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흔암리 선사유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주 흔암리 선사유적은 경기도 여주시에 위치한 선사시대 유적이다. 1962년 토기와 석기가 발견된 이후, 1972년부터 1977년까지 발굴 조사가 진행되어 16기의 집터가 확인되었다. 집터는 긴 네모꼴의 반움집 형태로, 내부에서 화덕 자리, 저장 구덩이, 기둥 구멍 등이 발견되었으며, 구멍무늬토기, 민무늬토기, 석기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12호 집터에서 발견된 불탄 쌀은 청동기 시대 전기부터 벼농사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이 유적은 흔암리형 토기를 사용한 독자적인 특색을 가지며, 당시 사람들이 농경, 사냥, 어로, 채집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생계를 유지했음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청동기 시대 유적 - 김해 봉황동 유적
김해 봉황동 유적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며, 조개더미 성격의 유적으로 붉은 토기, 가야 토기 파편, 화천 등이 출토되어 한반도 남부 지역 선사시대와 중국 간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한국의 청동기 시대 유적 - 부여 송국리 유적
부여 송국리 유적은 기원전 7~6세기경 형성된 중기 무문 토기 문화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청동기 유물과 둥근 형태의 움집 등이 발견되었으며 한반도 사회와 국가 형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여주시의 문화유산 - 여주 파사성
여주 파사성은 파사산 능선을 따라 축조된 산성으로, 신라 파사왕 때 축성된 것으로 전해지며 고려 시대 국방 요충지로 활용되었고 임진왜란 때 증축되었으나 조선 후기 전략적 가치가 감소하였다. - 여주시의 문화유산 - 여주 고달사지
여주 고달사지는 통일신라시대 창건되어 고려시대 왕실의 후원을 받았던 사찰 터로, 현재 승탑을 비롯한 다수의 문화재가 남아 당시의 위상을 짐작하게 하며, 발굴 조사에서 고달사 명문 기와와 건물 터가 발견되었고 석공 고달의 전설이 깃든 곳이다. - 경기도의 기념물 - 자운서원
자운서원은 효종의 친필 사액으로 세워진 서원으로, 이이와 신사임당의 유물을 전시하며, 매년 율곡문화제가 개최되고, 주변에 시도 기념물과 연수원, 박물관 등이 위치한다. - 경기도의 기념물 - 처인성
처인성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사다리꼴 토성으로, 고려시대 몽골 침입을 막아낸 격전지이자 김윤후가 몽골군을 격퇴한 처인성 전투로 유명하며, 임진왜란 당시 왜군의 북상을 저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여주 흔암리 선사유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여주 흔암리 선사유적 |
한자 표기 | 驪州欣岩里先史遺蹟 |
로마자 표기 | Yeoju Heunamni Seonsa Yujeok |
위치 |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흔암리 산2-1번지 |
지정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155 |
지정일 | 1995년 8월 7일 |
관리 | 여주군 |
면적 | 일원 |
시대 | |
시대 | 미상 |
2. 지리적 위치 및 특징
1962년 흔암리 구릉에 토기와 석기들이 흩어져 있음이 알려졌다.[5] 1972년부터 1977년까지 7차례에 걸쳐 서울대학교 박물관과 고고학과에 의해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14기의 집터가 확인되었다.[6] 2014년 여주시는 '여주 흔암리 선사유적 정비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통해 향후 발굴 조사 및 유적 정비 계획을 확정하여,[7][8] 유적의 보존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총 16기의 집터가 확인되었는데, 긴 네모꼴의 반움집이며, 크기는 11.6~42 평방미터로 다양하다.[2] 집터는 화강암반을 ㄴ자로 파고 지붕을 씌운 형태이며, 내부에서 화덕 자리, 저장 구덩이, 기둥 구멍들이 확인되었다.[3] 각 집터는 벽체가 곧게 올라가는 반움집(땅에 얕고 넓은 구덩이를 파고 가장자리에 기둥을 곧게 세워 벽과 지붕을 만든 형태의 집) 모양으로 나타난다.[3]3. 발굴 역사
4. 집터 구조 및 유물
집자리 내부에서 출토된 유물로 보았을 때, 화덕 자리에 가까운 공간에서 여성들이 주로 요리와 방직 작업을 하였고 남성들은 출입구에 가까운 공간에서 석기를 제작하였을 것이라 추정된다.[2] 토기는 구멍무늬토기, 민무늬토기, 붉은 간토기들이 발견되었고, 돌칼, 반달돌칼, 바퀴날도끼, 돌도끼, 돌화살촉 등의 석기가 출토되었다.
이 유적에서 출토된 12호 집자리에서 확인된 불탄 쌀은 연대가 최소한 BC 7세기까지 올라가는 것들로 확인되어 청동기 시대 전기부터 벼농사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이는 당시 청동기인들이 농사를 지으면서 부수적으로 사냥, 어로, 채집 활동을 하였다는 것을 추정할수 있게 해준다.
4. 1. 흔암리형 토기
흔암리 유적은 동북지방의 구멍무늬토기, 골아가리토기와 서북지방의 팽이형토기의 특징을 모두 갖춘 '흔암리형 토기'를 사용한 독자적인 특색을 가진 유적이다.[4] 흔암리형 토기는 겹아가리에 구멍무늬와 빗금 장식이 있는 청동기 시대 전기(기원전 15세기~기원전 6세기)의 토기 양식이다.[4] 이러한 양식은 금강 중상류를 제외한 남한 전역과 제주도까지 분포되어 있다.[4] 토기 아가리 부분에 돌아가며 구멍을 뚫은 방식은 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동북지방의 토기 양식으로, 한강 유역의 청동기 문화가 동북지방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4]
5. 유적 발굴의 의의와 평가
흔암리 유적에서 쌀, 보리, 수수, 조 등 여러 가지 곡식이 발견되어, 청동기 시대 전기에 한강 유역에서 벼농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6] 이는 벼농사의 전래 경로가 중국 화남(華南)에서 산둥반도(山東半島)를 거쳐 한국 중서부로 이어졌다는 기존 학설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6] 흔암리 유적은 당시 사람들이 농경, 사냥, 어로, 채집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생계를 유지했음을 보여준다.
6. 갤러리
참조
[1]
웹인용
문화관광/문화유산/문화유산현황/도지정문화재 - 사람중심 행복여주
https://www.yeoju.go[...]
2021-08-05
[2]
웹인용
경기도 기념물 여주흔암리선사유적 (驪州欣岩里先史遺蹟)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https://www.heritage[...]
2021-08-05
[3]
웹인용
여주 흔암리 선사유적 : 경기관광포털
https://ggtour.or.kr[...]
2021-08-05
[4]
웹인용
"[경기 문화유산을 찾아서·64] 여주 흔암리 선사유적과 흔암리식 토기"
http://m.kyeongin.co[...]
2021-08-05
[5]
웹인용
여주흔암리선사유적 - 경기문화재연구원
https://gjicp.ggcf.k[...]
2021-08-05
[6]
웹인용
여주흔암리선사유적(驪州欣巖里先史遺蹟)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1-08-05
[7]
웹인용
여주시, ‘흔암리 선사유적 정비’ 최종보고회 개최
http://www.m-i.kr/ne[...]
2021-08-05
[8]
웹인용
여주시 흔암리 선사유적 정비 추진
https://www.ajunews.[...]
2021-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