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대전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대전투단(RCT)은 특정 임무 수행을 위해 연대를 중심으로 임시로 편성되는 군사 조직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 육군에서 처음 도입되어, 보병 연대에 야전 포병, 공병, 의무, 통신 부대 등을 배속하여 운용되었다. 한국 전쟁에서도 사용되었으며, 미 육군에서는 1957년 펜토믹 구조 개편 때까지 유지되었다. 대한민국 육군에서도 미국의 영향을 받아 연대 전투단 개념을 도입했으나, 2020년 연대 개편으로 더 이상 활용되지 않는다. 미 해병대는 현재도 연대를 기본 부대로 유지하며, 필요에 따라 강화된 연대를 연대전투단으로 운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연대전투단
개요
연대전투단 패치
연대전투단
유형임시 부대
규모연대 규모
역할다양한 임무 수행 가능
역사
기원제2차 세계 대전
주요 사용 국가미국
구성
핵심 구성 요소보병 대대
포병 대대
기타 지원 중대
특징
유연성다양한 작전 환경에 적응 가능
자율성독립적인 작전 수행 능력 보유
임시 편성특정 임무 완수 후 해체 가능

2. 역사

연대전투단(RCT) 개념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처음 도입되었다. 당시 제158, 337, 442, 517보병연대 등이 이 방식으로 편성되어 전쟁이 끝날 때까지 임무를 수행했다.[1] 한국 전쟁에서는 제5연대 전투단이 투입되었다.

이 개념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도 유지되었고 RCT는 자체 견장을 받았다. 한국 전쟁 동안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제187공수연대 전투단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RCT는 1957년 육군이 펜토믹 구조로 재편될 때까지 유지되었으며, 이후 연대와 대대는 전술 부대에서 제외되고 전투단으로 대체되었다.[1]

미국 해병대는 연대를 사단보다 작지만 대대보다 큰 기본 부대로 유지하며, 이라크아프가니스탄에서 강화된 연대를 RCT로 운용하고 있다. 현재 미국 해병대 교리에 따르면 해병사단은 보통 3개의 해병 보병 연대를 포함하며, 해병 원정 여단(MEB)이 편성될 때마다 사단의 보병 연대 중 하나가 RCT의 기반으로 지정되어 MEB의 지상 전투 요소(GCE) 역할을 한다.

대령이 지휘하는 연대는 사령부 중대와 3개의 해병 보병 대대로 구성되며, RCT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사단 자산으로 강화된다. 증원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사령부 포대와 4개의 포병 포대(각각 6문의 155mm 견인 곡사포 포함)로 구성된 포병 대대 1개
  • 공격 상륙 중대(48대의 상륙 돌격 차량), 경장갑 정찰 중대(27대의 경장갑 차량), 전차 중대(14대의 주력 전차)로 구성된 장갑차 대대
  • 전투 공병 중대, 정찰 중대, 사령부, 통신 및 트럭 중대로 구성된 지원 중대


RCT는 MEB의 전투 물류 연대에 속하는 전투 물류 대대로부터 전담 물류 지원을 받는다. RCT는 약 4,500~5,000명의 해병 및 수병으로 구성되며, 미 육군 여단 전투단(BCT)과 비슷한 규모이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처음 도입되었다. 몇몇 연대를 뽑아 특정 임무나 전구 내에서의 목적을 위해 임시로 편성하였는데, 당시 제158, 337, 442, 517보병연대가 연대 전투단으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임시 편성되었다.

편성표 및 장비 1944년 제442연대 전투단


1939년, 미 육군은 공식적으로 사각 사단에서 삼각 사단으로 전환하여 여단을 폐지하고 연대를 사단의 기본 전투 부대로 남겨두었다. 그러나 육군은 또한 사단 규모보다 작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보병 부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연대 전투단(RCT)을 창설했다.[1] 제2사단은 삼각 사단 개념을 처음 시험한 부대로, 초기에 이 유형의 부대를 "종대"라고 불렀지만, 이 용어가 이미 일반적으로 인정된 군사적 정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전투단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전형적인 RCT는 보병 연대, 야전 포병 대대, 전투 공병 중대, 야전 의무 중대, 그리고 통신 소대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조직은 임무에 맞게 조정될 수 있으며, 별도 전차 대대의 중대, 대전차 대대의 중대, 그리고 대공 포병 대대의 포대와 같은 추가 부대가 포함될 수 있다.[1][2] 일반적으로 RCT는 보병 연대의 지휘관(대령)이 지휘했지만, 경우에 따라 준장이 파견되어 지휘하기도 했다. 사단에 속하지 않은 대부분의 보병 연대는 RCT로 편성되었지만, 전쟁 말에는 대부분의 보병 사단도 연대를 RCT로 편성했다.[1]

2. 2. 한국 전쟁

한국 전쟁에서는 제5연대 전투단이 투입되었다.

