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1867년 7월 1일 캐나다 연방을 설립하기 위해 제정된 일련의 법률을 통칭한다. 이 법들은 캐나다 헌법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며, 캐나다 정부의 운영, 연방 구조, 하원, 상원, 사법 시스템, 조세 시스템 등을 규정하는 틀을 마련했다. 1949년까지는 영국의회가 이 법의 변경 권한을 가졌으나, 1949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제2) 법으로 캐나다 의회에 제한적인 헌법 개정 권한이 부여되었다. 1982년 캐나다 법이 통과되면서 헌법이 자국화되었고, 대부분의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헌법법으로 이름이 바뀌거나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헌법 -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1867년 영국 의회에서 통과되어 캐나다 연방을 성립시키고, 연방 정부와 주 정부의 권한 분배, 입법 및 사법 기구 구성, 소수 종교의 권리 보호 등을 규정하며, 매년 7월 1일 캐나다 데이를 기념한다. - 캐나다의 헌법 - 1982년 캐나다 법
1982년 캐나다 법은 캐나다가 헌법 개정 권한을 영국으로부터 이양받아 완전한 법적 독립을 이루고, 캐나다 권리 및 자유 헌장을 헌법에 포함시켜 국민의 기본적 권리와 자유를 보장한 헌법의 중요한 부분이다. - 캐나다의 법 - 추밀원칙령
추밀원칙령은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등에서 사용되는 법령의 유형으로, 왕실 대권 행사, 정부 결정 시행, 법정 문서 제정 등에 활용되며, 국가 안보, 해외 영토 통치 등 다양한 사안을 규제하는 데 사용된다. - 캐나다의 법 - 더럼 보고서
더럼 보고서는 1837-1838년 캐나다 반란의 원인을 조사하고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영국 정부가 더럼 경에게 의뢰하여 1839년에 제출된 보고서로, 어퍼캐나다와 로어캐나다의 통합 및 책임 정부 도입을 권고하여 캐나다 자치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으나 프랑스계 캐나다인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어 논란을 낳은 역사적 문서이다. - 영국령 북아메리카 - 캐나다 연방
캐나다 연방은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식민지들이 통합되어 탄생한 자치령으로, 이후 확장과 자치권 확대를 거쳐 주권 국가로 발전했으며, 캐나다의 역사적 과정을 묘사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 영국령 북아메리카 - 버뮤다
버뮤다는 북대서양 사르가소 해의 영국 해외 영토인 화산섬 군도로, 1503년 발견 후 영국 식민지가 되었고 해군 기지로서 중요한 전략적 위치를 점하며 관광업과 금융 서비스업 중심으로 높은 1인당 GDP를 기록하고 있다.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
---|---|
개요 | |
명칭 |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종류 | 영국 의회 법률 |
별칭 | 영국 북아메리카 법 BNA 법 |
역사적 배경 | |
주요 내용 | 캐나다 연방 창설 및 구성 |
관련 법률 | 1867년 헌법법 (구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1871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1886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1930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1949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1960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1964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1965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1975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법률 제정 | |
국가 | 영국 |
의회 | 영국 의회 |
법률의 영향 | |
주요 영향 | 캐나다의 헌법적 기반 형성 |
관련 사건 | 캐나다 헌법 제정 및 개정 |
추가 정보 | |
현재 상태 | 1867년 법률은 1982년 헌법법에 의해 대체되었으나, 다른 법률들은 여전히 유효함. |
2.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의 역사적 배경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으로 시작된 캐나다의 역사는 완전한 독립으로 나아가는 점진적인 과정이었다. 초기에는 영국이 캐나다에 대한 입법권과 외교 정책을 통제했지만, 1949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제2) 법을 통해 캐나다 의회에 제한적인 헌법 개정 권한이 부여되었다. 그러나 헌법에 대한 완전한 통제는 1982년 캐나다 법이 통과될 때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49년 이전의 모든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영국 의회에서 통과되었고, 1949년 이후 일부 법은 캐나다 의회에서 통과되었다. 1982년 헌법 자국화 이후, 대부분의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헌법법"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일부는 폐지되었다. 이 법들은 통칭하여 ''1867년부터 1982년까지의 헌법법''이라고 불린다.