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나라는 중국 고대 국가로, 기원전 11세기 주나라가 건국될 때 강태공에게 봉해진 땅에서 시작되어 강제(姜齊)와 전제(田齊) 시대를 거쳐 기원전 221년 진나라에 멸망했다. 강제 시대에는 제 환공이 춘추 오패 중 한 명으로 꼽히며 강성했으나, 환공 사후 내분으로 쇠퇴했다. 이후 전씨가 권력을 장악하여 전제 시대를 열었고, 위왕 시기에 국력이 강성해져 왕을 칭하기도 했으나, 연합군의 공격으로 쇠퇴하여 결국 진나라에 멸망했다. 제나라는 어업과 제염, 철 생산으로 경제적 부를 쌓았고, 특히 수도 임치는 상업이 발달한 대도시였다. 또한 직하학궁을 통해 학문과 사상의 중심지로 명성을 떨쳤으며, 관중, 안영, 손자, 맹자 등 다양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나라 - 전제 (전국)
    전제는 진나라에서 망명한 전완을 시조로, 기원전 386년 제나라를 찬탈하여 건국되었으며, 효율적인 정치와 인재 등용으로 강성했으나 민왕 이후 쇠퇴하여 기원전 221년 진나라에 멸망한 국가이다.
  • 제나라 - 북제
    북제는 고환의 아들 고양이 동위 효정제로부터 선양받아 건국되었으며, 경제력을 바탕으로 돌궐과 연합하여 북주와 대립했으나, 후주 시기의 실정과 내부 갈등으로 쇠퇴하여 577년 북주에 의해 멸망한 남북조 시대의 북조 국가이다.
  • 허베이성의 역사 - 하북도
    하북도는 당나라가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허베이성, 산둥성 전역, 허난성 북부를 관할했으며, 안사의 난 이후 절도사 체제로 전환되어 당나라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 허베이성의 역사 - 북한 (십국)
    북한은 오대 십국 시대에 유숭이 건국한 국가로 후한의 부흥을 표방하며 요나라의 지원을 받아 후주 및 송나라와 대립하다가 979년 송나라에 멸망했다.
  • 중국사 - 순치
    순치는 청나라 세조 순치제의 연호로, 1644년 명나라 멸망 후 베이징 천도와 함께 사용되어 1661년까지 지속되었으며, 당시 다양한 세력의 연호와 병존했다.
  • 중국사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제나라
개요
기원전 260년의 제나라
기원전 260년의 제나라
국호제(齊)
로마자 표기Qi
고대 중국어 발음*Dzəj
존속 기간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21년
정치 체제기원전 1046년 – 기원전 323년: 제후국
기원전 323년 – 기원전 221년: 왕국
수도영구 (기원전 11세기–기원전 866년)
박고(기원전 866년–기원전 859년)
임치(기원전 859년–기원전 221년)
종교조상 숭배
중국 민간 신앙
통화도자
역사
건국강태공의 봉건 (기원전 1046년)
멸망진나라에 의해 정복됨 (기원전 221년)
이전박고
이후진나라
지도자
군주 칭호제후
주요 인물제 환공 (기원전 685년–기원전 643년)
제 경공 (기원전 547년–기원전 490년)
안영 (기원전 556년–기원전 500년)
관중 (기원전 685년–기원전 645년)

2. 역사

제나라의 역사는 크게 강제(姜齊) 시대와 전제(田齊) 시대로 구분된다.

산둥성 박물관에 소장된 제나라의 청동 칼 모양 화폐


강제(姜齊)는 주나라 무왕이 강태공을 제나라에 봉하면서 시작되었다. 강태공은 현지 풍속을 존중하는 정책으로 나라를 안정시켰고, 주 성왕은 제나라에게 주변 지역을 토벌할 권한을 부여했다.[30][29] 이후 제나라는 영토를 확장하며 춘추 시대 초기에 강국으로 성장했다. 특히 바다와 접해 소금과 철 생산이 가능하여 자원이 풍족했다.[27][30] 제 환공관중을 등용하여 행정 개혁을 단행하고 패자(覇)로 인정받아 춘추 오패의 첫 번째 패자가 되었다.[5][6] 그러나 환공 사후, 왕위 계승 전쟁으로 인해 제나라는 크게 약화되었다.[7] 경공은 안영과 사마양저를 등용하여 잠시나마 소패업을 이루기도 했다.

기원전 672년, 진(陳)나라에서 망명 온 전완의 후손들이 제나라에서 강력한 대부 가문이 되었다. 이들은 경공의 실정을 틈타 세력을 키웠고, 기원전 489년 경공 사후에는 전항이 간공을 죽이고 평공을 왕으로 세웠다. 이후 전씨는 3대에 걸쳐 사실상 왕 노릇을 했다.

