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전문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제전문학교는 일제강점기 일본에서 시행된 전문학교령에 따라 설립된 고등 교육 기관을 의미한다. 1903년 전문학교령 공포 이후, 중학교 졸업자 또는 고등여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3년 이상의 교육 과정을 제공했으며, 예과, 연구과, 별과 설치가 가능했다. 일제강점기 동안 전문학교는 식민지 지배 체제를 강화하고 친일 인력을 양성하는 데 기여했으며, 해방 이후에는 신제 대학으로 개편되거나 폐교되었다. 현대 한국의 전문대학은 구제전문학교와는 다른 교육 체계로 운영되며, 직업 교육을 통해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구제교육기관 -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 (일본)는 1868년 교토에 설립되어 프랑스식, 프로이센식 교육 제도를 거쳐 장교를 양성하다가 1945년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일본 방위대학교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 일본의 구제교육기관 - 구제중학교
구제중학교는 일본 중학교령에 따라 설립된 5년제 후기 중등 교육 기관으로, 엘리트 등용문으로 여겨졌으나 1947년 학제 개혁으로 폐지되어 신제 고등학교로 개편되었고, 일제강점기 조선의 유사 학교들도 해방 후 학제 개혁을 거쳐 신제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 - 일본의 구제전문학교 - 경성법학전문학교
일제강점기 조선의 법조인 양성 기관인 경성법학전문학교는 1895년 법관양성소에서 시작하여 경성전수학교를 거쳐 1922년 관립으로 승격되었으며, 해방 후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의 전신이 되었다. - 일본의 구제전문학교 - 경성여자사범학교
경성여자사범학교는 1935년 설립되어 1946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 통합된 대한민국의 옛 교육 기관이며, 1943년 전문학교로 승격되어 경성여자사범대학으로 변경되었다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 병합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교육 - 구제중학교
구제중학교는 일본 중학교령에 따라 설립된 5년제 후기 중등 교육 기관으로, 엘리트 등용문으로 여겨졌으나 1947년 학제 개혁으로 폐지되어 신제 고등학교로 개편되었고, 일제강점기 조선의 유사 학교들도 해방 후 학제 개혁을 거쳐 신제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교육 - 조선교육령
조선교육령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교육 제도를 규정한 법령으로, 조선인을 위한 교육을 규정하였으나 일본인과의 차별, 일본 중심 교육, 민족 의식 말살 정책 강화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현재는 효력을 상실하였다.
구제전문학교 | |
---|---|
개요 | |
유형 | 고등 교육 기관 |
존속 기간 | 1903년 ~ 1949년 |
폐지 | 신제 대학로 개편 |
설치 근거 | 전문학교령 |
역사적 배경 | |
설립 목적 | 실업학교 졸업생의 진학 및 전문 직업인 양성 |
시대적 요구 | 산업화에 따른 고등 전문 인력 필요성 증대 |
특징 | |
교육 과정 | 전문 분야 심화 교육, 실천적 능력 배양 |
입학 자격 | 중학교, 실업학교 졸업생 |
졸업 후 진로 | 전문 직업 분야 진출, 고등학교 교원 자격 취득 (일부) |
종류 | |
관립 전문학교 | 국가가 설립 및 운영 |
공립 전문학교 | 도도부현, 시가 설립 및 운영 |
사립 전문학교 | 법인 또는 개인이 설립 및 운영 |
대표적인 구제 전문학교 | |
관립 | 고등공업학교 고등상업학교 의학전문학교 사범학교 여자고등사범학교 농림전문학교 |
공립 | 공립의학전문학교 공립농업전문학교 |
사립 | 일본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와세다대학 호세이 대학 메이지 대학 주오 대학 국학원 대학 고쿠시칸 대학 니혼 여자 대학 |
관련 법령 | |
근거 법령 | 전문학교령 |
폐지 법령 | 학교교육법 |
2. 일제강점기 이전
1879년 9월 29일 일본에서 교육령이 제정되면서 전문학교가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이후 1903년 3월 27일 전문학교령이 공포되면서 전문학교가 정식으로 제도화되었다. 전문학교는 "고등의 학술·기예를 가르치는 학교"로 정의되었으며, 중학교 졸업자 등이 입학할 수 있었다. 1903년 3월 31일에는 "공사립 전문학교 규정"과 "전문학교 입학자 검정 규정"이 공포되어 전문학교 운영에 대한 상세한 사항이 정해졌다.
