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메테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피메테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나중에 생각하는 자'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는 형 프로메테우스와 함께 만물에 능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맡았는데, 인간에게는 줄 재능이 남아 있지 않았다. 제우스는 프로메테우스가 인간에게 불을 준 것에 분노하여 최초의 여성 판도라를 에피메테우스에게 보내고, 판도라는 결국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 인류에게 불행을 가져왔다. 에피메테우스는 판도라와 결혼하여 딸 퓌라를 낳았으며, 퓌라는 데우칼리온과 결혼하여 대홍수에서 살아남아 인류의 조상이 되었다. 플라톤의 저서 '프로타고라스'에서는 에피메테우스를 "생산 이후에 생각이 따르는 존재"로 묘사하며, 현대 문화에서도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판도라 - 판도라 (위성)
판도라는 불규칙한 형태의 토성 위성으로, F고리 바깥쪽에서 목동 위성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F고리 유지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있으며, 프로메테우스 및 미마스와 궤도 공명 관계를 맺고 있다. - 판도라 - 판도라의 상자
판도라의 상자는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가 판도라에게 절대 열지 말라고 준 상자를 판도라가 열어 세상에 재앙과 고통을 퍼뜨렸지만 마지막에는 희망이 남았다는 이야기이며, 오늘날에는 예측 불가능한 문제를 일으킬 일을 시작하는 것을 비유하는 관용구로 사용된다. - 티탄 - 오리온
오리온은 그리스 신화 속의 사냥꾼으로, 뛰어난 사냥 실력, 연인들과의 갈등, 비극적인 죽음, 그리고 별자리로의 변신을 묘사하며, 다양한 이야기와 연관되어 있다. - 티탄 - 셀레네
셀레네는 그리스 신화에서 달을 의인화한 여신으로,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마차를 모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엔디미온과의 사랑, 기간토마키아에서의 활약 등 다양한 신화 속 이야기와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출산, 월경 등과 관련된 숭배를 받았으며 현대에는 달 탐사선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 남신 - 임호테프
임호테프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 시대의 재상이자 건축가로, 사카라의 조세르 피라미드 건설을 주도했으며 후대에 의학의 신으로 숭배받았으나, 영화 미이라 시리즈의 묘사는 역사적 사실과 차이가 있다. - 남신 - 사탄
사탄은 원래 "적대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였으나,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악마, 유혹자, 또는 인간 내면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존재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악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에피메테우스 | |
---|---|
기본 정보 | |
그리스어 | Ἐπιμηθεύς 에피메테우스 |
의미 | '사후 생각, 뒤늦은 깨달음' |
역할 | 신 |
가족 관계 | |
부모 | 이아페토스와 클리메네 |
형제 | 프로메테우스, 메노이티오스, 아틀라스 |
배우자 | 판도라 |
자녀 | 프로파시스, 피라 |
2. 어원
"에피메테우스"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ἐπί(위에, 더) + μάθη(배움)에서 유래되었으며, "나중에 생각하는 자"를 의미한다. 이는 "먼저 생각하는 자"라는 뜻을 가진 형 프로메테우스와 대조된다.[4]
그리스 신화에서 만물이 창조될 때, 프로메테우스와 에피메테우스는 모든 사물에 능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맡았다. 에피메테우스는 동물들에게 재능과 능력을 부여했지만, 인간에게는 줄 것이 남지 않았다. 이에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에게서 '불'을 훔쳐 인간에게 주었고, 인간은 불을 다루는 능력으로 번성하게 되었다.
3. 신화 속 이야기
제우스는 프로메테우스를 코카서스 산에 묶어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 먹히는 벌을 내렸다. 또한 최초의 여자 판도라를 만들어 에피메테우스에게 보냈는데,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와 판도라를 조심하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에피메테우스는 경고를 무시하고 판도라를 아내로 맞이했다. 판도라가 에피메테우스의 집에 있던 항아리를 열자 인간의 불행을 가져올 모든 나쁜 것들이 튀어나왔고, 인간의 질병과 불행이 시작되었다. 항아리에 남은 것은 "희망"뿐이었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는 판도라가 헤르메스에게서 이 상자를 받았고, 호기심 때문에 열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에피메테우스와 판도라 사이의 딸 퓌라는 데우칼리온과 결혼하여 대홍수에서 살아남아 인류의 조상이 되었다.
