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딘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최고신으로, 지혜, 전쟁, 시, 마법 등을 관장한다. 어원은 원게르만어 '*Wōðanaz'로, '광란의 군주' 또는 '광적인 자들의 지도자'를 의미하며, 고대 영어로는 'Wōden', 고대 노르드어로는 'Óðinn'으로 불린다. 그는 지혜를 얻기 위해 한쪽 눈을 희생하고 룬 문자의 비밀을 얻었으며, 발할라에서 전사한 용사들을 모아 라그나로크에 대비한다. 오딘은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하며, 까마귀 후긴과 무닌, 늑대 게리와 프레키, 여덟 다리 말 슬레이프니르를 상징으로 한다. 로마인들은 오딘을 수성과 동일시했으며, 숭배는 게르만족 사이에서 널리 이루어졌다. 오딘은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며, 마블 코믹스, 비디오 게임, 문학,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감을 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비아인의 신화적 왕 - 프레이
프레이는 풍요, 다산, 평화를 주관하는 바니르 신족의 주요 신으로, 뇨르드의 아들이자 프레이야의 오빠이며, 게르드와 결혼하여 피요르니르를 낳았고, 스키드블라드니르, 굴린부르스티 등의 신성한 물건들을 소유하고 라그나로크에서 수르트와 싸우는 운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웨덴 왕조의 시조로 묘사되기도 한다. - 스비아인의 신화적 왕 - 사고코눙가르
사고코눙가르는 스웨덴의 전설적인 왕조들에 대한 문서로, 윙글링 왕조, 이바르 비드파드미 왕조, 문쇠 왕조의 계보와 역사성 논란을 다루며, 한국의 시각에서 스웨덴 왕조의 역사를 조명하고 한국의 역사와 비교 분석한다. - 마법의 남신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 마법의 남신 - 마르두크
마르두크는 메소포타미아의 주요 신이자 바빌론의 도시신으로, 창조 신화에서 최고신으로 묘사되며, 태양신, 주술신, 영웅신 등 다면적인 신격을 가지고 바빌론 신년 축제 등 다양한 제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바람의 신 - 포세이돈
포세이돈은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 지진, 말을 다스리는 중요한 신으로, 다양한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전역과 이탈리아에서 숭배받았지만, 신화 속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적인 행위도 나타난다. - 바람의 신 - 티폰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티폰은 가이아와 타르타로스의 아들이며 제우스에게 패배하여 화산 아래 갇힌 뱀의 하반신과 짐승 머리를 가진 존재로, 에키드나와의 사이에서 괴물을 낳았고 화산 활동과 지진의 원인으로도 여겨진다.
오딘 | |
---|---|
기본 정보 | |
![]() | |
신화 | 노르드 신화 |
이름 | 오딘 |
로마자 표기 | Odin |
고대 노르드어 | Óðinn |
앵글로색슨어 | Wōden |
고대 작센어 | Uuôden |
고대 저지 독일어 | Wuodan |
고대 프리슬란트어 | Wêda |
고대 고지 독일어 | Wuotan |
별칭 | 보탄, 워덴 |
역할 | 마법의 신, 전쟁과 죽음의 신, 지식의 신 |
거주지 | 발할라, 발라스캴프 |
무기 | 궁니르 |
부모 | 보르, 베스틀라 |
형제자매 | 빌리, 베이, 헤니르, 로두르 |
배우자 | 프리그 |
자녀 | 발드르, 요르드의 아들: 토르, 그리드의 아들: 비다르, 린드의 아들: 발리 |
탈것 | 슬레이프니르 |
일본어 표기 | オーディン |
다른 이름 | 보탄, 워덴 |
ᚢᚦᛁᚾ | ᚢᚦᛁᚾ |
영어 표기 | Odin |
신앙 | |
유형 | 노르드 신화의 최고신 |
동물 | 까마귀 |
요일 | 수요일 |
앵글로색슨 동등신 | 워덴 |
지역 | 북유럽 |
민족 | 노르드인 |
기타 | |
관련 | 미드가르드 이미르 에인헤랴르 프레위아 폴크방르 미미르 라그나로크 에인헤랴르 펜리르 프레위아 오드르 프리그 프레위아 로키 |
2. 어원 및 명칭
오딘은 게르만 민족 사이에서 가장 많은 이름으로 알려진 신으로, 170개가 넘는 이름(오딘의 이름 목록)을 가지고 있다.[9] 이러한 다양성은 신의 속성을 묘사하거나, 신과 관련된 신화 또는 종교적 관습을 나타낸다.
