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 (춘추 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燕)은 주 무왕이 은나라를 멸망시킨 후 동생 소공 석을 봉하여 건국된 춘추 전국 시대의 제후국이다. 초기에는 베이징 부근으로 수도를 옮겼으며, 춘추 시대에는 제나라의 도움을 받아 산융을 격퇴했다. 전국 시대에는 고조선과 대립하며 영토를 확장했고, 기원전 3세기에 진나라의 침략으로 멸망했다. 이후 한나라 시기에도 연나라의 제후가 있었으나, 위만조선 건국 및 한무제의 고조선 침략 등 한반도와 연관된 사건들이 일어났다. 연나라는 북방 유목 민족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었으며, 춘추 전국 시대의 천문 분야에서도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나라 - 고조선-연 전쟁
  • 연나라 - 명도전
    명도전은 춘추 전국 시대에 사용된 칼 모양의 화폐로, 연나라와 고조선의 교역 관계를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진다.
  • 전국칠웅 - 전제 (전국)
    전제는 진나라에서 망명한 전완을 시조로, 기원전 386년 제나라를 찬탈하여 건국되었으며, 효율적인 정치와 인재 등용으로 강성했으나 민왕 이후 쇠퇴하여 기원전 221년 진나라에 멸망한 국가이다.
  • 전국칠웅 - 위 (전국)
    위나라는 기원전 453년 진나라에서 분열되어 성립된 전국시대 국가로, 위 문후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이후 쇠퇴하여 기원전 225년 진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 전국 시대 - 전제 (전국)
    전제는 진나라에서 망명한 전완을 시조로, 기원전 386년 제나라를 찬탈하여 건국되었으며, 효율적인 정치와 인재 등용으로 강성했으나 민왕 이후 쇠퇴하여 기원전 221년 진나라에 멸망한 국가이다.
  • 전국 시대 - 중산국
    중산국은 기원전 414년부터 기원전 296년까지 현재 허베이성 중부 지역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로, 백적의 일파인 선우부가 건국했으며, 전국시대에 뛰어난 외교술로 존속하다 조나라에 멸망하고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연 (춘추 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명연(燕)
유형주나라의 제후국/공국
지위왕국/공국
수도계(蓟), 하도
통화도화폐, 포화폐, 기타 고대 중국 화폐
역사
성립기원전 11세기
멸망기원전 222년
주요 사건진나라에 정복됨
기타
국성희성, 혹은 길성
언어 정보
한자 (번체자)
병음Yān
웨이드-자일스Yen1
광둥어 (예일)Jin3 or Jin1
민난어Ian
객가어Yin or Yīn
중고음*

2. 역사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주나라 무왕은 기원전 1046년경 목야 전투에서 상나라를 멸망시킨 후, 왕족인 소공 석을 연(燕) 지역의 제후로 봉했다.[6] 초기 수도는 현재 베이징시 팡산구 류리허 진에 있었으며, 이곳에서는 당시의 성곽과 무덤 유적이 발굴되었다.[7]

기원전 7세기경, 연나라는 북쪽의 이웃 나라인 기나라를 흡수하고 수도를 기나라의 수도였던 계(薊, 현재의 베이징시 시청구 일대)로 옮겼다. 이후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를 거치며 남쪽의 조나라, 제나라와 같은 강국들과 경쟁하고 때로는 충돌했다.

기원전 3세기 초, 장수 진개는 북방의 동호와 동쪽의 고조선을 공격하여 영토를 크게 확장하였고, 새로 얻은 영토에는 상곡군, 어양군, 우북평군, 요서군, 요동군의 5개 군을 설치하고 만리장성을 쌓아 방어 체계를 구축했다. 한편, 연나라는 중원의 다른 국가들과는 구별되는 문화적 특징을 보이기도 했는데, 북방 유목민의 것과 유사한 장식품이나 교역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칼 모양 화폐(도폐) 등이 그 예이다.[8]

연나라는 전국 시대 동안 여러 차례 위기를 겪었다. 특히 기원전 314년에는 왕위 계승 분쟁으로 인한 내란과 제나라의 침공으로 국가가 존망의 기로에 섰으나, 연 소왕 대에 이르러 명장 악의를 등용하고 다른 나라들과 연합하여 제나라를 공격함으로써 일시적인 전성기를 누리기도 했다.

