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석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석기는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셰익스피어 연구와 연극 비평 분야에서 활동한 학자이다. 셰익스피어의 문학적, 연극적 측면을 모두 아우른 최초의 학자로 평가받았으며, 한국셰익스피어학회를 창립했다. 고려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문과대학 및 대학원 학장을 역임했고, 한국 연극 평론의 선구자로서 연극 전문 저널인 《연극 평론》을 발행했다. 또한 드라마센터 설립에 참여하고 젊은 연극인 육성에 힘썼으며, 국민훈장 목련장, 모란장,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주 여씨 - 여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여준은 오산학교에서 활동하다 북간도로 망명하여 서전서숙 설립에 기여하고, 신흥학교 교장으로 독립군 양성에 힘썼으며, 서로군정서 부독판, 한국독립당 재결성 등 독립운동에 헌신하여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고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 성주 여씨 - 여오현
    여오현은 뛰어난 수비 능력으로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로, V-리그에서 7번의 우승을 차지하고 대한민국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리베로로 활약하며 국제 대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무용 평론가 - 김동길 (정치인)
    김동길은 연세대학교 교수로서 사회 비판적인 시각으로 인기를 얻고 제14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 교수, 시사평론가이다.
  • 대한민국의 무용 평론가 - 명로진
    명로진은 1984년 뮤지컬 배우로 데뷔하여 시인, 드라마 배우, 방송인, 작가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프로그램 진행과 저술 활동 및 작가 양성에도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예술가이다.
  • 일제강점기의 농업인 - 김남수 (교육인)
    김남수는 부친에게 침술을 전수받아 남수침술원을 개설하고 대한침구사협회 등에서 활동하며 한국정통침구학회 회장, 정통침뜸교육원 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침구사로, 국민훈장 동백장과 미국 대통령 자원봉사상 금상을 수상했다.
  • 일제강점기의 농업인 - 조운 (시인)
    조운은 일제강점기 및 해방 이후 활동한 시인으로, 민족주의적 시조를 짓고 시조 부흥 운동에 참여했으며, 월북 후 잊혀졌다가 해금 조치 이후 재평가되었다.
여석기
기본 정보
본명여석기
출생1923년 4월 29일
사망2014년 6월 12일
직업교수
분야연극 평론
경력
경력문예진흥원 원장
국립극단 단장
한국연극학회 회장
서울예술대학 석좌교수
학력
학력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졸업

2. 생애

여석기는 1922년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김천에서 출생하였다. 본관은 성주(星州)이다. 1941년부터 1942년까지 경북성주경산국민학교 교원으로, 1942년부터 1943년까지 경남함양위성국민학교 교원으로 재직했다. 1943년 교원직을 사퇴하고 1944년 일본 도쿄 대학 영어영문학과에 입학하였으나, 같은 해 9월에 1학년 1학기를 중퇴하고 귀국했다. 1944년 10월 귀국 후 고향에서 농업에 종사하다가 1945년 8·15 광복을 맞았다. 1946년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 입학하여 1950년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1956년 미국 미주리 주립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에 입학하여 1958년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귀국했다.

여석기는 셰익스피어의 문학적 측면과 연극적 측면을 모두 아우른 최초의 학자로 평가받았다.[9] 1962년, 극작가 유치진이 연출한 드라마 센터 초연을 위해 ''햄릿'' 번역을 제공했다.[10] 1964년, 한국셰익스피어학회를 창립했다.[9] 1953년 10월부터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문과대학 및 대학원 학장직을 역임했다. 1970년 《연극 평론》을 발행하여 한국 연극계에 평론 부재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서구 및 구미 현대극이 한국 신극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를 주로 수행했다. 젊은 연극인 육성에 힘쓰고, 부진한 영화 산업 재건에도 기여했다.

2. 1. 학창 시절

여석기는 1922년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김천에서 출생하였다. 본관은 성주(星州)이다. 1941년부터 1942년까지 경북성주경산국민학교 교원으로, 1942년부터 1943년까지 경남함양위성국민학교 교원으로 재직했다. 1943년 교원직을 사퇴하고 1944년 일본 도쿄 대학 영어영문학과에 입학하였으나, 같은 해 9월에 1학년 1학기를 중퇴하고 귀국했다. 1944년 10월 귀국 후 고향에서 농업에 종사하다가 1945년 8·15 광복을 맞았다. 1946년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 입학하여 1950년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1956년 미국 미주리 주립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에 입학하여 1958년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귀국했다.

