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의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상의학은 X선, 컴퓨터 단층 촬영(CT), 자기 공명 영상(MRI), 초음파 등을 활용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 분야이다. 1895년 X선 발견 이후 발전해왔으며, 방사선 진단학, 중재적 방사선학, 핵의학, 방사선 치료학으로 분류된다. 방사선 진단학은 다양한 영상 기술로 질병을 진단하고, 중재적 방사선학은 최소 침습 시술을 통해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한다. 핵의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해 생체 내 변화를 추적하며, 방사선 치료학은 고에너지 방사선으로 암세포를 파괴한다. 영상의학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의료 피폭에 대한 관리와 전문의 양성 시스템도 국가별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사선학 -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는 이온화 방사선을 사용하여 암세포를 파괴하거나 암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하는 의료 기술로, 근치적 및 완화적 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암종에 적용되며, 고정밀 방사선 치료 기술을 통해 정상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지만 피로,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치료법과 병행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 방사선학 - 방사성 추적자
방사성 추적자는 화합물 내 원자를 방사성 동위 원소로 대체하여 화학 반응 연구나 생체 내 분포 영상화에 사용되는 물질로, 핵반응을 통해 인공 생산되며 의학, 생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영상의학 | |
---|---|
영상의학 | |
![]() | |
진료과 | 의학의 한 분과 |
분야 | 의료영상 |
관련 학문 | 의학 물리학 통계학 공학 |
관련 직업 | 방사선사 |
진료 대상 | 모든 연령대 |
영어 명칭 | Radiology |
일본어 명칭 | 일본어: 放射線医学 로마자 표기: Hōshasen igaku |
세부 분야 | |
진단 영상의학 | 질병 진단을 위한 의료 영상 기법 사용 |
중재 영상의학 |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한 영상 유도 절차 수행 |
방사선 종양학 | 암 치료를 위한 방사선 사용 |
수의 영상의학 | 동물의 질병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의료 영상 기법 사용 |
영상 기법 | |
주요 기법 | 엑스선 촬영 컴퓨터 단층 촬영 (CT) 자기 공명 영상 (MRI) 초음파 핵의학 (PET, SPECT) |
기타 기법 | 혈관조영술 골밀도 검사 유방 촬영 형광 투시 |
역할 | |
진단 | 의료영상을 이용하여 질병의 유무, 정도, 위치 등을 진단 |
치료 | 중재 영상의학 시술을 통해 질병을 치료 |
관리 | 영상 장비의 품질 관리 및 안전 관리 |
연구 | 새로운 영상 기법 개발 및 기존 기법 개선 |
참고사항 | |
관련 학술지 | Radiology |
2. 역사
1895년,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박사는 X선을 발견하여 의료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근대 물리학의 막을 열었다.[1] 뢴트겐은 이 발견으로 1901년 최초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
크게 방사선 진단학, 중재적 방사선학, 핵의학, 방사선 치료학으로 분류된다.[1]
X선 발견과 같은 해인 1895년에 X선 치료가 시행되었다.[1] 문헌적으로 처음 보고된 암의 X선 치료는 1896년 2월 Voigt에 의한 진행성 상인두암의 통증 완화 방사선 조사였다.[1] 이후 현대에는 조사 장치 및 치료 계획 장치의 기술적 진보에 따라 세기 조절 방사선 치료(IMRT) 및 영상 유도 방사선 치료(IGRT) 등과 같이 보다 정밀한 치료법으로 발전했다.[1]
또한 방사선 진단학을 뒷받침하는 촬영 기술도 발전을 거듭하여 단순 X선 사진을 시작으로 1970년대 초 실용화된 라돈 변환을 기본 원리로 하는 컴퓨터 단층 촬영, 1946년 블로흐와 펄셀에 의한 핵자기 공명 신호 검출 성공을 시작으로 1983년에 실용화된 핵자기 공명 영상법, 그리고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SPECT) 및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과 같은 모달리티가 개발되었다.[1]
3. 분류
3. 1. 방사선 진단학
단순 X선 촬영, CT, MRI, SPECT, PET, 초음파 검사 등 다양한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질병을 진단한다.
3. 2. 중재적 방사선학 (Interventional Radiology, IVR)
중재적 방사선학(Interventional Radiology, IR 또는 VIR)은 영상 유도 하에 최소 침습적인 시술을 통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사선학의 세부 전문 분야이다. 혈관조영술과 같은 진단 목적의 시술과 혈관성형술과 같은 치료 목적의 시술이 모두 포함된다.
중재적 방사선학의 핵심은 가능한 최소 침습적인 방법으로 병리를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술은 환자가 깨어있는 상태에서 진정제 없이, 또는 최소한의 진정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중재적 방사선과 의사와 중재적 방사선사는[11] 말초 혈관 질환, 신동맥 협착, 하대 정맥 필터 삽입, 위루술 튜브 삽입, 담도 스텐트 및 간 중재 등 다양한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방사선 영상, 투시, 초음파 등을 지침으로 삼고, 특수 바늘과 카테터를 주요 도구로 사용한다. 영상은 이러한 도구들을 질병 부위까지 안내하는 지도의 역할을 한다. 신체적 외상을 최소화함으로써 감염 위험, 회복 기간, 입원 기간을 줄일 수 있다. 미국에서 훈련된 중재 시술자가 되려면 방사선학에서 5년의 레지던시를 마치고, IR에서 1년 또는 2년의 펠로우십을 마쳐야 한다.[12]
한국에서는 "영상 유도 중재 시술"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된다.[36] 주로 경피적 접근을 통해 이루어지며, 주삿바늘이나 카테터라고 불리는 얇은 관을 사용하여 혈관 내 병변에 접근하거나, 체외에서 직접 바늘을 삽입하여 병변 부위의 생검을 하거나, 바늘 끝에서 라디오파를 발생시켜 줄 열로 병변을 태워 제거하는 등 다양한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진다.
기존 수술에 비해 신체적 부담이 적고, 일부 수술의 대체, 또는 수술이 어려운 환자에게 대체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발전해 왔다. 과거에는 혈관 조영술, 초음파, 투시를 통해 치료 부위를 확인했지만, 최근에는 CT, MRI 등도 활용되고 있다.[37] 치료 대상과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이다.3. 3. 핵의학
핵의학은 방사성 동위원소(RI)를 이용하여 생체 내 변화를 추적하고,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 분야이다.[38] 핵의학 영상은 CT나 MRI와 달리 해부학적 구조뿐만 아니라 생리, 생화학적 기능 정보를 제공한다.[39]
핵의학 검사는 아이소토프 검사 또는 RI 검사라고도 불리며, 감마 카메라를 이용하여 체내 방사성 의약품의 동태를 계측한다.[40]
핵의학 검사는 검사 및 계측 조건과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41]
구분 | 설명 | 예시 |
---|---|---|
in vivo (인 비보) | 비밀봉 RI를 체내에 주사하여 장기의 기능이나 동태를 직접 계측 | 골 스캔, 18F-플루오로데옥시글루코스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18F-FDG-PET) |
in vitro (인 비트로) | 생체에서 채취한 혈액이나 소변 등에서 호르몬 등의 미량 물질을 생체 외에서 측정 |
핵의학 치료는 다음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한다.