그러나 진나라가 중국 통일을 추진하면서 연나라는 다시 위기에 직면했다. 기원전 227년, 조나라가 진나라에 멸망하자 위협을 느낀 태자 단은 자객 형가를 보내 진나라 왕 정의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이 사건은 진나라의 침공을 촉발했고, 결국 기원전 222년 연나라는 진나라에 의해 완전히 멸망하여 전국 칠웅 중 하나로서의 역사를 마감했다.

2. 1. 건국과 초기

주나라 무왕 '''희발'''(姬發)이 은나라를 멸망시킨 후, 동생인 '''소공 석'''(召公 奭)을 연(燕) 지역의 제후로 봉하면서 연나라가 건국되었다.[6] 그러나 주나라 초기 연나라의 역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당시에는 허난성 지역에도 동명의 연나라가 있었기 때문에, 이와 구별하기 위해 허난성의 연나라를 남연(南燕)이라 부르고, 소공 석의 연나라를 '''북연'''(北燕)이라고 칭했다. 또한 건국 초기에는 국호를 연(燕)이 아닌 언(匽 또는 郾)으로 표기하였다. 소공 석의 후손들은 처음에는 산둥성 지역에 봉해졌으나, 주 성왕 치세에 현재의 베이징시 부근으로 옮겨 봉해졌다.

기원전 11세기에 연나라의 초기 수도는 현재 베이징시 팡산구 류리허 진에 위치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곳의 류리허 유적지에서는 대규모 성곽 도시 유적과 200기가 넘는 귀족들의 무덤이 발굴되었다.[7] 특히 중요한 유물로는 연나라 공작의 장남이 주나라 왕에게 공물을 바치고 관직을 받은 과정을 기록한 청동기 정(鼎)이 있다.

류리허 유적지 출토 연나라 청동기 유(卣)


연나라가 베이징 부근으로 옮겨오는 과정에서 원래 그 지역에 있던 섬서성 출신의 한후(韓侯) 세력이 동쪽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이들 주민 대부분은 한씨(韓氏) 성을 사용했으며, 한국의 사학자 이병도는 이 한후 세력을 고조선과 연관지어 한씨 조선(韓氏朝鮮)이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한편, 연나라 동쪽에는 기후(箕侯) 세력이 존재했다. 기후 세력은 춘추 시대에 연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나 오래지 않아 멸망하였다. 이후 연나라의 사대부 계층에는 한씨(韓氏)나 기씨(箕氏) 성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2. 2. 춘추 시대

춘추 시대의 연(燕)에 대해서는 사서에 기술이 극히 적다.

기원전 664년[1](또는 기원전 663년) 북방의 산융에게 공격을 받았을 때, 당시 군주였던 장공(莊公)은 이웃 나라인 제나라의 환공(桓公)에게 원군을 청하여 산융군을 격퇴하였다. 전투 이후 장공은 환공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기 위해 제나라까지 환공의 군대를 배웅하였다. 이 과정에서 군대가 연나라와 제나라의 국경을 넘어 제나라 영토 안으로 들어갔다. 당시 제후가 다른 제후의 영토 안까지 군대를 보내는 것은 천자(天子)인 주나라 왕만이 할 수 있는 일로 여겨졌기에 문제가 될 수 있었다. 이에 제나라의 명재상 관중(管仲)은 환공에게 연나라 군대가 들어온 제나라 영토 일부를 연나라에 할양하도록 조언했다. 환공이 이를 받아들여 영토를 연나라에 주자, 제후들의 신뢰를 얻어 더욱 명성을 높였다고 전해진다.