전제(田齊)는 기원전 386년, 전화가 강공을 몰아내고 제나라 제후가 되면서 시작되었다.[156] 제 위왕 때 행정 개혁으로 국력이 강해져 왕을 칭했고, 제 민왕 때는 진(秦)나라와 함께 동제, 서제로 불릴 정도로 강성해져 송나라를 멸망시켰다.[158] 그러나 지나친 팽창 정책으로 연나라를 주축으로 하는 제후 연합군이 일어났고, 악의가 이끄는 연합군에 의해 멸망 직전에 놓이기도 했다.[85] 전단의 활약으로 나라를 회복했지만, 제왕 건진 시황제에게 항복하여 제나라는 멸망했다.[85]

2. 1. 강제 (姜齊)

주나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킨 무예 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강태공은 산둥반도와 그 주변 지역을 영지로 받아 제나라를 건국하였다. 강태공은 주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운 인물로, 주나라 무왕의 아버지인 문왕을 섬겼던 것과 마찬가지로 무왕을 섬기는 재상이 되었다.[24][25] 강태공은 현지 풍속을 존중하는 정치를 펼쳐 제나라를 안정시켰다.[26]

무왕 사후, 강태공은 주공의 섭정 시대에 삼감의 난이라는 반란이 실패로 끝나는 동안에도 충성을 지켰다. 이 반란에는 상나라 왕자 무갱이 제나라 영토 내에 있던 동이 세력인 燕国|연나라중국어, 서, 포구와 함께 가담하였다. 반란은 기원전 1039년에 진압되었지만, 죽간에는 포구의 원주민들이 약 10년 동안 계속 반란을 일으켰다가 기원전 1026년경 두 번째로 진압당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성왕은 제나라에게 "동쪽은 바다, 서쪽은 황하, 남쪽은 목릉, 북쪽에 이르는 지역의 5후 9백이 죄를 범했을 경우, 그들을 토벌해도 괜찮다"는 권한을 부여했다.[30][29] 이후 제나라는 영토를 확장하여 춘추 시대 초기에 동쪽의 강국으로 성장했다. 제나라는 바다와 접하고 있어 소금 생산과 철 생산이 가능해 자원이 풍족했다.[27][30]

서주 시대의 전해지는 기록은 부족하지만, 주나라 희왕(재위 기원전 865~858년)이 제나라를 공격하여 애공(哀公)을 삶아 죽였다는 기록이 있다. 선왕(재위 기원전 827~782년) 시대에는 지역적인 계승 다툼이 있었다. 이 기간 동안 많은 원주민 동이 민족들은 주나라 문화권에 동화되었다.

2. 1. 1. 태공망의 봉건

문왕의 재상 강태공주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워 산둥반도 지역에 봉해졌다. 그러나 당시 이 지역은 동이족이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영지 하사는 사실상 동중국 지역 세력들을 토벌하라는 명에 가까웠다.[24][25] 강태공은 제나라 제후가 되어 현지 풍속을 존중하는 정치를 펼쳐 제나라를 안정시켰다.[26] 관숙, 채숙반란 이후, 성왕은 제나라에게 "동쪽은 바다, 서쪽은 황하, 남쪽은 목릉, 북쪽에 이르는 지역의 5후 9백이 죄를 범했을 경우, 그들을 토벌해도 괜찮다"는 권한을 부여했다.[30][29] 이후 제나라는 영토를 확장하여 춘추 시대 초기에 동쪽의 강국으로 성장했다. 제나라는 바다와 접하고 있어 소금 생산과 철 생산이 가능해 자원이 풍족했다.[27][30]

2. 1. 2. 제 환공의 패업

환공관중을 등용하여 주나라를 대신하여 제후들을 통제하였고, 남쪽의 나라의 위협에 대항했다.[3]중국어 제도를 수립하고[3] 소금과 철에 대한 국가 독점을 포함하는[4] 행정 개혁을 단행하여 법가 사상의 특징을 보였다.[4] 기원전 667년, 환공은 주나라 혜왕에게 패자(覇)로 인정받아[5] 춘추 오패의 첫 번째 패자가 되었다.[6] 다른 국가들로부터 공물을 받았고, 왕실에 다른 누구보다 많은 공물을 바치는 영예를 얻었으며 그의 출병 명령은 왕 자신의 명령만큼이나 구속력이 있었다.[7] 이러한 권위를 바탕으로 환공은 노나라의 권력 투쟁에 개입하고, 침략하는 서융 유목민들로부터 연을 보호하고, 위와 형을 침략한 북적 유목민들을 몰아내고 백성들에게 식량과 보호 병력을 제공했으며, 8개국 동맹을 이끌고 채를 정복하여 초의 북쪽으로의 확장을 막았다.[7]

그러나 환공 사후, 왕위 계승 전쟁으로 인해 제나라는 크게 약화되었고 패권 시대는 막을 내렸다.[7]

2. 1. 3. 환공 사후의 분쟁

환공 사후, 환공의 아들들 사이에 후계 다툼이 일어나 제나라는 혼란에 빠졌다. 환공이 태자로 지목한 효공 대신 환공의 총신 역아와 수초가 지지한 무궤가 뒤를 이었으나, 무궤는 효공을 앞세운 송 양공 주도의 제후 연합군과 국내의 호응에 쫓겨나 죽었다.[3] 이후 소공, 혜공, 의공 세 형제가 효공의 즉위를 저지하여, 송 양공이 재차 제나라를 침입하고 나서야 효공이 즉위할 수 있었다.[3] 효공의 치세에는 일단 안정되었으나, 이미 패자의 권위는 잃은 상태였다.