고대 노르드어 신명 Óðinnnon (리베 두개골 조각의 룬문자 [2])는 고대 영어 Wōdenang, 고대 작센어 Wōdanosx, 고대 네덜란드어 Wuodanodt, 고대 고지 독일어 Wuotangoh (고대 바이에른어 Wûtanbar)[7][3][4] 등 다른 중세 게르만 이름들과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모두 재구성된 원게르만어 남성 신명 ''*Wōðanaz'' (또는 ''*Wōdunaz'')에서 유래한다.[7][5] ''*Wōðanaz''는 '광란의 군주' 또는 '광적인 자들의 지도자'로 번역되며, 원게르만어 형용사 ''*wōðaz''('광적인, 영감을 받은, 헛소리를 하는, 격렬한')에 접미사 ''*-naz''('…의 주인')가 붙은 것이다.
얀 더 프리스는 고대 노르드 신 오딘과 오드르가 원래 연결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으며 (울르–울린의 이중어처럼), ''Óðr'' (*''wōðaz'')가 더 오래된 형태이고 Óðinnnon (''*wōða-naz'') 이름의 궁극적인 근원이라고 했다.
스티브 마틴은 클리블랜드 요크셔의 오딘스버그(Ounesberry, Ounsberry, Othenburgh)[10](현재는 로즈베리(토핑)으로 변형됨)라는 이름이 앵글족 정착 시대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타키투스는 『게르마니아』(97년-98년)에서 게르만인이 가장 존숭하는 신을 메르쿠리우스라고 불렀지만, 이는 그리스·로마 신화의 헤르메스/메르쿠리우스와 마찬가지로 질주하는 신이었던 게르만의 신 보단(오딘)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오딘은 메르쿠리우스와 마찬가지로 지혜와 계략에 능한 신이며, 로마력에서 "메르쿠리우스의 날"에 해당하는 수요일은 게르만어에서는 "오딘의 날"이라고 불린다.[88]
현대 영어의 요일 이름인 ''Wednesday''는 고대 영어 ''Wōdnesdæg''에서 유래했으며, 'Wōden의 날'을 의미한다. 이와 유사한 용어는 다른 게르만어에서도 발견되는데, 중부 저지 독일어와 중세 네덜란드어의 ''Wōdensdach''(현대 네덜란드어 ''woensdag''), 고대 프리지아어 ''Wērnisdei''(≈ ''Wērendei''), 고대 노르웨이어 ''Óðinsdagr''(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onsdag'' 참조) 등이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모두 후기 원게르만어 *''Wodanesdag''('Wōðanaz의 날')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라틴어 ''Mercurii dies''('수성의 날'; 현대 이탈리아어 ''mercoledì'', 프랑스어 ''mercredi'', 스페인어 ''miércoles'' 참조)를 직역한 것이다.[15]
리하르트 바그너는 그의 오페라 작품 니벨룽의 반지에서 신을 '보탄'(Wotan)이라고 언급하는데, 이는 고대 고지 독일어 Wuotangoh와 저지 독일어 ''Wodan''을 결합한 것이다.[14]
오딘이 죽고 부활했다고 하는 4월 30일 또는 5월 1일에 행해졌던 풍습은 기독교 도래 이후에도 남아 중앙 유럽과 북유럽에서 '발푸르기스의 밤' 행사가 되었다.
2. 1. 어원
Óðinnnon (리베 두개골 조각의 룬문자 [2])이라는 이름은 고대 노르드어 형용사 'oðrnon'('미친', '격노한')에 접미사 '-innnon'('...의 주인')가 붙은 것으로, '광기, 격노의 군주' 또는 '광적인 자들의 지도자'로 번역될 수 있다.[7][3][4] 또한, 샤먼의 트랜스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하여 '샤먼의 주'로도 해석할 수 있다.[85]고대 영어 Wōdenang, 고대 작센어 Wōdanosx, 고대 네덜란드어 Wuodanodt, 고대 고지 독일어 Wuotangoh (고대 바이에른어 Wûtanbar)[7][5] 등 다른 중세 게르만 이름들과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모두 재구성된 원게르만어 남성 신명 ''*Wōðanaz'' (또는 ''*Wōdunaz'')에서 유래한다.[7]
''*Wōðanaz''는 원게르만어 형용사 ''*wōðaz''('광적인, 영감을 받은, 헛소리를 하는, 격렬한')에 접미사 ''*-naz''('…의 주인')가 붙은 것이다.
''*wōðaz''에서 유래한 다른 게르만어 관련어는 다음과 같다.
