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웅 숭배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웅 숭배론》은 토머스 칼라일이 1840년에 발표한 저서로, 과거 강연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이 책에서 칼라일은 신, 예언자, 시인, 사제, 문필가, 왕 등 여섯 가지 유형의 영웅을 제시하고, 각 유형에 해당하는 인물들을 예시로 들어 영웅관을 설명한다. 칼라일은 영웅을 숭배의 대상이자 역사를 이끄는 존재로 보았으며, 그의 영웅관은 19세기와 20세기의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은 자유주의, 마르크스주의, 기성 교회, 민주주의 등 다양한 비판을 받았으며, 니체, 간디, 쇼 등 여러 사상가와 예술가에게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1년 5월 - 삼원리 사건
    삼원리 사건은 1841년 아편 전쟁 중 광저우 근처에서 영국군의 약탈과 군기 문란에 분노한 중국 주민들이 낫과 칼 등으로 무장하여 영국군을 공격한 사건이다.
  • 스코틀랜드 - 칼레도니아
    칼레도니아는 고대 로마 시대에 현재의 스코틀랜드 북부 지역을 지칭하던 이름으로, 픽트족의 일파인 칼레두니족에서 유래했으며, 현대에는 스코틀랜드를 낭만적으로 표현하거나 여러 조직과 단체의 이름, 그리고 프랑스어에서는 누벨칼레도니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스코틀랜드 - 켈피
    켈피는 스코틀랜드 민담에 나오는 물의 정령으로, 아름다운 말의 모습으로 강이나 호수에 살며 사람들을 유혹해 익사시키고, 때로는 물풀이 섞인 머리카락을 가진 남성으로 변신하기도 하며, 십자가 낙인이 찍힌 고삐로 포획하여 힘을 이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 토머스 칼라일의 작품 - 의상철학
    《의상철학》은 김철수의 패션 철학을 중심으로 패션, 정체성, 사회적 의미를 다루는 소설로, 디오게네스 토이펠스드뢰크의 저서 서평 형식을 빌려 "의상 연구"의 기초 텍스트로 평가받는다.
  • 토머스 칼라일의 작품 - 니그로 문제에 관한 특별 담화문
    "니그로 문제에 관한 특별 담화문"은 19세기 영국에서 노예 제도 폐지 후 흑인들의 노동 능력과 사회적 지위에 대한 논쟁을 다룬 팸플릿과 그에 대한 반응을 다루며, 칼라일의 흑인 비판에 맞서 밀이 흑인 인권을 옹호하며 제국주의와 인종차별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촉발했다.
영웅 숭배론 - [서적]에 관한 문서
책 정보
제목영웅, 영웅 숭배, 그리고 역사 속의 영웅적인 것
원제On Heroes, Hero-Worship, & the Heroic in History
저자토머스 칼라일
국가잉글랜드
언어영어
출판사제임스 프레이저
초판 제목 페이지
출판일1841년

2. 배경

이 책은 토머스 칼라일이 1837년부터 1840년까지 진행한 네 번의 강연 중 마지막 강연인 "영웅들"에 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칼라일은 《프랑스 혁명: 역사》로 명성을 얻었지만, 수입은 적었다. 친구들은 칼라일을 위해 대중 강연을 기획했고, 칼라일은 강연을 통해 절실히 필요한 수입을 얻었다.[1] 강연 노트는 책으로 출판되었으며, 구어체의 영향이 남아있다.[1]

칼라일은 영국산업 혁명 시기에도 역사 발전에 대한 비물질적인 견해를 유지한 철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위대한 사람은 통치해야 하고 다른 사람들은 그들을 존경해야 한다"라는 견해를 가졌으며, 이는 역사와 진화적 발전에 대한 복잡한 믿음에 의해 뒷받침되었다.[4] 칼라일에 따르면, 사회는 유기체처럼 역사를 통해 진화하며, 영웅은 이러한 생명 과정을 긍정하고 그 잔혹함을 필요하고 좋은 것으로 받아들인다. 영웅은 역사를 앞으로 움직이는 창조자 역할을 하며, 칼라일은 이러한 영웅을 숭배의 대상으로 삼아 새로운 종교의 중심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4]