효공 사후, 효공의 아들을 또 다른 환공의 총신이자 소공의 당인 공자 개방이 죽이고 소공이 즉위했다. 소공이 죽은 후에는 소공의 아들 가 즉위했으나, 얼마 못 가 의공이 죽이고 의공이 즉위하는 등 혼란은 계속 이어졌다. 이 혼란은 환공이 죽은 지 35년 후에 혜공이 등극함으로써 겨우 종식되었다.[3]

그동안 소공 시대에 이미 패자는 진나라의 문공이 되었고, 소공은 문공의 패업에 협조했다. 문공이 패자가 되고 제나라도 국력을 유지했지만, 중원의 주도권은 북쪽의 진(晉)나라와 남쪽의 초나라의 패권 다툼으로 옮겨졌다. 그 상황에 제나라와 (秦)나라가 관련되는 것이 춘추 시대 중기의 흐름이 되었다.[3]

2. 1. 4. 경공의 소패업

장공 때, 재상 최저는 자신의 아내가 장공과 사통한 것을 알고 장공을 시해하였다. 최저는 장공의 아우 경공을 세웠지만, 후에 경씨에게 죽었다. 기원전 532년, 경공은 안영을 등용하고 군사 분야에는 사마양저를 등용하였다.[59]

2. 1. 5. 전씨의 전횡

기원전 672년, 진(陳)나라에서 망명 온 전완의 후손들이 제나라에서 강력한 대부 가문이 되었다. 전씨는 경공의 실정을 틈타 민심을 얻고 세력을 강화했으며, 안영은 진나라의 양설힐과 대화하면서 전씨 왕조가 들어설 것을 예언했다.

기원전 489년, 경공이 죽자 전걸은 경공의 유지를 어기고 도공을 왕으로 세웠다. 전걸의 아들 전항은 도공을 죽이고 간공을 왕으로 세웠다. 간공은 총신 감지와 함께 전항에 맞섰으나, 전항은 감지와 간공을 모두 죽이고 평공을 왕으로 세웠다. 이후 전씨는 평공, 선공, 강공 3대에 걸쳐 전항 - 전반 - 전백 - 전도자 - 전화로 이어지며 사실상 왕 노릇을 했다.

2. 2. 전제 (田齊)

기원전 386년, 전화강공을 몰아내고 제나라 제후가 되면서 전제(田齊) 시대가 시작되었다.[156] 위왕 때 행정 개혁으로 국력이 강해져 왕을 칭했고, 제 민왕 때는 진(秦)나라와 함께 동제, 서제로 불릴 정도로 강성해져 송나라를 멸망시켰다.[158] 그러나 민왕의 지나친 팽창 정책과 외교적 충돌로 연나라를 주축으로 하는 제후 연합군이 일어났고, 악의가 이끄는 연합군에 의해 제 민왕이 살해되고, 와 즉묵을 제외한 모든 성읍이 함락되어 멸망 직전에 놓이기도 했다.[85] 제 양왕이 즉위해 항전을 계속했으며, 전단이 계략으로 연나라 군대를 물리치고 나라를 회복했다.[85]

제 양왕의 뒤를 이은 제왕 건진나라와 친하게 지내며 다른 나라들이 멸망하는 것을 방관했다.[85] 결국 위나라를 제외한 모든 나라가 멸망하고 나서야 위협을 느꼈으나, 기원전 221년 진 시황제가 침공하자 항복하여 제나라는 멸망했다.[85]

2. 2. 1. 전제의 건국과 발전

기원전 386년에 전화강공을 몰아내고 제나라 제후가 되었다.[156] 위왕은 행정 개혁을 통해 국력을 증대시키고 왕을 칭했으며, 기원전 4세기에는 제 민왕이 진(秦)나라와 함께 동제, 서제로 불릴 정도로 강력한 세력을 자랑했다. 또한 송나라를 멸망시켰다.[158]

2. 2. 2. 쇠퇴와 멸망

제 민왕의 지나친 팽창 정책과 외교적 충돌은 연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제후 연합군의 침략을 불러왔다. 악의가 이끄는 연합군은 제나라를 멸망 직전까지 몰아넣었으며, 제 민왕은 이 과정에서 살해되었다.[85] 와 즉묵을 제외한 모든 성읍이 함락될 정도로 제나라는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85]

제 민왕의 아들 제 양왕이 즉위하여 항전을 계속했으며, 전단악의와 연나라 사이를 이간질하고, 새로 부임한 연나라 장수 기겁을 격파하여 제나라를 부흥시키는 데 성공했다.[85]

제 양왕의 뒤를 이은 제왕 건진나라와의 친선 관계를 유지하며 다른 나라들이 진나라에 의해 멸망하는 것을 방관하였다.[85] 결국 위나라를 제외한 모든 나라가 멸망하고 나서야 진나라의 위협을 인지하고 방어 태세를 갖추려 했으나, 기원전 221년 진 시황제의 침공을 막아낼 힘이 없었다.[85] 제왕 건은 스스로 항복하였고, 이로써 제나라는 멸망하였다.[85]

3. 역대 군주

제나라의 역대 군주는 강성(姜姓)의 강제(姜齊)와 전성(田姓)의 전제(田齊)로 나뉜다.

3. 1. 강제 (강성 왕조)