[1]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1867년, 1871년, 1886년, 1907년, 1915년, 1916년, 1930년, 1940년, 1943년, 1946년, 1949년, 1949년 (2호), 1951년, 1952년, 1960년, 1964년, 1965년, 1974년, 1975년 및 1975년(2호)에 통과되었다. 이 중 1952년, 1965년, 1974년, 1975년, 1975년 (2호) 법은 캐나다 의회에서 제정되었고, 나머지는 런던의 제국 의회에서 제정되었다.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캐나다 자치령을 만들었으며, 이후의 법률들은 국가 확장과 변화에 따라 의회 또는 캐나다 상원의 대표성을 수정하고, 매니토바, 브리티시컬럼비아, 서스캐처원, 앨버타, 뉴펀들랜드 등 새로운 주를 추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국가 경계 수정, 이전 지급, 세계 대전으로 인한 임시 변경, 연방-주 권한, 헌법 변경 권한, 새로운 사회 프로그램 창설, 캐나다 정부의 의무적인 은퇴 연령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2. 1. 19세기: 캐나다 연방의 탄생과 초기 발전
캐나다는 1867년 7월 1일에 발효된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으로 국가로서의 역사가 시작된다. 그러나 캐나다는 완전한 독립국으로 설립되지 않았는데, 영국이 캐나다에 대한 입법 통제권과 외교 정책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캐나다는 1926년 워싱턴 D.C.에 최초의 대사관이 설립되기 전까지 외교 공관이 없었다. 1949년까지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의 변경은 영국 의회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었다. 1949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제2) 법은 캐나다 의회에 제한적인 헌법 개정 권한을 부여했지만, 헌법에 대한 완전한 캐나다의 통제는 1982년 캐나다 법이 통과될 때까지 달성되지 않았다. 이러한 지연은 모든 주, 특히 퀘벡 주가 받아들일 수 있는 헌법 개정 절차에 합의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2. 2. 20세기 초: 자치권 확대와 헌법 개정 노력
캐나다는 1867년 7월 1일에 발효된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을 통해 국가로서의 역사를 시작했다. 그러나 당시 캐나다는 영국이 입법 통제권과 외교 정책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유지했기 때문에 완전한 독립국은 아니었다. 캐나다는 1926년 워싱턴 D.C.에 최초의 대사관을 설립하기 전까지 외교 공관도 없었다.[1]1949년까지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을 변경하려면 영국 의회의 동의가 필요했다. 1949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제2) 법은 캐나다 의회에 제한적인 헌법 개정 권한을 부여했지만, 헌법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은 1982년 캐나다 법이 통과될 때까지 확보되지 못했다. 이러한 지연은 모든 주, 특히 퀘벡 주가 받아들일 수 있는 헌법 개정 절차에 합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1]
2. 3. 20세기 중후반: 헌법 자립과 1982년 캐나다법
캐나다는 1867년 7월 1일에 발효된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을 통해 국가로서의 역사를 시작했다. 그러나 당시 캐나다는 영국이 입법 통제권과 외교 정책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유지했기 때문에 완전한 독립국은 아니었다. 캐나다는 1926년 워싱턴 D.C.에 최초의 대사관을 설립하기 전까지 외교 공관도 없었다.[1] 1949년까지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의 변경은 영국 의회에서만 가능했다.[1] 1949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제2) 법은 캐나다 의회에 제한적인 헌법 개정 권한을 부여했지만, 헌법에 대한 완전한 캐나다의 통제는 1982년 캐나다 법이 통과될 때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1] 이러한 지연은 모든 주, 특히 퀘벡 주가 받아들일 수 있는 헌법 개정 절차에 합의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1]이러한 이유로 1949년 이전에 제정된 모든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영국 의회에서 통과되었고, 1949년 이후에 제정된 일부 법은 캐나다 의회에서 통과되었다.[1] 캐나다가 1982년 캐나다 법의 통과로 헌법을 자국화했을 때, 대부분의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캐나다에서 "헌법법"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일부 법은 더 이상 관련성이 없어 폐지되었다.[1] 이 법들은 통칭하여 1867년부터 1982년까지의 헌법법이라고 불린다.[1]
캐나다에 관한 이 마지막 영국 의회 법은 이전의 철회되지 않은 모든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의 이름을 변경하고 일부를 수정하며 다른 모든 법을 폐지하고, 나머지 모든 입법 및 헌법 권한을 캐나다로 이양했으며, 부록으로 1982년 헌법법을 포함했기 때문에 다른 이름을 갖게 되었다.[1] 이 법은 영어와 프랑스어로 모두 제정된 유일한 영국의 법률이지만, 프랑스어 버전은 캐나다에서만 동등한 권한을 갖는다.[1]
3. 주요 내용 및 특징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캐나다 헌법의 주요 부분으로, 캐나다 연방 자치령 창설과 캐나다 정부 운영의 틀( 연방 구조, 캐나다 하원, 캐나다 상원, 사법 시스템, 조세 제도 등)을 규정했다.