언어 | 단어 | 의미 |
---|---|---|
고트어 | woþsgot | 착신된 |
고대 노르드어 | óðrnon | 미친, 광란한, 격노한 |
고대 영어 | wōdang | 미친, 광란한 |
네덜란드어 | woednl | 광란한, 야생의, 미친 |
언어 | 명사화된 형태 | 의미 |
고대 노르드어 | óðrnon | 마음, 지성, 감각; 노래, 시 |
고대 영어 | wōþang | 소리, 잡음; 목소리, 노래 |
고대 고지 독일어 | wuotgoh | 전율, 격렬한 동요 |
중세 네덜란드어 | woetdum | 격노, 광란 |
원게르만어 용어 ''*wōðīn'' ('광기, 격노') 및 ''*wōðjanan'' ('격노하다')도 재구성될 수 있다.[7]
형용사 ''*wōðaz''는 궁극적으로 원게르만어 형태 ''*uoh₂-tós''에서 유래하며, 이는 원켈트어 용어 ''*wātis'' (즉, '예언자, 점쟁이'; 갈리아어 ''wāteis'', 고대 아일랜드어 fáithsga '예언자' 참조) 및 *''wātus'' ('예언, 시적 영감'; 고대 아일랜드어 fáthsga '예언의 지혜, 격언', 고대 웨일스어 guautowl '예언시, 찬사' 참조)와 관련이 있다.[8]
얀 더 프리스는 고대 노르드 신 오딘과 오드르가 원래 연결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으며 (울르–울린의 이중어처럼), ''Óðr'' (*''wōðaz'')가 더 오래된 형태이고 Óðinnnon (''*wōða-naz'') 이름의 궁극적인 근원이라고 했다.
오딘은 게르만 민족 중 가장 많은 이름으로 알려진 신이며, 170개가 넘는 이름(170개가 넘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9]
현대 영어의 요일 이름인 ''Wednesday''는 고대 영어 ''Wōdnesdæg''에서 유래했으며, 'Wōden의 날'을 의미한다.
2. 2. 다른 명칭
오딘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그 수는 170개가 넘는다.[9] 이러한 이름들은 신의 다양한 속성, 관련된 신화, 종교적 관습을 나타낸다. 오딘의 다른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알포드르 (Alfodr): 신들의 아버지
- 발포드르 (Valfodr): 전사자들의 아버지
- 베라티르 (Veratyr): 인간들의 주인
- 빌레이그르 (Bileygr): 빛나는 눈을 가진 존재
- 발레이그르 (Baleygr): 불타는 눈을 가진 존재
- 시드포드르 (Sidfodr): 승리의 아버지
- 프욜스비드르 (Fjolsvidr): 넓은 지식을 가진 존재
- 스비팔 (Svipall): 변신
이 외에도 많은 이름이 있으며,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티브 마틴은 클리블랜드 요크셔(클리블랜드 요크셔)의 오딘스버그(Ounesberry, Ounsberry, Othenburgh)[10](현재는 로즈베리(토핑)으로 변형됨)라는 이름이 앵글족 정착 시대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하였다.
오딘이 죽고 부활했다고 하는 4월 30일 또는 5월 1일에 행해졌던 풍습은 기독교 도래 이후에도 남아 중앙 유럽과 북유럽에서 '발푸르기스의 밤' 행사가 되었다.
2. 2. 1. 한국어권에서 사용되는 명칭
주로 '오딘'(Odin|오딘영어)으로 불린다. 영어식 발음인 '우오딘'으로도 알려져 있다.[85]2. 2. 2. 북유럽어권 및 게르만어권 명칭
Óðinnnon (고대 노르드어)[2], Wōdenang (고대 영어), Wōdanosx (고대 작센어), Wuodanodt (고대 네덜란드어), Wuotangoh (고대 고지 독일어)[7][3][4] 등의 이름은 모두 재구성된 원게르만어 남성 신명 ''*Wōðanaz'' (또는 ''*Wōdunaz'')에서 유래한다.[7][5] ''*Wōðanaz''는 '광란의 군주' 또는 '광적인 자들의 지도자'로 번역되며, 원게르만어 형용사 ''*wōðaz''('광적인, 영감을 받은, 헛소리를 하는, 격렬한')에 접미사 ''*-naz''('…의 주인')가 붙은 것이다. 스트랭네스 석비에서 발견된 원노르드어 ''Woðinz''는 "신성한 착신의 재능을 가진"이라는 뜻의 관련 형용사로 사용될 수도 있다.[6]현대 영어의 요일 이름인 ''Wednesday''는 고대 영어 ''Wōdnesdæg''에서 유래했으며, 'Wōden의 날'을 의미한다. 이와 유사한 용어는 다른 게르만어에서도 발견되는데, 중부 저지 독일어와 중세 네덜란드어의 ''Wōdensdach''(현대 네덜란드어 ''woensdag''), 고대 프리지아어 ''Wērnisdei''(≈ ''Wērendei''), 고대 노르웨이어 ''Óðinsdagr''(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onsdag'' 참조) 등이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모두 후기 원게르만어 *''Wodanesdag''('Wōðanaz의 날')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라틴어 ''Mercurii dies''('수성의 날'; 현대 이탈리아어 ''mercoledì'', 프랑스어 ''mercredi'', 스페인어 ''miércoles'' 참조)를 직역한 것이다.[15]
리하르트 바그너는 그의 오페라 작품 니벨룽의 반지에서 신을 '보탄'(Wotan)이라고 언급하는데, 이는 고대 고지 독일어 Wuotangoh와 저지 독일어 ''Wodan''을 결합한 것이다.[14]
북유럽 신화 원전에 주로 사용되는 고대 노르드어 표기는 '''Óðinn''' (재구음: , '오딘'에 가까움)이며, '오딘'은 현대 영어 등으로의 전사형인 '''Odin'''에 유래한다.[85] 오딘의 이름은 "oðrnon" (미친, 격노한)과 "-innnon" (-의 주 등)으로 구성되며, "광기, 격노(한 자)의 주" 또는 "샤먼의 주"로 해석될 수 있다.