3. 강연 내용

칼라일은 1840년 5월 5일부터 5월 22일까지 총 6회에 걸쳐 영웅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이 강연은 칼라일이 『프랑스 혁명: 역사(The French Revolution: A History)』로 명성을 얻었지만, 수입이 넉넉하지 않아 친구들의 도움으로 마련되었다.[1] 칼라일은 강연을 통해 재정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칼라일은 강연에서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유형의 영웅을 제시했다.[1]

강연 날짜영웅 유형대표 인물비고
5월 5일신격 (Divinity)오딘이교, 스칸디나비아 신비주의
5월 8일예언자 (Prophet)무함마드이슬람교
5월 12일시인 (Poet)단테, 셰익스피어
5월 15일성직자 (Priest)마르틴 루터, 존 녹스종교 개혁, 청교도
5월 19일문필가 (Man of Letters)새뮤얼 존슨, 장 자크 루소, 로버트 번스
5월 22일왕 (King)올리버 크롬웰, 나폴레옹 보나파르트현대 혁명주의



칼라일은 영국산업 혁명 시기에도 역사 발전에 대한 비물질적인 관점을 유지한 철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종교, 문학,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들을 영웅으로 제시했다.[2] 칼라일은 무함마드를 헤겔식 개혁가로 묘사하며 그의 진정성을 강조했는데, 이는 무슬림 학자들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3]

칼라일은 "위대한 사람은 통치해야 하고 다른 사람들은 그들을 존경해야 한다"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영웅은 역사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창조자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4] 그는 영웅을 숭배의 대상으로 삼아 새로운 종교의 중심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

3. 1. 신격 (Divinity)

오딘은 북유럽 신화의 주신(主神)으로, 신격의 영웅으로 제시된다. 오딘은 이교, 스칸디나비아 신비주의를 대표한다.[1]

3. 2. 예언자 (Prophet)

무함마드이슬람교의 예언자로, "예언자로서의 영웅"이라는 강연에서 이 책에 등장한다. 칼라일은 무함마드를 헤겔식 개혁가로 묘사하며, "한 사람이 어떻게 싸우는 부족들과 방황하는 베두인족들을 20년도 채 안 되어 가장 강력하고 문명화된 국가로 융합할 수 있었는가"라고 그의 진정성을 강조했다.[3]

3. 3. 시인 (Poet)

단테와 셰익스피어를 시인의 영웅으로 제시한다.[3]

3. 4. 성직자 (Priest)

마르틴 루터종교 개혁을 이끈 인물이며, 존 녹스청교도 사상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이들은 성직자로서 영웅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1]

3. 5. 문필가 (Man of Letters)

새뮤얼 존슨, 장 자크 루소, 로버트 번스가 문필가의 영웅으로 제시된다.

3. 6. 왕 (King)

올리버 크롬웰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왕의 영웅으로 제시되며, 이들은 현대 혁명주의를 대표한다.[1]

4. 칼라일의 영웅관

칼라일은 "위대한 사람은 통치해야 하고 다른 사람들은 그들을 존경해야 한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사회가 유기체처럼 진화하며, 영웅은 이러한 생명 과정을 긍정하고 그 잔혹함을 필요하고 좋은 것으로 받아들인다고 보았다. 칼라일에 따르면, 영웅에게 용기는 사랑보다 더 가치 있는 덕목이며, 영웅은 성자가 아닌 귀족이다. 영웅은 다른 사람들이 모방할 패턴이자 역사를 앞으로 움직이는 창조자이다(칼라일은 역사를 위대한 사람들의 전기라고 보았다).[4]

칼라일은 신의 죽음이 그 자체로 기뻐할 만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고, 인간이 개입하여 옛 가치를 대체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에게 영웅은 숭배의 대상이자 새로운 종교의 중심이었다. 벤틀리는 칼라일의 신조에 대해 "영웅적 생기론"이라는 이름을 제안했는데, 이는 정치 이론, 귀족 급진주의, 형이상학, 초자연적 자연주의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영웅적 생기론자들은 민주주의가 부도덕한 사람들에게 권력을 넘겨줄 것을 우려했다.[5]

칼라일에게 영웅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관대한" 사람과 유사하지만, 세상의 모순을 다루어야 하는 결점이 있는 존재였다. 칼라일은 모든 영웅은 결점이 있을 것이며, 그들의 영웅심은 도덕적 완벽함이 아닌, 어려움에 직면한 창조적인 에너지에 있다고 보았다. 그러한 사람의 실패를 비웃는 것을 칼라일은 "발레리즘"이라고 불렀다.[6]