1982년, 이 법은 헌법 자국화와 함께 ''1867년 헌법 법''으로 개명되었고, 주에 비재생 천연자원 통제권을 부여하는 제92A조가 추가되었다.[1]
3. 1. 연방주의와 권한 분배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British North America Act, 1867)은 캐나다 헌법의 주요 부분으로, 연방 구조, 캐나다 하원, 캐나다 상원, 사법 시스템, 조세 제도 등 캐나다 정부 운영의 틀을 규정했다.[1] 1982년, 이 법은 ''1867년 헌법 법''으로 개명되었고, 주에 비재생 천연자원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하는 제92A조가 추가되었다.1871년 헌법은 캐나다에 새로운 주와 자치령 설립 및 주 경계 변경 권한을 부여했다.[2] 매니토바 주 창설, 루퍼트 랜드와 노스웨스트 준주의 캐나다 편입을 인정했으며, 온타리오 주와 퀘벡 주 경계 재설정을 허용했다.
1886년 헌법법은 캐나다 의회에 캐나다의 자치령이 상원과 하원에서 대표성을 가질 수 있도록 허가했다.[3]
1907년 헌법법은 연방 정부가 소규모 주에 교부금을 지급하도록 규정했다.[4]
1915년 헌법법은 캐나다 서부 주에 24명의 상원의원을 배정하여 캐나다 상원을 확장했고, 뉴펀들랜드 래브라도가 캐나다 연방에 가입할 경우 6명의 상원의원을 보장했다.[5]
1930년 헌법법은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앨버타 주, 매니토바 주, 서스캐처원 주에 천연 자원 권리를 부여했다.[8]
1940년 헌법법은 연방 정부에 실업 보험 관할권을 부여했다.[9] 대공황 시기 실업 지원은 지방 정부 책임으로 간주되어 위헌 판결을 받았으나, 이 법으로 전국적 실업 보험 프로그램 설립이 가능해졌다.
1943년 헌법법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선거구 재조정을 연기했다.[10]
1946년 헌법법은 주와 준주 간 캐나다 하원 의석 배분 공식을 조정했다.[11]
1951년 헌법법은 연방 정부에 연금 법률 통과 권한을 부여하고 주 의회 권리도 인정했다.[13] 1927년 노령 연금 프로그램은 주에서 관리, 공동 자금을 지원했으나, 이 법으로 연방 정부가 자체 연금 계획을 운영하고 ''노령 연금법''을 통과시킬 수 있게 되었다.[14]
1960년 헌법법은 상급 법원 판사의 의무 정년을 75세로 정했다.[16]
1964년 헌법법은 연방 정부의 연금 관할권을 생존자 수당 및 장애 수당까지 확대하고, 각 주가 자체 연금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허용하여 캐나다 연금 제도를 가능하게 했다.[17]
1965년 헌법법은 캐나다 상원 의원의 강제 퇴직 연령을 75세로 설정했다.[19]
1974년 헌법법은 캐나다 하원 의석 재분배 규칙을 변경, 퀘벡 주에 75석을 고정하고 다른 주는 퀘벡 인구 대비 할당 의석 수를 결정하며, 각 주는 캐나다 상원 의원 수 이상으로 하원 의원 수를 보장받았다.[20]
1975년 헌법 법 (제2호)는 캐나다 상원 의석을 104석으로 늘리고, 유콘 준주와 노스웨스트 준주에 각 1석을 할당했다.[22]
3. 2. 점진적인 자치권 확대
캐나다는 1867년 7월 1일에 발효된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으로 국가로서의 역사가 시작된다. 그러나 당시 캐나다는 완전한 독립국이 아니었는데, 영국이 캐나다에 대한 입법 통제권과 외교 정책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캐나다는 1926년 워싱턴 D.C.에 최초의 대사관을 설립하기 전까지 외교 공관이 없었다. 1949년까지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의 변경은 영국 의회에서만 가능했다. 1949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제2) 법은 캐나다 의회에 제한적인 헌법 개정 권한을 부여했지만, 헌법에 대한 완전한 캐나다의 통제는 1982년 캐나다 법이 통과될 때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렇게 오랜 기간이 걸린 이유는 모든 주, 특히 퀘벡 주가 받아들일 수 있는 헌법 개정 절차에 합의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이다.1949년 이전에 제정된 모든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영국 의회에서 통과되었고, 1949년 이후에 제정된 일부 법은 캐나다 의회에서 통과되었다. 캐나다가 1982년 캐나다 법의 통과로 헌법을 자국화했을 때, 대부분의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캐나다에서 "헌법법"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일부 법은 더 이상 관련성이 없어 폐지되었다. 이 법들은 통칭하여 1867년부터 1982년까지의 헌법법이라고 불린다.
