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락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락교회는 1945년 12월 2일 한경직 목사가 서울 영락동에 설립한 교회이다. 북한에서 월남한 피난민들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1946년 영락교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한국전쟁 중 부산, 대구, 제주 등에 교회를 설립했고, 영락기도원, 영락사회복지재단, 영락중학교, 영락고등학교 등을 설립하여 성장했다. 현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18개 교구를 두고 있으며, 한경직 목사 기념 사업회 등 다양한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교회당 - 부전교회
부전교회는 1932년 부산진교회 서면기도소에서 시작하여 한국전쟁 중 천막교회로 예배를 드린 후 부전동에 정착, 성전 증축, 유치원 설립, 국외 선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으나, 재정 운영 투명성, 정치 성향 지지, 교권주의적 행태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대한민국의 교회당 - 평택대광교회
평택대광교회는 배창돈 목사가 1991년 개척하여 제자훈련을 통해 성장하고 지역 사회 봉사에 힘쓰며, 아가페하우스 개원, 성전 건축, 사회적 약자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는 교회이다. - 장로교 교회당 - 사랑의교회
사랑의교회는 1978년 강남은평교회로 시작하여 198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교세 확장, 사회 봉사 활동을 거쳐 옥한흠 목사 은퇴 및 오정현 목사 부임 이후 서초동 교회 신축 등 여러 과정을 겪었다. - 장로교 교회당 - 부전교회
부전교회는 1932년 부산진교회 서면기도소에서 시작하여 한국전쟁 중 천막교회로 예배를 드린 후 부전동에 정착, 성전 증축, 유치원 설립, 국외 선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으나, 재정 운영 투명성, 정치 성향 지지, 교권주의적 행태에 대한 논란이 있다. - 서울특별시의 장로교 교회당 - 삼일교회
삼일교회는 1954년 서울특별시 용산구에서 창립되어 선교, 구제 활동을 펼치며, 전병욱 목사 재임 시절 교세가 성장했으나 여러 논란이 있었다. - 서울특별시의 장로교 교회당 - 승동교회
1894년 곤당골교회에서 시작된 승동교회는 독립협회 계열 교인들이 세웠으며, 3·1 운동의 지침 논의 및 독립선언문 인쇄 등 일제강점기 민족 운동의 중심지이자 YWCA 창립의 산실이며, 현재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 건물은 곽안련 목사가 설계 및 시공했다.
영락교회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서울특별시 |
국가 | 대한민국 |
교단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
이전 교단 | 대한예수교장로회 |
회원수 | 10,000명 이상 |
웹사이트 | youngnak.net |
설립 | |
설립일 | 1945년 12월 2일 |
노회 | 서울 |
담임목사 | 김운성 |
![]() |
2. 역사
한경직 목사가 1945년 12월 2일 서울 영락동 소재 천리교 경성분소를 미군정으로부터 종교 적산으로 불하받아 북한에서 월남한 피난민 27명이 모여 설립한 베다니 전도 교회(영락교회의 옛 이름)가 영락교회의 모태이다.
베다니전도교회는 창립 1년 만에 1500명으로 급성장하여 1946년 11월 교회 명칭을 영락교회로 바꾸고 1947년 한국에서 최초로 2부 예배를 실시하였으며 1949년 교인이 6000명으로 증가하였다.
