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주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주댐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댐으로, 1999년 건설 계획이 무산되었다가 2009년 착공하여 2016년 12월에 준공되었다. 내성천의 물을 막아 녹조 현상 심화, 모래밭의 자갈밭 변화, 생물종 감소 등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댐 건설로 인해 평은면의 중심 마을과 면사무소, 평은초등학교가 수몰되었으며, 괴헌고택 등 문화재가 이전 및 복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댐 -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자원공사는 대한민국의 물 자원 개발 및 관리, 공업단지 및 신도시 조성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공기업으로, 주요 댐 건설과 광역 상수도 사업을 통해 대한민국의 수자원 확보에 기여하며 현재는 해외 사업, 하천 관리, 해수 담수화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댐 - 장흥댐
    전라남도 장흥군 탐진강에 위치한 장흥댐은 총 저수용량 1억 9100만 톤의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으로, 생·공업용수와 관개 및 하천유지용수를 공급하고 수력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한다.
  • 대한민국의 발전소 - 수력 발전
    수력 발전은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수차와 발전기를 통해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다양한 운용 방식이 존재하나 댐 건설로 인한 환경 문제 등의 과제도 안고 있는 탄소 중립 시대의 중요한 신재생 에너지원이다.
  • 대한민국의 발전소 - 팔당댐
    팔당댐은 수도권 지역에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전력을 생산하는 다목적 댐으로, 팔당호는 한때 유원지였으나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댐 관리교는 차량 통행이 일부 제한된다.
  • 대한민국 배경이 적용된 - 수력 발전
    수력 발전은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수차와 발전기를 통해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다양한 운용 방식이 존재하나 댐 건설로 인한 환경 문제 등의 과제도 안고 있는 탄소 중립 시대의 중요한 신재생 에너지원이다.
  • 대한민국 배경이 적용된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영주댐
개요
이름영주댐
위치낙동강 유역
정보
목적불명확
상태운영 중
건설 시작2009년 12월
비용1조 1천억원 (KRW)
소유주불명확
운영자불명확
제원
댐 종류불명확
댐 높이 (기초)불명확
댐 높이 (최저 지점)불명확
댐 길이불명확
댐 정상 표고불명확
댐 정상 폭불명확
댐 하단 폭불명확
댐 용적불명확
방수로 개수불명확
방수로 종류불명확
방수로 길이불명확
방수로 용량불명확
방수로 체적 유량불명확
저수지 이름불명확
저수 용량 (총)불명확
저수 용량 (유효)불명확
저수 용량 (비활성)불명확
저수지 유역 면적불명확
저수지 표면적불명확
저수지 최대 길이불명확
저수지 최대 폭불명확
저수지 최대 깊이불명확
저수지 표고불명확
저수지 조수 간만 차불명확
논란
쟁점수질 개선 효과 미미, 녹조 발생
추가 정보
관련 기사보 개방은 논란 속에 남아있다 (Korea JoongAng Daily, 2019년 3월 20일)
이 댐은 낙동강 수질 개선과는 거리가 멀다 (The Dong-a Ilbo, 2018년 3월 29일)

2. 건설 배경 및 목적

3. 제원

3. 1. 본댐

3. 2. 유사조절지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신천리 산 38-8 (영주댐 상류 13km 지점)에 위치한다. 길이는 287m, 높이는 10m ~ 18.3m이다. 콘크리트댐식 고정보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4. 연혁

1999년 영주댐 건설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실시되었으나, 주민과 정치권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2009년 댐 건설이 착공되어, 2016년 12월 준공되었다. 2019년 9월, 발전 등 각종 설비의 하자담보책임기간이 종료되기 전에 시험담수가 이루어졌고, 같은 해 12월, 하자담보책임기간이 종료되었다.

5. 긍정적 영향

6. 부정적 영향

2018년 8월 내성천. 영주댐보다 하류인 영천군 상월리에서 촬영.


내성천의 물이 막히면서 녹조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내성천의 모래밭은 자갈밭으로 변화하였으며, 흰수마자 등 다양한 생물종이 댐 건설 도중에 이미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12]

영주댐 건설로 인하여 면사무소와 평은초등학교가 있던 평은면 금광리·강동리 등 면의 중심 마을이 수몰되었다. 면사무소는 2011년 12월 7일 주민투표를 거쳐[13] 위치를 확정한 뒤 2015년 3월 16일 평은리 영주호이주단지로 이전하였다.[14]

영주댐 수몰 지역에는 도 지정 문화재로 지정된 괴헌고택 등이 위치하고 있었다.[15] 고택들은 평은면 금광리 산73 일대에 모두 이전, 복원될 예정이다.[16] 한편 2014년의 발굴조사에서 금강사(金剛寺) 터와 가마 터, 각종 건물 유구가 조사되었고, 구리 거울 등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유적이 다종다양하게 발견되었으나, 그 터는 모두 담수되었다.[17][18]

6. 1. 환경 문제

내성천의 물이 막히면서 녹조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내성천의 모래밭은 자갈밭으로 변화하였으며, 흰수마자 등 다양한 생물종이 댐 건설 도중에 이미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12]