2. 1. 조선시대
대한제국 시절 농상공학교 등 여러 관립 학교가 설립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이 학교들은 일제가 시행한 전문학교 규칙에 따라 개편되었다.[11][12][13]3. 일제강점기 전문학교
1903년(메이지 36년) 3월 27일, 일본에서 전문학교령이 공포되면서 전문학교가 제도화되었다. 전문학교는 "고등 학술·기예를 가르치는 학교"로 정의되었으며, 수업 연한은 3년 이상이었다. 입학 자격은 남자의 경우 중학교 졸업자, 여자의 경우 수업 연한 4년 이상의 고등여학교 졸업자로 제한되었다. 다만, 음악 및 미술 관련 학교는 별도의 입학 규정이 적용되었다.
전문학교령 시행으로 도쿄 외국어학교, 도쿄 미술학교, 도쿄 음악학교를 포함한 5개의 의학전문학교가 전문학교령에 따른 학교로 인정받았다. 1928년(쇼와 3년) 1월에는 전문학교령 제1조에 "인격 도야 및 국체 관념 양성에 유의해야 한다"는 문구가 추가되었다.
일제강점기 전문학교는 일제의 식민 통치와 전쟁 수행을 위한 인력 양성 기관으로 활용되었다. 초기에는 식민 통치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관립 전문학교들이 설립되었고, 이후에는 전시 체제 하에서 군수 산업 및 전쟁 수행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전문학교가 확충되었다.
구제전문학교는 3년제 과정으로 운영되었지만, 교양 과목과 전문 과목을 병행하여 가르쳤기 때문에 교양 교육은 전문 과목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과목을 중심으로 간소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실무가 양성을 목표로 하였기에 실무적인 과목도 가르쳤다. 졸업생들은 대학에 진학하기보다는 기업이나 관공서 등에 취업하여 사회로 진출하였다.
3. 1. 초기 (1910년대~1920년대 초)
일제강점기 초기(1910년대~1920년대 초), 조선총독부는 식민 통치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관립 전문학교들을 설립했다. 이 학교들은 대부분 대한제국 시절 조선 정부가 세운 농상공학교 등 관립 학교를 개편한 것이었다.대표적인 관립 전문학교로는 경성법학전문학교, 경성의학전문학교, 경성공업전문학교, 수원농림전문학교 등이 있었다.
한편, 미국 선교사들이 설립한 사립 학교들은 전문학교로 인정받지 못하고 규제를 받았다. 그러나 이들은 힘을 모아 재단법인을 설립함으로써 전문학교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연희전문학교,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보성전문학교 등이 대표적인 사립 전문학교였다.
3. 1. 1. 관립
- 경성법학전문학교 (1922): 경성전수학교[11] (1911)에서 승격.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전신이다.
- 경성의학전문학교 (1916): 조선총독부 의학강습소 (1913)에서 승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이다. 북한의 동명 학교와는 관계가 없다.
- 경성공업전문학교 (1915): 조선총독부 중앙공업사 부설 공업전습소 특별과로 시작.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전신이다.
- 수원농림전문학교 (1917): 조선총독부 부설 수원 권업모범장 부설 농림학교로 시작.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의 전신이다.
3. 1. 2. 사립
- 연희전문학교(1917년): 경신학교 대학부에서 변경되었다. 1944년 관립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로 개편되었다. 현 연세대학교로 승격되었다.[12]
-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1917년): 세브란스연합의학교에서 변경되었다. 1942년 사립 아사히 의학전문학교로 개편되었다. 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13]
- 보성전문학교(1921년): 이용익이 1905년 세운 보성전문학교에서 변경되었다. 현 고려대학교로 승격되었다.