3. 1. 프로메테우스와 에피메테우스
플라톤은 그의 저서 '''프로타고라스'''에서 옛 신화를 인용했는데, 티탄 형제인 프로메테우스와 에피메테우스는 새로 창조된 동물들에게 특성을 분배하는 임무를 맡았다. 에피메테우스는 모든 동물에게 긍정적인 특성을 부여했지만, 인간에게는 줄 것이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4]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문명화된 기술과 불을 주기로 결정하고, 아테나와 헤파이스토스에게서 훔쳤다. 프로메테우스는 이 죄로 재판을 받았다. 플라톤의 대화에서 에피메테우스는 "생산 이후에 생각이 따르는 존재"로서, "생각이 무지한 몸과 그 무지한 움직임보다 늦게 온다는 유물론적 의미에서 자연"을 나타낸다.[5]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에피메테우스는 신들로부터 판도라를 선물로 받았다. 이 둘의 결혼은 추론되지만,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다. 후대 신화에서 에피메테우스와 판도라의 딸은 피라였는데, 그녀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손인 데우칼리온과 결혼하여 대홍수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두 인간이 되었다.[6] 어떤 이야기에서는 에피메테우스에게 또 다른 딸 메타멜레이아가 있었는데, 그녀의 이름은 "일이 일어난 것에 대한 후회"를 의미하며, 미리 계획하지 않으면 재앙이 닥쳤을 때 슬픔만 느낄 것이라는 뜻이다.[7]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에 대한 주석에 따르면, 에우멜로스는 에피메테우스의 아내가 오케아노스와 테티스의 딸인 에피라라고 언급한다.[8]
"에피메테우스"는 그리스어로 "나중에 생각하는 자"를 의미하며, "후지혜"의 뉘앙스를 가진다. 이는 "앞선 배움", 즉 "선견지명을 가지는 자·행동하기 전에 숙고하는 자"를 의미하는 형 프로메테우스의 이름과 대비된다.
3. 2. 판도라
제우스는 인간에게 불을 준 프로메테우스를 벌하고, 인간에게 재앙을 내리기 위해 최초의 여자 판도라를 만들었다. 제우스는 헤파이스토스에게 판도라를 만들게 하고, 에피메테우스에게 선물로 주었다. 프로메테우스는 에피메테우스에게 제우스와 그의 선물인 판도라를 조심하라고 경고했지만, 에피메테우스는 형의 충고를 무시하고 판도라를 아내로 맞이했다.[4]
에피메테우스의 집에는 온갖 나쁜 것들을 담아놓은 항아리가 있었는데, 판도라가 그 항아리의 뚜껑을 열었다. 항아리 안에서는 인간의 불행을 가져올 모든 나쁜 것들이 튀어나왔고, 그 때부터 인간의 모든 질병과 불행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항아리에 남은 것은 "희망"뿐이었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는 판도라가 헤르메스에게서 이 상자를 받았고, 헤르메스가 준 호기심 때문에 상자를 열어보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에피메테우스와 판도라 사이에는 퓌라라는 딸이 있었는데, 퓌라는 나중에 데우칼리온의 아내가 되었고, 이들이 대홍수에서 살아남아 인류의 조상이 되었다.[6]
3. 3. 가족 관계
에피메테우스와 판도라 사이에서 딸 퓌라가 태어났다. 퓌라는 프로메테우스의 아들 데우칼리온과 결혼하여 대홍수 이후 인류의 조상이 되었다.[6] 일부 전승에 따르면 에피메테우스에게는 "후회"를 뜻하는 메타멜레이아라는 딸도 있었다.[7]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 주석에 따르면, 에우멜로스는 에피메테우스의 아내가 오케아노스와 테티스의 딸인 에피라였다고 언급한다.[8]
4. 가계도
|-
| 이아페토스와 클리메네 (또는 아시아)의 아들로 여겨진다. 아틀라스, 프로메테우스, 메노이티오스의 형제이며 티탄의 혈족에 속한다.
|}
5. 현대 문화에서의 에피메테우스
칼 융은 자신의 저서 《심리 유형》에서 칼 슈피텔러의 에피메테우스를 직접 언급하며, 정신 기능의 잘못된 적용을 설명하는 데 그의 이미지를 사용했다.[9]
비디오 게임 《아스탈론: 지구의 눈물》에서 에피메테우스는 "죽음의 타이탄"으로 묘사된다. 사악하지만 다소 명예로운 초자연적 존재로, 게임의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인 마법사 알거스와 계약을 맺고 연결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p. 110
https://books.google[...]
Yasumura
[2]
서적
p. 207
https://archive.org/[...]
Kerényi
[3]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Hard
[4]
서적
Natural Right and History
[5]
서적
Natural Right and History
[6]
서적
Metamorphoses
[7]
웹사이트
Chiliades, 6.50 lines 913-916
http://www.theoi.com[...]
[8]
서적
fr. 1b Fowler, p. 106
https://books.google[...]
Gantz
[9]
서적
Psychological Types
http://psychclassics[...]
2017-06-09
[10]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Caldwell
[11]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12]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13]
서적
Critias (dialogue)
http://data.perseus.[...]
[14]
간행물
Prometheus Bound
Sommerste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