이후 조선(朝鮮)은 연나라를 여러 차례 공격하였고, 이로 인해 연나라는 영토를 잃고 약화되었다. 연나라는 조선 사람들을 연나라 내에 거주하게 하면서 변방을 지키도록 하기도 했다.[2]

2. 3. 전국 시대

전국 시대에 들어서면서 연나라는 점차 세력을 확장했다. 기원전 334년경 사기 소진열전(史記 蘇秦列傳)에 따르면, 당시 연나라는 "동쪽으로 조선과 요동, 북쪽으로 임호누번, 서쪽으로 운중과 구원, 남쪽으로 호타와 역수(易水)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가지고 있었다."[20] 연나라의 영토는 사방으로 이천여 리에 달했으며, 수십만의 갑병과 600승(乘)의 전차, 6천 기(騎)의 기병을 동원할 수 있는 강국으로 성장했다.[20] 기원전 323년에는 스스로 왕을 칭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315년, 연왕 쾌(燕王 噲)는 재상 자지(子之)를 깊이 신임하여 고대 임금이 임금에게 왕위를 물려준 것을 본받아 자지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다. 그러나 이는 태자 평(平)과 장군 시피(市被)의 반발을 사 내전으로 이어졌다. 내전 중 태자 평과 시피는 전사했고, 이 혼란을 틈타 이듬해 제나라가 태자를 돕는다는 명분으로 연나라를 침공했다. 기원전 314년 제나라의 침략으로 연나라는 큰 위기를 맞았고, 기원전 313년에는 왕을 자칭했던 자지가 살해되고 연왕 쾌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제나라 군대의 약탈과 폭정은 연나라 백성들의 반발을 샀고, 결국 제나라는 군대를 철수시켰다. 기원전 312년, 한나라에 피신해 있던 연왕 쾌의 서자 공자 직(職)이 제나라의 영향력 아래 연나라 왕위에 올랐으니, 그가 바로 연 소왕(昭王)이다.

전국 시대 중기의 북방


기원전 260년의 전국 칠웅


소왕은 제나라에 대한 복수심을 불태웠으나, 당시 연나라는 국력이 약해 제나라에 맞서기 어려웠다. 소왕은 인재를 모으기 위해 곽외(郭隗)에게 조언을 구했다. 곽외는 "죽은 말의 뼈를 산다"는 고사를 들어 자신을 먼저 중용하면 더 뛰어난 인재들이 모여들 것이라고 조언했다. 소왕은 이를 받아들여 곽외를 스승으로 모시고 극진히 대우했다. 이 일화는 "먼저 곽외부터 시작하라(先從隗始)"는 고사성어로 남았다. 곽외의 말대로 악의(樂毅), 소대(蘇代) 등 뛰어난 인재들이 연나라로 모여들었다. 소왕은 이들을 등용하여 국가 개혁과 재건에 힘썼다.

소왕 시대에 장수 진개(秦開)는 북방의 동호(東胡)를 공격하여 영토를 크게 넓혔다. 『사기』는 동호가 천 리를 물러갔다고 기록했다. 또한 새롭게 얻은 영토에 상곡군, 어양군, 우북평군, 요서군, 요동군 등 5개의 군을 설치하고 만리장성을 쌓아 방비를 강화했다. 진개는 더 나아가 고조선을 침략하여 서쪽 영토 일부를 빼앗고 만번한(滿潘汗, 현재의 평안북도 박천군 일대)까지 진출하여 국경을 삼았다. 다만, 고고학적 발굴에 따르면 이 지역들은 진개의 활동보다 약 100년 전에 이미 연나라에 편입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사기』나 『위략』의 기록은 군현제 시행이나 장성 축조 시기를 영토 획득 시기와 혼동했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국력을 키운 연나라는 조나라, 진(秦), 한(韓), 위(魏)와 연합하여 제나라를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 기원전 285년(또는 기원전 284년) 명장 악의가 이끄는 5개국 연합군은 제서 전투에서 제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고 수도 임치를 함락시켰다. 악의는 여세를 몰아 즉묵을 제외한 제나라의 70여 개 성을 점령했다. 이 시기 연나라는 허베이성, 랴오닝성뿐만 아니라 산둥반도 대부분과 한반도 일부 지역까지 영향력을 행사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 일부 기록에서는 이 시기의 연나라를 "거대한 연(鉅燕)" 또는 "완전한 연(全燕)"이라 칭하기도 했다.

그러나 소왕이 죽고 아들 연 혜왕(惠王)이 즉위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혜왕은 악의를 의심하여 교체했고, 악의는 조나라로 망명했다. 기원전 279년, 제나라의 전단(田單)은 악의가 사라진 틈을 타 반격을 개시하여 즉묵 전투에서 승리하고 연나라가 점령했던 영토를 모두 되찾았다. 이로써 연나라는 산둥반도의 영토를 상실했지만, 소왕 때 설치한 5군과 한반도 일부 지역은 계속 유지했다.

