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세대학교 의료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세대학교 의료원은 1885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호러스 뉴턴 앨런에 의해 설립된 광혜원에서 시작되어, 제중원, 세브란스병원을 거쳐 발전해왔다. 1957년 연희대학교와 통합하여 연세대학교 의료원으로 개명되었으며,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등을 산하 기관으로 두고 있다. 의료 소외 계층 지원과 국제 보건 의료 협력 등 사회적 기여를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5년 설립된 병원 - 세브란스병원
    세브란스병원은 1885년 광혜원으로 시작하여 루이스 헨리 세브란스의 기부로 세브란스 기념병원으로 개칭되었고, 현재 신촌을 중심으로 여러 병원을 운영하며 송도세브란스병원을 건설하고 있다.
  • 1885년 설립된 병원 - 제중원
    제중원은 갑신정변 이후 서양 의학 도입 필요성에 따라 1885년 설립된 조선 최초의 서양식 국립병원으로, 의료 선교사들이 진료를 담당하고 의학당을 설립하여 의료 인력을 양성했으며, 이후 세브란스병원으로 이어져 한국 근대 의학 발전에 기여했지만, 후신을 두고 논란이 있다.
  • 서울 서대문구 - 세브란스병원
    세브란스병원은 1885년 광혜원으로 시작하여 루이스 헨리 세브란스의 기부로 세브란스 기념병원으로 개칭되었고, 현재 신촌을 중심으로 여러 병원을 운영하며 송도세브란스병원을 건설하고 있다.
  • 서울 서대문구 - 신촌
    신촌은 서울의 대학 밀집 지역으로, 한때 서울의 주요 상권이었으나 침체기를 겪고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과 축제 개최를 통해 다시 활기를 되찾았으며, 현대백화점 등 쇼핑 시설과 대중교통 접근성을 갖춘 곳이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연세대학교 의료원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연세대학교 의료원
영어 명칭Severance Hospital of the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한글 명칭연세대학교 의료원
한자 명칭延世大學校 醫療院
가타카나 명칭용세테핫쿄 위료원
히라가나 명칭엔세이다이가쿠 료인
기본 정보
명칭연세대학교 의료원
영어 명칭Severance Hospital
종류종합병원
개원1885년
전신광혜원
상급 기관연세대학교
위치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1
웹사이트연세대학교 의료원 공식 웹사이트
특이 사항JCI 인증 획득
조직
산하 병원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치과대학병원
표방 진료과종합
시설 규모
허가 병상 수3700
역사 - 등록문화재
등록문화재 명칭앨런의 진단서
지정 번호445
소재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제작 시기1895년 9월 13일
지정일2009년 10월 12일
등록문화재 명칭앨런의 검안경
지정 번호446
소재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제작 시기1870년대
지정일2009년 10월 12일
등록문화재 명칭제중원 1차년도 보고서
지정 번호447
소재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제작 시기1886년
지정일2009년 10월 12일
등록문화재 명칭에비슨의 수술장면 유리건판 필름
지정 번호448
소재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제작 시기미상
지정일2009년 10월 12일
등록문화재 명칭분쉬의 외과도구
지정 번호450
소재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제작 시기미상
지정일2009년 10월 12일

2. 연혁

1885년 미국 북장로교에서 파견된 앨런 박사에 의하여 광혜원이 설립되었고, 같은 해에 '''제중원'''으로 개칭되었다.[1] 1886년에는 최초의 의학생을 선발하였다.[1] 1904년 제중원을 기반으로 한국 최초의 종합병원인 세브란스 병원이 설립되었다.[1]

1909년 사립 세브란스 의학교로 교명이 제정되었고, 1917년 사립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로 인가받았으나, 조건부 10년 기한의 인가였다. 1923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로 재인가받았으나, 1942년 일제강점기 적산재산몰수정책에 의하여 아사히의학전문학교로 변경되었다.[1] 1945년 광복 이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명칭을 회복하였고, 1947년 세브란스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1]

1957년 연희대학교와 통합되어 연세대학교로 개명되었다.[1] 이후 1967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1968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이 설치되었으며, 1978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원주분교가 설치되었다.[1] 1983년 영동병원, 용인광주분원이 개원하였고, 1991년 세브란스병원 심장혈관센터가 개원하였다. 1993년 광주세브란스병원이 폐쇄되었고, 2008년 영동세브란스병원이 강남세브란스병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9년 대한민국 최초로 존엄사가 시행되었다.[1]

2. 1. 설립 초기 (1885년 ~ 1904년)

1885년 미국 북장로교에서 파견된 앨런 박사에 의하여 광혜원이 서울특별시종로구 재동에 설립되었다.[1] 같은 해에 '''제중원'''으로 개칭되었다.[1] 1886년에는 최초의 의학생을 선발하였다.[1]

1904년 제중원을 기반으로 한국 최초의 종합병원인 세브란스 병원이 도동에 설립되었다.[1]

광혜원


1930년경 세브란스 병원

2. 2. 세브란스 병원 설립과 발전 (1904년 ~ 1957년)

1904년, 미국 사업가 세브란스(Louis H. Severance)의 기부로 제중원을 기반으로 한국 최초의 종합병원인 세브란스 병원이 신축되었다. 세브란스 병원에는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가 설치되어 한국 서양 의학의 발전에 선구적으로 기여했다.[1]

연도내용
1904년세브란스 병원으로 개칭 (남대문 밖 복숭아골)
1909년사립 세브란스 의학교 인가
1917년사립 세브란스 연합 의학 전문학교 인가 (조건부 10년 기한)
1923년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재인가
1942년아사히의학전문학교로 변경 (적산재산몰수정책에 의하여 교명 변경)
1945년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명칭 회복
1947년세브란스의과대학으로 승격
1957년연희대학교와 통합되어 연세대학교로 개명[1]


2. 3. 연세대학교 통합 이후 (1957년 ~ 현재)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과대학이 통합되어 연세대학교로 개명되었다.[1] 이후 연세대학교 의료원은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왔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67년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설치
1968년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설치
1978년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원주분교 설치
1983년영동병원 개원, 용인시광주분원 개원
1991년세브란스병원 심장혈관센터 개원
1993년광주세브란스병원 폐쇄
2008년영동세브란스병원 -> 강남세브란스병원으로 명칭 변경
2009년대한민국 최초 존엄사 시행[1]


3. 구성 기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세브란스병원(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강남 세브란스병원(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 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등으로 구성된다. 연세대학교 본교가 있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과 강남 세브란스병원이 있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211, 용인세브란스병원이 있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학로 225 등에 산재되어 있다.

연세대학교에는 의과대학(의학부), 치과대학(치학부), 간호대학(간호학부)이 있으며, 여러 병원이 부속되어 있다. 주요 구성 병원은 다음과 같다.

4. 사회적 기여

(이전 단계에서 출력된 내용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따라서 빈 내용을 출력합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