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염소 소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소 소독은 물에 염소를 첨가하여 세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등 병원체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1890년대에 처음 제안되어 20세기 초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콜레라, 장티푸스, 이질과 같은 질병을 예방하는 데 기여했다. 염소는 강력한 산화제로서 미생물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살균하며, 물에 용해되면 차아염소산과 염산으로 변환된다. 염소 소독은 소독 부산물 생성, 맛과 냄새 문제 등의 단점이 있지만, 잔류 염소를 통해 소독 효과를 유지하고, 염소 제거제를 사용하여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수영장 등의 충격 염소 소독은 박테리아와 조류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며, 염소 가스 누출 사고의 위험성도 존재한다.

2. 역사

염소 소독은 1800년대부터 연구되기 시작하여,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걸쳐 실용화되었다.

1894년 물에 염소를 첨가하여 "세균이 없는" 상태로 만드는 방법이 제안되었고,[3] 1893년 독일 함부르크에서 수처리 시설에 염소 처리를 시도했다.[4] 1897년 영국 메이드스톤시는 전체 수돗물 공급에 염소를 사용한 최초의 도시였다.[4]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의 벨몬트 필터 공장에서는 찰스 프레데릭 윌리스가 발명한 염소 처리기를 사용하여 수돗물을 소독했다. 이 기계는 1913년부터 월리스 & 티어난 회사에서 제조되었다.[12] 1941년까지 염소 가스를 이용한 미국의 식수 소독은 차아염소산 칼슘 사용을 대체했다.[13][14]

1921년 일본 도쿄오사카에서 염소 소독이 시작되었다.[29] 이는 일제강점기 조선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수돗물 소독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염소 가스 대신 차아염소산 칼슘을 사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1941년 이후 미국에서 염소 가스 소독 방식이 주류를 이루면서 한국에서도 점차 염소 가스 소독 방식이 도입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2. 1. 초기 역사

1894년 물에 염소를 첨가하여 "세균이 없는" 상태로 만드는 것이 공식적으로 제안되었다. 다른 두 권위자가 이 제안을 지지하여 1895년에 여러 논문에 발표되었다.[3] 1893년 독일 함부르크에서 수처리장에 물 염소 처리를 구현하려는 초기 시도가 있었다. 1897년 영국 메이드스톤시는 전체 수돗물 공급에 염소를 처리한 최초의 도시였다.[4]

1905년 영국 링컨에서 고장난 느린 모래 여과와 오염된 수돗물 공급으로 인해 심각한 장티푸스 열병이 발생하여, 영구적인 물 염소 처리가 시작되었다.[5] 알렉산더 크루익생크 휴스턴은 이 전염병을 막기 위해 염소 처리를 사용했다. 그의 설비는 소위 "염소 처리된 석회"(차아염소산 칼슘, 수산화 칼슘염화 칼슘의 혼합물)의 농축 용액을 처리 중인 물에 공급했다. 이것은 단순히 현대적인 염화 칼슘이 아니라, 석회수(희석된 수산화 칼슘)에 용해된 염소 가스를 포함하여 차아염소산 칼슘(염소 처리된 석회)을 형성했다. 수돗물 염소 처리는 전염병을 막는 데 도움이 되었고, 예방책으로 새로운 수돗물 공급이 개시될 때까지 1911년까지 염소 처리가 계속되었다.[6]

20세기 초의 수질 정화를 위한 염소 액화용 수동 제어 염소 처리기. 조지프 레이스의 ''물의 염소 처리'', 1918년에서 발췌


미국에서 소독을 위해 염소를 처음으로 지속적으로 사용한 것은 1908년 뉴저지주 저지시티의 공급원 역할을 했던 로커웨이 강의 분턴 저수지에서였다.[7] 염소 처리는 0.2~0.35ppm의 용량으로 석회 염화물(차아염소산 칼슘) 희석 용액을 제어된 방식으로 첨가하여 이루어졌다. 이 처리 과정은 존 L. 리얼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염소 처리 시설은 조지 워렌 풀러에 의해 설계되었다.[8] 그 후 몇 년 동안, 차아염소산 칼슘을 사용한 염소 소독은 전 세계 식수 시스템에서 빠르게 구현되었다.[9]