기원전 227년, 조나라가 멸망하고 진(秦)나라 군대가 연나라 국경까지 다가오자, 연왕 희(燕王喜)의 아들 태자 단(太子丹)은 위기감 속에서 진나라 왕 영정(훗날 진시황제)을 암살하여 위협을 제거하려 했다. 태자 단은 자객 형가(荊軻)와 진무양(秦舞陽, 진개의 손자)을 진나라에 보냈으나 암살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형가는 살해되었다.

이 대담한 암살 시도에 격분한 진시황제는 왕전(王翦)에게 연나라 정벌을 명했다. 기원전 226년, 연나라 군대는 얼어붙은 역수에서 진나라 군대에게 대패했고 수도 계(薊, 현재의 베이징)가 함락되었다. 연왕 희는 요동으로 도망쳤다. 진나라 군대가 계속 추격하자 연왕 희는 아들 태자 단의 목을 베어 진시황제에게 바치며 용서를 구했지만, 진나라는 공격을 멈추지 않았다. 기원전 222년, 요동마저 함락되면서 연나라는 진나라에 의해 완전히 멸망했다. 연나라는 전국 칠웅 중 세 번째로 멸망한 국가였다.

2. 4. 멸망

기원전 228년, 연나라와 진나라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던 조나라가 진나라에 의해 멸망하자(조 공략), 연나라는 진나라의 직접적인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태자 단은 기원전 227년 진왕 정을 암살하고자 형가라는 자객을 보냈으나, 암살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이때 형가와 동행했던 진무양은 과거 연나라 장수였던 진개의 손자였다.[14]

진왕 정은 이 대담한 암살 시도에 격분하여 즉시 왕전에게 군대를 주어 연나라를 공격하도록 명령했다. 연나라 군대는 얼어붙은 의수 강가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진나라 군대에게 크게 패배했고, 이듬해인 기원전 226년 수도 계(薊, 현재의 베이징)가 함락되었다. 연왕 희는 요동으로 도망쳐 항전을 이어가려 했으나, 기원전 222년 진나라 장군 왕분의 공격을 받아 결국 사로잡혔고, 이로써 연나라는 멸망했다. 연나라의 옛 땅에는 진나라의 군현이 설치되었다.

진나라 말기와 한나라 초의 혼란기에 연나라는 잠시 부활하기도 했다. 기원전 209년, 조나라 출신 무신의 부하였던 장군 한광이 연나라 사람들의 추대를 받아 연왕으로 자립했다. 그러나 기원전 206년, 항우가 중국을 재편하면서 장도를 새로운 연왕으로 임명하고, 한광은 요동왕으로 밀려났다. 얼마 지나지 않아 장도는 한광을 공격하여 죽이고 요동까지 차지하며 연나라 전체의 왕이 되었다.

초한전쟁 시기, 연왕 장도는 기원전 204년 한나라에 귀순하였고, 기원전 202년에는 다른 제후들과 함께 유방을 황제로 추대했다. 하지만 같은 해 장도는 한나라에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당하고 처형되었다. 그의 뒤를 이어 유방의 오랜 친구였던 노관이 새로운 연왕으로 봉해졌다. 그러나 기원전 195년, 노관 역시 흉노와 내통했다는 의심을 받자 흉노로 망명하였고, 결국 연나라는 완전히 폐지되어 한나라의 군현으로 편입되었다.

2. 5. 멸망 이후

진나라가 기원전 207년 멸망하고 초한전쟁 시기에 접어들자, 조나라의 무신왕은 장군 한광을 보내 옛 연나라 땅을 점령하게 했다. 한광은 현지 세력의 추대를 받아 스스로 연왕(燕王)을 칭하며 자립했다. 기원전 206년, 초나라의 항우장도를 새로운 연왕으로 삼고, 기존의 연왕 한광은 요동왕으로 옮기도록 명했다. 한광이 이를 거부하자 장도는 한광을 공격하여 살해하고 연나라와 요동 지역 전체를 차지했다.