齊太公상(尚)11세기 무왕에게 봉해짐, 영취(營丘)에 도읍[99][100]정공
齊丁公급(伋)10세기태공의 아들전통적으로 태공의 아들로 여겨짐을공
齊乙公득(得)10세기정공의 아들계공
齊癸公자모(慈母)약 10세기을공의 아들애공
齊哀公불진(不辰)9세기계공의 아들 의왕에게 삶아 죽임을 당함호공
齊胡公정(靜)9세기계공의 아들보구(博姑)로 도읍을 옮김, 헌공에게 살해됨헌공
齊獻公산(山)859?–851계공의 아들도읍을 린치로 옮김무공
齊武公수(壽)850–825헌공의 아들려공
齊厲公무기(無忌)824–816무공의 아들호공의 아들의 지지자들에게 살해됨.문공
齊文公적(赤)815–804려공의 아들성공
齊成公열(說)803–795문공의 아들전장공
齊前莊公구(購)794–731성공의 아들64년간 재위희공
齊僖公록부(祿甫)730–698전장공의 아들향공
齊襄公제아(諸兒)697–686희공의 아들누이인 문강과 근친상간을 저지르고, 그의 남편인 노환공을 살해하고, 제나라를 정복하고, 사촌 무지에게 살해됨없음무지
無知686향공의 사촌, 전장공의 손자용린(雍林)에게 살해됨.환공
齊桓公소백(小白)685–643향공의 동생춘추오패 중 첫 번째, 제나라가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함. 신하들에게 굶어 죽음없음무규
無虧643환공의 아들소공의 지지자들에게 살해됨효공
齊孝公조(昭)642–633환공의 아들제나라의 태자소공
齊昭公범(潘)632–613환공의 아들그의 지지자들이 소공의 아들을 살해함없음
舍613소공의 아들삼촌 상인에게 살해됨의공
齊懿公상인(商人)612–609사의 삼촌, 환공의 아들두 신하에게 살해됨혜공
齊惠公원(元)608–599환공의 아들롱디 침략자들을 물리침경공
齊頃公무야(無野)598–582혜공의 아들진에게 안전(安전)에서 패배함령공
齊靈公환(環)581–554경공의 아들라이를 병합함; 진에게 평음 전투에서 패배, 도읍인 린치가 불탐후장공
齊後莊公광(光)553–548령공의 아들최주의 도움으로 야(牙)를 죽이고 즉위, 최주의 아내와 간통하다가 최주에게 살해됨제경공
齊景公저구(杵臼)547–490후장공의 이복형제최주를 죽임. 유명한 재상 안영을 재상으로 두었음안여자
安孺子차(荼)489경공의 막내아들천씨에 의해 폐위되고 도공에게 살해됨. 안여자라고도 불림도공
齊悼公양생(陽生)488–485경공의 아들신하, 아마도 전항에게 살해됨간공
齊簡公임(壬)484–481도공의 아들전항에게 살해됨평공
齊平公오(驁)480–456간공의 형제선공
齊宣公적(積)455–405평공의 아들강공
齊康公대(貸)404–386선공의 아들전씨의 제태공에게 폐위되고 379년에 죽음[101]


3. 2. 전제 (전씨 왕조)

기원전 386년에 전화강공을 몰아내고 제나라 제후가 되었다. 위왕은 행정 개혁을 통해 국력을 증대하며 왕을 일컬었고, 기원전 4세기에는 민왕이 진(秦)나라와 중국을 양분하여 동제, 서제를 일컬을 정도의 세력을 자랑했다. 또한 송나라를 멸망시켰다.

그러나 민왕의 지나친 팽창 정책과 외교적 충돌로 인해 연나라를 주축으로 하는 제후 연합군이 일어났고, 악의를 앞세운 연합군에 의해 제 민왕은 살해당했다. 즉묵과 거莒를 제외한 모든 성읍이 함락되며 멸망 위기에 놓였으나, 민왕의 아들 양왕이 즉위하여 항전을 이어갔다. 전단이 악의와 연나라 사이를 이간시키고, 새로 온 대장 기겁을 무찌르며 나라를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

양왕의 뒤를 이은 제왕 건은 진나라와 친교를 맺고 다른 나라들이 차례로 진나라에 멸망하는 것을 수수방관했다. 마침내 위나라를 제외한 모든 나라가 망하고 나서야 위협을 느꼈으나, 기원전 221년 진 시황제(진)의 침공을 막아낼 능력이 없었다. 결국 제왕 건이 항복하면서 제나라는 멸망하였다.

대수시호재위 기간비고
1태공화(和)기원전 386년 ~ 기원전 384년
2섬(剡)기원전 383년 ~ 기원전 375년
3환공오(午)기원전 374년 ~ 기원전 357년
4위왕인제(因齊)기원전 356년 ~ 기원전 320년
5선왕벽강(辟彊)기원전 319년 ~ 기원전 301년
6민왕지(地)기원전 300년 ~ 기원전 284년
7양왕법장(法章)기원전 283년 ~ 기원전 265년
8기원전 264년 ~ 기원전 221년


4. 문화

제나라는 춘추 전국 시대에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특히 사상과 학문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는데, 전국 시대에는 임치(臨淄)의 기자학당(稷下學宮)으로 유명했다. 당시 중국 전역의 저명한 학자들이 이곳을 방문했으며, 현대 학계에서는 기자학당을 물리적인 기관이 아니라 지적 활동에 종사하는 후원받는 학자들의 비공식적인 협력체로 이해하고 있다. 기자학파의 업적 중 하나는 『염철춘추(晏子春秋)』이다.[9]

공자(孔子)는 제나라에서 연주되는 소악의 완벽한 연주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8] 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소악은 노래와 춤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음악이었다.[132]

서주 시대에는 청동 예술이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었는데, 제나라에서 제작된 “풍굉(豊觥)”이나 “제후이(斉侯匜)”와 같은 청동기 명품이 알려져 있다. 제후이는 현재 상하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제후가 부인을 위해 만들게 한 수기라고 전해진다.