압축 액화 염소 가스를 사용하여 식수를 정화하는 기술은 1903년 인도 의학 서비스의 영국 장교인 빈센트 B. 네스필드에 의해 개발되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염소 가스를 사용하는 적절한 방법을 찾을 수 있다면 염소 가스가 만족스러울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다음으로 중요한 질문은 이 가스를 휴대 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이었습니다. 이것은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액화하여 납으로 안을 댄 철제 용기에 보관하고, 미세한 모세관이 있는 제트와 꼭지 또는 나사 캡을 장착하는 것입니다. 꼭지를 돌리고 실린더를 필요한 양의 물에 넣습니다. 염소가 뿜어져 나오면 10~15분 안에 물이 완전히 안전해집니다. 이 방법은 대규모로, 예를 들어 급수 카트에 유용할 것입니다."[10]

1910년 육군 의과대학 화학 교수인 칼 로저스 다넬 소령이 이를 처음으로 실질적으로 시연했다.[11] 이 작업은 현재의 도시 물 ''정화'' 시스템의 기초가 되었다. 다넬의 시연 직후, 육군 의무부의 윌리엄 J. L. 리스터 소령은 리넨 가방에 차아염소산 칼슘 용액을 사용하여 물을 처리했다.

수십 년 동안 리스터의 방법은 야전과 야영지에서 미국의 지상군에게 표준으로 남아 있었으며, 익숙한 리스터 백(Lister Bag) 형태로 구현되었다. 캔버스 "가방, 물, 살균"은 야전 부엌의 일반적인 구성 요소였으며, 100명당 1개씩 지급되었고, 야전에서 종종 즉석에서 만든 삼각대에 매달려 있는 표준 36갤런 용량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부터 베트남 전쟁까지 사용되었으며, 국소적인 물을 미세한 수준의 필터를 통해 압력으로 여과하여 식수를 생산하는 역삼투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2. 2. 영구적인 염소 처리

1905년, 영국 링컨에서 느린 모래 여과 시설의 고장과 오염된 물 공급으로 인해 심각한 장티푸스 유행이 발생했다.[5] 이 전염병을 막기 위해 알렉산더 크루익생크 휴스턴은 염소 처리를 사용했다. 그의 설비는 "염소 처리된 석회" (차아염소산 칼슘, 수산화 칼슘, 염화 칼슘의 혼합물) 농축액을 처리할 물에 공급했다. 이는 단순히 현대적인 염화칼슘이 아니라, 석회수(희석된 수산화칼슘)에 염소 가스를 용해시켜 차아염소산 칼슘(염소 처리된 석회)을 생성하는 방식이었다. 수돗물 염소 처리는 전염병 확산을 막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예방 차원에서 1911년 새로운 상수원이 공급될 때까지 계속되었다.[6]

2. 3. 미국에서의 발전

미국에서 소독을 위해 염소를 처음으로 지속적으로 사용한 것은 1908년 뉴저지주 저지시티의 상수원이었던 로커웨이 강의 분턴 저수지에서였다.[7] 염소 처리는 0.2~0.35ppm의 농도로 차아염소산 칼슘 희석 용액을 제어하여 첨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처리 과정은 존 L. 리얼이 고안했으며, 염소 처리 시설은 조지 워렌 풀러가 설계했다.[8] 그 후 몇 년 동안, 차아염소산 칼슘을 사용한 염소 소독은 전 세계 식수 시스템에 빠르게 도입되었다.[9]

2. 4. 액화 염소 가스 사용

인도 의학 서비스의 영국 장교 빈센트 B. 네스필드는 1903년에 압축 액화 염소 가스를 사용하여 식수를 정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는 "염소 가스를 사용하는 적절한 방법을 찾을 수 있다면 염소 가스가 만족스러울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다음으로 중요한 질문은 이 가스를 휴대 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이었습니다. 이것은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액화하여 납으로 안을 댄 철제 용기에 보관하고, 미세한 모세관이 있는 제트와 꼭지 또는 나사 캡을 장착하는 것입니다. 꼭지를 돌리고 실린더를 필요한 양의 물에 넣습니다. 염소가 뿜어져 나오면 10~15분 안에 물이 완전히 안전해집니다. 이 방법은 대규모로, 예를 들어 급수 카트에 유용할 것입니다."라고 설명했다.[10]

육군 의과대학 화학 교수인 칼 로저스 다넬 소령은 1910년에 이 기술을 처음으로 실질적으로 시연했다.[11] 이 작업은 현재의 도시 물 ''정화'' 시스템의 기초가 되었다.