장도는 한나라와 초나라 사이의 전쟁 중 기원전 204년 한신에게 귀순하며 한나라에 복속했으나, 기원전 202년 한 고조 유방이 중국을 통일하자 반란을 일으켰다. 유방은 번쾌주발을 파견하여 반란을 진압했고, 장도는 사로잡혀 처형되었다. 그의 아들 장연은 북쪽의 흉노로 망명했다.

유방은 자신의 오랜 친구이자 고향 사람인 노관을 새로운 연왕으로 봉했다. 노관은 유방 생애 대부분 동안 연나라를 다스렸으나, 국경 지대의 혼란을 이용해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려 했다. 그는 반란을 일으킨 진희흉노의 묵돌 선우와 내통했다는 의심을 받았다. 기원전 195년, 조정의 소환 명령에 병을 핑계로 불응하고 결국 흉노로 망명했다. 흉노에 귀순한 노관은 동호의 왕(東胡王 또는 盧王)으로 봉해졌으나 그 해에 사망했다. 노관이 망명한 이후 연나라는 폐지되어 한나라의 직할 군현으로 편입되었다.

한편, 노관이 연왕으로 있을 때 그의 부하였던 위만은 무리 1,000여 명을 이끌고 동쪽의 고조선으로 망명하여 위만조선을 세웠다.[21] 이후 위만조선이 한 무제에 의해 멸망할 때, 마지막 왕인 우거왕의 아들 장항은 한나라에 투항하여 기후(幾侯)에 봉해졌다.

3. 고조선과의 관계

기원전 3세기 초, 연나라 장수 진개동호고조선을 공격하여 왕국의 영토를 동쪽으로 한반도 북서부 지역까지 크게 확장했다. 이 과정에서 고조선은 서쪽 영토 상당 부분을 상실한 것으로 여겨진다. 연나라는 새롭게 확보한 북쪽 국경 지역에 만리장성을 건설했으며, 상곡군, 어양군, 우북평군, 요서군, 요동군 등 5개의 군을 설치하여 동호 등 북방 민족의 침입에 대비하고 새로 편입한 영토를 관리했다.

연나라가 진나라에 의해 멸망한(기원전 222년) 이후, 기원전 195년경 연나라 출신 인물로 여겨지는[15] 위만고조선으로 망명하였다. 그는 당시 고조선의 왕이었던 준왕을 몰아내고 왕위를 차지하여 위만조선을 건국했다[16]. 위만조선은 연나라의 선진적인 철기 문화를 받아들여 국가 발전을 이루었다.

한편, 북한대령강 유역에 남아있는 장성에 대해 북한 학계는 고려 시대에 축조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남한 학계에서는 염충 등 일부 연구자들이 출토되는 유물의 특징 등을 근거로 이 장성이 연나라 시대에 만들어진 장성의 일부일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17]. 실제로 이 지역에서는 연나라 시기의 유물뿐만 아니라 이후 진나라 및 한나라 시대의 유물을 포함하는 유구가 발견되고 있어, 연나라의 세력이 고조선 지역까지 미쳤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해석되기도 한다[17].

4. 문화

중원의 국가들은 연나라의 문화를 진나라와 같은 다른 주변 국가들의 문화와 함께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나라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유물들을 보면, 중국 문자가 새겨져 있기는 하지만 북방 유목민의 것과 유사한 장식품들이 발견되어 독자적인 문화적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연나라의 화폐는 칼 모양으로 만들어졌는데(명도전), 이는 북방 유목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독특한 화폐 형태는 유목민과의 교역을 위해 특별히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연나라가 북방 민족과의 상업적 관계를 중요하게 여겼음을 시사한다.[8]

