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촬영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화 촬영기는 영화 제작에 사용되는 장치로, 초기에는 과학적 기록을 위해 개발되었다. 1845년 프랜시스 로널즈의 선구적인 발명 이후, 1870년대 에드워드 머이브리지의 연속 사진 실험을 거쳐 기술이 발전했다. 1880년대에는 에티엔-줄 마레이의 크로노사진 총, 루이 르 프랭스의 카메라 개발, 윌리엄 프리즈-그린의 동영상 카메라 특허 등으로 이어지며 영화 촬영 기술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1890년대에는 뤼미에르 형제의 시네마토그래프, 윌리엄 케네디 로리 딕슨의 키네토그래프 등 상업적 활용이 가능한 장치들이 등장했다. 20세기 초 벨 & 하우웰의 완전 금속 시네마 카메라와 16mm 필름의 도입은 영화 촬영기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현대에는 디지털 영화 카메라가 주류를 이루며, 디지털 기술은 영화 제작 방식에 혁신을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화 촬영기 - 볼렉스
볼렉스는 스위스의 카메라 제조 회사로, 16mm 필름 카메라와 H16 모델 등을 생산하여 아마추어 및 전문가 영화 제작자들에게 널리 사용되었으며, 아방가르드 영화 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 아이콘으로, 2012년에는 디지털 슈퍼 16mm 시네마 카메라 D16이 출시되기도 했다. - 영화 촬영기 - 아리 (기업)
아리는 1917년 독일 뮌헨에서 설립되어 영화 및 방송 촬영 장비(카메라, 렌즈, 조명) 제조 및 렌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ARRIFLEX 카메라를 통해 기술 혁신을 이끌었으며 ARRI ALEXA 시리즈로 디지털 영화 촬영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 영국의 발명품 - 수력 발전
수력 발전은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수차와 발전기를 통해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다양한 운용 방식이 존재하나 댐 건설로 인한 환경 문제 등의 과제도 안고 있는 탄소 중립 시대의 중요한 신재생 에너지원이다. - 영국의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영화 촬영기 | |
---|---|
영화 촬영기 | |
![]() | |
종류 | 영화 카메라 |
작동 방식 | 사진 |
관련 항목 | 영화 촬영 영화 편집 영화 영사기 텔레시네 |
역사적 맥락 | |
발명가 | 오귀스트 뤼미에르 루이 뤼미에르 |
첫 번째 카메라 | 시네마토그래프 (1895년) |
초기 사용 | 초기 영화 제작 |
작동 원리 | |
주요 구성 요소 | 렌즈 셔터 필름 운송 메커니즘 스풀 |
셔터 각도 | 가변적 |
프레임 속도 | 가변적 (일반적으로 초당 24프레임) |
필름 포맷 | 다양한 포맷 (8mm, 16mm, 35mm, 65mm, 70mm 등) |
기술적 특징 | |
필름 간헐 운동 | 간헐적 운동 메커니즘 사용 |
셔터 | 가변 셔터 사용 |
렌즈 | 교환 가능한 렌즈 시스템 |
디지털 영화 카메라 | |
센서 | CCD CMOS |
해상도 | 다양 (2K, 4K, 6K, 8K 이상) |
기록 매체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SSD 메모리 카드 |
주요 제조사 | |
제조사 | 아리 파나소닉 소니 블랙매직 디자인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영화 촬영 기사 영화 제작 영화 편집 영사기 |
2. 역사
영화 촬영기의 역사는 19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845년 프랜시스 로널즈가 큐 천문대에서 과학 기기의 지속적인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 발명한 기계가 영화 촬영기의 선구자로 여겨진다.[2][3][4]
최초의 특허는 1876년 워즈워스 도니스트로프가 받았고, 1888년 루이 르 프랭스가 영국에서 다른 영화 카메라를 설계했다. 르 프랭스는 ''라운드헤이 가든 장면''과 ''리즈 다리''를 촬영했다.
