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는 고려 우왕 5년(1379)에 건립된 석비이다. 전체 높이는 212cm이며, 대석과 옥개석을 갖춘 고려 말 석비 형식을 보여준다. 비문에는 나옹선사의 일생, 사상, 업적이 기록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진당시와 추모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1970년대 이후 보호책 설치, 계단 신설, 균열 보수 등 여러 차례 수리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륵사 -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은 고려 시대에 나옹 선사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건립된 전탑으로, 2단 기단 위에 6층 탑신과 머리 장식을 올려 전체 7층으로 보이며, 얇고 완만한 지붕돌과 옥개석 받침, 1층 탑신 우주 등이 특징이며, 남한강 변 암반 위에 위치한 국보이다. - 사적비 - 강진 백련사 사적비
강진 백련사 사적비는 1681년에 건립된 석비로, 백련사의 중수, 원묘국사의 행적, 백련결사 등을 기록하고 있으며, 고려 시대의 귀부와 조선 시대의 비신을 함께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 사적비 -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는 고려 현종 때 창건된 봉선홍경사의 사적을 기록하기 위해 1026년에 세워진 비석으로, 최충이 비문을 찬하고 백현례가 썼으며 거북받침돌과 머릿돌을 갖추고 있다. - 고려의 석비 - 강진 백련사 사적비
강진 백련사 사적비는 1681년에 건립된 석비로, 백련사의 중수, 원묘국사의 행적, 백련결사 등을 기록하고 있으며, 고려 시대의 귀부와 조선 시대의 비신을 함께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 고려의 석비 -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는 고려 명종 때 현오국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탑비로, 고려시대 탑비 양식 변화의 초기 형태를 보이며 현오국사의 생애가 기록되어 있고, 서봉사 폐사 후 현재는 일부 유구만 남아 발굴 조사를 통해 그 역사와 건축 양식을 확인할 수 있는 문화재이다.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영문 이름 | Stele for Buddhist Monk Boje at Silleuksa Temple, Yeoju |
유형 | 보물 |
지정 번호 | 229 |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소유자 | 신륵사 |
수량 | 1기 |
시대 | 고려시대 |
주소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신륵사 |
문화재청 ID | 12,02290000,31 |
2. 건립 배경
전체 높이 212cm, 비신 높이 121cm, 너비 61cm이다. 지대석과 3단 장방형 대석 위에 비신을 얹었는데, 상단 대석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다. 비신은 대리석으로 양옆에 화강암 기둥을 세워 보강하고, 그 위에 목조건물의 공포와 기왓골을 조각한 옥개석을 얹었다. 신라 시대 이래로 귀부와 이수를 갖춘 일반화된 석비 형식이 고려 말기에는 대석과 옥개석으로 변형되기 시작하는데, 바로 이 비가 고려 말기의 석비 형식을 잘 보여준다. 글씨는 자경(字徑) 2cm 정도의 해서로 넉넉한 짜임새와 부드러운 필획이면서 흐트러짐이 없다.[1] 비신 위에는 지붕형의 개석을 덮었다. 지붕은 팔작지붕을 모방하였는데, 아주 정교하게 조각되어 기왓골, 공포, 막새기와 등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다.[2]
전면에는 나옹선사의 일생·사상·업적이 기록되어 있고, 후면에는 진당시(眞堂詩)와 200여 명의 문도와 추모자의 이름이 해서로 쓰여있다. 특이한 것은 전면 끝부분에 비문을 지은이·글쓴이·새긴이, 건립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은이와 글쓴이는 비문 맨 앞쪽에, 건립에 관련된 인물은 후면 음기에 새겨진다.[2][3] 나옹선사는 교종과 선종으로 나뉘어 싸우던 고려 말의 불교를 다시 일으키기 위해서 두 종파의 통합을 위해 노력했고, 그 사상은 조선 개창의 정신적 지주였던 무학대사에게 이어졌다.[2]
신륵사의 수리 내역은 '신륵사개와모연문', '여주봉미산보은사중수사적기' 등의 문헌을 통해 파악할 수 있으나, 보제존자석종비에 대한 직접적인 수리 기록은 조선 시대까지 보이지 않고 1970년대에 들어서야 찾을 수 있다.[4]
[1]
웹인용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驪州神勒寺普濟尊者石鐘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1-07-19
3. 특징
이 비는 1379년(고려 우왕 5년)에 세워졌다.
4. 비문 내용
5. 수리 이력
1973년 신륵사 석조문화재 보수 계획에 따라 조잡한 보호책을 철거하고 새로운 보호책을 설치했으며, 안내판을 설치했다. 1979년에는 석종비에 이르는 계단을 새로 설치했다. 2001년에는 강우 등으로 노출된 기초 부분을 보수했고, 2014년에는 비석 위 균류를 제거하고 균열 부위에 충진재를 넣어 보존 처리했다.[4]
6. 갤러리
참조
[2]
웹인용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경기문화재연구원
https://gjicp.ggcf.k[...]
2021-07-19
[3]
웹인용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神勒寺 普濟尊者石鐘碑, 보물 제229호)
https://www.yeoju.go[...]
2021-07-19
[4]
웹인용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정밀실측조사보고서 - 정책정보포털
https://policy.nl.go[...]
2021-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