춘추 전국 시대의 병법가 오기는 그의 저서 ''오자병법''에서 각 지역 백성의 기질과 정부의 특징이 그들이 사는 지형 환경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그는 연나라 군대에 대해 "방어 대형은 튼튼하지만 유연성이 부족하다(燕陳守而不走)"고 평가했다.[12] 또한 연나라 사람들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 연나라는 성실하고 솔직한 백성이다. 그들은 신중하게 행동하고 용기를 사랑하며 의를 존중하는 반면, 기만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들은 방어적인 입장에서 뛰어나지만 움직이지 않고 유연성이 없다. 그들을 격파하려면 즉시 작은 공격으로 압박을 가하고 빠르게 후퇴해야 한다. 그들이 우리의 공격에 맞서 방향을 돌리면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그들이 가장 예상하지 못하는 곳에서 후방을 공격하라. 그들이 다른 위협에 맞서 후퇴할 때 그들을 추격하라. 이것은 그들의 장군을 혼란시키고 그들의 부대에 불안감을 조성할 것이다. 그들의 강점에 대한 충돌을 피하고 우리의 갑옷을 입은 전차를 사용하여 매복을 설정하면 그들의 장군을 사로잡아 승리를 확보할 수 있다.(燕性愨,其民慎,好勇義,寡詐謀,故守而不走。擊此之道,觸而迫之,凌而遠之,馳而後之,則上疑而下懼,謹我車騎必避之路,其將可虜)[12]

오기는 이러한 연나라의 특징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전술을 구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5. 역대 군주

wikitext

대수시호이름재위기간비고
강공
(康公)

(奭)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996년
1
(克)
소 강공의 장자.
2
(旨)
소 강공의 삼남.
3
(舞)
연후 지의 아들.
4
(憲)
연후 무의 아들.
5
(和)
연후 헌의 아들.
군주 불명.
성(聖)
군주 불명.
10혜후
(惠侯)
기원전 864년 ~ 기원전 827년강공의 9세손.
11희후
(僖侯)

(莊)
기원전 826년 ~ 기원전 791년혜후의 아들.
12경후
(頃侯)
기원전 790년 ~ 기원전 767년이후의 아들.
13애후
(哀侯)
기원전 766년 ~ 기원전 765년경후의 아들.
14정후
(鄭侯)

(鄭)
기원전 764년 ~ 기원전 729년애후의 아들.
15목후
(穆侯)
기원전 728년 ~ 기원전 711년정후의 아들.
16선후
(宣侯)
기원전 710년 ~ 기원전 698년목후의 아들.
17환후
(桓侯)
기원전 697년 ~ 기원전 691년선후의 아들.
18장공
(莊公)
기원전 690년 ~ 기원전 658년환후의 아들.
19양공
(襄公)
기원전 657년 ~ 기원전 616년장공의 아들.
20환공
(桓公)
기원전 617년 ~ 기원전 602년양공의 아들.
21선공
(宣公)
기원전 601년 ~ 기원전 587년전환공의 아들.
22소공
(昭公)
기원전 586년 ~ 기원전 574년선공의 아들.
23무공
(武公)
기원전 573년 ~ 기원전 555년소공의 동생.
24문공
(文公)
기원전 554년 ~ 기원전 549년무공의 아들.
25의공
(懿公)
기원전 548년 ~ 기원전 545년전문공의 동생.
26혜공
(惠公)
관(款)기원전 544년 ~ 기원전 536년의공의 아들.
27도공
(悼公)
기원전 535년 ~ 기원전 529년혜공의 동생.
28공공
(共公)
기원전 528년 ~ 기원전 524년도공의 아들.
29평공
(平公)
기원전 523년 ~ 기원전 505년공공의 동생.
30간공
(簡公)
기원전 504년 ~ 기원전 493년공공의 아들.
31효공
(孝公)
환(桓)기원전 492년 ~ 기원전 455년평공의 아들.
32성공
(成公)
재(載)기원전 454년 ~ 기원전 439년효공의 아들.
33민공
(閔公)
기원전 438년 ~ 기원전 415년성공의 아들.
34간공
(簡公)
재(載)기원전 414년 ~ 기원전 373년민공의 아들.
35환공
(桓公)
기원전 372년 ~ 기원전 362년후간공의 아들.
36문공
(文公)
기원전 361년 ~ 기원전 333년후환공의 아들.
37역왕
(易王)

(脮)
기원전 332년 ~ 기원전 321년후문공의 아들.
38
(噲)
기원전 320년 ~ 기원전 318년역왕의 아들.
39자지
(子之)
기원전 317년 ~ 기원전 314년연왕 쾌의 신하.
40소양왕
(昭襄王)

(職)
기원전 311년 ~ 기원전 279년연왕 쾌의 서자. 태자 평(平)의 이복동생.
41혜왕
(惠王)
악자
(樂資)
기원전 278년 ~ 기원전 271년연 소왕의 아들.
42무성왕
(武成王)
기원전 270년 ~ 기원전 258년혜왕의 아들.
43효왕
(孝王)
기원전 257년 ~ 기원전 255년무성왕의 아들.
44
(喜)
기원전 254년 ~ 기원전 222년효왕의 아들. 태자 단(丹)의 아버지.


