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양 남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양 남씨는 신라 경덕왕 때 중국에서 일본으로 가던 중 표류하여 신라에 정착한 남민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 남민의 7세손 남진용의 세 아들을 중시조로 하여 영양 남씨, 의령 남씨, 고성 남씨로 분파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문과 26명, 무과 13명의 급제자를 배출했으며,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82,272명으로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양 남씨 - 남승룡
    남승룡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시대의 마라톤 선수이자 육상 지도자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고 전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그의 삶은 드라마와 영화로도 다뤄졌다.
  • 영양 남씨 - 남경호
    남경호는 황금사자기 MVP를 수상하고 두산 베어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했으나 5경기 출전 후 방출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다.
영양 남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경상북도 영양군
창시자김충
남씨 문장
남씨 문장
역사
설립자남민, 남홍보
본관영양군
인물
주요 인물남승룡
남재한
남재준
남관표
남과보
기타 정보
관련 웹사이트남씨대종회
2015년 인구82,272명

2. 역사

영양 남씨의 시조 남민(南敏)은 본래 김충(金忠)으로, 당 현종일본에 사신으로 갔다가 신라 경덕왕태풍을 만나 신라에 정착하였다. 경덕왕은 남민에게 남씨 성을 내리고 영양현을 식읍으로 주었다. 고려시대에 남민의 7세손 남진용의 세 아들이 각각 영양 남씨, 의령 남씨, 고성 남씨로 분관되었다.

2. 1. 시조 및 기원

시조 남민(南敏)은 본래 이름이 김충(金忠)이다. 당 현종 천보 14년(신라 경덕왕 14년) 중국 봉양부(鳳陽府) 여남(汝南)에서 안렴사(按廉使)로 일본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태풍을 만나 경상북도 영덕(盈德)의 죽도(竹島)에 표류하여 신라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경덕왕은 그가 여남에서 왔다고 하여 남씨(南氏)를 내리고 이름을 민(敏)으로 고쳐 부르게 하였으며 영양현(英陽縣)을 식읍으로 내렸다고 한다. 고려시대에 남민의 7세손 대장군(大將軍) 남진용(南鎭勇)의 세 아들을 각각 중시조로 하여 분관되었다. 장남 남홍보(南洪輔)가 선조의 대를 이어 영양(英陽)을 본관으로 하고, 차남 남군보(南君甫)는 의령 남씨, 삼남 남광보(南匡甫)는 고성 남씨로 분관하여 각 본관의 1세조가 되었다.

2. 2. 분관 및 중시조

시조 남민(南敏)은 본래 이름이 김충(金忠)이었다. 당 현종 천보 14년(신라 경덕왕 14년) 중국 봉양부(鳳陽府) 여남(汝南)에서 안렴사(按廉使)로 일본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태풍을 만나 경상북도 영덕(盈德)의 죽도(竹島)에 표착하여 신라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경덕왕은 그가 여남에서 왔다고 하여 남씨(南氏)를 내리고 이름을 민(敏)으로 고쳐 부르게 하였으며 영양현(英陽縣)을 식읍으로 내렸다고 한다. 고려시대에 남민의 7세손 대장군(大將軍) 남진용(南鎭勇)의 세 아들을 각각 중시조로 하여 분관되었다. 장남 남홍보(南洪輔)가 선조의 대를 이어 영양(英陽)을 본관으로 하고, 차남 남군보(南君甫)는 의령 남씨, 삼남 남광보(南匡甫)는 고성 남씨로 분관하여 각 본관의 1세조가 되었다.

3. 인물

영양 남씨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남숙손이 문과에 급제하였고,[9] 조선 시대에는 문과 26명, 무과 13명을 비롯하여 생원시, 진사시, 역과, 율과, 음양과, 의과, 취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재를 배출하였다.[9]

3. 1. 고려

영양 남씨는 고려 시대 문과 급제자 남숙손을 배출하였다.[9]