2. 2. 교육 및 학술 활동

여석기는 셰익스피어의 문학적 측면과 연극적 측면을 모두 아우른 최초의 학자로 평가받았다.[9] 1962년, 극작가 유치진이 연출한 드라마 센터 초연을 위해 ''햄릿'' 번역을 제공했다.[10] 1964년, 한국셰익스피어학회를 창립했다.[9] 1953년 10월부터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문과대학 및 대학원 학장직을 역임했다. 1970년 《연극 평론》을 발행하여 한국 연극계에 평론 부재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서구 및 구미 현대극이 한국 신극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를 주로 수행했다. 젊은 연극인 육성에 힘쓰고, 부진한 영화 산업 재건에도 기여했다.

3. 연극 비평 활동

여석기는 한국 연극 비평의 선구자였다.[1] 1960년, 유치진 등과 함께 드라마센터를 설립하여 한국 연극 발전을 위한 젊은 극작가들을 양성하는 데 힘썼다.[6] 1970년에는 한국 최초의 연극 전문 저널리즘 저널인 ''연극평론'' 창간호를 발행하였다.[7] 국제 연극 평론가 협회-한국 본부는 여석기를 기리기 위해 매년 여석기 연극 평론가상을 수여한다.[8]

4. 셰익스피어 연구

여석기는 셰익스피어의 문학적 측면과 연극적 측면을 모두 아우른 최초의 학자로 평가받았다.[9] 1962년, 극작가 유치진이 연출한 드라마 센터 초연을 위해 ''햄릿'' 번역을 제공했다.[10] 1964년, 한국셰익스피어학회를 창립했다.[9]

5. 저서 및 출판물


  • ''영문학사''(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1962)[11]
  • ''20세기 문학론''(20th Century Literature, 1967)[11]
  • ''현대연극''(Contemporary Theatre, 1969)[11]
  • ''한국 연극의 현실''(The Reality of Korean Theatre, 1976)[11]
  • ''환각과 현실''(co-authored, Hallucination and Reality, 1982)[11]
  • ''동서연극의 비교연구''(Comparative Studies of the East-West Theatres, 1987)[11]
  • ''에세이 셰익스피어 명작선''(Essay Shakespeare Selections, 1991)[11]
  • ''씨네마니아''(Cinemania, 1996)[11]
  • ''햄릿과의 여행 리어와의 만남''(Journey with Hamlet, Encounter with Lear, 2001)[11]
  • ''나의 햄릿 강의''(My Lectures on Hamlet, 2008)[11]
  • ''여석기 나의 삶 나의 학문 나의 연극''(Yoh Suk-kee: My Life, My Studies, My Theatre, 2012)[11]

6. 수상 및 경력

여석기는 1962년 드라마센터 초대 연극아카데미 원장을 지냈다. 1966년에는 아시아 영화제 심사위원을 맡았다. 1969년부터 1971년까지 한국영어영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1970년부터 1980년까지 『연극평론』을 발행했다. 1972년 국민훈장 목련장을 받았다. 1975년부터 1984년까지 국제극예술협회 한국본부 위원장을 지냈다. 1982년 국제문화재단 이사가 되었다. 1982년부터 1984년까지 한국셰익스피어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1983년 제2회 마닐라국제영화제 심사위원을 맡았다. 1984년 국제교류진흥회 이사장이 되었다. 1985년 동랑연극상을 받았다. 1987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1987년부터 1991년까지 연극평론가협회장을 지냈다. 1988년부터 1991년까지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을 역임했다.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종합유선방송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1996년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참조

[1] 뉴스 한국 연극계 '정신적 지주' 여석기 교수 별세(종합) https://www.yna.co.k[...] 2014-06-12
[2] 뉴스 문예진흥원장에 여석기씨 임명[백지연] https://imnews.imbc.[...] 1988-09-05
[3] 뉴스 "햄릿의 매력은 '전략적 모호성'" https://www.pressian[...] 2008-04-25
[4] 뉴스 연극평론계 거목, 영문학자 여석기 교수 별세…향년 92 https://www.newsis.c[...] 2014-06-12
[5] 웹사이트 여석기 https://kupress.com/[...] 2022-08-16
[6] 뉴스 한국 연극 '정신적 지주' 여석기 교수 별세 https://www.hani.co.[...] 2014-06-12
[7] 웹사이트 연극평론 (演劇評論) http://encykorea.aks[...] 2022-08-16
[8] 웹사이트 한국연극평론가협회 http://www.ktheatrec[...] 2022-08-16
[9] 뉴스 "햄릿이 왜 그랬는지 70년을 연구했지" https://www.chosun.c[...] 2013-02-05
[10] 뉴스 "햄릿은 유약하지 않고 역동적이었다" https://www.hani.co.[...] 2008-04-04
[11] 웹사이트 회원검색 - 여석기 https://www.nas.go.k[...] 2022-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