- 요오드-131(131I):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나 갑상선암 중 유두암과 여포암 치료 (요오드 내용 요법).
- 이트륨-90(90Y): 일부 림프종 치료 (상품명: 제바린)
- 스트론튬-89(89Sr): 골 스캔에서 섭취가 있는 전신성 유통성 다발성 골전이 통증 완화 (상품명: 메타스트론)
- 라듐-223(223Ra): 골전이가 있는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의 생존 기간 연장[42] (상품명: 조피고)
3. 4. 방사선 치료학
방사선 치료(radiation therapy, radiotherapy)는 고에너지 X선, 전자선, 양성자, 중입자선, 중성자 등을 몸에 쬐어 악성 세포를 파괴하는 치료법이다.[1] 현재는 주로 고에너지 X선과 전자선이 사용되며, X선은 신체 내부 종양에, 전자선은 피부암 등 몸 표면이나 그에 가까운 종양 치료에 사용된다.[1] 양성자선 치료와 중입자선 치료 시설도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 수준에서는 붕소 중성자 포획 치료(BNCT) 시설도 설치되기 시작했다.[1] BNCT는 쬐어 준 중성자가 약물과 반응하여 알파선과 이온을 방출하여 암세포를 손상시키는 치료법이다.[1] 양성자선, 중입자선 치료, BNCT의 뛰어난 선량 분포는 세기 조절 방사선 치료보다 이상적이며, 부작용 감소가 기대되는 치료법이다.[1]양성자선, 중입자선 치료는 초기에는 치료 기술 확립 및 치료 성적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논문이 부족했지만, 2022년 현재는 치료 성적에 관한 논문 등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1] 2022년 현재, 양성자선 치료는 소아암, 전립선암, 두경부 악성 종양, 수술이 어려운 골연부 종양, 4cm 이상의 절제 불가능한 간세포암, 절제 불가능한 간내 담관암,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 췌장암, 절제 불가능한 국소 대장암 수술 후 재발 병변에 대해 보험이 적용된다.[1] 중입자선 치료는 양성자선 치료의 보험 적용에 더해 자궁경부 선암이 보험 적용 대상이 된다.[1]
4. 영상 진단 기법
1895년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 이래, 현대 의학에서는 다양한 영상 진단 기법들이 발전해왔다. 이러한 기법들은 질병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 투사 방사선 촬영 (Projection Radiography): 흔히 엑스레이(X-ray)라고 불리는 이 기법은 X선을 인체에 투과시켜 영상을 얻는다. 접근성이 좋고 비용이 저렴하여 1차 검사로 많이 사용된다. 유방 촬영술과 DXA는 저에너지 투사 방사선 촬영을 이용한 검사이다.
- 투시 (Fluoroscopy): X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장기나 방사선 조영제를 투여한 혈관 등을 관찰하는 기법이다.
- 전산화 단층 촬영 (Computed Tomography, CT): X선과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체의 단면 영상을 얻는 기법이다. 방사선 조영제를 사용하면 혈관 등을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다.
- 초음파 (Ultrasound): 고주파 음파를 이용하여 연조직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얻는 기법이다. 이온화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아 임산부에게도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자기 공명 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강력한 자기장과 전파를 이용하여 인체의 단면 영상을 얻는 기법이다. 연조직의 대조도가 뛰어나 뇌, 척추, 근골격계 질환 진단에 유용하다.
4. 1. 투사 방사선 촬영 (Projection Radiography)
방사선 사진(뢴트겐 사진)은 X선 발견자인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X선을 환자에게 투과시켜 생성되며, X선은 신체를 통과하여 검출기로 투사된다. 이미지는 X선이 통과하는(및 감지되는) 것과 환자에게 흡수되거나 산란되어 통과하지 못하는(따라서 감지되지 않는) 것을 기반으로 형성된다. 뢴트겐은 1895년 11월 8일에 X선을 발견했으며, 1901년에 이 발견으로 최초의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필름-스크린 방사선 촬영술에서 X선관은 환자를 향하는 X선 빔을 생성한다. 환자를 통과하는 X선은 산란을 줄이기 위해 그리드 또는 X선 필터라고 하는 장치를 통해 여과되고, 빛을 방출하는 형광체의 스크린에 단단히 고정된 미개발 필름에 닿는다. 이 필름은 화학적으로 현상되어 필름에 이미지가 나타난다. 필름-스크린 방사선 촬영술은 인광판 방사선 촬영술로 대체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술(DR) 및 EOS 영상으로 대체되고 있다.[5] 이 두 최신 시스템에서 X선은 생성된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센서에 닿아, 전송되어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로 변환된다. 디지털 방사선 촬영술에서 센서는 판을 형성하지만, 슬롯 스캔 시스템인 EOS 시스템에서는 선형 센서가 환자를 수직으로 스캔한다.
단순 방사선 촬영은 방사선학 초기 50년 동안 유일하게 사용 가능한 영상 기법이었다. 접근성, 속도,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방사선 촬영은 방사선 진단에서 종종 1차 검사로 선택된다. CT 스캔, MR 스캔 및 기타 디지털 기반 영상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지만,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 고전적인 진단을 얻을 수 있는 많은 질병(예: 다양한 유형의 관절염 및 폐렴, 골종양(특히 양성 골종양), 골절, 선천성 골격 이상, 특정 신장 결석 등)이 있다.
유방 촬영술 및 DXA는 각각 유방암 및 골다공증 평가에 사용되는 저에너지 투사 방사선 촬영의 두 가지 응용 분야이다.
