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남공업고등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남공업고등학교는 1945년 대성중학교로 설립되어, 대성고등학교를 거쳐 1988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있는 공업고등학교이다. 섬유, 전기, 전자, 기계,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운영하며,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와 군 특성화반을 운영한다. 운동부로는 카누부, 헬스부 등이 있으며, 졸업생들은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누에 관한 - 전남체육고등학교
    전남체육고등학교는 2002년에 설립 인가되어 2003년에 개교한 전라남도 소재의 체육 특성화 고등학교이다.
  • 카누에 관한 - 잠신고등학교
    잠신고등학교는 1988년 설립 인가되어 1989년 개교한 대한민국의 고등학교로, 삼정관, 정보센터, 학생식당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2022년 안훈 교장이 제15대 교장으로 취임했다.
  • 대구 수성구의 고등학교 - 경북고등학교
    경북고등학교는 1916년 대구고등보통학교로 개교하여 교명 변경과 학제 개편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85년 수성구 황금동으로 교사를 이전하고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를 개교했으며, 목련과 느티나무를 상징으로 노태우 전 대통령 등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 대구 수성구의 고등학교 - 능인고등학교
    능인고등학교는 1938년 오산학림으로 시작하여 1939년 오산불교학교로 설립 인가 후 능인중학교를 거쳐 1951년 능인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받아 1986년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현재 위치로 이전한 사립 고등학교이다.
  • 대구광역시의 사립 고등학교 - 계성고등학교 (대구)
    1900년 대남소학교로 시작하여 1906년 제임스 E. 아담스에 의해 설립된 계성고등학교는 영남 최초의 중등교육기관으로, 일제강점기 교명 변경의 아픔을 겪었으나 광복 후 재건되었으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저명한 동문을 배출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이다.
  • 대구광역시의 사립 고등학교 - 능인고등학교
    능인고등학교는 1938년 오산학림으로 시작하여 1939년 오산불교학교로 설립 인가 후 능인중학교를 거쳐 1951년 능인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받아 1986년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현재 위치로 이전한 사립 고등학교이다.
영남공업고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표기嶺南工業高等學校
영문 표기Youngnam Technical High School
로고
교훈생산하는 기술인·봉사하는 사회인·책임있는 자유인
개교1952년
설립 형태사립
교장송우용
위치대구광역시 수성구 교학로 96 (만촌동)
학생 수872명 (2022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138명 (2022년 5월 1일 기준)
상징교목: 소나무, 교화: 개나리
학교 법인영남공업교육학원
관할 관청대구광역시교육청
웹사이트영남공업고등학교

2. 학교 연혁

1945년 10월 20일 대구향교에서 '''대성중학교'''가 설립되고, 홍재영 초대 원장이 취임하였다. 1949년 12월 24일 재단법인 대성교육재단이 인가되었다. 1950년 4월 1일 학칙 변경으로 6년제 중학교가 되었다. 1952년 8월 13일 '''대성고등학교'''가 인가되었으며, 학급 수는 3개(학년당 1학급)였다.

1954년 2월 16일 학칙 변경으로 주간부 9학급, 야간부 3학급으로 변경되었다. 1960년 7월 4일 학칙 변경으로 야간부가 폐지되었다. 1966년 12월 1일 인문계에서 '''대성공업고등학교'''로 전환되었고, 6학급(화학공업과, 방직과, 각 학년 1개 학급)으로 구성되었다. 1971년 11월 29일 학칙 변경으로 주간부 24학급, 야간부 12학급으로 변경되었다.

1980년 12월 20일 봉덕동 교사에서 수성구 만촌3동 산 407-22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1987년 7월 16일 학교법인 영남공업교육학원이 인가되었다. 1988년 3월 1일 '''영남공업고등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91년 10월 20일 섬유과 및 전기과 실습동을 신축하고, 아마추어 무선국을 개국하였다. 1994년 8월 30일 강당 겸 체육관, 실습실, 송은관이 준공되었다. 2000년 7월 14일 학칙 변경으로 남녀공학 19학급으로 변경되고, 화공과가 환경공학과로 변경되었다.

2013년 3월 1일 전자기계과 특성화 개편이 시행되고, 로봇기계과가 신설되었다. 2014년 9월 1일 이상석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8년 2월 8일 제64회 졸업식(515명)이 있었다. 2020년 3월 1일 김효신 재단이사장과 김봉준 교장이 취임하였다. 2022년 1월 6일 제68회 졸업식(381명)이 있었다.