1949년 말 여순 사건이 발생하자 교회가 연합하여 지리산 일대에 십자군 전도대를 파견, 1950년 1차 전도대에 참여하여 지리산 일대의 치안과 복음화를 하면서 전국 순회 전도집회를 개최하였다. 1950년 5월 350평의 2층 석조건물 교회당을 완공하고 한국전쟁 중 부산으로 피난하여 부산 영락교회를, 1951년 대구 영락교회, 1952년 제주 영락교회를, 1961년 영락기도원을 설립했다.[1]
2. 1. 설립 초기 (1940년대)
1945년 12월 2일 한경직 목사가 서울시 영락동 소재 천리교 경성분소를 미군정으로부터 종교 적산으로 불하받아 북한에서 월남한 피난민 중심으로 27명이 모여 베다니 전도 교회(영락교회의 옛 이름)를 설립하였다.[1]베다니전도교회는 창립 1년 만에 1500명으로 급성장하자 1946년 11월 교회 명칭을 영락교회로 바꾸고, 1947년 한국에서 최초로 2부 예배를 실시하였으며, 1949년에는 교인이 6000명으로 증가하였다.[1]
1949년말 여순 반란 사건이 발생하자 교회가 연합하여 지리산 일대에 십자군 전도대를 파견하였고, 1950년 1차 전도대에 참여하여 지리산 일대의 치안과 복음화를 하면서 전국 순회 전도집회를 개최하였다.[1] 1950년 5월에는 350평의 2층 석조건물 교회당을 완공하였다.[1]
연도 | 내용 |
---|---|
1945년 | 공산주의를 피해 월남한 27명의 성도들이 한경직 목사를 중심으로 창립예배 거행 (교회 이름: 베다니 전도교회, 교회당: 일본 천리교 경성분소 개조)[2] |
1946년 | 교회 이름을 <영락교회>로 개명, 경기노회 가입[2] |
1947년 | 주일 예배 2부제 실시, 강신명 동사목사 청빙, 천막교회당 침수로 인해 건축위원회 조직[2] |
1948년 | 장로 24인으로 당회 조직[2] |
1949년 | 석조건물 교회당 기공, 한경직 담임목사와 강신명 동사목사의 위임식 진행[2] |
2. 2. 한국전쟁과 전후 복구 (1950년대)
1949년 말 여순 반란 사건이 발생하자 교회가 연합하여 지리산 일대에 십자군 전도대를 파견하였고, 영락교회는 1950년 1차 전도대에 참여하여 지리산 일대의 치안과 복음화를 하면서 전국 순회 전도집회를 개최하였다.[4] 1950년 5월 350평의 2층 석조건물 교회당을 완공하였으나,[4] 한국전쟁이 발발하여 부산으로 피난, 1951년에는 대구, 1952년에는 제주에 각각 영락교회를 설립했다.[4]연도 | 내용 |
---|---|
1950년 | 미완성의 교회당에서 입당예배 거행, 한국전쟁으로 인해 김응락 장로와 김창화 집사가 교회당을 지키다가 공산군에 의해 순교[4] |
1951년 | 피난지에서 예배를 드리던 교우들이 힘을 모아 각자의 피난지에서 부산영락교회, 대구영락교회 설립[4] |
1952년 | 제주영락교회 설립[4] |
1953년 | 2부 예배제 재실시[4] |
1954년 | 본전 예배당 내부 공사 완료와 동시 헌당식[4] |
1955년 | 대한예수교장로회 제40회 총회 본교회당에서 개회, 한경직 목사 총회장 당선 및 경기노회장 당선, 최초의 해외선교사로 타이에 최찬영 선교사 파송[4], 강신명 동사목사 시무 사면, 교회창립 10주년 기념[4] |
1956년 | 영락 공원묘원 조성[4] |
1957년 | 사회복지법인 <영락사회복지재단> 설립[4] |
1959년 | 교회 직영 교육기관으로 영락중학교, 영락고등학교 설립[4] |
2. 3. 성장과 발전 (1960년대 ~ 1990년대)
- 1960년: 장년 면려회가 월간 <면려>를 창간하여 발행하였다.
- 1961년: 영락기도원 본전을 신축하였다.
- 1963년: 3부 예배제를 실시하였다.
- 1964년: 월간 <면려>의 명칭을 <영락>으로 변경하였다.
- 1965년: '''교회 창립 20주년'''을 기념하였다.
- 1966년: 영락유치원을 개원하고, 선교관을 봉헌하였으며, 월간 <영락>의 명칭을 <영락월보>로 변경하였다.
- 1967년: 성가대를 시온, 호산나, 임마누엘, 베다니로 새로 조직하였다.
- 1969년: 교구제를 실시하였다(3개 교구).
- 1973년: 한경직 목사를 원로목사로 추대하고, 박조준 목사를 담임목사로 임명하였다. 봉사관을 봉헌하고, 평신도부가 월간 <만남>을 창간하였다.
- 1974년: 한경직 목사를 서울노회 공로목사로 추대하고, 한경직 목사 기념도서관을 개관하였다.
- 1975년: '''교회 창립 30주년'''을 기념하여 한경직 목사 기념관을 봉헌하였다.
- 1978년: 본당 증축 헌당예배를 드렸다.
- 1979년: 설악산 수양관을 준공하였다.