6. 2. 사회문화적 문제

내성천의 물이 막히면서 녹조 현상이 심화되고 내성천의 모래밭은 자갈밭으로 변화하였으며, 흰수마자 등 다양한 생물종이 댐 건설 도중에 이미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12]

영주댐 건설로 평은면사무소와 평은초등학교가 있던 금광리·강동리 등 면의 중심 마을이 수몰되었다. 면사무소는 2011년 12월 7일 주민투표를 거쳐[13] 위치를 확정한 뒤 2015년 3월 16일 평은리 영주호이주단지로 이전하였다.[14]

영주댐 수몰 지역에는 도 지정 문화재로 지정된 괴헌고택 등이 위치하고 있었다.[15] 고택들은 평은면 금광리 산73 일대에 모두 이전, 복원될 예정이다.[16] 한편 2014년의 발굴조사에서 금강사(金剛寺) 터와 가마 터, 각종 건물 유구가 조사되었고, 구리 거울 등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유적이 다종다양하게 발견되었으나, 그 터는 모두 담수되었다.[17][18]

6. 3. 4대강 사업과의 연관성

6. 4. 환경 문제 심각성

내성천의 물이 영주댐 건설로 인해 막히면서 녹조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내성천의 모래밭은 자갈밭으로 변화하였으며, 흰수마자 등 다양한 생물종이 댐 건설 도중에 이미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12] 댐 건설 이후 내성천의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환경 단체의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6. 5. 수몰 지역 주민 이주 대책

영주댐 건설로 인해 평은면 금광리, 강동리 등 면의 중심 마을과 면사무소, 평은초등학교가 수몰되었다.[12] 면사무소는 2011년 12월 7일 주민 투표를 거쳐[13] 위치를 확정한 뒤 2015년 3월 16일 평은리 영주호이주단지로 이전하였다.[14] 수몰 지역에는 도 지정 문화재인 괴헌고택 등이 있었으며,[15] 이 고택들은 평은면 금광리 산73 일대에 이전, 복원될 예정이다.[16] 2014년 발굴조사에서는 금강사(金剛寺) 터, 가마 터, 각종 건물 유구, 구리 거울 등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다양한 유적이 발견되었으나, 그 터는 모두 담수되었다.[17][18]

6. 6. 문화재 보존 문제

영주댐 건설로 평은면 금광리·강동리 등 중심 마을이 수몰되면서, 도 지정 문화재인 괴헌고택 등이 이전, 복원될 예정이었다.[15][16] 2014년 발굴조사에서 금강사(金剛寺) 터와 가마 터, 각종 건물 유구가 조사되었고, 구리 거울 등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다양한 유적이 발견되었으나, 그 터는 모두 담수되었다.[17][18] 이 과정에서 문화재 이전 및 복원 과정의 원형 훼손 및 관리 부실 문제가 발생했다는 지적이 있다.

7. 갤러리



8. 기타

참조

[1] 논문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impact assessment model for dam construction Springer 2016-06-11
[2] 웹사이트 Working Party on Biodiversity, Water and Ecosystems https://www.oecd.org[...] 2017-08-29
[3] 웹사이트 Weirs now open remain mired in controversy https://koreajoongan[...] 2019-03-20
[4] 웹사이트 This dam is far from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the Nakdong River https://www.donga.co[...] 2018-03-29
[5] 논문 Multiobjective Analysis of the Sedimentation behind Sangju Weir, South Korea https://ascelibrary.[...] 2018
[6] 웹사이트 Analysis of the Changes of the Vegetated Area in an Unregulated River and Their Underlying Causes: A Case Study on the Naeseong Stream https://www.jeri.or.[...] 2018-12-31
[7] 웹사이트 Knowledge Exchange Sector Guidebook: Environment https://olc.worldban[...] 2021-07-16
[8] 서적 OECD Studies on Water Enhancing Water Use Efficiency in Korea Policy Issues and Recommendations: Policy Issues and Recommendations https://books.google[...] OECD Publishing 2017-09-22
[9] 웹사이트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https://publications[...] 2018-11-22
[10] 웹사이트 Algal bloom is generated early at Yeongju Dam https://www.donga.co[...] 2018-03-29
[11] 웹사이트 통합물관리 시설 낙동강 권역부문 http://www.kwater.or[...]
[12] 뉴스 보이나요, 이제라도 ‘댐’을 멈춰야 하는 이유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4-05-09
[13] 뉴스 ‘영주댐 피해 조사위 구성’ 주민 조례안 각하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12-07
[14] 웹사이트 평은면사무소가 영주호 이주단지로 이전하였습니다. http://www.yeongju.g[...]
[15] 뉴스 ‘괴헌고택’ 현상변경 승인 없이 공사 강행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11-05
[16] 뉴스 영주댐 수몰지역 문화재 이건·복원 ‘큰산 넘었다’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2018-06-17
[17] 뉴스 "[단독]영주댐 수몰 예정지서 문화재 대거 출토"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4-05-13
[18] 뉴스 영주댐 수몰 예정지 문화재 발굴현장 가보니… “금강사터, 조사 연장해야”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4-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