4. 2. 투시 (Fluoroscopy)
투시 및 혈관 조영술은 X선 영상의 특수한 응용 분야로, 형광 화면과 영상 증폭관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구조물을 실시간으로 영상화하거나 방사선 조영제로 보강할 수 있다.[6] 방사선 조영제는 일반적으로 혈관, 비뇨 생식기, 또는 소화관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환자의 몸에 투여하거나 주사한다. 황산 바륨(BaSO4)은 위장관 평가를 위해 경구 또는 직장으로 투여되며, 요오드는 여러 경로로 투여된다. 이들 방사선 조영제는 X선을 강하게 흡수하거나 산란시키며, 실시간 영상과 함께 소화관의 연동 운동이나 동맥과 정맥의 혈류와 같은 동적 과정을 보여준다. 요오드 조영제는 정상 조직보다 비정상적인 부위에 더 많이 또는 덜 집중될 수 있으며, 종양, 낭종, 염증과 같은 이상을 더 눈에 띄게 만들 수 있다.4. 3. 전산화 단층 촬영 (Computed Tomography, CT)
CT 영상은 컴퓨터 알고리즘과 X선을 사용하여 신체를 영상화한다.[7] CT에서는 환자 주위를 회전하는 링 모양의 장치에 있는 X선 검출기 맞은편에 X선 튜브가 있어 컴퓨터로 생성된 단면 영상(단층 촬영)을 생성한다.[8] CT는 축 방향 평면에서 획득하며, 컴퓨터 재구성을 통해 관상 및 시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방사선 조영제는 해부학적 구조를 더 잘 나타내기 위해 CT와 함께 자주 사용된다. 방사선 사진이 더 높은 공간 해상도를 제공하지만, CT는 X선 감쇠의 더 미세한 변동을 감지할 수 있어(더 높은 대조 해상도) 이점이 있다.나선형 다중 검출기 CT는 환자가 방사선 빔을 통해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동안 16, 64, 254개 이상의 검출기를 사용하여 짧은 검사 시간 안에 정밀한 세부 이미지를 얻는다. CT 스캔 동안 정맥 내 조영제를 신속하게 투여하면 이러한 정밀한 세부 이미지를 경동맥, 뇌동맥, 관상동맥 또는 기타 동맥의 3차원(3D) 이미지로 재구성할 수 있다.
1970년대 초 전산화 단층 촬영의 도입은 1차 진료 임상의에게 3차원 해부학적 구조의 상세한 이미지를 제공하여 진단 방사선학에 혁명을 일으켰다. CT 스캔은 뇌출혈, 폐색전증 (폐 동맥의 혈전), 대동맥 박리 (대동맥벽 파열), 충수염, 게실염, 그리고 폐색성 신장 결석과 같은 일부 긴급 및 응급 질환을 진단하는 데 선호되는 검사가 되었다. CT 영상 기술 개발 이전에는 위험하고 고통스러운 탐색적 수술이 심한 복통의 원인에 대한 확정적인 진단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으며, 이는 외부 관찰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9]
4. 4. 초음파 (Ultrasound)
의료 초음파 검사는 초음파(고주파 음파)를 사용하여 신체의 연조직 구조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한다. 이온화 방사선은 사용되지 않지만, 초음파를 사용하여 얻은 영상의 품질은 검사를 수행하는 사람(초음파 검사 기사)의 기술과 환자의 체격에 크게 의존한다. 체격이 크고 과체중인 환자의 경우, 피하 지방이 더 많은 음파를 흡수하여 영상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기로 침투하여 변환기로 반사되는 음파가 줄어들어 정보 손실과 영상 품질 저하가 발생한다. 또한 초음파는 공기 주머니(폐, 창자 고리)나 뼈를 통해 영상을 얻을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초음파 영상 기술은 방사선 촬영법 및 CT 스캔과 달리 이온화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더 안전하다고 간주되며, 산부인과 초음파 검사에서 많이 사용된다. 임신 진행 상황은 사용된 기술로 인한 손상에 대한 우려를 덜면서 철저히 평가할 수 있으며, 많은 태아 기형을 조기에 발견하고 진단할 수 있다. 만성 질환 또는 임신으로 인한 질병이 있는 환자, 그리고 다태 임신(쌍둥이, 세쌍둥이 등)의 경우 성장을 시간에 따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컬러 도플러 초음파는 말초 혈관 질환의 심각성을 측정하고, 심장, 심장 판막 및 주요 혈관의 동적 평가를 위해 심장 전문의가 사용한다. 예를 들어, 총 경동맥의 협착은 임박한 뇌졸중의 경고 신호일 수 있다. 다리 내측 정맥 깊숙이 박힌 심부 정맥 혈전증 혈전은 초음파를 통해 혈전이 떨어져 폐로 이동하여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폐색전증을 유발하기 전에 발견할 수 있다. 초음파는 주변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생검 수행의 가이드로, 그리고 흉강 천자와 같은 배액술에 유용하다. 현재 소형 휴대용 초음파 장치는 외상 병동에서 내부 출혈 및 내부 장기 손상 유무를 비침습적으로 평가하여 진단 복강 세척을 대체한다. 광범위한 내부 출혈 또는 주요 장기 손상은 수술 및 복구를 필요로 할 수 있다.
4. 5. 자기 공명 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RI는 강력한 자기장을 사용하여 신체 조직 내의 원자핵(보통 수소 양성자)을 정렬한 다음, 전파 신호를 사용하여 이러한 핵의 회전축을 교란시키고 핵이 기준 상태로 돌아올 때 생성되는 전파 신호를 관찰한다.[10] 전파 신호는 코일이라고 하는 작은 안테나에 의해 수집되며, 관심 영역 근처에 배치된다. MRI의 장점은 축 방향, 관상 방향, 시상 방향 및 여러 사선 방향으로 영상을 쉽게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MRI 스캔은 모든 영상 촬영 기법 중에서 가장 우수한 연조직 대비를 제공한다. 스캔 속도와 공간 해상도의 발전, 컴퓨터 3D 알고리즘 및 하드웨어의 개선으로 MRI는 근골격 방사선학 및 신경 방사선학에서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단점 중 하나는 영상 촬영 동안 환자가 시끄럽고 좁은 공간에서 오랫동안 가만히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MRI 검사를 중단할 정도로 심각한 폐쇄공포증(밀폐된 공간에 대한 공포)은 환자의 최대 5%에서 보고된다. 더 강력한 자기장(3 테슬라), 검사 시간 단축, 더 넓고 짧은 자석 구멍 및 더 개방된 자석 설계를 포함한 자석 설계의 최근 개선으로 폐쇄공포증 환자에게 어느 정도 안도감을 주었다. 그러나 동등한 자기장 강도의 자석의 경우 영상 품질과 개방형 설계 사이에는 종종 절충이 있다. MRI는 뇌, 척추 및 근골격계를 영상화하는 데 큰 이점이 있다. MRI 사용은 현재 심장 박동기, 인공 와우, 일부 체내 투약 펌프, 특정 유형의 뇌 동맥류 클립, 눈 속의 금속 조각, 강력한 자기장으로 인한 일부 금속 하드웨어, 신체가 노출되는 강력한 변동 전파 신호가 있는 환자에게는 금기시된다. 잠재적 발전 분야에는 기능적 영상, 심혈관 MRI 및 MRI 유도 치료가 포함된다.