1882년 프랑스의 에티엔-줄 마레이는 크로노사진 총을 발명하여 초당 12개의 이미지를 촬영했다.[5] 1878년 에드워드 머이브리지는 말을 촬영하기 위해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했다.
1889년 윌리엄 프리즈-그린은 초당 최대 10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 특허를 받았다.[6] 그는 토마스 에디슨에게 자신의 발명품에 대한 세부 사항을 보냈다.[7]
1891년, 에디슨의 윌리엄 케네디 로리 딕슨은 키네토그래프 카메라를 설계했다.[8] 1894년, 뤼미에르 형제의 카메라는 샤를 모와송에 의해 제작되었고, 35mm 폭의 종이 필름을 사용했다. 1895년, 뤼미에르 형제는 셀룰로이드 필름으로 전환했다.
같은 해, 폴란드 발명가 카지미에시 프로시진스키는 플리오그래프를 만들었다.[9][10][11][12][13]
최초의 전금속제 영화 카메라는 벨 & 하우엘이 1911-12년에 출시한 스탠다드 시네마토그래프이다.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35mm 카메라는 아리플렉스, 무비캠(모두 아놀드 & 리히터 그룹)과 파나비전의 기종이다. 고속 촬영에서는 포토소닉(PhotoSonic)이 사용된다.
2. 1. 초기 개발
1845년, 킹스 천문대의 프랜시스 로널즈는 영화 카메라의 선구자격 기계를 발명했다. 이 기계는 과학 기기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전 세계 천문대에서 1세기 이상 활용되었다.[2][3][4]1876년, 워즈워스 도니스트로프는 최초로 영화 카메라 특허를 획득했다. 1888년, 루이 르 프랭스는 영국에서 또 다른 영화 카메라를 설계했다. 그는 16개의 렌즈를 가진 카메라를 개발하여 ''라운드헤이 가든 장면''과 ''리즈 다리''를 포함한 움직이는 그림 시퀀스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1882년, 에티엔-줄 마레이는 크로노사진 총을 발명했다. 이 장치는 초당 12개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었고, 금속 셔터를 사용하여 움직이는 이미지를 포착했다.[5]
1878년, 에드워드 머이브리지는 팔로 알토 스톡 팜 (현재 스탠퍼드 대학교 캠퍼스) 경마 트랙을 따라 12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연속 사진을 통해 움직임을 포착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1889년, 영국의 발명가 윌리엄 프리즈-그린은 초당 최대 10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동영상 카메라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2. 2. 기술 발전과 상용화
1889년, 영국의 발명가 윌리엄 프리즈-그린은 초당 최대 10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동영상 카메라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6] 1890년에 제작된 또 다른 모델은 그가 천공한 새로운 이스트먼 셀룰로이드 필름 롤을 사용했다. 그는 자신의 카메라와 그 카메라로 촬영한 필름을 여러 번 보여주었지만, 결코 자신의 영화를 공개적으로 상영하지 않았다. 그는 또한 1890년 2월 미국 발명가 토마스 에디슨에게 자신의 발명품에 대한 세부 사항을 보냈으며,[7] 이는 딕슨도 보았다.
1891년, 에디슨의 스코틀랜드 발명가이자 직원이던 윌리엄 케네디 로리 딕슨은 키네토그래프 카메라를 설계했다.[8] 이 카메라는 전동기로 구동되었으며 새로운 스프로킷 필름으로 촬영할 수 있었다. 카메라에서 필름의 간헐적인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스트립과 맞물리는 스프로킷 휠은 탈진기 디스크 메커니즘에 의해 구동되었다. 이는 다음 세기의 영화 촬영의 기초가 될 고속 정지-이동 필름 움직임을 위한 최초의 실용적인 시스템이었다.
1894년, 오귀스트 뤼미에르와 루이 뤼미에르 형제가 소유한 뤼미에르 도미터 카메라는 리옹에 있는 뤼미에르 작업장의 수석 기계공인 샤를 모이송이 제작했다. 이 카메라는 35mm 폭의 종이 필름을 사용했지만, 1895년 뤼미에르 형제는 뉴욕의 셀룰로이드 제조 회사에서 구입한 셀룰로이드 필름으로 전환했다. 이들은 자체 Etiquette-bleue 에멀젼으로 필름을 덮고, 스트립으로 자르고 천공했다.