2. 5. 리스터 백

육군 의무부의 윌리엄 J. L. 리스터 소령은 리넨 가방에 차아염소산 칼슘 용액을 사용하여 물을 처리했다. 수십 년 동안 리스터의 방법은 야전과 야영지에서 미군의 표준으로 남아 있었으며, 리스터 백(Lister Bag) 형태로 구현되었다. 캔버스 재질의 "가방, 물, 살균"은 야전 부엌의 일반적인 구성 요소였으며, 100명당 1개씩 지급되었고, 야전에서 종종 즉석에서 만든 삼각대에 매달려 있는 표준 36갤런 용량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부터 베트남 전쟁까지 사용되었으며, 역삼투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역삼투 정수 장치(1980)와 대규모 생산을 위한 전술적 정수 시스템(2007)은 모든 수원에서 식수를 생산하기 위해 정밀 여과 기술을 포함하고, 세척 작업을 단순화하기 위해 15분마다 자동 역세척 주기를 사용한다.

2. 6. 대한민국에서의 염소 소독

1921년 일본 도쿄오사카에서 염소 소독이 시작되었다.[29] 이는 일제강점기 조선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수돗물 소독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염소 가스 대신 차아염소산 칼슘을 사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1941년 이후 미국에서 염소 가스 소독 방식이 주류를 이루면서[32][33] 한국에서도 점차 염소 가스 소독 방식이 도입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3. 생화학

염소는 할로젠 원소로, 강력한 산화제이다.[15] 유기 분자를 산화시켜 미생물을 죽이는 원리로 소독 작용을 한다.[34] 염소와 가수분해 생성물인 차아염소산은 전하를 띠지 않아 병원체의 음전하 표면에 쉽게 침투한다. 이들은 세포벽을 구성하는 지질을 분해하고 세포 내 효소단백질과 반응하여 기능을 없앤다.[16]

3. 1. 염소의 반응

물에 용해되면 염소는 염소, 차아염소산(HOCl) 및 염산(HCl)의 평형 혼합물로 전환된다.[42]

: Cl2 + H2O ⇌ HOCl + HCl

산성 용액에서 주요 화학종은 Cl2와 HOCl이며, 알칼리성 용액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ClO-(차아염소산염 이온)로 존재한다. 매우 적은 농도의 ClO2-, ClO3-, ClO4-도 발견된다.[42]

3. 2. 산성 및 알칼리성 용액에서의 반응

물에 용해되면 염소는 염소, 차아염소산(HOCl) 및 염산(HCl)의 평형 혼합물로 전환된다.[42]

: Cl2 + H2O ⇌ HOCl + HCl

산성 용액에서 주요 화학종은 Cl2와 HOCl이며, 알칼리성 용액에서는 거의 대부분 ClO-(차아염소산염 이온)로 존재한다. 매우 적은 농도의 ClO2-, ClO3-, ClO4-도 발견된다.[42]

3. 3. 소독 원리

강력한 산화제인 염소는 유기 분자를 산화시켜 미생물을 죽인다.[15] 염소와 가수분해 생성물인 차아염소산은 전하를 띠지 않아 병원체의 음전하 표면에 쉽게 침투한다. 이들은 세포벽을 구성하는 지질을 분해하고 세포 내 효소단백질과 반응하여 기능을 없앤다.[16]

4. 잔류 염소

잔류 염소는 염소 소독을 거친 물에 소독 30분 후 남아 있는 염소의 양으로, 오르토톨루이딘 시약으로 잔류 염소 농도를 분석할 수 있다.[1]

4. 1. 유리 잔류 염소

유리잔류염소는 염소로 물을 소독했을 때 차아염소산(HOCl)과 차아염소산 이온(OCl-)의 형태로 남아 있는 염소 성분이다.[1] 총잔류염소는 염소로 소독한 물속에 남아 있는 유리 염소와 결합 염소의 총합이다.[1]

4. 2. 결합 잔류 염소

결합 잔류 염소는 물을 염소로 소독할 때, 물속에 있는 다른 성분과 결합하여 남아 있는 염소를 말한다. 주로 미생물, 암모니아, 유화 수소, , 망간 등과 결합하는 경우가 많다.[1]

4. 3. 총 잔류 염소

총 잔류 염소는 염소로 소독한 물속에 남아 있는 유리 염소와 결합 염소의 총합이다.[1]

  • 유리 잔류 염소: 염소로 물을 소독했을 때 차아염소산과 차아염소산 이온의 형태로 남아 있는 염소 성분[1]
  • 결합 잔류 염소: 물을 염소로 소독할 때,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성분과 결합하여 남아 있는 염소[1]

5. 염소 소독의 문제점

염소 소독은 특정 상황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염소는 물속의 유기 화합물과 반응하여 소독 부산물을 생성하는데, 대표적으로 트리할로메탄과 할로아세트산이 있다. 이러한 소독 부산물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또한 염소는 휘발성이 있어 물에서 빨리 사라지며, 불쾌한 맛과 냄새를 유발하기도 한다.