3. 2. 중기 (1920년대~1930년대)
1922년 제2차 조선교육령 이후 기존의 관립, 사립 학교들이 전문학교로 승격 또는 변경되었다. 일제는 전문학교를 통해 식민지 지배 체제를 강화하고, 친일 인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구분 | 학교명 | 설립 연도 | 비고 |
---|---|---|---|
관립 | 경성고등상업학교 | 1922 | 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및 경제학과 |
공립 | 평양의학전문학교 | 1933 | 현 평양의학대학 |
공립 | 대구의학전문학교 | 1933 | 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
사립 | 이화여자전문학교 | 1925 | 현 이화여자대학교 |
사립 | 숭실전문학교[14] | 1925 | 현 숭실대학교 |
사립 |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 | 1929 | 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
사립 | 경성약학전문학교 | 1930 | 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사립 | 중앙불교전문학교 | 1930 | 현 동국대학교[15] |
사립 | 명륜전문학교 | 1942 | 현 성균관대학교 |
3. 2. 1. 관립
경성고등상업학교(1922년): 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사립전문학교로 인가받았다. 1918년 4월 1일 학교 이름을 변경한 후 1922년 관립으로 승격되었다. 현재의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및 경제학과의 전신이다.3. 2. 2. 공립
- 평양의학전문학교 (1933): 평양의학강습소에서 승격. 현 평양의학대학으로 승격되었다.
- 대구의학전문학교 (1933): 대구의학강습소에서 승격. 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
3. 2. 3. 사립
이화여자전문학교는 1925년 이화학당 대학과에서 승격되었다. 1944년 폐교되어 연성소로 운영되다가 1945년 사립 경성여자전문학교로 변경되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로 승격되었다. 숭실전문학교[14]는 1938년 자진 폐교 후 분단 이후 서울로 이전하여 대학기관으로 승격되어 숭실대학교가 설치되었다.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1929)는 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으로 승격되었고, 경성약학전문학교(1930)는 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중앙불교전문학교(1930)는 현 동국대학교로 승격되었다.(총독부 학부 정식 인가는 1940년)[15] 명륜전문학교(1942)는 전문학교급으로 승격 후, 사립 공자묘 명륜전문학교에서 1946년 9월 성균관대학으로 변경되었다.3. 3. 중일전쟁 및 태평양전쟁 시기 (1930년대 후반~1945년)
일제강점기 말,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수행하던 일제는 전시 체제 하에서 군수 산업 및 전쟁 수행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전문학교를 확충하였다. 이 시기 전문학교는 민족 교육의 기능을 상실하고, 일제의 전쟁 도구로 전락하였다. 1944년에는 사범학교 입학 자격이 초등학교(보통학교) 졸업자에서 중학교(고등보통학교) 졸업자로 바뀌면서 전문학교급으로 승격되었다.3. 3. 1. 관립
- 경성광산전문학교 (1939): 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16]
- 부산고등수산학교 (1941): 부산수산대학으로 승격 후 개편하여 현 부경대학교가 되었다.[17]
- 평양공업전문학교 (1944): 김일성종합대학으로 승격 및 공학부를 김책공업종합대학으로 재분리하였다.
- 대구농업전문학교 (1944): 현 경북대학교 농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
3. 3. 2. 공립
광주의학전문학교(1944년)는 현 전남대학교 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3. 3. 3. 사립
4. 해방 이후
해방 이후, 미 군정은 일제강점기 전문학교 제도를 개편하고, 한국의 교육 체계를 재정비했다. 1949년, 구제 전문학교 중 국립 전부와 공사립 대부분이 신제 대학으로 개편되었고[1], 1950년에는 대학으로 개편되지 않은 일부 학교가 단기 대학으로 개편되었다. 전문학교는 한국의 산업화와 경제 발전에 필요한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일부는 신제 대학으로 승격되거나 기존 대학에 흡수 통합되어 한국 고등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4. 1. 신제 대학으로의 개편 (1949년)
1949년 국립학교 설치법에 의해 신제 국립대학에 국립(일부 공립) 구제 전문학교가 포함되어 새롭게 설치된 학부의 모체가 되었다. 구제 전문학교 재학생은 수업 연한이 종료될 때까지 신제 대학 하에서 구제 전문학교로 존속되었다. 다음은 신제 대학으로 개편된 구제 전문학교의 일부이다.- 1912년 도쿄 여자 의학 전문학교
- 1925년 제국 여자 의학 전문학교 → 제국 여자 의학 약학 전문학교 → 도호 여자 의학 약학 전문학교 (도호 대학)
