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은 신륵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전탑이다. 나옹 선사의 사리를 안치하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높이 약 9.4m로 2단 기단 위에 3단 계단을 쌓고 그 위에 흙벽돌로 탑신을 올린 형태이다. 기단과 계단은 화강암으로, 탑신은 6층까지 흙벽돌로 쌓았으며, 지붕돌이 얇고 벽돌 사이를 넓게 떼어 면토를 바르는 등 전통적인 전탑 양식과 다른 특징을 보여 중국에서 전래된 새로운 양식을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륵사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는 고려 우왕 5년에 건립된 석비로, 나옹선사의 일생과 사상을 기록하고 있으며,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쳤다.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신륵사 다층전탑
신륵사 다층전탑
명칭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영문 명칭Multi-story Brick Pagoda of Silleuksa Temple, Yeoju
문화재 정보
유형보물
지정 번호226
지정일1963년 1월 21일
주소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시대고려시대
관리신륵사
수량1기
꼬리표여주 신륵사
문화재청 ID12,02260000,31
추가 정보
참고 자료[세종신문] 여주의 문화재를 소개합니다 ⑨ - 신륵사 다층전탑(1)

2. 역사

2. 1. 건립 배경

신륵사동대탑수리비(神勒寺東臺塔修理碑)는 다층전탑의 수리 내용을 기록한 비석으로, 전탑의 유래와 구성 등을 확인할 수 있다.[6]

다층전탑은 '나옹탑'이라고 불렸으며, 이는 나옹 선사와 관련이 있음을 암시한다. 나옹 선사는 신륵사에서 입적하였다.[6] 신륵사의 연혁을 기록한 탑지가 봉안되어 있으며, 기단 하부에는 사리가 봉안되어 있다.[6]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 이 탑이 나옹 선사의 다비식 이후 사리를 안치하기 위해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전탑의 정식 명칭은 원래 '신륵사 동대탑(神勒寺 東臺塔)'이었으며, 건립 이래 3차례에 걸쳐 수리되었다.[6]

2. 2. 건립 시기

탑의 건립 시기는 정확하게 특정하기는 어려우나, 벽돌에 새겨진 무늬 등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 전기로 추정된다.[3] 탑 북쪽에 위치한 신륵사동대탑수리비에 '숭정기원지재병오중추일립(崇情紀元之再丙午仲秋日立)'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조선 영조 2년(1726)을 가리킨다.[3] 그러나 이는 탑을 해체하고 수리한 시기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현재 탑의 모습이 건립 당시의 원형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3] 처음 세워진 이후 여러 차례 수리되는 과정에서 벽돌의 반원 무늬 배열 상태가 어지럽혀지고, 전체 형태가 다소 변형된 것으로 보여진다.[3]

2. 3. 수리 및 보수

신륵사동대탑수리비의 기록에 따르면, 다층전탑은 건립 이후 세 차례에 걸쳐 수리되었다.[6] 여러 차례의 수리 과정에서 벽돌의 반원 무늬 배열 상태가 흐트러지고, 전체적인 형태가 다소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원래 '신륵사 동대탑(神勒寺 東臺塔)'으로 불렸으며, '나옹탑'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나옹 선사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옹1376년 5월 15일에 신륵사에서 입적하였다.[6]

3. 구조 및 특징

3. 1. 외형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은 전체 높이가 약 9.4m이다.[2] 2단 기단 위에 3단 계단을 쌓고, 그 위에 여러 층의 탑신을 올린 구조이다. 기단과 계단은 화강암으로, 탑신부는 흙벽돌로 만들었다. 6층까지 흙벽돌로 쌓았으나, 그 위에 몸돌 하나를 더 올려 7층처럼 보이기도 한다.

통일신라시대 전탑에 비해 몸돌에 비해 지붕돌이 매우 얇아 독특한 인상을 준다. 지붕돌 밑면 받침은 1∼3층이 2단, 4층 이상은 1단이며, 지붕돌 위로도 1층은 4단, 2층 이상은 2단씩의 받침을 두어 특이한 형태를 보인다. 꼭대기에는 얇은 머리장식이 있다.[3] 기단에 사용된 장대석 중 최하단의 중간 돌과 제2단의 아래 돌은 다른 부재보다 높은 돌을 사용했다. 신라시대의 전탑이 거의 간격을 두지 않고 벽돌을 쌓은 데 비하여, 이 전탑은 벽돌 사이를 넓게 떼어서 면토를 바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전탑은 모든 형태가 전통의 전탑과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어, 중국으로부터 전래한 새로운 양식을 따라서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4][5]

3. 2. 재료 및 축조 방식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은 높이 약 9.4m이다.[2] 탑은 2단 기단(基壇) 위에 3단의 계단을 쌓고, 그 위에 여러 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기단과 계단은 화강암으로, 탑신부는 흙벽돌로 6층까지 쌓았다. 그 위에 몸돌 하나를 더 올려놓아 7층처럼 보이기도 한다. 지붕돌이 몸돌에 비해 매우 얇아 독특한 인상을 준다. 지붕돌 밑면 받침은 1∼3층이 2단, 4층 이상은 1단이며, 지붕돌 위로는 1층은 4단, 2층 이상은 2단씩의 받침을 두어 특이하다. 꼭대기에는 얇은 머리장식이 있다.[3]

기단에 사용된 장대석 중 최하단의 중간 돌과 제2단의 아래 돌은 다른 부재보다 높다. 신라시대 전탑이 벽돌을 거의 간격 없이 쌓은 것과 달리, 이 전탑은 벽돌 사이를 넓게 떼어서 면토를 발랐다. 이러한 특징은 전통적인 전탑 양식과 다르게, 중국에서 전래된 새로운 양식을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4][5]

4. 위치 및 의의

4. 1. 입지 선정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은 나옹 선사의 사리를 안치하기 위한 구조물로, 바로 아래에 한강이 굽어보이는 암석 위에 세워졌다.[2] 이는 신라시대 이래 고려시대에 걸쳐 유행하던 특수한 점지 경향의 유풍이라고 할 수 있다.[2]

4. 2. 상징성

이 탑은 나옹 선사의 다비식 이후에 사리를 안치하기 위한 구조물로 세워진 것이다.[2] 바로 아래에 한강이 굽어보이는 암석 위에 건립되었는데, 이는 신라시대 이래 고려시대에 걸쳐 유행하던 특수한 점지 경향의 유풍이라고 할 수 있다.[2]

5. 갤러리



참조

[1] 웹인용 "[세종신문] 여주의 문화재를 소개합니다 ⑨ - 신륵사 다층전탑(1)" http://www.sejongnew[...] 2021-08-05
[2] 웹인용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驪州神勒寺多層塼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1-08-04
[3] 웹인용 보물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驪州 神勒寺 多層塼塔)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https://www.heritage[...] 2021-08-04
[4] 웹인용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 경기문화재연구원 https://gjicp.ggcf.k[...] 2021-08-04
[5] 서적 문화재대관 보물편 : 석조 Ⅰ(개정판) http://www.krpia.co.[...]
[6] 웹인용 신륵사 다층전탑 - 여주시사 https://www.yeoju.go[...] 2021-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