5. 영상 분석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PACS) 워크스테이션을 이용하여 의료 영상을 판독하고 분석한다. 영상 분석은 기본적으로 광학 밀도 평가(히스토그램 분석)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뼈로 전이된 암은 방사선 투과성을 유발할 수 있다.
디지털 방사선 감산 기술은 동일 부위의 두 방사선 사진을 겹쳐 광학 밀도 차이를 분석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밀도 변화의 역동성과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지만, 기하학적 조정과 광학 밀도의 전반적인 정렬이 선행되어야 한다.
디지털 텍스처 분석과 같은 2차 특징을 연구하거나, 프랙탈 차원을 기반으로 뼈에 생체 재료를 이식하는 위치를 평가하기도 한다. 건강한 뼈와 이식 부위 샘플을 비교하여 이식 부위가 건강한 뼈를 얼마나 모방하고 뼈 재생 과정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수치적,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원격 영상의학은 훈련된 전문가가 방사선 영상을 다른 위치로 전송하여 판독하는 기술이다. 주로 응급실이나 중환자실 등에서 야간이나 주말에 응급 검사를 빠르게 판독할 때 활용된다. 시간대를 이용하여 주간 근무 시간에 판독하거나, 복잡한 사례에 대해 전문가나 세부 전문의와 상담할 때도 사용된다. 그러나 비용이 높고, 의뢰인과 보고하는 임상의 간 소통이 제한적이며, 현장 보고 임상의가 없어 절차를 처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5. 1. 일반 방사선 촬영
방사선 사진은 환자를 통과하는 X선을 투과시켜 생성되며, X선이 신체를 통과하여 검출기에 투사되는 방식이다. 이미지는 X선이 통과하는(및 감지되는) 것과 환자에게 흡수되거나 산란되어 통과하지 못하는(따라서 감지되지 않는) 것을 기반으로 형성된다.[5]
필름-스크린 방사선 촬영술에서 X선관은 환자를 향하는 X선 빔을 생성한다. 환자를 통과하는 X선은 산란을 줄이기 위해 그리드 또는 X선 필터라고 하는 장치를 통해 여과되고, 빛을 방출하는 형광체의 스크린에 단단히 고정된 미개발 필름에 닿는다. 이 필름은 화학적으로 현상되어 필름에 이미지가 나타난다. 필름-스크린 방사선 촬영술은 인광판 방사선 촬영술로 대체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술(DR) 및 EOS 영상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 두 최신 시스템에서 X선은 생성된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센서에 닿아, 전송되어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로 변환된다. 디지털 방사선 촬영술에서 센서는 판을 형성하지만, 슬롯 스캔 시스템인 EOS 시스템에서는 선형 센서가 환자를 수직으로 스캔한다.
단순 방사선 촬영은 방사선학의 초기 50년 동안 유일하게 사용 가능한 영상 기법이었다. 다른 기법에 비해 접근성, 속도,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방사선 촬영은 방사선 진단에서 종종 1차 검사로 선택된다. 또한 CT 스캔, MR 스캔 및 기타 디지털 기반 영상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지만,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 고전적인 진단을 얻을 수 있는 많은 질병이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유형의 관절염 및 폐렴, 골종양(특히 양성 골종양), 골절, 선천성 골격 이상, 특정 신장 결석 등이 있다.
유방 촬영술 및 DXA는 각각 유방암 및 골다공증 평가에 사용되는 저에너지 투사 방사선 촬영의 두 가지 응용 분야이다.
기본적인 분석은 광학 밀도 평가(즉, 히스토그램 분석)이다. 그런 다음 특정 영역이 다른 광학 밀도를 갖는다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뼈로의 암 전이는 방사선 투과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방사선 감산이다. 이는 동일한 검사 부위의 두 개의 방사선 사진을 중첩하고 광학 밀도를 빼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결과 이미지에는 두 개의 검사된 방사선 사진 사이의 시간 종속적 차이만 포함된다. 이 기술의 장점은 밀도 변화의 역학 및 발생 장소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전에 기하학적 조정과 광학 밀도의 일반적인 정렬을 수행해야 한다.
방사선 영상 분석의 또 다른 가능성은 디지털 텍스처 분석과 같은 2차 특징을 연구하는 것이다. 또는 프랙탈 차원을 바탕으로 유도 골 재생을 목적으로 뼈에 생체 재료를 이식하는 위치를 평가할 수 있다. 온전한 뼈 이미지 샘플(관심 영역, ROI, 기준 부위)과 이식 부위의 샘플(두 번째 ROI, 시험 부위)을 가져와 이식 부위가 건강한 뼈를 얼마나 모방하고 뼈 재생 과정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 수치적/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뼈 치유 과정이 일부 전신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지 확인할 수 있다.
5. 2. 원격 영상의학 (Teleradiology)
원격 영상의학은 훈련된 전문가(주로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판독을 위해 방사선 영상을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송하는 것이다. 주로 응급실, 중환자실 등에서 야간이나 주말에 응급 검사를 신속하게 판독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간대를 넘어 영상을 전송하여(예: 스페인, 호주, 인도) 정상적인 주간 근무 시간에 판독이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 미국에서는 대규모 원격 영상의학 회사들이 주로 미국 내에서 야간 근무하는 영상의학과 전문의를 고용하여 대부분의 시간 외 서비스를 제공한다. 복잡한 사례에 대한 전문가 또는 세부 전문의와의 상담을 얻는 데에도 원격 영상의학이 사용될 수 있다. 미국에서는 많은 병원이 비용 절감과 고속 인터넷 접근성을 이유로 인도에 있는 영상의학과 전문의에게 판독을 아웃소싱하기도 한다.원격 영상의학에는 전송 스테이션, 고속 인터넷 연결, 고품질 수신 스테이션이 필요하다. 전송 스테이션에서는 일반 방사선 사진은 전송 전에 디지털화 기계를 통과하는 반면, CT, MRI, 초음파 및 핵의학 스캔은 이미 디지털 데이터이므로 직접 전송될 수 있다. 수신단의 컴퓨터에는 임상 목적으로 테스트를 거쳐 승인된 고품질 디스플레이 화면이 필요하다. 이후 보고서는 요청하는 임상의에게 전송된다.
원격 영상의학의 주요 장점은 다른 시간대를 사용하여 연중무휴 실시간 응급 방사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점으로는 높은 비용, 의뢰인과 보고하는 임상의 간의 제한된 접촉, 그리고 현장 보고 임상의가 필요한 절차를 처리할 수 없다는 점이 있다. 원격 영상의학 사용에 관한 법률 및 규정은 주마다 다르며, 일부 주에서는 방사선 검사를 전송하는 주에서 의료 행위를 하기 위한 면허를 요구한다. 미국에서는 일부 주에서 원격 영상의학 보고서가 예비 보고서여야 하며, 병원 직원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공식 보고서를 발행하도록 요구한다. 원격 영상의학의 장점은 현대적인 기계 학습 기술을 사용하여 자동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13][14][15]

6. 의료 피폭
1895년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 이래, 방사선 기술은 의료 분야에서 진단과 치료에 획기적으로 기여해 왔다. 현대에는 세기 조절 방사선 치료(IMRT), 영상 유도 방사선 치료(IGRT)와 같은 정밀한 치료법이 개발되었고, 컴퓨터 단층 촬영(CT), 핵자기 공명 영상법(MRI),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SPECT),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등 다양한 영상 촬영 기술이 발전했다.