오기(吳起)는 저서 『무자(吳子)』에서 제나라 백성은 본성이 완고하고 나라가 부유하지만, 통치자와 관리들은 오만하고 백성을 돌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8]

4. 1. 경제와 사회

제나라는 현재의 산둥성 북부를 중심으로 춘추 전국 시대 동쪽의 강국이었으며, 어류와 소금 생산으로 경제적으로 부유했다.[124] 제철업도 성행했고 견직물 생산도 활발했다.[125]

춘추 전국 시대에는 품질 유지, 보관, 휴대가 용이한 청동 화폐가 일반화되었지만, 제나라에서는 , 연, 중산국과 마찬가지로 도전(도화)이 사용되었다.[126] 도전은 수렵이나 어로에 사용되는 작은 칼이 원형으로 추정된다.[127] 이 시기 중국에서는 관리병사 외에 일반 백성들도 노동의 대가로 화폐를 이용한 임금을 지급받기 시작했다. 『晏子春秋』에는 제나라 안영이 공사(公事)로 인해 백성들에게 임금을 지급했다는 기록이 있다.[128]

제나라의 수도 임치(臨淄)는 7만 호를 거느린 대도시였다. 상업이 발달하여 귀족들의 궁전과 종묘가 즐비했고, 시장에는 각지의 산물이 넘쳐났다.[131] 사람들은 우(竽), 금(琴), 서(瑟)와 같은 악기 연주를 즐겼고, 투계(闘鶏), 옥치기(玉けり), 장기(將棋)와 같은 오락을 즐겼다.[131] 거리는 마차가 끊임없이 오갔고, 사람들은 서로 어깨를 스칠 정도로 붐볐다고 전해진다.[131]

4. 2. 사상과 학문

제나라는 학문과 사상의 중심지로 유명했다. 특히 수도 린즈(臨淄)의 직문(稷門) 근처(稷下)에 위치한 '''직하학궁(稷下學宮)'''은 백가쟁명이라 불리는 다양한 사상과 학문이 교류하고 발전하는 장이 되었다.[133][134]

기원전 4세기 제나라의 전성기를 이끈 위왕과 선왕은 여러 지역의 학자들을 초빙하여 직하학궁에 머물게 하면서 학문과 사상 연구, 저술 활동을 지원했다.[133][134] 이들은 “직하의 학사”, “직하 선생” 등으로 불렸으며,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직하학궁의 학사 수는 위왕 때 72명, 선왕 때에는 약 1000명에 달했다고 한다.[136] 성선설로 유명한 맹자(孟子) 역시 제나라에 벼슬을 하러 왔으나,[137] 봉급만 받고 논쟁만 하는 학사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는 것을 거부하고 선왕의 스승으로서 대우받기를 원했다.

직하학궁의 학사들은 매일 토론을 벌였고, 이를 통해 다양한 사상과 학문이 접촉하고 상호 이해를 넓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학문을 '''직하의 학'''이라고 부른다. 직하의 학사들은 토론을 통해 변론술을 연마하고 논리를 발전시켰으며,[138] 이들은 전국 시대에 '''변자(弁者)''' 또는 '''찰자(察者)'''라고 불렸다. 제나라는 기원전 3세기까지 학문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139]

4. 3. 건축

제나라는 잘 정돈된 도시와 도로를 건설한 것으로 유명했다. 특히, 제나라의 수도 임치(臨淄)는 격자 모양으로 깔끔하게 정비된 도로와 직사각형 모양의 도시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궁궐은 남쪽을 향해 전략적으로 배치되었으며, 궁궐의 동쪽에는 조상 묘(종묘)가, 서쪽에는 신전이 위치하여 균형을 이루었다. 궁궐 앞에는 조정이, 뒤에는 도시가 있는 형태였다. 이러한 도시 설계 방식은 후대 도시 설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대 린즈 도시의 하수도 유적. 옛 제나라 성벽 아래를 지나간다.


'성읍'(城邑)으로 알려진 소규모 영지는 제나라 전역에 존재했다. 이들은 대개 남북으로 450m, 동서로 395m 크기였으며,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중앙에는 거의 완벽한 정사각형 모양의 안마당이 있었다.

제나라 만리장성(齊長城)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만리장성 중 하나이다. 기원전 441년에 진과 월의 공격을 막기 위해 건설이 시작되었고,[11] 전국 시대 동안 건설이 완료되어 주, 노, 초 등의 적대 국가로부터 제나라를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이 성벽은 오늘날 제남의 창칭 구 광리 마을에서 시작하여 산둥성 중부의 산맥을 가로질러 칭다오시의 황해까지 이어지며,[12] 총 길이는 약 600km이다.[13] 성벽의 대부분은 현재까지 남아 있다.

제나라의 장성


제나라의 장성

5. 천문학

제나라(齊)는 중국 별자리에서 두 가지 형태로 표현된다. 사상 중 하나인 현무(玄武)의 이십팔수 중 하나인 여자수에 속한 "열두 나라(十二國)" 별자리에서는 '''염소자리 키''' 별로 표현된다.[14] 또, 천시 구역의 "좌벽(左壁)" 별자리에서는 '''헤르쿨레스자리 112''' 별로 표현된다.[14]

6. 주요 인물

제나라는 태공망 강상으로부터 시작된 강제(姜齊)와 전완으로부터 시작된 전제(田齊) 두 시기로 나뉜다.

강제 시기 주요 인물로는 제 환공의 재상 관중, 제 경공의 재상 안영, 『손자병법』의 저자 손자, 『손빈병법』의 저자 손빈 등이 있다.

전제 시기에는 직하학궁에서 활동한 춘우곤, 맹자, 순자 등이 주요 인물로 꼽힌다. 전단은 연나라에 의해 멸망 직전까지 몰렸던 제나라를 구한 장수이다.

6. 1. 강제 주요 인물

6. 2. 전제 주요 인물

7. 주요 사건

다음은 제나라의 주요 사건들이다.