5. 1. 소독 부산물

염소는 상수도에서 발견되는 자연 발생 유기 화합물과 반응하여 소독 부산물(DBP)로 알려진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다. 가장 흔한 DBP는 트리할로메탄(THM)과 할로아세트산(HAA)이다. 트리할로메탄은 염소 소독으로 생성되는 주요 소독 부산물이다. 이들의 영향은 화학 물질에 대한 노출 기간과 신체에 흡수되는 양에 따라 달라진다. 고용량의 브로모포름은 주로 정상적인 뇌 활동을 늦추며, 이는 졸음이나 진정 등의 증상으로 나타난다. 브로모포름과 디브로모클로로메탄에 만성적으로 노출되면 간 및 신장 암뿐만 아니라 심장 질환, 의식 불명 또는 고용량에서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18] 이러한 화합물의 잠재적인 발암성 때문에 선진국 전역의 음용수 규정은 시립 상수도 시스템의 배급 시스템에서 이러한 화합물의 농도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요구한다. 세계 보건 기구는 "이러한 부산물로 인한 건강 위험은 부적절한 소독과 관련된 위험에 비해 극히 작다"라고 밝혔다.[19]

5. 2. WHO의 입장

세계보건기구(WHO)는 "소독 부산물로 인한 건강 위험은 부적절한 소독과 관련된 위험에 비해 극히 작다"라고 밝혔다.[19][37]

5. 3. 기타 문제점

염소는 상수도에서 발견되는 자연 발생 유기 화합물과 반응하여 소독 부산물(DBP)로 알려진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염소 소독은 특정 상황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가장 흔한 DBP는 트리할로메탄(THM)과 할로아세트산(HAA)이다. 트리할로메탄은 염소 소독으로 생성되는 주요 소독 부산물이다. 이들의 영향은 화학 물질에 대한 노출 기간과 신체에 흡수되는 양에 따라 달라진다. 고용량의 브로모포름은 주로 정상적인 뇌 활동을 늦추며, 이는 졸음이나 진정 등의 증상으로 나타난다. 브로모포름과 디브로모클로로메탄에 만성적으로 노출되면 간 및 신장 암뿐만 아니라 심장 질환, 의식 불명 또는 고용량에서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18] 이러한 화합물의 잠재적인 발암성 때문에 선진국 전역의 음용수 규정은 시립 상수도 시스템의 배급 시스템에서 이러한 화합물의 농도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요구한다. 세계 보건 기구는 "이러한 부산물로 인한 건강 위험은 부적절한 소독과 관련된 위험에 비해 극히 작다"라고 밝혔다.[19]

염소와 관련된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휘발성이 있어 수계에서 너무 빨리 사라진다는 점, 관능적인 맛과 냄새 등이 있다.

6. 염소 제거

염소 또는 클로라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화학 첨가제를 염소 제거제라고 한다. 수돗물은 염소로 소독되는데, 이 염소는 미생물뿐만 아니라 수생 생물에게도 해로울 수 있다. 따라서 수족관에 수돗물을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염소를 제거해야 한다. 염소는 물고기를 죽이고[20] 수족관의 생물학적 여과기에도 손상을 줄 수 있다.[21] 염소 제거제는 염소 성분을 생명체에 무해한 염화물로 환원시키는 환원제 역할을 한다.

상업용 염소 제거제에는 티오황산나트륨, 하이드록시메탄설폰산나트륨, 하이드록시메탄 설핀산나트륨 등이 사용된다.

6. 1. 염소 제거제

염소 제거제는 물에서 염소 또는 클로라민을 제거하는 화학 첨가제이다. 수돗물이 염소 처리된 경우, 염소는 미생물을 죽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수생 생물에게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수족관에서 사용하기 전에 염소를 제거해야 한다. 염소는 물고기를 죽이고[20] 수족관의 생물학적 여과기에 손상을 줄 수 있다.[21] 이러한 기능을 하는 화학 물질은 염소 종을 생명체에 무해한 염화물로 환원시키는 환원제이다.

