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남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성 남씨는 당나라에서 신라로 귀화한 김충의 후손인 남광보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으며, 덕흥대원군의 사위 남충원이 대표적이다. 본관은 경상남도 고성군이며, 주요 인물로는 혜문, 남금, 남수문, 남세주 등이 있다. 현대 인물로는 남철, 남정식, 남종현, 남충현, 남승욱, 남천현 등이 있다. 영동 화수루와 봉소루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성 남씨 - 영동 화수루
영동 화수루는 1546년에 옥계서당으로 건립되어 후손 교육을 위해 1804년에 현재 위치로 이전, 개칭되었으며 누마루와 온돌방을 갖춘 팔작지붕 형태의 건물이다.
고성 남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성 남씨 |
한자 표기 | 固城 南氏 |
로마자 표기 | Goseong Nam clan |
관향 | 경상남도 고성군 |
국가 | 한국 |
유형 | 씨족 |
창성 시기 | 알 수 없음 |
시조 | 남민(南敏), 남광보(南匡甫) |
주요 인물 | 혜문, 남금, 남수문, 남세주, 남주, 남충원 |
웹사이트 | 남씨대종회 |
인구 통계 | |
2015년 | 10,801명 |
2. 역사
경덕왕 14년(755년)에 당나라 봉양부 여남 사람인 김충이 안렴사로 일본에 다녀오다가 풍랑을 만나 신라에 표착하면서 남씨 성을 하사받고 영양현을 식읍으로 받은 후 민으로 개명하였다고 한다. 남민의 7대손 남진용의 세 아들 중 셋째 아들 남광보가 고성 남씨의 시조가 되었다.[5]
고성 남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5]
2. 1. 시조
경덕왕 14년(755년) 당나라 봉양부(鳳陽府) 여남(汝南) 사람인 김충(金忠)이 안렴사(按廉使)로 일본에 다녀오다가 풍랑을 만나 신라에 표착(漂着)하면서 남씨(南氏)를 사성(賜姓)받고 영양현(英陽縣)을 식읍으로 받은 후 민(敏)으로 개명(改名)하였다고 한다. 남민의 7대손 남진용(南鎭勇)의 세 아들 중 셋째 아들 '''남광보'''(南匡甫)가 고성 남씨(固城南氏)의 시조(始祖)가 되었다.[5]2. 2. 조선 시대
남광보가 고성 남씨의 시조(始祖)가 되었다.고성 남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5]
3. 본관
고성(固城)은 경상남도 고성군의 지명이다. 변한의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 또는 고사포국(古史浦國)이었다. 737년(신라 효성왕 1)에 신라에 흡수되어 고자군(古自郡)으로 불리다가, 757년(경덕왕 16)에 고성군(固城郡)으로 바뀌었다.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고주(固州)로 확장되었고 후에 철성부(鐵城府)로 승격되었다가, 1018년(현종 9) 고성현으로 강등되었다. 1266년(세조 3) 지주사(知州事)로 승격되었으며, 공민왕 때 현령을 파견한 후 지속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경상도 진주목 고성현의 토성으로 이(李)·채(蔡)·박(朴)·김(金)·남(南) 5성이 기록되어 있다.[6] 1896년 경상남도 고성군이 되었다.
4. 인물
- 혜문(惠文, ? ~ 1234년) : 고려의 승려였다. 자는 빈빈(彬彬), 호는 월송화상(月松和尙)이다. 선종인 가지산문에 출가하였다. 30세가 넘어 승과에 급제하였고, 대선사에 이르렀다.
- 남금(南琴, ? ~ ?) : 1382년(고려 우왕 8년) 문과에 급제하고, 1399년(정종 1) 고성(固城)의 아전으로서 풍해도(豐海道) 경력(經歷)의 직임을 받았다.[7] 1414년 철원부사(鐵原府使), 1418년 병조참의(兵曹參議)·이조참의를 거쳐 강원도관찰사를 역임하고, 1420년(세종 2년) 판광주목사(判廣州牧事)가 되었다.
- 남수문(南秀文, 1408년 ~ 1442년) : 남금의 아들이다. 1426년(세종 8)에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436년 중시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1442년 집현전직제학이 되었다.
- 남세주(南世周, 1445년 ~ 1504년) : 남금의 손자이다. 1487년(성종 18)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1491년 정언, 1495년 지평, 1497년 부응교를 지내다가 1504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
- 남주(南趎, ? ~ ?) : 진사로 1514년(중종 9)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학유가 되었으나, 전라도 곡성에 살 때 현감의 과실을 관찰사에 고발한 것이 부민고소죄(部民告訴罪)에 해당되어 1516년 삭직되었다. 그 뒤 성균관전적(典籍)을 거쳐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으며, 1519년 기묘사화 때 조광조 일파로 몰려 남곤(南袞)에 의해 추방되었고, 1522년 전라도 동복현감 재직 중 불화로 해임되었다. 남곤을 비꼬은 「촉영부(燭影賦」라는 시(詩)를 남겼다.
- 남철(南徹, 1936년 ~ ) :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 남정식(南正植, 1940년 ~ ) : 前 롯데햄·롯데우유 대표이사 부사장이다.
- 남종현(南宗鉉, 1943년 ~ ) :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이다.
- 남충현(南忠鉉, 1947년 ~ ) : 前 인천지방변호사협회 회장이다.
- 남승욱(南承旭, 1947년 ~ ) : 광고대행사 베컴 부회장이다.
- 남천현(南天鉉, 1955년 ~ ) : 前 우석대학교 총장이다.
5. 문화재
6. 항렬표
○세손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
항렬자[4] | 한(漢) | 주(柱)·병(秉) | 우(祐) | 기(基) | 현(鉉) | 승(承) | 근(根) | 사(思) | 중(中) | 진(鎭) | 구(求) | 영(榮) | 훈(薰) | 재(載) |
○세손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항렬자[4] | 흠(欽) | 용(溶) | 화(和) | 충(忠) | 회(匯) | 상(商) | 영(永) | 극(極) | 응(應) | 중(重) | 용(鎔) | 태(泰) | 병(秉) | 현(憲) |
참조
[1]
서적
Doosan Encyclopedia 남 南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7
[3]
웹사이트
남씨대종회
http://namci.kr/nams[...]
2022-09-04
[4]
웹사이트
남씨(南氏) 본관(本貫) 고성(固城)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5]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LST_041_049_0164
[6]
웹인용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진주목 고성현
https://web.archive.[...]
2017-04-19
[7]
웹인용
정종실록 2권, 정종 1년 7월 10일 무인 2번째기사
https://web.archive.[...]
2017-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