- 1980년: 주일예배 성도 수가 2만 명을 돌파하였다.
- 1982년: 5부 예배제를 실시하였다.
- 1984년: 박조준 담임목사가 시무를 사면하였다.
- 1985년: 김윤국 목사가 담임목사로 부임하고, '''교회 창립 40주년'''을 기념하여 영락모자원 원사 및 영락경로원 원사를 신축하였다.
- 1987년: 교회 업무 전산화를 실시하고, 전산실을 개설하였다.
- 1988년: 김윤국 담임목사가 시무를 사면하고, 임영수 목사가 담임목사로 부임하였다.
- 1989년: 영락농아인교회를 지교회로 독립시켰다.
- 1990년: 영락보린원을 신축하고, 영락고등학교 강당을 신축하였다.
- 1991년: 교회 창립 50주년 기념사업위원회를 발족하였다.
- 1992년: 한경직 원로목사가 템플턴상을 수상하였다.
- 1993년: 전담목회제를 실시하여 심방, 선교, 예배, 교육, 사회, 상담, 행정 등 전담목사를 임명하고, 19개 교구, 1,920개 구역으로 편성하였다.
- 1994년: '''교회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50주년 기념관을 기공하고, 애니아의 집을 설립하였으며, 노인요양원을 준공하였다.
- 1995년: 교회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장로회신학대학교에 한경직 목사 기념예배당 신축을 지원하였다.
- 1997년: 임영수 담임목사가 시무를 사면하고, 이철신 목사가 담임목사로 부임하였으며, 50주년 기념관을 준공하였다.
- 1998년: 국제예배를 창립하고, 영락교회 50년사를 발간하였으며, 50주년 기념관을 헌당하였다.
- 1999년: 교회 종합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월간 <만남> 300호를 발행하였으며, 젊은이예배를 베다니홀에서 처음으로 드렸다.
2. 4. 2000년대 이후
- 2000년 한경직 원로목사 소천, 교회 본당 지붕 및 십자가탑 보수
- 2001년 수유리 기도원 개축, 본당 내부 인테리어 리모델링
- 2002년 한경직 목사 탄생 100주기, 베다니홀 2층 천장 붕괴사고 발생
- 2003년 봉사관 리모델링
- 2004년 한경직 목사 기념관 리모델링
- 2005년 '''교회창립 60주년 기념''' (영락중학교 강당 신축, 중국 장춘신학교 설립 지원), 한경직 목사 기념 전시관 개관
- 2007년 김창화 집사 순교기념비 제막, 교회학교 혁신위원회 조직
- 2008년 영락 소규모 요양원 신축, 영락 애니아의 집 증축
- 2009년 대한예수교장로회 300만 서울노회 전진대회
- 2010년 '''교회창립 65주년 기념''' (영락 노인전문 요양원 개원)
- 2011년 한경직 목사 기념관 증축
- 2012년 영락교회 역사 자료실 개관
- 2013년 교회창립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발족, 장로회신학대학교 영성생활관 내 한경직기념도서실 개관
- 2014년 남한산성 영락 여자 신학원을 영락 수련원으로 변경하여 리모델링 공사 실시, 영락 여자 신학원 폐원, 남한산성 영락 수련원 준공
- 2015년 '''교회창립 70주년 기념''' (교회창립 70주년 기념 음악회, 영락 작곡가 70곡 헌정 음악회, 남한산성 영락 수련원 개원)
- 2016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교회 기공예배, 한경직 목사 우거처 환경정비공사 착공
3. 교회 기관
- 영락 기도원
- 설악산 수양관
- 영락 수련원
- 영락 사회복지재단
- 영락 동산 (공원묘원)
- 한경직 목사 기념 사업회
- 한경직 목사 기념 도서관
4. 교구 편성
영락교회는 1969년부터 원활한 심방과 교우 관리를 위해 교구제를 실시하고 있다. 모든 교구에는 담당 목사가 있고, 일부 교구에는 해당 교구의 안정적인 목회를 돕는 목사(슈퍼바이저)가 함께 배정된다.