상업용 염소 제거제에 사용되는 일부 화합물은 티오황산나트륨, 하이드록시메탄설폰산나트륨, 하이드록시메탄 설핀산나트륨 등이 있다.

6. 2. 염소 제거제의 작동 원리

염소 제거제는 물 속의 염소 또는 클로라민을 제거하는 화학 첨가제이다. 수돗물은 염소로 처리되어 미생물을 죽이지만, 이 염소는 수생 생물에게도 해롭기 때문에 수족관에서 사용하기 전에 제거해야 한다.[20] 염소는 물고기를 죽이고 수족관의 생물학적 여과기에 손상을 줄 수 있다.[21] 염소 제거제는 환원제 역할을 하여 염소 성분을 생명체에 무해한 염화물로 환원시킨다.

상업용 염소 제거제에는 티오황산나트륨, 하이드록시메탄설폰산나트륨, 하이드록시메탄 설핀산나트륨 등이 사용된다.

6. 3. 염소 제거제의 종류

염소 제거제는 물에서 염소 또는 클로라민을 제거하는 화학 첨가제이다. 수돗물이 염소 처리된 경우, 염소는 미생물을 죽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수생 생물에게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수족관에서 사용하기 전에 염소를 제거해야 한다. 염소는 물고기를 죽이고[20] 수족관의 생물학적 여과기에 손상을 줄 수 있다.[21] 이러한 기능을 하는 화학 물질은 염소 종을 생명체에 무해한 염화물로 환원시키는 환원제이다.

상업용 염소 제거제에 사용되는 일부 화합물은 티오황산나트륨, 하이드록시메탄설폰산나트륨, 하이드록시메탄 설핀산나트륨 등이 있다.

7. 충격 염소 소독

충격 염소 소독은 많은 수영장, 우물, 샘 및 기타 수원에서 물속의 박테리아와 조류 잔류물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과정이다. 충격 염소 소독은 다량의 차아염소산염을 물에 혼합하여 수행된다. 차아염소산염은 분말 형태이거나 염소 표백제(물에 녹인 차아염소산나트륨 또는 차아염소산칼슘 용액)와 같은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충격 염소 소독을 받는 물은 물속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치가 3ppm 이하로 떨어지거나 차아염소산칼슘 수치가 0.2~0.35PPM로 떨어질 때까지 수영하거나 마시지 않아야 한다.

8. 염소 소독 관련 사고 사례 (대한민국 중심)

대한민국 내 염소 소독 관련 사고는 구체적인 사례가 원본 자료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일반적인 염소 소독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위험성이 존재한다.


  • 가정에서 염소계 소독제나 표백제를 사용할 때 산성 용액과 혼합하면 염소 가스가 발생하여 급성 호흡 부전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수영장 등 시설에서도 소독 중 염소 가스 발생 사고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 설명서를 잘 읽고 안전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 정수 시설에서 염소 주입 장치 고장은 수인성 질병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8. 1. 염소 가스 생성 및 사망 사고

가정용 염소계 소독제, 표백제, 수영장 시설 등에서 소독 과정 중 염소 가스가 발생하여 급성 호흡 부전 및 사망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열이나 햇빛 등의 조건에 따라 염소 가스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특히 산성 용액(수영장의 쓰레기를 응집, 침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폴리염화알루미늄 등)과 혼합했을 때 발생하기 쉽다. 도쿄 소방청 등 관계 기관은 설명서를 잘 읽고 지식을 습득한 후, 약품을 차례로 확인하거나 안전하게 수행하는 절차서를 작성하고 확인하면서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38][39][40]

8. 2. 염소 주입 장치 고장 사례

1953년 6월 23일에 발생한 모바라 설사증(집단 식중독)의 원인 중 하나는, 상수도 정화 시설의 염소 주입기가 고장 나 작동하지 않았던 점이 지적되고 있다.[41]

