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일교통 (관악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일교통은 1961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에서 영등포합승자동차로 설립되어, 1971년 영일교통으로 상호가 변경된 서울특별시 관악구의 과거 시내버스 회사이다. 1970년대 초 여러 영업소들을 분리 독립시켰으며, 1973년 신림동으로 본사 및 차고지를 이전했다. 1974년 보성운수에 흡수합병되었다. 과거 100번, 101번, 110번, 112번, 118번, 123번 등의 노선을 운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없어진 버스 회사 - 매일마을버스
매일마을버스는 1993년 서울승합의 계열사로 설립되어 고덕동과 강변역을 잇는 노선을 운행했으며, 2000년 서울승합에 흡수합병되었다. - 없어진 버스 회사 - 김해여객
김해여객은 동신버스로 설립되어 가야IBS에서 분리된 후 사명을 변경했으나 2021년 파산한 시외버스 운송 업체로, 김해, 마산, 서부산 등지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했으며 기아 그랜버드를 주요 운행 차량으로 사용했다. - 서울 관악구의 교통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서울 관악구의 교통 - 남부순환로
남부순환로는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입구 교차로에서 강남구 수서 나들목까지 약 40km에 이르는 간선도로로, 1978년 지정 후 1984년 노선이 변경되었고, 과거 통행료 징수 구간과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해제되었으며, 여러 차례 노선 변경 및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는 서울 서남부 지역의 주요 거점을 연결한다.
영일교통 (관악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회사 명칭 | 영일교통 주식회사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678-1번지 |
창립일 | 1961년 |
해체일 | 1974년 |
산업 분야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2. 주요 연혁
1961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에서 '''영등포합승자동차'''(永登浦合乘自動車)라는 사명으로 회사 설립
1970년 초 도시형버스 100번을 운행하던 개봉동영업소를 새서울버스로 분리독립
1970년 10월 20일 도시형버스 118번을 운행하던 구로동영업소를 보영운수로 분리독립
1970년 11월 1일 도시형버스 110번을 운행하던 양남동영업소를 영인운수로 분리독립
1971년 1월 도시형버스 112번을 운행하던 문래동영업소, 도시형버스 123번을 운행하던 오류동영업소 등을 삼광운수로 분리독립, 동시에 영등포합승은 도시형버스 101번을 운행하던 대림동 본사만 남게 됨
1971년 6월 영등포합승자동차에서 영일교통으로 상호가 변경
1973년 2월 본사 및 차고지를 영등포구 대림동에서 신림동 678-1번지(현 관악구 신림동 678-1번지)로 이전. 동시에 도시형버스 101번 기점을 대림동에서 난곡으로 연장
1974년 구로구의 시내버스 회사인 보성운수에 흡수합병. 동시에 영일교통의 본사 및 차고지는 보성운수 난곡차고지(현 난향동영업소)가 됨
2. 1. 회사 설립 및 분리 독립
1961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에서 '''영등포합승자동차'''(永登浦合乘自動車)라는 사명으로 회사가 설립되었다. 1970년 초 도시형버스 100번을 운행하던 개봉동영업소를 새서울버스로 분리독립시켰다. 1970년 10월 20일에는 도시형버스 118번을 운행하던 구로동영업소를 보영운수로, 1970년 11월 1일 도시형버스 110번을 운행하던 양남동영업소를 영인운수로 분리독립시켰다. 1971년 1월 도시형버스 112번을 운행하던 문래동영업소, 도시형버스 123번을 운행하던 오류동영업소 등을 삼광운수로 분리독립시켰고, 동시에 영등포합승은 도시형버스 101번을 운행하던 대림동 본사만 남게 되었다. 1971년 6월 영등포합승자동차에서 영일교통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1973년 2월 본사 및 차고지를 영등포구 대림동에서 신림동 678-1번지(현 관악구 신림동 678-1번지)로 이전하였다. 동시에 도시형버스 101번 기점을 대림동에서 난곡으로 연장하였다. 1974년 구로구의 시내버스 회사인 보성운수에 흡수합병되었다. 동시에 영일교통의 본사 및 차고지는 보성운수 난곡차고지(현 난향동영업소)가 되었다.2. 2. 사명 변경 및 이전
1961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에서 '''영등포합승자동차'''(永登浦合乘自動車)라는 사명으로 회사가 설립되었다. 1970년대 초 도시형버스 100번을 운행하던 개봉동영업소를 새서울버스로 분리독립시켰다. 1970년 10월 20일에는 도시형버스 118번을 운행하던 구로동영업소를 보영운수로, 1970년 11월 1일에는 도시형버스 110번을 운행하던 양남동영업소를 영인운수로 분리독립시켰다. 1971년 1월, 도시형버스 112번을 운행하던 문래동영업소, 도시형버스 123번을 운행하던 오류동영업소 등을 삼광운수로 분리독립시켰다. 동시에 영등포합승은 도시형버스 101번을 운행하던 대림동 본사만 남게되었다.1971년 6월, 영등포합승자동차에서 영일교통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1973년 2월, 본사 및 차고지를 영등포구 대림동에서 신림동 678-1번지(현 관악구 신림동 678-1번지)로 이전하였다. 이와 함께 도시형버스 101번 기점을 대림동에서 난곡으로 연장하였다. 1974년, 구로구의 시내버스 회사인 보성운수에 흡수합병되었고, 영일교통의 본사 및 차고지는 보성운수 난곡차고지(현 난향동영업소)가 되었다.