5. 평가 및 유산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교수 마이클 K. 골드버그는 ''영웅 숭배''가 19세기 자유주의로부터 대중을 무시한다는 비판을 받았고, 엥겔스를 비롯한 19세기 마르크스주의자들로부터는 너무 종교적이고 신비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기성 교회 일각에서는 너무 급진적이라는 비판을 받았고, 나중에는 20세기 일부 민주주의자들로부터 너무 폭압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고 썼다.[7]

1843년 ''크리스천 리멤버런서''에 실린 두 개의 서평은 ''영웅 숭배론''에 대한 대표적인 반응을 보여준다. 요크 대주교 윌리엄 톰슨은 칼라일의 혼합주의를 비난하며 "이것은 기독교 서적이 아니다"라고 썼다. 이에 신학자 프레데릭 데니슨 모리스는 칼라일이 겉모습보다 진실을 강조하고, 자신과 의견이 다른 독자들의 진정성을 시험하는 능력을 옹호했다.[8]

''영웅 숭배론''은 지식인과 독서 대중에게 심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출판된 후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리처드 가넷은 그 사상이 "당대의 모든 훌륭한 사상가들에게서 반복되었다"고 썼으며,[9] 에드먼드 고스는 1900년에 "거의 모든 독서가들이 이 책을 읽는다"고 보고했다.[7] 빈센트 반 고흐는 1883년 동생 테오에게 이 책이 "매우 아름다운 작은 책"이라고 썼다.[10]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이 책을 플루타르크의 ''비교 열전''과 같은 이전의 영웅주의에 관한 저술과 비교하여 칼라일이 "심지어 플루타르크를 능가한다"고 평했다.[8] 이 강연은 역사 발전의 위인 이론의 초기이자 강력한 정식화로 여겨진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칼라일의 영웅 숭배에 많은 부분 동의하며, 영웅의 많은 자질을 자신의 초인de 개념으로 이전했다.[5]

엘리자베스 배럿 브라우닝은 ''오로라 레이''(1856)의 5권에서 이 작품을 언급했다. 조지 버나드 쇼는 그의 희곡 ''무기와 남자''(1894), ''운명의 남자''(1897), ''인간과 초인''(1905), ''메두셀라로 돌아가다''(1920)에서 ''영웅 숭배론''에서 영감을 얻었다.[9]

마하트마 간디는 이슬람 연구에서 "예언자로서의 영웅"을 읽고 "예언자의 위대함, 용기, 그리고 검소한 삶을 배웠다."[10]

오토 바이닝거는 이 작품을 토대로 ''성격과 성''(1903)에서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한 논의를 보충했다.[11]

프레데릭 마송은 ''나폴레옹과 그의 가족''(1902) 5권 서문에서 칼라일적 영웅에 대해 호의적으로 말했다.[12]

디나 와인스타인은 "기타 영웅"의 록 음악 현상에서 ''영웅 숭배론''의 영향을 감지했으며, 이는 1960년대 밈 "클랩튼은 신이다"로 전형적으로 나타난다.[13]

참조

[1] Americana Heroes and Hero-worship
[2] 서적 The Cambridge Guide to Literature in English Cambridge 1995
[3] 서적 The Lives of Muhammad https://books.google[...] Harvard UP
[4] 서적 Companion to Literature 1 London 1965
[5] 서적 The Cult of the Superman Peter Smith 1969
[6] 서적 On Heroes, Hero-Worship, & the Heroic in History Chapman and Hall 1869
[7] 서적 On Heroes and Hero-Worship and the Heroic in History Ward, Lock & Co Limited
[8] 서적 Brill's companion to the reception of Plutarch Brill 2019
[9] 간행물 THOMAS CARLYLE AND BERNARD SHAW AS CRITICS OF RELIGION AND SOCIETY. https://digitalcommo[...] 1976
[10] 서적 An Autobiography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11]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Sex & Character, by Otto Weininger. https://www.gutenber[...] 2023-06-11
[12] 서적 Napoleon: For and Against Alden
[13] 간행물 Rock's Guitar Gods — Avatars of the Sixties https://www.jstor.or[...] 2013
[14] 웹인용 "[논문] 칼라일을 위한 변명" https://blog.naver.c[...] 2023-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