참조

[1] 웹사이트 How a simple solution slashed child mortality in rural Kenyan villages https://www.vox.com/[...] 2021-11-13
[2] 웹사이트 Disinfection with Chlorine {{!}} Public Water Systems {{!}} Drinking Water {{!}} Healthy Water {{!}} CDC https://www.cdc.gov/[...] 2020-04-30
[3] 서적 Public Water-Supplies: Requirements, Resources, and the Construction of Works John Wiley & Sons
[4] 학술지 Typhoid Epidemic at Maidstone 1897-10
[5] 웹사이트 A miracle for public health? https://www.icis.com[...] 2012-12-17
[6] 간행물 "Report on the Epidemic of Enteric Fever in the City of Lincoln, 1904-5." In Thirty-Fifth Annual Report of the Local Government Board, 1905-6: Supplement Containing the Report of the Medical Officer for 1905-6. Local Government Board 1907
[7] 간행물 "The Sterilization Plant of the Jersey City Water Supply Company at Boonton, N.J." ''Proceedings''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1909
[8] 간행물 "Description of the Process and Plant of the Jersey City Water Supply Company for the Sterilization of the Water of the Boonton Reservoir." ''Proceedings'' AWWA. 1909
[9] 서적 Clean Water and How to Get It. Wiley 1916
[10] 학술지 A Chemical Method of Sterilizing Water Without Affecting Potability http://www.publichea[...]
[11] 학술지 The purification of water by anhydrous chlorine 1911-11
[12] 웹사이트 Wallace & Tiernan Corporation Incorporated Corporate Materials http://library.rit.e[...] 2023-11-07
[13] 서적 Environmental Pollution Rinehart and Winston
[14] 서적 The Quest for Pure Water: the History of Water Purification from the Earliest Records to the Twentieth Century.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1981
[15] 학술지 The Epidemiology of Chemical Contaminants of Drinking Water https://zenodo.org/r[...]
[16] 서적 The Chlorine Dilemma http://students.chem[...] 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 2014-01-18
[17] 학술지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and the pH Dependence of Bactericidal Activity of the Aqueous Chlorine Solution
[18] 간행물 Public Health Statement: Bromoform & Dibromochloromethane ATSDR
[19] 서적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https://www.ncbi.nlm[...] World Health Organization
[20] 서적 Freshwater Aquariums for Dummies https://books.google[...] Wiley Publishing, Inc.
[21] 웹사이트 Dechlorination - The First Tank Guide - Preparing Your Tap Water for Aquarium Use http://www.firsttank[...] 2017-02-15
[22] 서적 Disinfection and Disinfectants https://books.google[...] J.B. Lippincott Co. 1895
[23] 서적 Public Water-Supplies: Requirements, Resources, and the Construction of Works John Wiley & Sons
[24] 학술지 Typhoid Epidemic at Maidstone 1897-10
[25] 웹사이트 A miracle for public health? http://www.icis.com/[...] 2012-12-17
[26] 간행물 "Report on the Epidemic of Enteric Fever in the City of Lincoln, 1904-5." In Thirty-Fifth Annual Report of the Local Government Board, 1905-6: Supplement Containing the Report of the Medical Officer for 1905-6. Local Government Board 1907
[27] 웹사이트 A miracle for public health? http://www.icis.com/[...] 2012-12-17
[28] 간행물 "Description of the Process and Plant of the Jersey City Water Supply Company for the Sterilization of the Water of the Boonton Reservoir." ''Proceedings'' AWWA. 1909
[29] 서적 Clean Water and How to Get It. Wiley 1916
[30] 학술지 A Chemical Method of Sterilizing Water Without Affecting Potability http://www.publichea[...]
[31] 학술지 The purification of water by anhydrous chlorine 1911-11
[32] 서적 Environmental Pollution Rinehart and Winston
[33] 서적 The Quest for Pure Water: the History of Water Purification from the Earliest Records to the Twentieth Century.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1981
[34] 학술지 The Epidemiology of Chemical Contaminants of Drinking Water
[35] 서적 The Chlorine Dilemma http://students.chem[...] 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 2014-01-18
[36] 논문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and the pH Dependence of Bactericidal Activity of the Aqueous Chlorine Solution
[37] 서적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38] 웹사이트 プール施設における塩素ガス発生事故に注意! https://www.tfd.metr[...] 東京消防庁
[39] 논문 塩素系製品による家庭内事故と今後の課題 https://doi.org/10.1[...] 日本繊維製品消費科学会
[40] 웹사이트 家庭用漂白用洗剤の原液を撒いたところ、先に撒かれていた酸性洗剤と混合し、発生した塩素ガスにより、急性呼吸不全を発症した https://anzeninfo.mh[...] 厚生労働省
[41] 웹사이트 ノロウイルスのルーツを探る http://www.21water.j[...] 2020-01-04
[42] 논문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and the pH Dependence of Bactericidal Activity of the Aqueous Chlorine Solu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