3. 3. 헌법의 자국화 (Patriation)
캐나다는 1867년 7월 1일에 발효된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을 통해 국가로서의 역사를 시작했다. 그러나 당시 캐나다는 영국이 입법 통제권과 외교 정책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유지했기 때문에 완전한 독립국은 아니었다. 1926년 워싱턴 D.C.에 최초의 대사관이 설립되기 전까지 캐나다는 외교 공관도 없었다. 1949년까지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변경은 영국 의회에서만 가능했다.[1]1949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제2) 법은 캐나다 의회에 제한적인 헌법 개정 권한을 부여했지만, 헌법에 대한 완전한 캐나다의 통제는 1982년 캐나다 법이 통과될 때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지연은 모든 주, 특히 퀘벡 주가 받아들일 수 있는 헌법 개정 절차에 합의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1]
1949년 이전에 제정된 모든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영국 의회에서 통과되었고, 1949년 이후에 제정된 일부 법은 캐나다 의회에서 통과되었다. 캐나다가 ''1982년 캐나다 법'' 통과로 헌법을 자국화했을 때, 대부분의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캐나다에서 "헌법법"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일부 법은 더 이상 관련성이 없어 폐지되었다. 이 법들은 통칭하여 ''1867년부터 1982년까지의 헌법법''이라고 불린다.[1]
캐나다에 관한 이 마지막 영국 의회 법은 이전의 철회되지 않은 모든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의 이름을 변경하고 일부를 수정하며 다른 모든 법을 폐지하고, 나머지 모든 입법 및 헌법 권한을 캐나다로 이양했으며, 부록으로 ''1982년 헌법법''을 포함했기 때문에 다른 이름을 갖게 되었다. 이 법은 영어와 프랑스어로 모두 제정된 유일한 영국의 법률이지만, 프랑스어 버전은 캐나다에서만 동등한 권한을 갖는다.[1]
3. 4. 프랑스어 버전 문제
영국 의회에서 제정된 15개의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공식적인 프랑스어 버전이 없다. 오직 영어 버전만이 공식적이다. 캐나다 의회에서 제정된 5개의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은 공식적인 프랑스어 버전을 가지고 있으며, 영어 버전과 프랑스어 버전은 동등한 권위를 갖는다(캐나다 의회에서 제정된 모든 법률과 마찬가지).[1]1982년 헌법법 제55조에 따라 프랑스 헌법 초안 위원회는 모든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을 번역했지만, 이는 연방 및 지방 정부에 의해 헌법 개정 절차를 통해 공식적으로 제정되지 않았다.[1]
4.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목록
법률명 | 제정 의회 | 제정 년도 | 주요 내용 |
---|---|---|---|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867 | 캐나다 자치령 설립, 연방 정부 구조, 하원, 상원, 사법 제도, 조세 제도 등 규정. 1982년 1867년 헌법 법으로 개칭. |
1871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871 | 캐나다의 새로운 주/준주 설립 및 주 경계 변경 권한 부여. 매니토바 주 창설, 루퍼트 랜드 및 노스웨스트 준주 편입 인정. 1982년 1871년 헌법 법으로 개칭. |
1886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886 | 캐나다 의회에 캐나다의 자치령의 상원/하원 대표성 허가 권한 부여. 1982년 1886년 헌법 법으로 개칭. |
190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907 | 연방 정부의 소규모 주에 대한 교부금 지급 규정. 1982년 1907년 헌법 법으로 개칭. |
1915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915 | 캐나다 상원 확장 (서부 주에 24석 배정),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의 연방 가입 시 상원 의석 6석 보장. 1982년 1915년 헌법 법으로 개칭. |
1916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916 |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제12대 캐나다 의회 임기 연장. 1927년 폐지. |
1930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930 | 브리티시컬럼비아, 앨버타, 매니토바, 서스캐처원 주에 천연 자원 권리 부여. 1982년 1930년 헌법 법으로 개칭. |
1940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940 | 연방 정부에 실업 보험 관할권 부여. 1982년 1940년 헌법 법으로 개칭. |
1943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943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선거구 재조정 연기. 1982년 폐지. |