2. 3. 흡수 합병
1961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에서 영등포합승자동차(永登浦合乘自動車)라는 사명으로 회사가 설립되었다. 1970년 초 도시형버스 100번을 운행하던 개봉동영업소를 새서울버스로 분리독립시켰다. 1970년 10월 20일에는 도시형버스 118번을 운행하던 구로동영업소를 보영운수로, 11월 1일에는 도시형버스 110번을 운행하던 양남동영업소를 영인운수로 분리독립시켰다.1971년 1월 도시형버스 112번을 운행하던 문래동영업소, 도시형버스 123번을 운행하던 오류동영업소 등을 삼광운수로 분리독립시켰고, 동시에 영등포합승은 도시형버스 101번을 운행하던 대림동 본사만 남게 되었다. 같은 해 6월, 영등포합승자동차에서 영일교통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1973년 2월 본사 및 차고지를 영등포구 대림동에서 신림동 678-1번지(현 관악구 신림동 678-1번지)로 이전하면서 도시형버스 101번 기점을 대림동에서 난곡으로 연장하였다. 1974년 구로구의 시내버스 회사인 보성운수에 흡수합병되었고, 영일교통의 본사 및 차고지는 보성운수 난곡차고지(현 난향동영업소)가 되었다.
3. 과거 운행 노선
- 100번: 개봉동 ↔ 영등포[1]
- 101번: 대림동 ↔ 독립문[2]
- 110번: 양남동 ↔ 청계6가[3]
- 112번: 문래동 ↔ 을지로6가[4]
- 118번: 구로동 ↔ 을지로6가[5]
- 123번: 오류동 ↔ 청계6가[6]
3. 1. 주요 노선
참조
[1]
문서
1970년 초 새서울버스가 영등포합승에서 분리독립해서 운행하다가 1973년 개봉여객으로 사명이 변경된 이후 1979년 2월 1일 종점이 서울시청에서 신촌으로 단축된데 이어, 1981년 기점이 광명시로 연장 및 종점이 당산동으로 단축되었다. 1984년 종점이 구로공단으로 단축되었고, 1989년 2월 1일 종점이 다시 당산동에서 목동 (서울)|목동까지 연장되었다. 1993년 다시 종점이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단축되었고, 1990년대 후반에 폐선되었다.
[2]
문서
1974년 본회사가 보성운수에 흡수합병과 동시에 보성운수가 운행하기 시작했고, 2000년 종점이 서울역에서 노량진으로 단축되었다가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서울시내버스 개편으로 페선되었다.
[3]
문서
1970년 11월 1일 영인운수가 영등포합승에서 분리독립해서 운행하다가 1987년 영인운수에서 한성운수 (서울)|한성운수에 매각되었고, 1990년대 폐선되었다.
[4]
문서
1971년 초 삼광교통이 영등포합승에서 분리독립해서 운행하다가 1980년 '''흥기운수'''(興畿運輸)로 사명이 변경된 이후 2000년 운행회사의 부도 및 폐업과 동시에 폐선되었다.
[5]
문서
1970년 10월 2일 구로동영업소가 보영운수 (서울)|보영운수로 분리독립과 동시에 보영운수에서 운행하기 시작하다가 1987년 보영운수의 면허등록지가 금천구 가산동 29-6번지로 차고지가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314번지로 각각 이전과 동시에 기점이 구로동에서 하안동으로 연장되었고, 종점이 남대문시장에서 이대입구로 단축되었다. 현재 지선버스 5714번으로 운행 중이다.
[6]
문서
1971년 1월 삼광운수가 분리독립해서 운행했다가, 1973년 1월 삼광운수에서 보성운수로 매각되어 운행하다가 같은해 3월 보성운수 오류동영업소, 신정동영업소 등이 세풍운수로 분리독립하면서, 세풍운수에서 운행했다. 개편 후 간선버스 600번으로 서울교통네트웍에서 운행 중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