의료 영상 검사 시 발생하는 방사선 피폭량은 검사 종류에 따라 다르다. 아래 표는 বিভিন্ন 검사 시 발생하는 유효 선량과 환경 방사선에 동일한 기간 노출되었을 때의 선량을 비교한 것이다.[43]
의료 영상에서의 유효 선량 | |||
---|---|---|---|
대상 장기 | 검사 | 유효 선량(성인) | 환경 방사선의 등가 시간 |
머리 | CT 단순 | 2 mSv | 8개월 |
조영제 사용 | 4 mSv | 16개월 | |
가슴 | 흉부 CT | 7 mSv | 2년 |
폐 암 검진을 위한 흉부 CT | 1.5 mSv | 6개월 | |
흉부 단순 X선 촬영 | 0.1 mSv | 10일 | |
심장 | 관상 동맥 CT 혈관 조영 | 12 mSv | 4년 |
관상 동맥 CT, 칼슘 스캔 | 3 mSv | 1년 | |
복부 | 복부・골반 CT | 10 mSv | 3년 |
복부・골반 CT, 저선량 프로토콜 | 3 mSv | 1년 | |
복부・골반 CT, 조영제 사용 | 20 mSv | 7년 | |
CT 결장 검사 | 6 mSv | 2년 | |
정맥 내 신우 조영술 | 3 mSv | 1년 | |
상부 소화관 조영 | 6 mSv | 2년 | |
하부 소화관 조영 | 8 mSv | 3년 | |
척추 | 척추 단순 X선 촬영 | 1.5 mSv | 6개월 |
척추 CT | 6 mSv | 2년 | |
사지 | 사지 단순 X선 촬영 | 0.001 mSv | 3시간 |
하지 CT 혈관 조영 | 0.3 - 1.6 mSv | 5주 - 6개월 | |
치과 X선 촬영 | 0.005 mSv | 1일 | |
골밀도 측정 (DEXA법) | 0.001 mSv | 3시간 | |
PET-CT | 25 mSv | 8년 | |
유방 촬영술 | 0.4 mSv | 7주 |
피폭은 전리 방사선에 노출되는 현상을 의미하며,[46] 이로 인해 백내장, 암 발생 등 부정적인 영향과 갑상선 질환 치료, 암 치료 등 긍정적인 영향이 모두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방사선 치료 분야를 제외한 영상 진단 영역에서의 피폭은 실질적으로 신체에 대한 침습으로 간주되므로, 일반적으로는 피폭의 생물학적 영향과 피폭 자체를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는다.[49]
6. 1. 의료 피폭의 선량 한도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의 1990년 권고에 따라, 한국에서도 피폭선량 제한이 법령으로 정해져 있다. 그러나 의료 목적으로 전리 방사선을 환자에게 조사하는 경우에는 선량 제한에 대한 법적 규정은 없다. 이는 환자가 피폭을 통해 진단이나 치료와 같은 직접적인 이익을 얻기 때문이다. 즉, 환자가 의학적 이익을 얻는 경우, 피폭선량에 관계없이 의료 피폭이 정당화된다. 만약 의료 피폭의 선량 제한을 법령으로 정하면, 국민이 적절한 의료를 받을 기회를 잃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의료 피폭은 직업 피폭이나 공중 피폭과는 다르게 취급해야 한다. 방사선을 인체에 조사하는 판단은 의사 및 치과의사만 할 수 있으며, 진료 방사선 기사는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시 없이는 방사선을 인체에 조사할 수 없다.하지만 방사선 진단 결과 건강하다고 진단된 경우에는, 피폭으로 인한 위험과 건강하다는 안심만이 남는다. 따라서 2차 예방을 위한 건강검진에서 방사선 진단을 할 때는, 피폭 위험을 고려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의료 피폭은 "정당화"와 "최적화"를 통해 필요 최소한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 "정당화"는 방사선 검사나 치료가 환자에게 가져다주는 이익이 피폭으로 인한 위험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최적화"는 불필요한 피폭을 최소화하고 가능한 한 낮은 선량으로 필요한 진단 정보를 얻거나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방사선 의료를 통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을 "주 작용"이라고 한다면, 의료 피폭으로 인해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생물학적 영향은 의료용 약제의 "부작용"에 비유할 수 있다. 방사선 의료는 치료를 통해 환자가 얻는 이익과 위험을 고려하여 의사나 치과의사가 유익하다고 판단할 때 시행된다. 예를 들어, 치료 성공 확률이 95% 이상이고, 회복하기 어려운 유해 사례 발생 확률이 5% 이하인 경우와 같이 이익이 위험보다 현저히 클 때 시행될 수 있다.
6. 2. 의료 피폭 현황
방사선 진단 및 치료 기술의 발전과 보급으로 인해, 일본을 포함한 일부 의료 선진국에서는 의료 피폭의 유효 선량이 자연 방사선 피폭량보다 더 커지고 있다.[50] 원자 방사선의 영향에 관한 유엔 과학 위원회(UNSCEAR)의 2008년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전 세계 방사선 진단은 31억 회, 1인당 평균 선량은 0.62mSv였다. 의료 선진국의 평균은 1.92mSv였지만, 일본은 2.3mSv[51], 미국은 3.0mSv[52]로 추정되었다.