1946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946 | 캐나다 하원 의석 배분 공식 조정. 1982년 폐지. |
1949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949 | 뉴펀들랜드의 캐나다 편입 허용. 1982년 뉴펀들랜드 법으로 개칭. |
1949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제2호) | 영국 의회 | 1949 | 캐나다에 헌법 수정 제한적 권한 부여. 1982년 폐지. |
1951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951 | 연방 정부에 연금 관련 법률 통과 권한 부여, 주 의회 권리 인정. 1982년 폐지. |
1952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캐나다 의회 | 1952 | 하원 의석수 변경, 주별 의석 손실 제한 (15%), 유콘 준주에 자체 하원 의원 부여. 1982년 폐지. |
1960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960 | 상급 법원 판사 의무 정년 (75세) 제정. 1982년 1960년 헌법 법으로 개칭. |
1964년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 | 영국 의회 | 1964 | 연방 정부 연금 관할권 확대 (생존자/장애 수당), 주 자체 연금 프로그램 운영 허용. 1982년 1964년 헌법 법으로 개칭. |
1965년 헌법법 | 캐나다 의회 | 1965 | 캐나다 상원 의원 강제 퇴직 연령 (75세) 설정 (법 통과 전 임명자는 제외). 1982년 1965년 헌법 법으로 개칭. |
1974년 헌법법 | 캐나다 의회 | 1974 | 캐나다 하원 의석 재분배 규칙 변경 (퀘벡에 75석 고정, 타 주는 퀘벡 인구 대비). 1982년 1974년 헌법 법으로 개칭. |
1975년 헌법법 (제1호) | 캐나다 의회 | 1975 | 캐나다 하원에서 노스웨스트 준주 대표 수 증가 (1명→2명). 1982년 1975년 헌법 법 (제1호)로 개칭. 1999년 폐지. |
1975년 헌법법 (제2호) | 캐나다 의회 | 1975 | 캐나다 상원 의석수 증가 (102석→104석), 유콘 준주 및 노스웨스트 준주에 각 1석 할당. 1982년 1975년 헌법 법 (제2호)로 개칭. |
5. 같이 보기
- 캐나다 연방
- 연방의 아버지들
- 1866년 런던 회의
- 샬럿타운 회의
- 퀘벡 회의
- 캐나다의 헌정사
참조
[1]
웹사이트
Constitution Act, 1982 - Introduction (1/1) - Department of Justice
https://web.archive.[...]
2016-08-28
[2]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Act, 1871
http://www.solon.org[...]
[3]
웹사이트
The British North America Act, 1886
https://web.archive.[...]
2006-06-22
[4]
웹사이트
British North America Act, 1907
http://www.solon.org[...]
[5]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Act, 1915
http://www.solon.org[...]
[6]
웹사이트
British North America Act, 1916
http://www.solon.org[...]
[7]
웹사이트
Statute Law Revision Act, 1927
http://www.efc.ca/pa[...]
[8]
웹사이트
Constitution Act, 1930
http://www.solon.org[...]
[9]
웹사이트
Constitution Act, 1940
http://www.solon.org[...]
[10]
웹사이트
British North America Act, 1943
http://www.solon.org[...]
[11]
웹사이트
British North America Act, 1946
http://www.solon.org[...]
[12]
웹사이트
British North America (No. 2) Act, 1949
http://www.solon.org[...]
[13]
웹사이트
British North America Act, 1951
http://www.solon.org[...]
[14]
웹사이트
The Old Age Security Act - The Canadian Encyclopedia
https://web.archive.[...]
2006-06-22
[15]
웹사이트
British North America Act, 1952
http://www.solon.org[...]
[16]
웹사이트
Constitution Act, 1960
http://www.solon.org[...]
[17]
웹사이트
Constitution Act, 1964
http://www.solon.org[...]
[18]
간행물
British North America Bill
https://api.parliame[...]
1964-07-15
[19]
웹사이트
Constitution Act, 1965
http://www.solon.org[...]
[20]
웹사이트
Constitution Act, 1974
http://www.solon.org[...]
[21]
웹사이트
Constitution Act 1975 (No. 1)
http://www.solon.org[...]
[22]
웹사이트
Constitution Act 1975 (No. 2)
http://www.solon.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