앵글로색슨족 시대의 고대 영어 형태는 '''Ƿōdenoen'''(, 우오덴)이며, 현대 영어에는 '''Woden'''영어, '''Wodan'''영어 (우오든)으로 계승된다. 독일어에서는 '''Wotan'''de, '''Wodan'''de (보탄, 보단)이라고 한다. 8세기 이탈리아의 『Historia Langobardorum|italic=yesla』에서는 '''G(w)odan'''la (고단)으로 언급된다.[86]
타키투스는 『게르마니아』(97년-98년)에서 게르만족이 가장 존숭하는 신을 메르쿠리우스라고 불렀는데, 이는 그리스·로마 신화의 헤르메스/메르쿠리우스처럼 질주하는 신이었던 게르만의 신 보단(오딘)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측된다. 오딘은 메르쿠리우스와 마찬가지로 지혜와 계략에 능하며, 로마력에서 "메르쿠리우스의 날"인 수요일은 게르만어에서 "오딘의 날"이다.[88]
2. 2. 3. 오딘의 날
로마인들이 interpretatio romanala(유사하다고 인식한 특징으로 인해 비로마 신을 로마 신으로 식별하는 과정)를 통해 오딘을 수성으로 자주 언급하면서, 로마력에서 "메르쿠리우스의 날"에 해당하는 수요일은 게르만어에서 "오딘의 날"이라고 불린다.[88]영어로는 수요일을 Wednesday영어, 독일어로는 Wotanstagde (보통은 Mittwochde), 네덜란드어로는 woensdagnl,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에서는 onsdagda라고 한다.
3. 신화 속 오딘
11세기, 연대기 작가 아담 브레멘은 오딘을 "광기"라 정의하며, "전쟁을 지배하고 적에 맞서 사람들에게 힘을 준다"고 묘사했다. 그는 웁살라 신전에 갑옷을 입은 모습으로 조각되어 있었으며, 전쟁 중에는 오딘에게 제사를 지냈다.[36] 12세기 노르웨이 베르겐의 브뤼겐 비문에는 오딘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37]
『고 에다』에서 오딘은 볼바와 대화하며 세상의 파괴와 재생, 즉 라그나로크에 대한 예언을 듣는다. 아스크와 엠블라 이야기에 따르면, 오딘과 그의 형제들은 최초의 인간인 아스크와 엠블라에게 생명을 불어넣었다.[38]
아시르-바니르 전쟁에서 오딘은 창을 던져 적군을 공격했다.[42] 미미르브룬르에 자신의 눈을 감추고 꿀술을 마셨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43] 라그나로크에서 오딘은 늑대 펜리르와 싸우다 죽음을 맞이하지만, 그의 아들 비다르가 복수한다.[45]
시 하바말|non은 오딘의 지혜를 담고 있으며, 오딘이 위그드라실|non에 매달려 자신을 희생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48][49][50]
시 지그르드리파말|non에서 오딘은 발키리 지그르드리파에게 수면 마법을 걸었다.[52]
『산문 에다』에서 오딘은 ‘모든 것의 아버지’로 묘사되며, 흘리드스키알프에 앉아 모든 세계를 굽어본다. 그의 까마귀 후긴과 무닌은 전 세계를 날아다니며 정보를 전달하고, 늑대 게리와 프레키에게 음식을 준다.[55]
『헤임스크링글라』에서 오딘은 아스가르드의 통치자이자 위대한 전사로 묘사된다. 아사-바니르 전쟁에서 오딘은 바니르와 싸웠고, 포로 교환 중 미미르의 목이 잘리는 사건이 발생했다.[55]
『볼숭 일족의 사가』에서는 오딘이 발키리를 통해 레리르 왕에게 사과를 보내 자식을 갖게 해준다.[56]
19세기 후반까지 스칸디나비아에는 오딘과 관련된 민간 전승이 남아 있었다. 사람들은 밤에 마차 소리가 들리면 "오딘이 지나가고 있다"고 말했다.[59]
수많은 유물에서 오딘의 모습이 발견된다. 브락테이트에는 창을 들고 새에 둘러싸인 오딘이 묘사되어 있으며,[61] 벤델 시대 투구 장식판에는 말을 타고 두 마리의 새와 함께 있는 오딘이 새겨져 있다.[63]
3. 1. 탄생과 세계 창조
오딘은 거인족인 볼과 베스틀라 사이에서 태어났다.[36] 오딘은 형제인 빌리, 베와 함께 원시 거인 이미르를 죽이고 그 시체로 세상을 창조했다.[37]『고 에다』의 시 볼루스파|Völuspánon에 따르면, 오딘과 그의 형제 호에니르|Hœnirnon, 로두르|Lóðurrnon는 해변에서 나무로 만들어진 두 존재, 아스크와 엠블라를 발견했다. 이들은 최초의 인간이었다.[38] 볼바|Völvanon는 그 둘이 운명이 거의 정해지지 않았고, 세 가지 선물이 부족했다고 말한다.[39] 볼바|Völvanon는 계속해서 세 신이 그들에게 준 세 가지 선물을 설명한다.