4. 1. 지역별 교구
영락교회는 1969년부터 원활한 심방과 교우 관리를 위해 교구제를 실시하고 있다. 모든 교구에는 담당 목사가 있으며, 일부 교구에는 해당 교구의 안정적인 목회를 돕는 목사(슈퍼바이저)가 함께 배정된다.교구 | 관할 지역 |
---|---|
1교구 | 강남구 |
2교구 | 강동구, 송파구 |
3교구 | 성동구, 광진구 |
4교구 | 중구, 용산구 |
5교구 | 관악구, 동작구, 금천구 |
6교구 | 강서구, 구로구, 양천구 |
7교구 | 서대문구, 은평구 |
8교구 | 동대문구, 중랑구 |
9교구 | 마포구, 영등포구 |
10교구 | 종로구, 성북구 |
11교구 | 노원구 |
12교구 | 강북구, 도봉구 |
13교구 | 서초구 |
14교구 | 인천광역시, 부천시 |
15교구 | 성남시 외 경기도 동부 |
16교구 | 고양시, 파주시 외 경기도 북부 |
17교구 | 안양시, 수원시 외 경기도 남서부 |
18교구 | 용인시, 화성시 외 경기도 남동부 |
5. 당회
당회는 영락교회의 의사결정기구로, 담임목사와 시무장로로 구성된다.
하위 위원회로는 당회 분과 위원회, 당회 특별 위원회가 있으며, 법인 및 교회기관 운영위원회도 두고 있다.
5. 1. 당회 분과 위원회
당회 분과 위원회 |
---|
운영위원회 |
선교 및 사회 분과위원회 |
교육 분과위원회 |
교구 및 목양 분과위원회 |
행정 및 재정관리 분과위원회 |
5. 2. 당회 특별 위원회
위원회 |
---|
예배위원회 |
인사위원회 |
장학위원회 |
공천위원회 |
선거집행위원회 |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
공간조정위원회 |
헤븐리사역위원회 |
자산통합위원회 |
청빙위원회 |
제도혁신위원회 |
디지털연구위원회 |
젊은이활성화 소위원회 |
5. 3. 법인 및 교회기관 운영위원회
종류 | 명칭 |
---|---|
재단법인 | 서울영락교회 유지재단 |
사회복지법인 | 영락사회복지재단 |
학교법인 | 영락학원 |
사단법인 | 한경직 목사 기념 사업회 |
재단법인 | 영락공원묘원 |
운영위원회 | 영락수련원 운영위원회 |
운영위원회 | 영락어린이집 운영위원회 |
운영위원회 | 역사자료실 운영위원회 |
6. 역대 담임목사
대수 | 임기 | 이름 | 비고 |
---|---|---|---|
1대 | 1945년 ~ 1973년 | 한경직 목사 | 2000년 4월 19일 소천[7] |
동사 | 1947년 ~ 1955년 | 강신명 목사 | 새문안교회 담임목사 시무, 1985년 6월 22일 소천 |
2대 | 1973년 ~ 1984년 | 박조준 목사 | 갈보리교회 담임목사 시무, 국제독립교회연합회 설립[7] |
3대 | 1985년 ~ 1988년 | 김윤국 목사 | 시카고한인교회 담임목사 시무, 2016년 11월 23일 소천[7] |
4대 | 1988년 ~ 1997년 | 임영수 목사 | 모새골 공동체 대표, 모새골교회 협력목사[7] |
5대 | 1997년 ~ 2018년 | 이철신 목사 | 인천제일교회 담임목사 시무, 현 영락교회 원로목사[7] |
6대 | 2018년 ~ 현재 | 김운성 목사 | 부산 땅끝교회 담임목사 시무[7] |
참조
[1]
뉴스
Young-Rak Church, elected elder for three years
http://www.christian[...]
christiantoday
2005-10-20
[2]
서적
Just Three More Years to Live! The Story of Rev. Kyung-Chik Han.
2005
[3]
서적
Just Three More Years to Live! The Story of Rev. Kyung-Chik Han.
2005
[4]
서적
Just Three More Years to Live! The Story of Rev. Kyung-Chik Han.
2005
[5]
뉴스
Chronicle
https://www.nytimes.[...]
1992-03-12
[6]
웹사이트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A Clean, Attractive & Global City, Seoul!"
http://english.seoul[...]
[7]
웹사이트
Youngnak history
http://en.youngnak.n[...]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2018-07-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숭실대학교 기독교통일지도자센터, '2025 제주국제통일리더십포럼' 개최
신학대학 안 나온 전광훈, 어떻게 극우 기독교 행동대장 됐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