사건명내용
장공의 전투제나라 장공은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차례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다.
규구의 회맹환공이 주최한 회맹으로, 주나라 왕실로부터 제나라 환공이 패자 지위를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108]
강제 멸망강(姜)씨 제나라가 멸망하고, 전(田)씨가 제나라를 차지하게 된 사건이다.
계릉의 전투위위구조 고사의 유래가 된 전투로, 제나라가 조나라를 구하기 위해 위나라를 공격했다.[102]
마릉의 전투기원전 341년, 위나라와 제나라가 격돌한 전투이다. 제나라의 압승으로 끝나 위의 쇠퇴를 가져왔고, 제나라는 진나라와 함께 대륙을 양분하는 대세력으로 성장했다.
연나라 공격기원전 314년, 연나라에서 "자지의 난"이 발생하자, 제나라는 관장(匡章)을 보내 연나라를 공격했다.
추사(垂沙) 전투기원전 301년, 제나라, 한나라, 위나라가 연합하여 초나라를 공격해 대승을 거두었다.
함곡관 전투기원전 298년부터 기원전 296년까지 제나라, 한나라, 위나라가 합종하여 진나라의 함곡관을 공격했고, 진나라로부터 화의를 얻어냈다.
제진상호제(齊秦互帝)기원전 288년, 진나라 소양왕은 서제(西帝), 제나라 민왕은 동제(東帝)를 칭하며 조나라를 공격했다. 그러나 소대(蘇代)의 설득으로 민왕은 왕호를 다시 사용하게 되었고, 같은 해 진나라도 왕호를 회복했다.
송나라 멸망기원전 286년, 제나라는 송나라의 내란에 개입하여 송나라를 멸망시켰다.[110]
제서의 전투기원전 284년, 연나라, 진나라, 한나라, 조나라, 위나라 5국의 합종군이 제나라 군대를 대파한 전투이다.[111][112] 제나라는 수도 임치를 포함한 70여 개 성을 빼앗기고 거와 즉묵만 남게 되었다.[119][113]
전단의 복국전단(田單)이 활약하여 연나라에게 빼앗겼던 70여 성을 되찾은 사건이다.[119][118] 전단은 반간계를 사용하여 연나라 장군 악의를 해임시키고, 화우계를 이용해 연나라 군대를 격파했다.[113][117]
제나라 정벌기원전 221년, 진왕 정이 왕번(王賁)에게 제나라 정벌을 명령하여 제나라가 멸망했다.[123] 제나라 군대는 진나라 군대의 기습에 와해되었고, 전건(田建)은 항복했다.[121][122]


참조

[1] 백과사전 Qi – ancient state, China [771–221 BCE] https://www.britanni[...] 2008
[2] 서적 Xunzi: Basic Writing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3] 서적 The Springs and Autumns Period 1999
[4] 학술지 War and bureaucratization in Qin China: Exploring an anomalous case
[5] 학술지 Etymological Notes on Early Chinese Aristocratic Titles Brill 2021
[6] 서적 The Springs and Autumns Period 1999
[7] 서적 The Springs and Autumns Period 1999
[8] 서적 Analects
[9] 학술지 Debates around Jixia: Argument and Intertextuality in Warring States Writings Associated with Qi 2015
[10] 서적 Fodor's Exploring China Fodor's
[10] 서적 Atlas of World Heritage: China Long River Press
[11] 학술지 The Earliest 'Great Wall'? Long Wall of Qi Revisited http://yuri-pines-si[...] 2018
[12] 웹사이트 Ancient sites from Zhou Dynasty discovered in the Qi Great Wall in Shandong https://web.archive.[...] 2009-02-02
[13] 웹사이트 List of heritage sites in Shandong https://web.archive.[...] 2009-08-17
[14] 웹사이트 http://aeea.nmns.edu[...] 2006-06-24
[15] 학술지 What's in a Name? On the Sources concerning Sun Wu Academica Sinica 1992
[16] 문서 斉の太公呂尚は姜姓呂氏。先秦時代“姓”と“氏”は別のものだった。男子が氏を称した。姜姓には高氏、慶氏、斉氏、申氏、呂氏等がある。戦国時代には姓と氏が混同した。
[17] 문서 国号を氏とした。
[18] 문서 《春秋・荘公九年》:夏、公伐斉納子糾。斉小白入于斉。
[19] 문서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完卒,諡為敬仲。仲生稚孟夷。敬仲之如齊,以陳字為田氏。
[20] 문서 実際の爵位は侯であるが、桓公のように歴代君主の諡号は公となっている。
[21] 문서 亡命国家・代の滅亡は紀元前222年。
[22] 문서 紀元前226年には首都荊が落ち、壊滅状態となる。
[23] 서적 Xunzi: Basic Writings https://books.google[...] 2003
[24] 문서 《史記・卷四・周本紀第四》:二月甲子昧爽,武王朝至于商郊牧野,乃誓。武王左杖黄鉞,右秉白旄,以麾。曰:「遠矣西土之人!」武王曰:「嗟!我有國冢君,司徒、司馬、司空,亞旅、師氏,千夫長、百夫長,及庸、蜀、羌、髳、微、纑、彭、濮人,稱爾戈,比爾干,立爾矛,予其誓。」王曰:「古人有言『牝雞無晨。牝雞之晨,惟家之索』。今殷王紂維婦人言是用,自棄其先祖肆祀不答,昏棄其家國,遺其王父母弟不用,乃維四方之多罪逋逃是崇是長,是信是使,俾暴虐于百姓,以姦軌于商國。今予發維共行天之罰。今日之事,不過六歩七歩,乃止齊焉,夫子勉哉!不過於四伐五伐六伐七伐,乃止齊焉,勉哉夫子!尚桓桓,如虎如羆,如豺如離,于商郊,不御克奔,以役西土,勉哉夫子!爾所不勉,其于爾身有戮。」誓已,諸侯兵會者車四千乘,陳師牧野。
帝紂聞武王來,亦發兵七十萬人距武王。武王使師尚父與百夫致師,以大卒馳帝紂師。紂師雖眾,皆無戰之心,心欲武王亟入。紂師皆倒兵以戰,以開武王。武王馳之,紂兵皆崩畔紂。紂走,反入登于鹿臺之上,蒙衣其殊玉,自燔于火而死。武王持大白旗以麾諸侯,諸侯畢拜武王,武王乃揖諸侯,諸侯畢從。武王至商國,商國百姓咸待於郊。於是武王使群臣告語商百姓曰:「上天降休!」商人皆再拜稽首,武王亦答拜。遂入,至紂死所。武王自射之,三發而後下車,以輕劍撃之,以黄鉞斬紂頭,懸大白之旗。已而至紂之嬖妾二女,二女皆經自殺。武王又射三發,撃以劍,斬以玄鉞,懸其頭小白之旗。武王已乃出復軍。