이 선물들의 의미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며, 번역 또한 다양하다.[41]
3. 2. 지혜와 마법
오딘은 지혜를 얻기 위해 많은 희생을 했다. 미미르의 샘물을 마시기 위해 자신의 한쪽 눈을 바쳤다.[43] 또, 룬 문자의 비밀을 깨닫기 위해 위그드라실이라는 거대한 나무에 목을 매달고 스스로를 창으로 찔러 9일 밤낮을 매달려 있었다.[48][49][50] 이 고통스러운 과정을 통해 룬 문자의 지혜를 얻게 되었다.
오딘은 서리 거인 수트르에게서 시의 술을 훔쳐 인간에게 시를 쓰는 능력을 선물하기도 했다. 뱀으로 변신하여 술이 보관된 곳에 잠입, 군드로즈를 유혹하여 술을 얻어낸 후 독수리로 변신하여 아스가르드로 돌아왔다.
3. 3. 전쟁과 죽음
오딘은 글라스헤임에 있는 자신의 궁전 발할라에 발키리를 통해 전사한 용사(에인헤랴르)들을 모아 라그나로크에 대비하여 매일 대규모 훈련을 실시한다.[89] 이 훈련에서 패배한 자도 해가 지면 다시 부활하여 밤에는 대연회를 열고, 다음 날에는 다시 훈련을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오딘은 최후의 전쟁인 라그나로크에서 로키의 아들인 거대한 늑대 펜리르에게 삼켜져(또는 물려 죽어) 최후를 맞이한다.[89]3. 4. 오딘의 상징
오딘의 애마는 다리가 여덟 개인 슬레이프니르이다. 후긴(사고), 무닌(기억)이라는 두 마리의 까마귀를 전 세계로 날려 보내 정보를 얻는다. 발밑에는 게리와 프레키(탐욕스러운 것[89])라는 두 마리의 늑대가 있으며, 오딘은 자신의 식사는 이 늑대들에게 주고 자신은 포도주만 마시고 산다고 한다. 결코 빗나가지 않는 창 궁니르를 가지고 있다.3. 5. 변신과 이명
오딘은 인간 세상에 나타날 때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한다. 주로 긴 수염을 기르고 챙 넓은 모자를 쓴 노인의 모습으로 묘사되지만,[95] 검은 로브를 입은 방랑자나[95] 황금 갑옷을 입은 전사의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98]오딘은 수많은 이명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오딘은 다양한 모습과 이름으로 나타나며, 그의 변신 능력과 다양한 이명은 그의 복잡하고 다면적인 성격을 보여준다.
4. 숭배와 전승
오딘에 대한 숭배와 전승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1876년 헨리 페테르센은 토르가 스칸디나비아 농민들의 토착 신이고, 오딘은 후대에 수장과 시인들에게만 해당하는 신으로 유입되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57] 베르나르트 살린은 암각화와 브락테아트의 모티프, 그리고 『프로세 에다』 서문을 근거로 오딘과 룬이 철기 시대에 동남유럽에서 유입되었다고 주장했다. 악셀 올릭은 오딘이 기원후 4~6세기 갈리아의 영향으로 유입되었다고 보았다.[57]
마리야 긴부타스와 카를 헬름은 아시르 신족이 북유럽에 후대에 유입된 집단이며, 토착 종교는 바니르 신앙이었다고 주장했다.[57] 16세기부터 바사 왕조 시대에 오딘은 스웨덴의 초대 국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74]
조르주 뒤메질은 오딘이 원시 인도유럽 종교의 주권 기능을 담당하는 신으로, 힌두교의 바루나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얀 드 브리스는 오딘을 힌두교의 루드라, 그리스의 헤르메스와 비교했다.