같은 해, 폴란드 발명가 카지미에시 프로시진스키는 프로젝터와 카메라를 하나로 결합한 플리오그래프라는 발명품을 만들었다.[9][10][11][12][13]

1909년에 폴란드 발명가 카지미에시 프루신스키가 에어로스코프(Aeroscope)를 개발했다.[14] 에어로스코프는 1911년에 영국에서 제작 및 특허를 받았다. 에어로스코프는 최초의 성공적인 휴대용 영화 촬영기였다. 당시 모든 카메라와는 달리, 촬영 기사는 필름을 전진시키기 위해 크랭크를 돌릴 필요가 없었기에 양손으로 카메라를 잡고 초점을 조절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항공 사진 촬영이나 항공 정찰을 포함한 어려운 환경에서도 에어로스코프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했다.[15]
2. 3. 대량 생산 및 보급
1890년대 중반까지 루이 르 프린스, 프리즈-그린, 에디슨, 뤼미에르 형제의 노력으로 영화 촬영기는 실용적인 현실이 되었다. 곧 버트 에이커스, 유진 오귀스탱 로스트 등 영화 촬영기 제조를 위한 최초의 회사들이 설립되었다.[14]1909년에서 1911년 사이에는 폴란드 발명가 카지미에시 프루신스키가 에어로스코프를 제작 및 특허를 받았다.[14] 에어로스코프는 최초의 성공적인 휴대용 영화 촬영기였다.[15]
최초의 완전 금속 시네마 카메라는 1911-12년형 벨 & 하웰 스탠다드였다.[16]
1923년, 이스트만 코닥은 16mm 필름을 도입했으며, 이는 주로 35mm보다 저렴한 대안이었다. 여러 카메라 제조업체는 아마추어 영화 제작자의 새로운 시장을 활용하기 위해 모델을 출시했다.
3. 기술적 특징
영화 촬영기는 렌즈, 애퍼처, 셔터, 필름 이송 메커니즘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다. 영화 카메라의 광학 및 기계적 요소 대부분은 영화 영사기에도 존재한다. 필름 장력, 테이크업, 간헐적 움직임, 루프 및 랙 위치 지정에 대한 요구 사항은 거의 동일하다. 카메라는 조명 소스가 없고 필름을 빛이 차단된 인클로저에 보관하며, 렌즈에 위치한 아이리스 조리개를 통해 노출을 제어한다.[8] 카메라 오른편은 카메라 보조원에 의해 "멍청한 쪽"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표시기나 판독 값이 없고 필름 쓰레딩에 접근할 수 없으며, 많은 렌즈 모델에 렌즈 표시가 없기 때문이다. 후기 장비는 이러한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양쪽에서 필름 이동 블록에 접근하는 것은 기본 모터 및 전자 설계의 필요성으로 인해 불가능하다.
상업용 사운드 필름의 표준 프레임 속도는 초당 24 프레임이다.[18] 표준 상업용(영화관용 필름) 너비는 35mm이며, 다른 필름 포맷도 많이 존재한다. 표준 화면비는 1.66, 1.85, 2.39(애너모픽)이다. NTSC 비디오(북미와 일본에서 흔함)는 초당 29.97 프레임으로 재생되고, PAL(다른 대부분의 국가에서 흔함)은 25 프레임으로 재생된다. 이 두 텔레비전 및 비디오 시스템은 서로 다른 해상도와 색상 인코딩을 가지고 있다. 필름과 비디오와 관련된 많은 기술적 어려움은 서로 다른 형식 간의 변환과 관련이 있다. 비디오 화면비는 전체 화면의 경우 4:3(1.33)이고 와이드 스크린의 경우 16:9(1.78)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출현으로 위의 메커니즘이 최소화되어 많은 단점이 제거되었고, 시각 및 오디오가 동시에 전자적으로 캡처되면서 동기화는 불필요한 용어가 되었다.[18]
3. 1. 기본 원리

영화 촬영기의 기본 원리는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이 필름에 닿아 영상을 기록하는 것이다. 필름은 렌즈가 달린 애퍼처를 통과하며, 렌즈에 의해 극히 짧은 시간에 노출됨으로써 렌즈 앞에 있는 영상을 기록한다.