[25] 문서 《史記・卷四・周本紀第四》:於是封功臣謀士,而師尚父為首封。封尚父於營丘,曰齊。封弟周公旦於曲阜,曰魯。封召公奭於燕。封弟叔鮮于管,弟叔度於蔡。餘各以次受封。
[26] 문서 《史記・卷四・周本紀第四》:於是武王已平商而王天下,封師尚父於齊營丘。東就國,道宿行遲。逆旅之人曰:「吾聞時難得而易失。客寢甚安,殆非就國者也。」太公聞之,夜衣而行,犁明至國。萊侯來伐,與之爭營丘。營丘邊萊。萊人,夷也,會紂之亂而周初定,未能集遠方,是以與太公爭國。
[27] 서적 アジア歴史事典
[28] 문서 《史記・卷四・周本紀第四》成王少,周初定天下,周公恐諸侯畔周,公乃攝行政當國。管叔、蔡叔群弟疑周公,與武庚作亂,畔周。周公奉成王命,伐誅武庚、管叔,放蔡叔。以微子開代殷後,國於宋。頗收殷餘民,以封武王少弟封為衛康叔。晉唐叔得嘉穀,獻之成王,成王以歸周公于兵所。周公受禾東土,魯天子之命。初,管、蔡畔周,周公討之,三年而畢定,故初作大誥,次作微子之命,次歸禾,次嘉禾,次康誥、酒誥、梓材,其事在周公之篇。周公行政七年,成王長,周公反政成王,北面就群臣之位。
[29] 문서 《史記・卷四・周本紀第四》成王在豐,使召公復營洛邑,如武王之意。
[30] 문서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太公至國,脩政,因其俗,簡其禮,通商工之業,便魚鹽之利,而人民多歸齊,齊為大國。及周成王少時,管蔡作亂,淮夷畔周,乃使召康公命太公曰:「東至海,西至河,南至穆陵,北至無棣,五侯九伯,實得征之。」齊由此得征伐,為大国。都營丘。
[31] 서적 周―理想化された古代王朝 中央公論新社 2016
[32] 문서 《春秋左氏傳 昭公十二年》:與之語曰:“昔我先王熊繹,與呂級、王孫牟、燮父、禽父,並事康王,四國皆有分,我獨無有。今吾使人於週,求鼎以為分,王其與我乎?”
[33] 문서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蓋太公之卒百有餘年,子丁公呂伋立。丁公卒,子乙公得立。乙公卒,子癸公慈母立。癸公卒,子哀公不辰立。
[34] 문서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哀公時,紀侯譖之周,周烹哀公而立其弟静,是為胡公。胡公徙都薄姑,而當周夷王之時。
[35] 문서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獻公元年,盡逐胡公子,因徙薄姑都,治臨淄。
[36]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37]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38]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39]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40]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41]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42] 문서 釐公と僖公の表記
[43] 서적 春秋左氏傳 隠公篇 春秋左氏傳
[44] 서적 春秋左氏傳 桓公篇 春秋左氏傳
[45]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46] 서적 春秋左氏傳 桓公篇 春秋左氏傳
[47] 서적 春秋左氏傳 桓公篇 春秋左氏傳
[48] 서적 春秋左氏傳 桓公篇 春秋左氏傳
[49]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50] 서적 春秋左氏傳 莊公篇 春秋左氏傳
[51] 서적 春秋左氏傳 莊公篇 春秋左氏傳
[52]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53] 문서 襄公殺害に関する史記と春秋左氏伝の記述の違い
[54]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55] 서적 春秋左氏傳 莊公篇 春秋左氏傳
[56]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57] 서적 春秋左氏傳 莊公篇 春秋左氏傳
[58]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59]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60] 서적 春秋左氏伝 荘公十三年 春秋左氏傳
[61]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62]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63] 서적 史記・卷三十四・燕召公世家第四 史記
[64]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65] 서적 史記・卷四十・楚世家第十 史記
[66]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67] 서적 韓非子・難一 韓非子
[68] 문서 齊桓公の死因
[69]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史記
[70] 서적 說苑 尊賢卷八 說苑
[71] 서적 春秋左氏傳 僖公十七年
[72]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73] 서적 春秋左氏傳 僖公十七年 s:春秋左氏傳/僖公
[74]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s:史記/卷032
[75]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s:史記/卷032
[76]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s:史記/卷032
[77]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s:史記/卷032
[78]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s:史記/卷032
[79]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s:史記/卷032
[80]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s:史記/卷032
[81] 서적 春秋左氏傳 成公二年 s:春秋左氏傳/成公
[82] 서적 春秋左氏傳 襄公篇 s:春秋左氏傳/襄公
[83] 문서 新編中国三千年暦日検索表
[84] 서적 春秋左氏傳・襄公・六年 zh:s:春秋左氏傳/襄公
[85]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s:史記/卷032
[86] 서적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 s:史記/卷046
[87] 서적 史記・卷六十四・司馬穰苴列傳第四 s:史記/卷064
[88] 서적 史記・卷六十四・司馬穰苴列傳第四 s:史記/卷064
[89] 서적 史記・卷六十四・司馬穰苴列傳第四 s:史記/卷064
[90]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s:史記/卷032
[91] 서적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 s:史記/卷046
[92]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s:史記/卷032