6. 천문

연(燕)나라는 춘추 전국 시대 천문 분야에서 고대 중국의 천문 구획인 '십이주(十二州)'에서는 별 제타 염소자리로 상징되었다.[10] 또한, 사상 중 하나인 현무에 속하는 이십팔수여수에 해당한다.[10] 다른 체계인 삼원 중 천시원에서는 좌측 담장에 해당하는 '좌벽(左壁)'의 별 누 뱀주인자리로 나타내기도 했다.[11]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bjww.gov.[...] 2011-07-26
[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Yanshan http://www.bjys.gov.[...] Beijing Municipal Government 2011-07-26
[3] 간행물 http://www.confucius[...] Confucius 2000 2011-07-26
[4] 웹사이트 Ji, the Capital of the State of Yan http://english.bjww.[...] 2011-07-26
[5] 웹사이트 Site of the Second Capital of State of Yan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11-07-26
[6] 웹사이트 蓟城纪念柱 http://www.visitbeij[...]
[7] 웹사이트 Liulihe Site http://www.chinacult[...]
[8] 간행물 The Warring States Period—The State of Qin, Yan, Chu, and Pazyryk: A Historical Footnote 1991
[9] 서적 Mengzi : with selections from traditional commentaries Hackett Pub. Co 2008
[10] 웹사이트 http://aeea.nmns.edu[...] National Museum of Natural Science 2011-07-26
[11] 웹사이트 http://aeea.nmns.edu[...] National Museum of Natural Science 2011-07-26
[12] 문서 Wuzi
[13] 문서 『史記』燕世家では周王朝と同姓の「姫姓」としているが、殷墟から発掘された『卜辞』および『史記索隠』が引く『竹書紀年』よれば南燕国は姞姓であることから、北燕も姞姓だとする説
[14] Wikisource 史記/卷110
[15] 뉴스 위만조선 衛滿朝鮮 https://www.doopedia[...]
[16] 뉴스 東北亞古代的移民與王權發展:以樂浪郡成立為中心 http://www.his.ncku.[...] 国立成功大学 2009-06
[17] 서적 『魏志』東夷伝訳註初稿(1)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009-03-31
[18] 문서 その具体的な位置については諸説がある。後の玄菟郡の「蓋馬」(西蓋馬県、蓋馬大山など)とする説、遼東半島の「蓋平」(現在の遼寧省営口市蓋州市)とする説、鉅燕を『史記』の「全燕」と同じとみて、山東半島の「蓋」(現在の山東省淄博市沂源県)とする説、朝鮮半島江原道 (朝鮮八道)|江原道の「濊(わい)」とする説、馬韓の「乾馬」(現在の全羅南道益山市)とする説など。それらの諸説の違いによって、推測される倭の位置も大きく違ってくる。
[19] 문서 代 (戦国)|代は趙 (戦国)|趙の亡命政権であり、秦に滅ぼされた。
[20] 웹사이트 史記 卷六十九 蘇秦列傳 第九 http://db.history.go[...]
[21] 문서 사마천 “조선왕 위만(衛滿)은 원래 연(燕)나라 사람이다. [...]위만(衛滿)이 망명하여 천여 명의 무리를 모아서 상투를 틀고, 적이(狄夷)의 의복을 입고 동쪽으로 요새를 빠져 달아나 패수를 건너 진(秦)나라의 빈 땅의 아래위 보루에서 살면서 진번·조선의 적이(狄夷)와 옛 연나라·제(齊)나라의 망명자들을 점차 복속하게 하고, 왕이 되어 왕검(王險)을 도읍으로 삼았다.”/ “朝鮮王滿者,故燕人也。[...] 滿亡命,聚黨千餘人,魋結蠻夷服而東走出塞,渡浿水,居秦故空地上下鄣,稍役屬真番、朝鮮蠻夷及故燕、齊亡命者王之,都王險。”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