오딘은 미술, 문학, 음악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었다. 현대 미술 작품으로는 페르 뢰르베리의 펜화, 벤크트 에를란드 포겔베리의 조각, 헤르만 에른스트 프로인트의 조각, 에드워드 버네-존스의 그림, 콘라트 디엘리츠의 유화, 한스 토마의 판화, 다그핀 베렌스키올드의 부조, 브로르 마르클룬드의 청동 부조 등이 있다.[75]
현대 문학 작품으로는 프리드리히 폰 하게도른의 시,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클롭슈톡의 찬가, 옌스 바게센의 서사시, 아담 외렌슐레거의 시, 토마스 칼라일의 저서, 윌리엄 워즈워스의 시, 리하르트 바그너의 시, 올라브 둔의 소설, 에른스트 톨러의 희극, 한스-프리드리히 블룬크의 소설 등이 있다.[76]
음악 작품으로는 J. H. 슈툰츠의 발레와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시리즈 ''니벨룽의 반지''가 있다.[77]
오딘은 마블 코믹스의 등장인물로 각색되었으며,[78] 앤서니 홉킨스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에서 이 역할을 연기했다. 또한 여러 비디오 게임에도 등장하는데, ''신화 시대'', ''갓 오브 워'',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 ''스마이트'' 등이 있다.
4. 1. 역사적 숭배
오딘 숭배는 9세기 이전 스칸디나비아와 유럽 대륙 게르만족 사이에서 널리 퍼져 있었다. 타키투스는 《게르마니아》에서 게르만족이 가장 존경하는 신을 메르쿠리우스라고 기록했는데, 이는 오딘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앵글로색슨족 왕족 계보에서 오딘은 시조로 자주 등장한다. 바이킹 시대 이후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오딘 신앙이 강하게 유지되었다.[57]19세기 중반 벤자민 소프는 갓틀란드에서 "많은 오딘 전승과 이야기가 여전히 사람들의 입에서 살아 숨쉬고 있다"고 기록했다. 스웨덴 블레킹게에서는 오딘의 말을 위해 낟가리를 남겨두는 관습이 있었고, 스몰란드의 크라크토르프스가르드에서는 오딘의 시신이 발견되었다고 알려진 무덤이 발굴되기도 했다. 이 무덤은 기독교화 이후 "지옥의 언덕"으로 불렸으며, 현지 전설에 따르면 무덤이 열리자 굉장한 불이 터져 나왔다고 한다. 트로이엔보르그 주변에는 오딘이 밤마다 나타나 농장 출입을 막았다는 전설도 전해진다.[57]
소프는 뉘켈베르그 근처 루네마드에 가라앉았다는 황금 배 이야기, 케틸사스의 유래, 오딘의 개와 황소, 인어 이야기 등 스웨덴에 많은 전통이 존재했음을 언급한다.[58] 그는 또한 스웨덴에서 밤에 마차와 말 소리가 들리면 "오딘이 지나가고 있다"고 말하는 풍습을 기록했다.[59]
1876년 헨리 페테르센은 토르가 토착 신이고 오딘은 후대에 유입된 신이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베르나르트 살린은 암각화와 브락테아트의 모티프, 《프로세 에다》 서문을 근거로 오딘과 룬 문자가 철기 시대에 동남유럽에서 유입되었다고 주장했다. 악셀 올릭은 오딘이 기원후 4~6세기 갈리아의 영향으로 유입되었다고 보았다.
마리야 긴부타스와 카를 헬름은 아시르 신족이 북유럽에 후대에 유입된 집단이며, 토착 종교는 바니르 신앙이었다고 주장했다.
16세기부터 바사 왕조 시대에 오딘은 스웨덴의 초대 국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74]
조르주 뒤메질은 오딘이 원시 인도유럽 종교의 주권 기능을 담당하는 신으로, 힌두교의 바루나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얀 드 브리스는 오딘을 힌두교의 루드라, 그리스의 헤르메스와 비교했다.