일본은 CT 장비 보급률이 다른 국가보다 현저히 높아,[53] 2002년 기준 인구 100만 명당 92.6대를 기록했다. 이는 2위 호주(45.3대, 2004년), 3위 미국(32.3대, 2004년)과 비교해도 매우 높은 수치이다. CT 1회 촬영 시 6.9mSv, X선 검사에서는 0.6–2.7mSv의 의료 피폭이 발생한다.[54]
방사선 진료에서 대표적인 X선 검사의 피폭량은 흉부 0.04mSv, 복부 1.2mSv, 상부 소화관 8.7mSv, 흉부 CT 7.8mSv, 복부 CT 7.6mSv이다.[64][65]
CT와 같은 고가 장비의 경우, 과도한 검사가 이루어질 우려가 있다.[58] 저선량 방사선 피폭의 영향은 불확실하지만, 저선량 피폭도 발암을 유발한다는 가설(LNT 가설)에 따라 15개국에서 방사선 검사 빈도에 따른 발암 위험을 조사한 결과, 일본의 의료 피폭에 의한 발암 위험은 3.2%(연간 7587건의 발암에 해당)로 가장 높았다.[60] 이는 CT 검사로 인한 피폭 비중이 크고, CT 장비 설치 대수가 많은 점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61]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영상 진단에서 불필요한 방사선 조사를 줄이는 방침을 제시하고 있다.[62]
6. 3. 역치 선량과 영향 사례
역치 선량(threshold dose)은 방사선을 일정 수준 이상 받았을 때, 확정적 방사선 영향이 나타나는 기준이 되는 선량이다.[71] 확정적 영향과 확률적 영향으로 나뉜다.[64]확정적 영향의 예로는 태아에 대한 영향, 기관이 만들어지는 시기에 피폭으로 인한 기형 발생 등이 있으며, 그 기준이 되는 역치 선량은 100mGy(밀리그레이)로 알려져 있다.[64] 그러나 방사선 진단에서 태아가 받는 평균 피폭량은 복부 촬영 1.4mGy, 주사 조영 검사 6.8mGy, 복부 CT 8.0mGy, 골반 CT 25.0mGy 등으로, 이 역치 선량 100mGy보다 작기 때문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확률적 영향의 예로는 여러 번의 X선 검사로 인한 백혈병 또는 암 발생 등이 있다. 미국에서는 CT 스캔 검사가 연간 7000만 건 이상 시행되고 있으며, 그중 2만 9000건이 미래에 CT와 관련된 암 발병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72] 확률적 영향에는 역치 선량이 없고, 피폭량에 비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영향의 확률은 0이 되지는 않지만, 일상적인 방사선 검사에서의 피폭량은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니라는 주장이 있다. 한편, 임신 여성이 방사선 진단을 받는 경우, X선 검사 횟수와 태아의 상대적 위험에 비례 관계가 있다는 보고도 있어,[73] 태아에 대한 위험을 아예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단정할 수 없는 불확실성이 있으며, 확정적인 결론은 나오지 않았다. 또한, 백혈병에서는 50~200mGy 이하의 피폭에서는 발생률 증가가 통계적으로 명확하지 않다.[64] 통상적인 X선 검사에서는 흉부 0.04mGy, 복부 0.4mGy, 요추 1.4mGy, 상부 소화관 8.2mGy 정도이며, 지나치게 많은 횟수의 검사를 하지 않는 한,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주장도 있다.[64]
7. 전문의 양성
영상의학 전문의 양성 과정은 국가별로 다르다.
국가 | 과정 |
---|---|
미국 | 학부 교육 후 4년제 의과대학(D.O. 또는 M.D.), 1년 인턴, 4년 전공의 과정을 거치며, 이후 1~2년의 펠로우십을 선택할 수 있다. |
영국 | 5년 수련 과정 동안 왕립 방사선사 대학(FRCR) 시험(1차: 물리학, 해부학, 2A: 6개 필기, 2B: 신속 보고, 장기 사례 토론)을 통과해야 한다. 수련 완료 증명서(CCT) 취득 후 펠로우십을 선택할 수 있다. |
독일 | 의사 면허 취득 후 5년 레지던트 과정을 거쳐 전문의 시험(Facharztprüfung)을 통과해야 한다. |
이탈리아 | 6년제 의학전문대학원 졸업 후 4년 전공의 과정을 이수한다. |
네덜란드 | 6년제 의학 학위 취득 후 5년 레지던트 과정을 이수한다. |
인도 | 4.5년 학사 학위 및 1년 인턴십 후 NEET PG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이후 3년 석사(MD/DNB) 또는 2년 디플로마(DMRD) 프로그램을 이수한다. |
싱가포르 | 5년제 학부 의학 프로그램 및 1년 인턴십 후 5년 레지던트 과정을 수료해야 하며, 이후 1~2년 펠로우십을 선택할 수 있다. |
슬로베니아 | 6년 의학 과정 및 응급 의학 인턴십 후 5년 대학원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최종 보드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
프랑스 | 의학 연구 핵심 과정 이수 후, 영상의학 및 의료 영상 DES (5년) 또는 고급 중재적 방사선학 DES (6년)를 취득하고, 의학 박사 학위(DE) 및 실습 논문을 제출해야 한다. |
각 국가별 세부적인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7. 1. 미국
영상의학은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2000년 이후 급격히 확장되었으며, 현대 영상 기술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미국의 영상의학과 전공의 지원 경쟁은 매우 치열하다. 지원자들은 대개 의과대학 성적이 최상위권이며, 높은 USMLE 점수를 가지고 있다.[18]진단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되려면 학부 교육, 의학 학위(D.O. 또는 M.D.)를 받기 위한 4년간의 의과대학, 1년간의 인턴, 그리고 4년간의 전공의 수련을 완료해야 한다.[19] 전공의 수련 후, 대부분의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1~2년의 추가적인 세부 전문 분야 펠로우십 훈련을 받는다.
미국 영상의학 위원회(ABR)는 진단 영상의학, 방사선 종양학, 의학 물리학 분야의 전문 자격증을 관리하며, 신경 영상의학, 핵 영상의학, 소아 영상의학, 혈관 및 중재적 영상의학 분야의 세부 전문 분야 자격증도 관리한다. 진단 영상의학 분야의 "보드 인증"을 받으려면 두 개의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핵심 시험은 전공의 수련 36개월 후에 실시되며, 2021년 2월부터 컴퓨터 기반 시험으로 영구적으로 원격 형식이 되었다. 합격 점수는 350점 이상이다. 인증 시험은 영상의학과 전공의 수련 완료 후 15개월 후에 응시할 수 있으며, 5개의 모듈로 구성된 컴퓨터 기반 시험으로 합격/불합격으로 평가된다. 재인증 시험은 10년마다 치러진다.
미국 정골의학 영상의학 위원회(AOBR)와 미국 전문의 위원회에서도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전공의 수련을 마친 후,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일반 진단 영상의학과 전문의로 개업하거나 펠로우십 훈련을 받을 수 있다. 영상의학의 세부 전문 분야에는 복부 영상, 흉부 영상, 단면/초음파, MRI, 근골격계 영상, 중재적 영상의학, 신경 영상의학, 중재적 신경 영상의학, 소아 영상의학, 핵의학, 응급 영상의학, 유방 영상, 여성 영상 등이 있다. 영상의학 펠로우십 훈련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1~2년이다.[20]
미국의 일부 의과대학에서는 기본적인 영상의학 입문 과정을 핵심 의학 박사(MD) 교육 과정에 포함시키기 시작했다. 뉴욕 의과대학, 웨인 주립 대학교 의과대학, 와일 코넬 의과대학, 국방부 의과대학교,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의과대학은 각자의 MD 프로그램에서 영상의학 입문 과정을 제공한다.[21][22][23] 캠벨 대학교 정골의학 의과대학 또한 1학년 초에 영상 자료를 커리큘럼에 통합한다.