영사될 때 움직이는 듯한 착각을 충분히 주기 위해서는 필름에 연속적으로 영상을 노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필름은 회전식 셔터가 열려 있는 동안 애퍼처 앞에서 멈춰 노출되고, 셔터가 닫히면 다음 프레임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간헐적인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연속적인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필름은 일정한 속도로, 그리고 애퍼처 내에서 벗어나지 않고 노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애퍼처 뒤에서 필름을 멈추고, 일정하지만 간헐적인 속도로 필름을 움직이는 스프로킷 휠 등의 정밀한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초창기 영화는 필름을 안정시키는 메커니즘이 불완전하여 울퉁불퉁한 질감이 있었다. 1920년대에 금속 카메라로 바뀌면서 움직이는 부품이 더 정확하게 제작 및 고정되어 기계적인 문제가 많이 해결되었다. 20세기는 이러한 기술이 개선되고 소형화된 시기였다.
3. 2. 사운드 동기화
초기 영화 카메라는 자체적으로 소리를 녹음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정밀 오디오 장치를 사용하여 별도로 소리를 캡처하여 영상과 음향을 동기화해야 했다. (더블 시스템 녹음)[18] 이러한 방식의 예외는 카메라 내부에 광학 또는 자기 녹음 헤드를 갖춘 싱글 시스템 뉴스 필름 카메라였다.[18] 광학 녹음의 경우, 필름에 단일 천공만 있고 다른 천공 세트가 있었을 영역은 제어된 밝은 빛에 노출되어 파형 이미지를 만들었는데, 이 이미지는 나중에 빛의 통과를 조절하여 소리를 재생했다.[18] 자기 녹음의 경우, 단일 천공 16mm 필름의 동일한 영역에 자기 스트라이프가 미리 줄무늬로 처리되어 있었다. 천공과 가장자리 사이에는 작은 밸런스 스트라이프가 있어 필름이 균등하게 감기도록 녹음 스트라이프의 두께를 보정했다.[18]더블 시스템 카메라는 "싱크" 또는 "논싱크"로 분류된다.[18] 싱크 카메라는 크리스탈 제어 모터를 사용하여 필름이 정확한 속도로 카메라를 통과하도록 보장하며, 촬영 중인 장면의 소리 녹음을 방해하지 않도록 조용하게 설계되었다.[18] 반면, 논싱크 또는 "MOS" 카메라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영상에 현장 소리를 맞추려고 하면 "싱크 드리프트"가 발생하며 이들이 내는 소음은 현장 소리 녹음을 쓸모없게 만든다.[18]
더블 시스템 영상을 동기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테이크를 시작하는 클래퍼 보드를 사용하여 편집자가 그림을 소리와 일치시키는 참조점으로 사용하며, 장면과 테이크도 함께 호출되어 편집자가 어떤 그림 테이크가 어떤 소리 테이크와 일치하는지 알 수 있다.[18] 또한 장면 및 테이크 번호와 기타 필수 정보를 필름 자체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18] 아톤 카메라는 타임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레코더와 "잼 싱크"할 수 있고 필름 자체의 가장자리에 디지털 타임코드를 직접 인쇄하는 AatonCode라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다.[18] 그러나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은 필름 재료 제조업체에서 필름 가장자리에 노출하는 고유 식별 번호이다(KeyKode는 코닥 시스템의 이름).[18] 편집 과정에서 이러한 번호는 오디오 타임코드와 함께 기록된다(일반적으로 컴퓨터 편집 시스템으로, 때로는 손으로).[18] 더 나은 대안이 없을 때, 손뼉 치기가 명확하고 올바르게 수행된다면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종종 마이크를 가볍게 두드리는 것이 선호된다(이 제스처를 위해 프레임 안에 있는 경우).[18]
논싱크 카메라의 가장 흔한 용도 중 하나는 "크래시 캠"으로 알려진 위험한 특수 효과에 사용되는 스프링 와인드 카메라이다.[18] 이러한 카메라로 촬영된 장면은 짧게 유지하거나 소리와 수동으로 다시 동기화해야 한다.[18] MOS 카메라는 세컨드 유닛 작업 또는 슬로우 모션이나 고속 촬영과 관련된 모든 작업에도 자주 사용된다.[18]