3. 2. 조선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9]
종류명단
문과남경룡(南景龍), 남경희(南景羲), 남구명(南九明), 남국한(南國翰), 남기만(南基萬), 남노명(南老明), 남명핵(南溟翮), 남몽뢰(南夢賚), 남복규(南復圭), 남붕익(南鵬翼), 남상천(南相天), 남석(南), 남석로(南碩老), 남술의(南述毅), 남식(南湜), 남연(南碝), 남용견(南龍見), 남용진(南龍震), 남제만(南濟萬), 남지(南至), 남지망(南之望), 남천상(南天祥), 남천택(南天澤), 남천한(南天漢), 남태운(南泰運), 남하명(南夏明)
무과남광세(南光世), 남광조(南光祖), 남덕남(南德男), 남률(南慄), 남만제(南萬濟), 남숙(南淑), 남엽(南曄), 남용뢰(南勇賚), 남운학(南雲鶴), 남정호(南正祜), 남해우(南海宇), 남홍찬(南弘纘)
생원시남경로(南景魯), 남경복(南景復), 남경채(南景采), 남계명(南季明), 남고(南皐), 남구(南俅), 남국섬(南國暹), 남규(南奎), 남급(南礏), 남기린(南基鱗), 남기성(南基成), 남기형(南紀衡), 남노명(南老明), 남대만(南大萬), 남두영(南斗榮), 남만형(南萬亨), 남몽뢰(南夢賚), 남몽정(南夢程), 남복규(南復圭), 남붕익(南鵬翼), 남상운(南相運), 남석(南碩), 남석영(南錫瑛), 남성훈(南聖熏), 남세원(南世元), 남순경(南舜卿), 남여형(南汝衡), 남용만(南龍萬), 남운기(南雲紀), 남운핵(南雲翮), 남응대(南應大), 남응주(南應周), 남응창(南應昌), 남응태(南應泰), 남이건(南以建), 남이엽(南以燁), 남자(南磁), 남정교(南正敎), 남정규(南廷奎), 남준형(南峻衡), 남중명(南重明), 남중섭(南重燮), 남지망(南之望), 남진만(南震萬), 남천각(南天覺), 남천로(南天老), 남천우(南天祐), 남천택(南天澤), 남천한(南天漢), 남초형(南楚衡), 남치형(南致亨), 남태진(南泰鎭), 남하명(南夏明), 남한명(南漢明), 남형회(南亨會), 남홍양(南鴻陽), 남효원(南效元), 남훈(南薰), 남휘만(南彙萬), 남흠(南欽), 남희조(南熙朝)
진사시남경택(南景宅), 남경훈(南慶薰), 남경희(南景羲), 남구명(南九明), 남기만(南基萬), 남기백(南基𢙯), 남기수(南麒壽), 남길(南佶), 남노명(南老明), 남대명(南大鳴), 남림(南琳), 남명흠(南命欽), 남몽구(南夢龜), 남몽오(南夢鰲), 남상소(南尙召), 남상휘(南相彙), 남서룡(南瑞龍), 남석로(南碩老), 남석환(南錫煥), 남세호(南世豪), 남운섭(南雲燮), 남일명(南一鳴), 남임(南任), 남장만(南丈萬), 남정(南矴), 남정철(南正轍), 남준명(南峻明), 남지(南至), 남처용(南處容), 남천상(南天祥), 남현수(南琄洙)
역과남덕창(南德昌), 남연진(南溎鎭), 남유기(南維箕), 남종선(南鍾宣)
율과남세웅(南世雄), 남언국(南彦國)
음양과남기환(南基煥)
의과남기문(南基文), 남기옥(南基玉), 남기혁(南基爀), 남두민(南斗旻), 남두원(南斗源), 남성진(南成鎭), 남영진(南榮鎭), 남용(南容), 남유하(南維河), 남응침(南應琛), 남정길(南正吉), 남정오(南正五), 남종원(南鍾遠), 남종학(南鍾學)
취재남덕진(南德鎭), 남영진(南榮鎭), 남종학(南鍾學)



영양 남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6명, 무과 급제자 13명을 배출하였다.[9]

4. 항렬

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
○조(朝)



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47세48세49세50세
○배(培)



세손2324252627282930313233343536
행렬자[8]조(朝)진(鎭), 호(鎬)상(尙)수(守)우(佑)정(禎)욱(旭)장(章)세(世)원(元)규(圭)영(寧)정(正)철(喆)
세손3738394041424344454647484950
행렬자[8]호(鎬)영(永)표(杓)병(丙)배(培)수(銖)한(漢)화(和)걸(杰)재(在)용(鎔)하(河)영(榮)희(熹)


5. 인구

연도인구
2000년69,155명
2015년82,272명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남민 南敏 http://people.aks.a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서적 Doosan Encyclopedia 남 南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3]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영양남씨 英陽南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4]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7
[5] 뉴스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동아시아문화교섭학회 2014-00-00
[6] 뉴스 남민(南敏) http://people.aks.ac[...] 한국학중앙연구원
[7] 웹사이트 남씨대종회 http://namci.kr/nams[...] 2022-09-04
[8] 웹사이트 남씨(南氏) 본관(本貫) 영양(英陽)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9] 인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LST_041_404_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