방사선 검사는 일반적으로 방사선사가 수행한다.
7. 2. 영국
영국에서 영상의학은 매우 경쟁이 치열한 분야이며, 다양한 배경을 가진 지원자들이 몰려든다. 기초 과정을 직접 이수한 사람뿐만 아니라, 상위 교육 과정을 완료한 사람들도 지원할 수 있다.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에서 임상 영상의학 수련 과정에 대한 채용 및 선발은 11월부터 3월까지 진행되는 연례 전국 조정 절차를 통해 이루어진다.[24] 이 과정에서 모든 지원자는 전문 분야 채용 평가(SRA)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24] 특정 기준 점수 이상을 받은 지원자는 런던 및 동남부 채용 사무소에서 단일 면접을 보게 된다.[25] 이후 단계에서 지원자는 선호하는 프로그램을 선언하지만, 경우에 따라 인접 지역에 배치될 수 있다.[25]수련 프로그램은 총 5년 동안 진행된다. 이 기간 동안 의사는 소아 영상의학, 근골격 영상의학, 신경 영상의학, 유방 영상과 같은 다양한 세부 전문 분야로 순환한다. 수련 첫 해 동안 영상의학 수련생은 왕립 방사선사 대학(FRCR) 시험의 첫 번째 부분(의학 물리학 및 해부학 시험) 통과가 예상된다. 1차 시험을 완료한 후, 모든 세부 전문 분야를 다루는 6개의 필기 시험(2A 파트)을 통과해야 한다. 이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신속 보고 및 장기 사례 토론을 포함하는 2B 파트를 완료하여 FRCR을 취득할 수 있다.
수련 완료 증명서(CCT)를 취득한 후, 신경 중재 및 혈관 중재와 같은 전문 분야에서 많은 펠로우십 자리가 있으며, 이를 통해 의사는 중재적 영상의학 전문의로 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펠로우십 프로그램을 포함하기 위해 CCT 날짜를 1년 연기할 수 있다.
영국의 영상의학 레지던트는 1993년 왕립 방사선사 대학의 후원으로 설립된 수련 방사선사 협회 (SRT)에 의해 대표된다.[26] 이 협회는 영국에서 영상의학 수련 및 교육을 증진하기 위해 특별히 영상의학 레지던트에 의해 운영되는 비영리 단체이다. 전국 수련생들의 참여를 장려하는 연례 회의가 개최된다.
현재, 영국의 방사선과 전문의 부족은 모든 전문 분야에서 기회를 창출했으며, 영상 진단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향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방사선사와 드물게 간호사가 이러한 기회를 수행하도록 훈련받아 수요를 충족하는 데 도움을 준다. 방사선사는 지역적으로 승인되고 자문 방사선과 전문의의 서명을 받은 후 특정 절차 집합의 "목록"을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방사선사는 방사선과 전문의 또는 다른 의사를 대신하여 목록을 운영할 수 있다. 방사선사가 자율적으로 목록을 운영하는 경우, 대부분 이온화 방사선 (의료 노출) 규정 2000에 따라 운영자 및 실무자 역할을 한다. 방사선사는 다양한 기관에 의해 대표되며, 가장 흔한 것은 방사선사 협회 및 대학이다. 간호사와의 협력도 흔하며, 간호사와 방사선사가 공동으로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7. 3. 독일
독일에서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되려면 의사 면허를 취득한 후 5년간의 레지던트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 과정은 전문의 시험(''Facharztprüfung'')으로 마무리된다.[18]7. 4. 이탈리아
이탈리아의 영상의학과 의사들은 6년제 의학전문대학원 과정을 마친 후 4년의 전공의 과정을 이수한다.7. 5. 네덜란드
네덜란드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6년제 의학 학위 과정을 마친 후 5년의 레지던트 과정을 이수한다.7. 6. 인도
인도에서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되기 위해서는 4.5년의 학사 학위와 1년의 인턴십을 마친 후, 인도에서 가장 어려운 시험 중 하나로 알려진 NEET PG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이전 랭킹 데이터를 보면 최상위 득점자만이 영상의학과를 선택할 수 있었는데, 이는 낮은 점수로는 다른 과에는 입학할 수 있지만 영상의학과에는 입학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영상의학과 프로그램은 3년 과정의 석사(MD/DNB 영상의학과) 또는 2년 과정의 디플로마(DMRD)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27]7. 7. 싱가포르
싱가포르에서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되려면 5년제 학부 의학 프로그램을 마친 후, 1년간의 인턴십을 거쳐야 한다. 그 후 5년의 레지던트 과정을 수료해야 한다. 일부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중재적 방사선학과 같은 분야에서 추가적인 세부 전문화를 위해 1년 또는 2년의 펠로우십을 선택하기도 한다.7. 8. 슬로베니아
6년의 의학 과정을 마치고 응급 의학 인턴십을 통과한 후, 의학 박사는 영상의학과 레지던트에 지원할 수 있다. 영상의학은 모든 영상의학 분야를 포함하는 5년 과정의 대학원 프로그램이며, 최종 보드 시험을 거친다.7. 9. 프랑스
프랑스에서 영상의학 전문의가 되려면, 의학 연구의 일반적인 핵심 과정을 통과해야 한다. 그 후, 영상의학 및 의료 영상 분야의 DES (전문 연구 학위, 5년 과정) 또는 고급 중재적 방사선학 분야의 DES (6년 과정)를 취득해야 한다. DES를 마친 후에는, 의학 박사 학위(DE)를 취득하고 프랑스에서 진료를 할 수 있도록 "실습 논문"을 제출해야 한다.참조
[1]
웹사이트
The American Board of Radiology
https://www.theabr.o[...]
2018-10-17
[2]
웹사이트
Radiology — Diagnostic Specialty Description
https://www.ama-ass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20-10-19
[3]
논문
The role of the radiology nurse
1994
[4]
논문
Radiographic image interpretation by Australian radiographers: a systematic review
2019-12
[5]
논문
EOS imaging of the human pelvis: reliability, validity, and controlled comparison with radiography
2013-05
[6]
서적
Squire's Fundamentals of Radiolog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7]
서적
Fundamentals of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 Reconstruction from Projec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7-14
[8]
간행물
CT-scan Image Production Procedures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
[9]
서적
The Sorcerer's Apprentice: How Medical Imaging Is Changing Health Ca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0]
웹사이트
Magnetic Resonance, a critical peer-reviewed introduction
http://www.magnetic-[...]