4. 2. 민간 전승
19세기 후반까지도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는 오딘과 관련된 민간 전승과 관습이 남아 있었다. 19세기 중반에 출판된 저서에서 벤자민 소프는 외틀란드에서 "많은 오딘 전승과 이야기가 여전히 사람들의 입에서 살아 숨쉬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57] 소프는 스웨덴의 블레킹게에서 "예전에는 오딘의 말들을 위해 낟가리 하나를 들판에 남겨두는 관습이 있었다"고 언급하며,[57] 스몰란드의 크라크토르프스가르드에서 18세기에 무덤이 발굴되었는데, 그 안에서 오딘의 시신이 발견되었다고 알려진 사례를 제시한다. 기독교화 이후 이 무덤은 헬베테스바케(Helvetesbackke, 스웨덴어로 "지옥의 언덕")로 알려지게 되었다. 현지 전설에 따르면 무덤이 열리자 "번개처럼 굉장한 불이 터져 나왔다"고 하며, 부싯돌이 가득 찬 관과 램프가 발굴되었다.[57] 소프는 또한 트로이엔보르그 주변에 살았던 한 사제가 호밀을 심었는데, 호밀이 자라자 매일 저녁 오딘이 언덕에서 말을 타고 나타났다는 전설을 전한다. 오딘은 너무나 거대해서 농장 건물들보다 훨씬 컸고, 손에 창을 들고 있었다. 오딘은 농장 입구 앞에 서서 밤새도록 아무도 출입하지 못하게 막았는데, 이는 호밀을 베어낼 때까지 매일 밤 계속되었다.[57]
소프는 뉘켈베르그 근처 루네마드에 가라앉았다고 하는 황금 배에 대한 이야기도 전하는데, 전설에 따르면 오딘이 브라발라 전투에서 전사들을 발할라로 데려갔다고 한다.[58] 케틸사스는 "오딘의 룬 지팡이"를 훔친 케틸 룬스케에서 유래했다고 전하며, 오딘을 돕기 위해 온 오딘의 개들과 황소, 인어를 묶었다고 한다. 소프는 그의 저술 당시 스웨덴에 많은 다른 전통들이 존재했음을 언급한다.[58]
소프는 스웨덴에서 "밤에 마차와 말 소리가 들리면 사람들은 '오딘이 지나가고 있다'고 말한다"고 기록하고 있다.[59]
오딘과 로키, 호니르 신들은 파로 제도 발라드인 로카 타투르에서 농부와 소년이 내기에서 이긴 요툰의 분노를 피하는 것을 돕는다.[60]
4. 3. 고고학적 증거
5세기와 6세기의 게르만족 대이동 시기 금제 브락테아트(A형, B형, C형)에는 말 위에 창을 든 인물이 한두 마리의 새에 둘러싸여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새의 존재 때문에 이 인물은 후긴(Huginn)과 무닌(Muninn)에게 둘러싸인 오딘으로 해석된다.[61] 브락테아트는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에서 발견되었고, 수는 적지만 잉글랜드와 덴마크 남쪽 지역에서도 발견되었다.[61]
스웨덴의 무덤에서 발견된 벤델 시대(6세기 또는 7세기) 투구 장식판에는 말을 타고 창과 방패를 든 투구를 쓴 인물이 두 마리의 새에 둘러싸여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장식판은 두 마리의 새, 즉 그의 까마귀와 함께 있는 오딘으로 해석되어 왔다.[63]
스웨덴 갓란드 섬의 8세기 룬석 중 두 개에는 여덟 개의 다리를 가진 말이 그려져 있는데,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것을 슬레이프니르(Sleipnir)로 해석한다. 묠레비 이미지 스톤(Tjängvide image stone)과 아르드레 8번 이미지 스톤(Ardre VIII image stone)이 그 예시이다.[64] 11세기 스웨덴 레드베리 석(Ledberg stone)은 토르발드의 십자가와 마찬가지로 네 다리 달린 짐승의 입에 발을 댄 인물을 보여주는데, 이 역시 라그나로크에서 펜리르(Fenrir)에게 삼켜지는 오딘을 묘사한 것일 수 있다.[71]
2009년 11월, 로스킬데 박물관(Roskilde Museum)은 레이레(Lejre)에서 발견된 니엘로(niello) 세공 은제 작은 조각상을 발표하고 전시했는데, 이것을 "레이레의 오딘(Odin from Lejre)"이라고 불렀다. 이 은제 유물은 왕좌에 앉아 있는 사람을 묘사하고 있다. 왕좌에는 동물의 머리가 장식되어 있고, 두 마리의 새가 옆에 있다. 로스킬데 박물관은 이 인물을 후긴과 무닌에게 둘러싸인 그의 왕좌인 흘리드스키알프(Hliðskjálf)에 앉아 있는 오딘으로 파악한다.[73]
5. 대중문화 속 오딘
(소스에 내용이 없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Odin
http://www.dictionar[...]
2018-04-21
[2]
논문
The transformation of the older fuþark: Number magic, runographic or linguistic principles?