2. 3. 미국 육군

2006년 여단전투단 개념을 도입하였다.

1939년, 미 육군은 공식적으로 사각 사단에서 삼각 사단으로 전환하여 여단을 폐지하고 연대를 사단의 기본 전투 부대로 남겨두었다. 그러나 육군은 또한 사단 규모보다 작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보병 부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연대 전투단(RCT)을 창설했다.[1] 제2사단은 삼각 사단 개념을 처음 시험한 부대로, 초기에 이 유형의 부대를 "종대"라고 불렀지만, 이 용어가 이미 일반적으로 인정된 군사적 정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전투단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전형적인 RCT는 보병 연대, 야전 포병 대대, 전투 공병 중대, 야전 의무 중대, 그리고 통신 소대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조직은 임무에 맞게 조정될 수 있으며, 별도 전차 대대의 중대, 대전차 대대의 중대, 그리고 대공 포병 대대의 포대와 같은 추가 부대가 포함될 수 있다.[1][2] 일반적으로 RCT는 보병 연대의 지휘관(대령)이 지휘했지만, 경우에 따라 준장이 파견되어 지휘하기도 했다. 사단에 속하지 않은 대부분의 보병 연대는 RCT로 편성되었지만, 전쟁 말에는 대부분의 보병 사단도 연대를 RCT로 편성했다.[1]

이 개념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도 유지되었고 RCT는 자체 견장을 받았다. RCT는 한국 전쟁 동안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제187공수연대 전투단은 이 시대의 RCT의 전형적인 조직을 보여준다. RCT는 1957년 육군이 펜토믹 구조로 재편될 때까지 유지되었으며, 이 구조에서 연대와 대대는 전술 부대로서 폐지되고 전투단으로 대체되었다.[1]

2. 4. 대한민국 육군

군정기와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미국의 군사 개념을 받아들인 대한민국 육군은 연대 전투단 개념도 받아들였다. 평시에는 편성하지 않으며, 주기적으로 연대 전투단을 편성하여 운용할 수 있는지 연대장의 지휘 능력을 평가하는 연대전투단 훈련평가(Regiment combat Corps training Test영어)를 시행하였다. 조선인민군과의 전쟁이 재개되어 전시로 전환되면, 필요에 따라 임무를 부여받고 확대 편성되는 형태이다. 연대전투단의 일부는 공군의 전력을 배속받는다. 2020년 연말에 대한민국 육군의 모든 연대가 여단으로 개칭 및 개편되었으므로, 연대전투단 개념은 더 이상 활용되지 않는다.

3. 편성

연대전투단(RCT)은 평시 연대의 편제를 전시 상황에 맞춰 강화한 부대 편성이다. 연대본부, 연대본부중대, 3개의 보병대대는 그대로 유지되며, 수색중대, 전투지원중대, 통신중대, 의무중대 역시 연대 직할중대로서 연대전투단에 포함된다.

추가로, 사단 예하의 전차대대에서 전차중대가, 포병연대에서 포병대대가 배속된다.[4] 공병대대에서 공병중대, 화학대대에서 화학중대[5], 정비대대에서 정비중대, 방공대에서 방공소대가 각각 연대전투단에 추가 배속되어 전력이 강화된다.

3. 1. 미군

1939년, 미 육군은 사각 사단에서 삼각 사단으로 전환하면서 여단을 폐지하고 연대를 사단의 기본 전투 부대로 삼았다. 그러나 사단보다 작은 규모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보병 부대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연대 전투단(RCT)을 창설했다.[1] 제2사단은 삼각 사단 개념을 처음 시험한 부대였으며, 초기에는 "종대"라고 불렀으나, 이 용어가 이미 군사적 정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전투단이라는 용어가 공식 채택되었다.[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일반적인 RCT는 보병 연대, 야전 포병 대대, 전투 공병 중대, 야전 의무 중대, 통신 소대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임무에 따라 별도 전차 대대의 중대, 대전차 대대의 중대, 대공 포병 대대의 포대와 같은 부대가 추가되기도 했다.[1][2] 보통 RCT는 보병 연대의 지휘관(대령)이 지휘했지만, 준장이 파견되어 지휘하는 경우도 있었다. 사단에 속하지 않은 대부분의 보병 연대는 RCT로 편성되었고, 전쟁 말에는 대부분의 보병 사단도 연대를 RCT로 편성했다.[1]