European Magnetic Resonance Forum
[11]
웹사이트
Intervention as an Extended Role: My Journey
http://www.ukrc.org.[...]
UKRC & Queen Elizabeth Hospital Birmingham
[12]
논문
Global statement defining interventional radiology
2010-08
[13]
논문
Machine learning and radiology
2012-07
[14]
논문
Radiological images and machine learning: Trends, perspectives, and prospects
2019-02
[15]
논문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Radiology: Opportunities, Challenges, Pitfalls, and Criteria for Success
2018-03
[16]
웹사이트
ACGME Program Requirements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Diagnostic Radiology
https://www.acgme.or[...]
2022-07-01
[17]
간행물
Radiology Patient Safety and Communication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3
[18]
웹사이트
USMLE Scores and Residency Applicant Data, 2009: Diagnostic Radiology
https://www.aamc.org[...]
[19]
뉴스
A Day in the Life of a Radiologist
http://cmescience.co[...]
2017-12-28
[20]
웹사이트
Department of Radiology and Medical Imaging — School of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Virginia
http://www.healthsys[...]
Healthsystem.virginia.edu
2012-02-17
[21]
웹사이트
School of Medicine
http://www.nymc.edu/[...]
New York Medical College
[22]
웹사이트
Integrated ultrasound curriculum (iUSC)
http://www.springeri[...]
SpringerImages
2011-03-25
[23]
웹사이트
A Pilot Study of Comprehensive Ultrasound Education at the Wayne Stat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http://www.jultrasou[...]
Jultrasoundmed.org
2008-05-01
[24]
웹사이트
Specialty recruitment
https://www.rcr.ac.u[...]
[25]
웹사이트
Vacancy / Clinical Radiology
https://www.pathway.[...]
[26]
웹사이트
The Society of Radiologists in Training
http://www.thesrt.co[...]
Society of Radiologists in Training
[27]
논문
The training and practice of radiology in India: current trends
2014-12
[28]
논문
The interventional radiology/diagnostic radiology certificate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residency
2014-11
[29]
논문
Requirements for training in interventional radiology
2013-11
[30]
논문
The new Interventional Radiology/Diagnostic Radiology dual certificate: "higher standards, better education"
2016-02
[31]
웹사이트
Pediatric Interventional Training Opportunities
https://www.pedrad.o[...]
The Society for Pediatric Radiology
[32]
논문
White Paper: Curriculum in Interventional Radiology
2017-04
[33]
논문
Radiology training in United Kingdom: current status
2014-12
[34]
웹사이트
Guidance on Training in Interventional Radiology
https://www.rcr.ac.u[...]
[35]
문서
南山堂医学大辞典
[36]
PDF
理事会における IVR の和名についての検討経過概要
http://www.jsir.or.j[...]
日本インターベンショナルラジオロジー学会
[37]
문서
新臨床腫瘍学 p.202
[38]
웹사이트
PETの部屋 核医学の基礎 核医学(Nuclear Medicine)とは
http://www.med.shima[...]
2011-09-11
[39]
서적
核医学ノート・第4版
金原出版
[40]
PDF
核医学会による一般向け説明
http://www.jsnm.org/[...]
[41]
웹사이트
PETの部屋 核医学の基礎 3つの核医学の分類
http://www.med.shima[...]
2011-09-12
[42]
간행물
バイエル薬品社内資料[症候性去勢抵抗性前立腺癌患者を対象とした国外第Ⅲ相臨床試験](2015)
Petrenciuc O
[43]
웹사이트
Radiation Dose in X-Ray and CT Exams
https://www.radiolog[...]
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2017-10-23
[44]
논문
An overview of kidney stone imaging techniques
Springer Nature
[45]
논문
Image Quality and Radiation Dose of Lower Extremity CT Angiography Using 70 kVp, High Pitch Acquisition and Sinogram-Affirmed Iterative Reconstruction
[46]
서적
広辞苑・第六版
岩波書店
[47]
서적
良性疾患の放射線治療 p.122
金原出版株式会社
[48]
문서
新臨床腫瘍学 p.212
[49]
문서
画像診断ガイドライン 2013年版 p.40
[50]
PDF
「UNSCEAR2008年報告書」
http://www.aec.go.jp[...]
放射線医学総合研究所
2011-10-22
[51]
웹사이트
「身の回りの放射線」
http://www.kankyo-ho[...]
文部科学省
2011-10-22
[52]
웹사이트
「Background Radiation」
http://web.princeton[...]
Princeton.edu
2011-10-23
[53]
보고서
Health at a Glance 2013
OECD
2013-11-21
[54]
서적
放射線利用の基礎知識
講談社
2006-12-20
[55]
간행물
診療 1990年以前の国内における初期の全身照射
[56]
웹사이트
がんの放射線治療──その2 全身照射
https://tnakagawa.ex[...]
[57]
서적
肺がん
[58]
서적
被曝の世紀 放射線の時代に起こったこと
朝日新聞社
[59]
문서
画像診断ガイドライン 2013年版
[60]
논문
Risk of cancer from diagnostic X-rays: estimates for the UK and 14 other countries
http://www.imre.ucl.[...]
2004
[61]
논문
"Risk of Cancer from Diagnostic X-rays : estimates for the UK and 14 other countries" : Lancet論文レビューと診療放射線技師による放射線防護の立場からのCT検査妥当性についての考察
2011
[62]
웹사이트
海外癌医療情報リファレンス
http://www.cancerit.[...]
2017-10-08
[63]
웹사이트
海外癌医療情報リファレンス
http://www.cancerit.[...]
2017-10-08
[64]
웹사이트
医療被曝について│聖マリアンナ医科大学
http://www.marianna-[...]
[65]
서적
あなたと患者のための放射線防護Q&A
医療科学社
[66]
웹사이트
世界の高自然放射線地域
http://www.taishitsu[...]
[67]
논문
Natural radioactivity and human mitochondrial DNA mutations
http://www.pnas.org/[...]
2002
[68]
웹사이트
自然放射線とヒトミトコンドリア遺伝子の突然変異
http://www.nagoyasei[...]
2011-05-28
[69]
웹사이트
ブラジルの高自然放射線地域における住民の健康調査 (09-02-07-03) - ATOMICA -
https://atomica.jaea[...]
[70]
논문
Pattern of cancer mortality in some Brazilian HBRAs
2005
[71]
웹사이트
しきい線量(threshold dose) - 緊急被ばく医療研修
http://www.remnet.jp[...]
2013-02-06
[72]
논문
Projected Cancer Risks From Computed Tomographic Scans Performed in the United States in 2007
http://archinte.ama-[...]
2009
[73]
논문
Risk of childhood cancer from fetal irradiation
http://bjr.birjourna[...]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