[3]
서적
Die heidnische Religion der Baiwaren
[4]
서적
Bijdrage tot de etymologie van het oudste Nederlands
[5]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Latin and the other Italic Languages
Brill
[6]
논문
Strängnäs, Skramle och Tomteboda: tre urnordiska runinskrifter
http://kulturarvsdat[...]
2023-04-25
[7]
문서
[8]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oto-Celtic
Brill
[9]
문서
[10]
서적
The History of Cleveland
Patrick and Shotton
[11]
서적
A Dictionary of British Place Names
OUP
[12]
웹사이트
The Topographic Settings of Bronze Age Metalwork Deposits in North East England
http://etheses.white[...]
2021-03-19
[13]
서적
The Archaeology of Yorkshire
Methuen and Company Ltd
[14]
서적
Studies in Medievalism XVII: Redefining Medievalism(s)
Boydell & Brewer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논문
Cultural assimilation in the Anglo-Saxon royal genealogies
http://www.jstor.org[...]
2024-07-06
[33]
웹사이트
Historia Brittonum
https://www.thelatin[...]
The Latin Library
2024-07-06
[34]
웹사이트
Historia Brittonum
https://avalon.law.y[...]
Yale Law School
[35]
웹사이트
The Anglo Saxon Chronicle
https://en.wikisourc[...]
Wikimedia Foundation
2024-07-06
[36]
서적
(추정)
[37]
서적
(추정)
[38]
서적
(추정)
[39]
서적
(추정)
[40]
서적
(추정)
[41]
서적
(추정)
[42]
서적
(추정)
[43]
서적
(추정)
[44]
서적
(추정)
[45]
서적
(추정)
[46]
서적
(추정)
[47]
서적
(추정)
[48]
서적
(추정)
[49]
서적
(추정)
[50]
서적
(추정)
[51]
서적
(추정)
[52]
서적
(추정)
[53]
서적
(추정)
[54]
서적
(추정)
[55]
서적
(추정)
[56]
서적
(추정)
[57]
서적
(추정)
[58]
서적
(추정)
[59]
서적
(추정)
[60]
서적
(추정)
[61]
서적
(추정)
[62]
서적
(추정)
[63]
서적
(추정)
[64]
서적
(추정)
[65]
서적
(추정)
[66]
서적
(추정)
[67]
서적
(추정)
[68]
서적
(추정)
[69]
서적
(추정)
[70]
데이터베이스
Entry Br Olsen;185A in Rundata 2.0
[71]
서적
1987
[72]
서적
2006
[73]
웹사이트
Odin fra Lejre
http://roskildemuseu[...]
2009-11-16
[74]
서적
Den skoningslöse, en biografi över Karl IX
Natur & Kultur
2008
[75]
서적
2007
[76]
서적
2007
[77]
서적
2007
[78]
서적
The Marvel Encyclopedia
DK Publishing
2019
[79]
웹사이트
Age of Mythology Wiki Guide: The Major Gods
https://www.ign.com/[...]
2014-04-23
[80]
웹사이트
Age of Mythology
https://archive.org/[...]
[81]
웹사이트
Age of Mythology Reference Guide
https://archive.org/[...]
[82]
웹사이트
God of War's Odin Differs From Zeus in a Big Way, but the Ragnarok Sequel Could Explain That
https://gamerant.com[...]
2021-01-01
[83]
웹사이트
Odin's Role in Assassin's Creed Valhalla
https://gamerant.com[...]
2020-05-04
[84]
웹사이트
Gods
https://www.smitegam[...]
[85]
서적
エッダ - 古代北欧歌謡集
1973
[86]
서적
パウルス, 日向訳
[87]
서적
健部他
[88]
서적
菅原
[89]
서적
ネッケル他編, 谷口訳
[90]
서적
ネッケル他編, 谷口訳
[91]
서적
ネッケル他編, 谷口訳
[92]
서적
ネッケル他編, 谷口訳
[93]
서적
ネッケル他編, 谷口訳
[94]
서적
ネッケル他編, 谷口訳
[95]
서적
佐藤他
[96]
서적
テッツナー, 手嶋訳
[97]
서적
テッツナー, 手嶋訳
[98]
서적
健部他
[99]
서적
北欧神話
[100]
서적
デンマーク人の事績
[101]
서적
サクソ, 谷口訳
[102]
서적
ネッケル他編, 谷口訳
[103]
서적
ネッケル他編, 谷口訳
[104]
서적
ネッケル他編, 谷口訳
[105]
서적
ネッケル他編, 谷口訳
[106]
서적
ギュルヴィたぶらかし
ネッケル他編, 谷口訳
[10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菅原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주춤한 카겜즈, ‘인디-대작’ 쌍끌이 전략…비핵심자산 정리도 진행 – 바이라인네트워크
영업익 반토막 카카오, 어떤 회복 전략 짰나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