디지털 카메라의 등장으로 시각 및 오디오가 동시에 전자적으로 캡처되면서 동기화는 불필요한 용어가 되었다.[18]
4. 현대 영화 카메라
현대 영화 카메라는 대부분 전동 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소리의 동시 녹음을 위해 방음 칸막이 안에 태엽식 모터를 사용하는 매우 작은 카메라도 있기는 하다.[17]
카메라 본체는 경량화되어 휴대 가능하며, 붐의 틀이나 기타 제어 가능한 기계 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촬영 및 예산에 적합한 많은 필름 규격이 존재한다.[17]
대부분의 프로용 카메라는 렌즈가 장착된 카메라 본체(바디), 독립적이고 분리 가능한 뷰파인더, 필름을 수용하는 매거진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본체 경량화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영화 촬영을 가능하게 했고, 영화 미학사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1960년대 누벨 바그 감독들과 시네마 베리테, 다이렉트 시네마의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들은 휴대 촬영 기술을 더 자주, 폭넓게 활용하여 진화하는 기술을 자신들의 영화에 활용했다.[17]
4. 1. 디지털 시네마 카메라

디지털 영화 카메라는 1890년대부터 표준으로 사용되어 온 아날로그 필름 대신 전자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며,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획득 형식을 사용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된다.[17]
2000년대 이후 디지털 영화 카메라가 등장하면서 영화 제작 방식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디지털 시네마 기술은 후반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촬영 현장에서 즉각적인 결과 확인을 가능하게 했다.
2010년대 이후 디지털 영화 카메라는 영화 산업에서 주류 카메라가 되었으며, 영화, 텔레비전 제작, 심지어 (덜하지만) 비디오 게임에도 사용되고 있다.
컴퓨터 그래픽스나 영상 합성, 더 나아가 편집 등 영화 제작 프로세스의 대부분이 디지털화되어 있으며, 촬영에서도 업무용 비디오 카메라의 고화질화에 따라 이를 사용한 '''디지털 촬영'''이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시네마 구상을 추진한 조지 루카스가 2002년 공개된 『스타워즈 에피소드 2: 클론의 습격』에서 처음으로 HD24P에 의한 완전 디지털 촬영을 진행했으며, 촬영한 영상을 즉시 확인할 수 있고, 필름 현상이나 디지털 스캔의 수고를 덜 수 있으며, 필름 길이에 따른 연속 촬영 시간의 제한이 해소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독일의 아놀드 & 리히터와 미국의 파나비전(Panavision), 레드 디지털 시네마 카메라 컴퍼니, 일본의 소니가 대표적인 영화용 카메라 제조사이다.
4. 2. 주요 제조사
아놀드 & 리히터(아리플렉스, 무비캠), 파나비전, 레드 디지털 시네마 카메라 컴퍼니, 소니가 대표적인 영화용 카메라 제조사이다.[17]5. 홈 무비 카메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홈 무비 제작이 증가하면서 영화 촬영기 사용이 급증하였다. 전쟁 전 모델에 비해 작고 가벼우며, 비교적 정교하고 가격도 저렴한 아마추어용 영화 카메라들이 보급되었다.[19][20]
기본 모델은 단일 고정 조리개/초점 렌즈를 가질 수 있지만, 고급형은 회전 터렛에 다양한 조리개와 초점 거리를 가진 3~4개의 렌즈를 가질 수 있었다. 고품질 카메라는 교체 가능한 다양한 초점 렌즈 또는 단일 줌 렌즈를 제공할 수 있었다. 뷰파인더는 일반적으로 카메라 본체 내부 또는 상단에 있는 평행 시야였다. 1950년대와 1960년대 대부분의 기간 동안 이러한 카메라는 태엽 모터로 구동되었으며, 품질에 따라 작동 시간이 달랐다.