이 개념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도 유지되었고 RCT는 자체 견장을 받았다. RCT는 한국 전쟁 동안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제187공수연대 전투단은 이 시대 RCT의 전형적인 조직을 보여준다. RCT는 1957년 육군이 펜토믹 구조로 재편될 때까지 유지되었으며, 이 구조에서 연대와 대대는 전술 부대로서 폐지되고 전투단으로 대체되었다.[1]

3. 2. 미 해병대

미국 해병대는 연대를 사단보다 작지만 대대보다 큰 기본 부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이라크아프가니스탄에서 강화된 연대를 연대전투단(RCT)으로 계속 운용하고 있다.[4]

현재 미국 해병대 교리에 따르면 해병사단은 일반적으로 3개의 해병 보병 연대를 포함한다. 해병 원정 여단(MEB)이 모(母) 해병 원정군(MEF) 내에서 편성될 때마다 사단의 보병 연대 중 하나가 연대전투단(RCT)의 기반으로 지정되어 MEB의 지상 전투 요소(GCE) 역할을 한다.

대령이 지휘하는 연대는 사령부 중대와 3개의 동일한 해병 보병 대대로 구성된다. 그런 다음 연대는 RCT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사단 자산으로 대폭 강화된다.

이러한 증원 부대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 사령부 포대와 각각 6문의 155mm 견인 곡사포를 포함하는 4개의 동일한 포대(사단의 자체 포병 연대에서 차출)로 구성된 포병 대대 1개[4]
  • 공격 상륙 중대(강화)(48대의 상륙 돌격 차량), 경(輕) 장갑 정찰 중대(강화)(27대의 경(輕) 장갑 차량) 및 전차 중대(강화)(14대의 주력 전차)로 구성된 장갑차 대대 상당수(각각 모(母) 사단의 자체 대대에서 차출)
  • 전투 공병 중대, 정찰 중대(각각 모(母) 사단의 자체 대대에서 차출) 및 사령부, 통신 및 트럭 중대에서 소대로 구성된 지원 중대로 구성된 전투 지원 대대 상당수(모(母) 사단의 사령부 대대에서 형성).
  • RCT는 MEB의 전투 물류 연대에 속하는 전투 물류 대대로부터 전담 물류 지원을 받는다.


따라서 RCT는 대략 같은 규모(약 4,500~5,000명의 해병 및 수병)이며 일반적으로 미 육군 여단 전투단(BCT)과 같은 수의 대대(및 대대 상당수)를 갖는다. 그러나 MEB의 지상 전투 요소(GCE)인 RCT는 연대 상당수의 해병 항공 그룹(자체적으로 미 육군 항공 전투 여단에 해당)과 공중 전투 요소(ACE), 대대 규모의 지휘 요소(CE) 및 앞서 언급한 전투 물류 연대(LCE)와 결합되어 MEB의 조직 구조를 완성한다.

3. 3. 대한민국 육군 (과거)

군정기와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미국의 군사 개념을 받아들인 대한민국 육군은 연대 전투단 개념도 받아들였다. 평시에는 편성하지 않으며, 주기적으로 연대 전투단을 편성하여 운용할 수 있는지 연대장의 지휘 능력을 평가하는 연대전투단 훈련평가(Regiment combat Corps training Test영어)를 시행하였다. 조선인민군과의 전쟁이 재개되어 전시로 전환되면, 필요에 따라 임무를 부여받고 확대 편성되는 형태이다. 연대전투단의 일부는 공군의 전력을 배속받는다. 2020년 연말에 대한민국 육군의 모든 연대가 여단으로 개칭 및 개편되었으므로, 연대전투단 개념은 더 이상 활용되지 않는다.

연대 (평시)연대전투단비고
연대본부연대본부
연대본부중대연대본부중대연대 직할중대
제1보병대대제1보병대대
제2보병대대제2보병대대
제3보병대대제3보병대대
수색중대수색중대연대 직할중대
전투지원중대전투지원중대연대 직할중대
통신중대통신중대연대 직할중대
의무중대의무중대연대 직할중대
전차중대사단 전차대대에서 배속
포병대대[4]사단 포병연대에서 배속
공병중대사단 공병대대에서 배속
화학중대[5]사단 화학대대에서 배속
정비중대사단 정비대대에서 배속
방공소대사단 방공대에서 배속


참조

[1] 서적 The Brigade: A History, Its Organization and Employment in the US Army Combat Studies Institute,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04
[2] 서적 US Army Infantry Divisions 1943-45: Organization, Doctrine and Equipment Helion & Company 2012
[3] 웹인용 (전쟁사 돋보기) 연대전투단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1-25
[4] 문서
[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