
border
현재 국기.


참조

[1] 서적 Firefly Guide to Flag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Firefly Books 2003
[2] 웹사이트 Flag of Ethiopia https://www.britanni[...]
[3] 서적 Flag Bulletin, Volume 27 https://books.google[...] Flag Research Center 1988
[4] 서적 Ethiopia: A View from Within https://books.google[...] Janus Publishing Company Lim 2005
[5] 서적 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Whitehall Yard https://books.google[...] W. Mitchell 1897
[6] 간행물 Vlajky a znaky Etiopie http://vexilologie.c[...] 2003
[7] 문서 Manoel Barradas, "Tractatus Tres Historico-Geographici: (1634); A Seventeenth Century Historical and Geographical Account of Tigray, Ethiopia", Elizabet Filleul, trans., Richard Pankhurst, ed., in ''Aethiopistische Forschungen 43''. Wiesbaden: Harrassowitz, 1996, p. 59.
[8] 뉴스 National Flag Day to be Observed on Monday https://www.ena.et/e[...] 2019-10-10
[9] 문서 Barradas, pp. 70–71.
[10] 간행물 Some Notes on the History of the Ethiopian National Flag 1963
[11] 문서 70. P. V. Ferret and J. Galinier, Voyage en Abyssinie dans les provinces du Tigre, du Samen et de
[12] 웹사이트 About this Collection | Country Studies | Digital Collections https://www.loc.gov/[...]
[13] 웹사이트 Man speaks during a vigil at Nathan Philips Square in Toronto,... https://www.gettyima[...] 2019-03-24
[14] 간행물 Flag Politics in Ethiopia and the Ethio-American Diaspora https://www.research[...] 2016
[15] 웹사이트 Ethiopia's ex-rebel group Ginbot 7 returns from Eritrea base https://www.africane[...] 2018-09-03
[16] 웹사이트 Ethiopia:Two prominent opposition parties form coalition ahead of election https://borkena.com/[...] 2020-03-07
[17] 웹사이트 Ethiopia celebrates new year after 'God's wrath' https://english.alar[...] 2020-09-11
[18] 웹사이트 Holy water washes away sins at Ethiopia's Timket festival https://www.cnn.com/[...] 2014-02-18
[19] 웹사이트 Come & join the Timkat celebration in a Village in Ethiopia https://www.tesfatou[...] 2016-01-15
[20] 간행물 Proclamation No. 654/2009 – The 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 Flag Proclamation https://chilot.files[...] 2009-08-28
[21] 서적 Ethiopia: A View from Within https://books.google[...] Janus Publishing Company Lim 2005
[22] 웹사이트 Vexilla Mundi https://www.vexilla-[...] 2020-06-28
[23] 웹사이트 People's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 (1987 - 1991) https://www.crwflags[...]
[24] 간행물 Proclamation No. 48/1996 – A Proclamation to amend the Flag and Emblem Proclamation http://www.hopr.gov.[...] 1996-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