- 1928년 오사카 여자 고등 의학 전문학교 (오사카 여자 의과대학 → 간사이 의과대학)
- 1938년 경성여자 의학전문학교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4. 2. 단기 대학으로의 개편 (1950년)
1950년, 대학으로 개편되지 않은 공사립 구제전문학교 일부가 단기 대학으로 개편되었다. 신제 대학, 단기 대학으로 개편되지 않은 학교들은 폐교되었다.[1]4. 3. 현대 한국의 전문대학
현대 한국의 전문대학은 고등 교육 수준의 직업 교육을 제공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전문대학은 2년제 또는 3년제 교육 과정을 운영하며, 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졸업생들의 취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일부 전문대학은 4년제 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여 고등 직업 교육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있다. 전문대학은 지역 사회와 산업체의 수요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고, 평생 교육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5. 평가 및 과제
구제전문학교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일제강점기에도 민족 교육의 맥을 이어갔으며, 해방 후 한국 사회의 재건과 발전에 필요한 인재를 길러냈다는 점이 있다. 또한 산업화 시대에 필요한 기술 인력을 제공하고, 고등 교육을 대중화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하는데, 구제전문학교는 일제강점기 식민 통치의 도구로 이용되었으며, 민족 교육을 탄압하고 친일 인력을 양성하는 데 악용되었다는 점이다.[1] 해방 이후에도 전문학교는 대학 중심의 교육 체제 하에서 차별과 소외를 경험했다.[1]
따라서 일제강점기 전문학교의 친일 잔재를 청산하고, 민족 교육의 정체성을 회복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전문학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여, 전문학교가 한국 사회의 발전에 더욱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1. 긍정적 측면
전문학교는 일제강점기에도 민족 교육의 맥을 이어갔으며, 해방 후에는 한국 사회의 재건과 발전에 필요한 인재를 길러내는 데 이바지했다. 또한 산업화 시대에 필요한 기술 인력을 제공하고, 고등 교육을 대중화하는 데에도 기여했다.5. 2. 부정적 측면
구제전문학교(일본어: 舊制專門學校일본어)는 일제강점기 식민 통치의 도구로 이용되었으며, 민족 교육을 탄압하고 친일 인력을 양성하는 데 악용되었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1] 해방 이후에도 전문학교는 대학 중심의 교육 체제 하에서 차별과 소외를 경험했다.[1]5. 3. 과제
일제강점기한국어 전문학교의 친일 잔재를 청산하고, 민족 교육의 정체성을 회복해야 한다. 전문학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여, 전문학교가 한국 사회의 발전에 더욱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참조
[1]
웹사이트
6 Reforms in Vocational Education: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2022-06-18
[2]
법률
学校教育法第126条の2
[3]
서적
全国上級学校大観
欧文社編輯部
1938-00-00 #년도만 추출 가능
[4]
서적
震災後の東京学校遊学案内 : 附・苦学生の就職案内
森山正雄
1924-00-00 #년도만 추출 가능
[5]
서적
高等学校・専門学校・大学予科入学試験問題詳解 : 附・入学試験要項競争率一覧. 昭和11年度
欧文社指導部
1936-00-00 #년도만 추출 가능
[6]
서적
教育行政撮要
1937-00-00 #년도만 추출 가능
[7]
서적
全国上級学校大観
欧文社編輯部
1938-00-00 #년도만 추출 가능
[8]
서적
横浜高等工業学校一覧. 昭和12年昭和13年(第18年)
横浜高等工業学校
1937-00-00 #년도만 추출 가능
[9]
서적
全国上級学校大観
欧文社編輯部
1938-00-00 #년도만 추출 가능
[10]
서적
外地の医学校
メディカルビュー社
2009-00-00 #년도만 추출 가능
[11]
문서
1912년부터 고등보통학교 졸업자 입학
1912-00-00 #년도만 추출 가능
[12]
문서
연세대학교 학교 연혁 (1915년 3월 5일 사립 조선기독교 대학 설립)
1915-03-05
[13]
문서
개신교 교파간 연합 설명
[14]
문서
숭실대학 설립 및 개편 (1912년 설립, 1925년 문과 전문학교로 개편)
1912-00-00 #년도만 추출 가능
[15]
문서
혜화전문학교로 명칭 변경
1940-00-00 #년도만 추출 가능
[16]
문서
부산수산전문학교로 명칭 변경
1944-00-00 #년도만 추출 가능
[17]
문서
대동공업전문학교 설립 배경 (1938년 숭실전문학교 폐교 후 설립)
1938-00-00 #년도만 추출 가능
[18]
문서
일본정부 후생성 인정 (1945년 일본 의사 인정)
1945-00-00 #년도만 추출 가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