[93] 서적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 s:史記/卷046
[94]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s:史記/卷032
[95] 서적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 s:史記/卷046
[96]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s:史記/卷032
[97] 서적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 s:史記/卷046
[98] 서적 史記・卷六十四・司馬穰苴列傳第四 s:史記/卷064
[99] 서적 史記・卷三十二・斉太公世家第二 s:史記/卷032
[100] 서적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 s:史記/卷046
[101] 서적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 s:史記/卷046
[102] 서적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 s:史記/卷046
[103] 서적 戰國策巻八 邯鄲之難 s:戰國策/卷08#邯鄲之難
[104] 서적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 s:史記/卷046
[105] 서적 中國大百科全書•中國歷史Ⅰ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06] 서적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 https://zh.wikisourc[...]
[107] 서적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 https://zh.wikisourc[...]
[108] 서적 孟子
[109] 서적 資治通鑑 周紀卷四 https://zh.wikisourc[...]
[110] 서적 資治通鑑 周紀卷四 https://zh.wikisourc[...]
[111] 서적 史記・卷八十・樂毅列傳 第二十 https://zh.wikisourc[...]
[112] 서적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 https://zh.wikisourc[...]
[113] 서적 史記・卷八十・樂毅列傳 第二十 https://zh.wikisourc[...]
[114] 서적 史記・卷七十九・范雎蔡澤列傳 https://zh.wikisourc[...]
[115] 서적 戰國策・卷十三・齊策六 https://zh.wikisourc[...]
[116] 서적 史記 巻八十二 田單列傳 https://zh.wikisourc[...]
[117] 서적 史記 巻八十二 田單列傳 https://zh.wikisourc[...]
[118] 서적 史記 巻八十二 田單列傳 https://zh.wikisourc[...]
[119] 서적 新序・卷三・雜事第三 https://zh.wikisourc[...]
[120] 서적 資治通鑑 巻四 周紀四 https://zh.wikisourc[...]
[121] 서적 史記・卷四十六・田敬仲完世家第十六 https://zh.wikisourc[...]
[122] 서적 戰國策・卷十三・齊策六 https://zh.wikisourc[...]
[123] 서적 統一への道‐六国併合‐4
[124] 서적 入門 中国の歴史-中国中学校歴史教科書
[125] 서적 入門 中国の歴史-中国中学校歴史教科書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入門 中国の歴史-中国中学校歴史教科書
[132] 서적 入門 中国の歴史-中国中学校歴史教科書
[133] 서적 Taoism: The Enduring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1-02
[134]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135]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11-02
[136] 서적 The Confucian Quest for Order: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Political Thought of Xun Zi https://books.google[...] Brill (Boston)
[137] 서적 A History of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138] 웹사이트 Discourses on Salt and Iron, chapter XI http://www2.iath.vir[...] Ch'eng Wen 2015-10-25
[139] 서적 論天人之際:中國古代思想起源試探 http://vdisk.weibo.c[...] 聯經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140] 서적 Fodor's Exploring China Fodor's
[141] 서적 Atlas of World Heritage: China Long River Press
[142] 웹사이트 Ancient sites from Zhou Dynasty discovered in the Qi Great Wall in Shandong http://news.cultural[...] 2013-01-21
[143] 웹사이트 List of heritage sites in Shandong https://web.archive.[...] 2009-08-17
[144] 서적 Najwspanialsze miasta w dziejach świata Wydawnictwo Bosz
[145] 서적 The Grand Scribe's Records, vol. 7: "The Memoirs of Pre-Han China", 69 Indiana University Press
[146] 웹사이트 山東省006臨シ ~栄華きわめた春秋戦国「斉の都」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20-04-12
[14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221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2007
[148] 웹사이트 臨淄斉国故城勘探紀要 http://www.cnki.net/[...] 1972-05
[149] 문서 史記・斉太公世家
[150] 문서 史記・魯周公世家
[151] 문서 列女伝・孽嬖伝「魯荘哀姜」
[152] 문서 史記・晋世家
[153] 문서 史記・管晏列傳第二
[154] 문서 史記・管晏列傳第二
[155] 문서 春秋左氏伝・閔公二年
[156] 문서 史記・卷三十二・齊太公世家第二
[157] 문서 春秋左氏伝・宣公
[158] 문서 史記・管晏列傳第二
[159] 문서 春秋左氏伝・哀公14年
[160] 문서 史記・田敬仲完世家
[161] 서적 漢書・巻三十・芸文志
[162] 서적 中国孫臏拳 西苑出版社 2007-03
[163] 문서 史記索隠
[164] 문서 読孟嘗君伝
[165] 문서 史記・田敬仲完世家第十六
[166] 문서 代 (戦国)と趙 (戦国)と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