2. 1. 대성중학교 설립 및 대성고등학교 인가 (1945년 ~ 1952년)

1945년 10월 20일 대구향교에서 '''대성중학교'''가 설립되었고, 홍재영 초대 원장이 취임하였다. 1949년 12월 24일 재단법인 대성교육재단이 인가되었다. 1950년 4월 1일 학칙 변경으로 6년제 중학교가 되었다. 1952년 8월 13일 '''대성고등학교'''가 인가되었으며, 학급 수는 3개(학년당 1학급)였다.

2. 2. 공업고등학교 전환 및 학과 개편 (1966년 ~ 2013년)

1966년 12월 1일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대성공업고등학교'''로 전환 인가를 받았다. 학과는 화학공업과, 방직과 각 학년당 1개 학급씩 총 6학급으로 구성되었다.

1971년 11월 29일, 주간부 24학급(화학공업과, 방직과, 전기과, 전자기계과 각 학년 2개 학급), 야간부 12학급(화학공업과, 방직과, 전기과, 전자기계과 각 학년 1개 학급)으로 학칙을 변경하였다.

1980년 12월 20일 교사를 봉덕동에서 수성구 만촌3동 산 407-22로 이전하였다.

1987년 7월 16일 학교법인 영남공업교육학원이 인가되었고, 1988년 3월 1일 '''영남공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1년 10월 20일 섬유과, 전기과 실습동을 신축하고, 아마추어 무선국을 개국하였다.

2000년 7월 14일 학칙 변경을 통해 남녀공학 19학급으로 변경하고, 화공과를 환경공학과로 변경하였다.

2013년 3월 1일 전자기계과 특성화 개편을 시행하고, 로봇기계과를 신설하였다.

2. 3. 영남공업고등학교 교명 변경 및 특성화 개편 (1988년 ~ 현재)

1987년 7월 16일 학교법인 영남공업교육학원이 인가되었다. 1988년 3월 1일 '''영남공업고등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91년 10월 20일 실습동(섬유과, 전기과)을 신축하고, 아마추어 무선국을 개국하였다. 1994년 8월 30일 강당 겸 체육관, 실습실 및 송은관을 준공하였다.

2000년 7월 14일 학칙 변경으로 남녀공학 19학급으로 변경되었고, 화공과를 환경공학과로 변경하였다.

2013년 3월 1일 전자기계과 특성화 개편을 시행하고, 로봇기계과를 신설하였다.

2014년 9월 1일 이상석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8년 2월 8일 제64회 졸업식에서 515명이 졸업하였다.

2020년 3월 1일 김효신 재단이사장이 취임하였고, 김봉준 교장이 취임하였다.

2022년 1월 6일 제68회 졸업식에서 381명이 졸업하였다.

3. 학과

영남공업고등학교에는 다음과 같은 학과들이 있다.

학과
바이오화공과
스마트패션콘텐츠과, 텍스타일디자인과
전기정보과
스마트융합제어과, 전자기계과
전자과
자동화 기계과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전자과)
군 특성화반 (대한민국 육군 기갑조종)


3. 1. 기술 계열 학과


  • 바이오화공과
  • 스마트융합제어과·전자기계과
  • 자동화 기계과

3. 2. 디자인 및 콘텐츠 계열 학과

스마트패션콘텐츠과, 텍스타일디자인과가 있다.

3. 3. 전기·전자 계열 학과


  • 전기정보과
  • 전자과

3. 4. 특성화 과정

영남공업고등학교는 다음과 같은 특성화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바이오화공과
  • 스마트패션콘텐츠과·텍스타일디자인과
  • 전기정보과
  • 스마트융합제어과·전자기계과
  • 전자과
  • 자동화 기계과
  •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전자과)
  • 군 특성화반 (대한민국 육군 기갑조종)

3. 4. 1.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전자과에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운영한다.

3. 4. 2. 군 특성화반

대한민국 육군과 연계된 군 특성화반(기갑조종)이 운영되고 있다.

4. 운동부

영남공업고등학교에는 카누부, 롤러부, 헬스부가 있으며, 이 운동부들은 학생들의 체력 증진과 협동심 함양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4. 1. 카누부

영남공업고등학교의 카누부는 학교 스포츠 클럽 중 하나로, 카누 종목을 통해 학생들의 체력 증진과 협동심 함양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4. 2. 롤러부

영남공업고등학교에는 롤러부가 있다.

4. 3. 헬스부

영남공업고등학교에는 헬스부가 있다.

5. 학교 동문

문서는 제거되어야 하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

영남공업고등학교 출신 동문들은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