이러한 카메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필름은 스탠다드 8이었다. 이 필름은 16mm 폭의 필름 스트립으로 촬영 중 절반만 노출되었다. 필름은 제거되어 첫 번째 절반이 노출되면 다른 쪽의 프레임을 노출시키기 위해 카메라에 다시 넣었다. 필름이 현상되면 가운데를 잘라내어 연결했다. 더 작은 형식의 모델과 기계적으로 유사한 16mm 카메라도 홈 무비 제작에 사용되었지만, 주로 준전문가 영화 및 뉴스 영화 제작자의 도구였다.
1960년대에는 새로운 필름 형식인 슈퍼 8이 배터리 구동식 전기 영화 카메라의 출현과 일치했다. 더 큰 프레임 인쇄가 있는 이 새로운 필름은 카세트로 제공되어 교체와 현상을 단순화했다. 새로운 시스템은 음질은 좋지 않지만 소리를 녹음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었다. 카메라 본체와 렌즈는 이전 유형의 금속 대신 플라스틱으로 점점 더 많이 만들어졌다. 대량 생산 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가격도 내려갔고, 이러한 카메라는 매우 인기를 얻었다.
2000년대에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등장하면서 이러한 유형의 형식과 카메라는 아마추어에게 빠르게 대체되었다. 2010년대부터 아마추어들은 점점 더 스마트폰 카메라를 선호하기 시작했다.
참조
[1]
학술지
The Myth of Persistence of Vision Revisited
1993
[2]
서적
Sir Francis Ronalds: Father of the Electric Telegraph
Imperial College Press
[3]
학술지
The Beginnings of Continuous Scientific Recording using Photography: Sir Francis Ronalds' Contribution
http://www.eshph.org[...]
2016-06-02
[4]
웹사이트
The First "Movie Camera"
http://www.sirfranci[...]
2018-09-27
[5]
웹사이트
Picturing Motion in Photography: When Time Stands Still
http://magazine.art2[...]
2019-11-26
[6]
서적
Picturing Time: The Work of Etienne-Jules Marey (1830–1904)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
서적
The Man Who Made Movies: W.K.L. Dickson
John Libbey
[8]
문서
Gosser (1977), pp. 206–207; Dickson (1907), part 3.
[9]
간행물
Polska. Informator
Wydawnictwo Interpress
[10]
서적
Dzieje nauki polskiej
Wydawnictwo Interpress
[11]
간행물
Polska. Zarys encyklopedyczny
PWN
[12]
문서
Wladyslaw Jewsiewicki, Kazimierz Prószynski
Interpress
[13]
문서
Polacy na szlakach techniki
WKL
[14]
웹사이트
Kazimierz Proszynski, Polish inventor
http://www.victorian[...]
Victorian Cinema
2007-01-20
[15]
웹사이트
Arthur Samuel Newman, British camera manufacturer
http://www.victorian[...]
Victorian Cinema
2007-01-20
[16]
웹사이트
ASC Museum: Bell & Howell 2709 - The American Society of Cinematographers
https://theasc.com/a[...]
2022-05-31
[17]
웹사이트
Maybe the war between digital and film isn't a war at all
https://www.avclub.c[...]
2019-01-14
[18]
웹사이트
The Surprisingly Fascinating World of Frame Rates
https://www.premiumb[...]
2022-05-31
[19]
학술지
The Kinamo movie camera, Emanuel Goldberg and Joris Ivens
2008
[20]
문서
"Ica and the Kinamo and Joris Evens. In: Buckland, Michael: Emanuel Goldberg and his Knowledge Machine"
Libraries Unlimited
[21]
문서
2011-11-28
[22]
문서
2011-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