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프레모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프레모프는 러시아 투르겐예프스크 지역에 위치한 도시로, 1637년 러시아 차르국 남부 국경 방어를 위해 요새로 건설되었다. 1777년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1930년대 이후 화학 공업 발달로 공업 도시로 변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점령되기도 했으며, 냉전 시대에는 공군 기지가 건설되었다. 현재는 다양한 산업 시설과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슬로바키아의 립토우스키미쿨라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툴라주 - 야스나야 폴랴나
야스나야 폴랴나는 톨스토이 가문의 영지로, 레프 톨스토이가 대표작을 집필하고 현재는 그의 유품이 보존된 국립 박물관으로 운영되는 러시아의 중요한 문화 유산이자 관광 명소이다. - 툴라주 - 툴라 (러시아)
툴라는 1146년에 처음 언급된 러시아의 도시로, 중세 시대에는 요새였고, 동유럽 최대의 제철 중심지로 발전하여 현재는 툴라주의 행정 중심지이며, 금속, 기계, 철강 산업과 함께 툴라 아코디언, 툴라 프랴니크 과자 등으로 유명하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예프레모프 | |
---|---|
개요 | |
![]() | |
위치 | 53°09′N 38°07′E |
도시 | 예프레모프 |
행정 | |
국가 | 러시아 |
연방 주체 | 툴라 주 |
군 | 예프레몹스키 군 |
도시 지구 | 예프레모프 도시 지구 |
행정 중심지 | 예프레몹스키 군 |
역사 및 지리 | |
설립 | 1637년 |
도시 지위 획득 | 1777년 |
시간대 | 모스크바 시간 (UTC+3) |
면적 | 확인 필요 |
인구 | |
인구 (2010년 기준) | 42,350명 |
인구 (2002년 기준) | 47,256명 |
인구 (1989년 기준) | 56,740명 |
인구 밀도 | 확인 필요 |
지리 | |
위치 | 모스크바에서 남쪽으로 149킬로미터 떨어져 있음 |
강 | 크라시바야 메차 강에 위치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301840–301848, 301859 |
지역 번호 | 확인 필요 |
공식 정보 | |
웹사이트 | 웹사이트 |
2. 역사
예프레모프는 1637년 러시아 차르국의 남쪽 국경을 방어하기 위한 요새로 처음 세워졌으며, 1777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다. 초기에는 농산물 집산지로 번성했으나, 19세기 주요 철도 노선에서 벗어나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874년 지선 철도가 개통되었으나 큰 효과를 보지는 못했다.
소련 시대에 들어 1930년대 이후 중공업화 정책에 따라 화학 공업이 발달하며 공업 도시로 변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11월 23일부터 12월 13일까지 약 3주간 독일군에게 점령당했으나, 적군 남서 전선 부대에 의해 해방되었다. 냉전 시대에는 도시 동쪽에 소련 공군의 예프레모프 공군 기지가 건설되었다. 2022년에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하여 반전 그림을 그린 소녀와 그 아버지가 기소된 마샤 모스칼료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2. 1. 초기 역사
1637년 러시아 차르국의 남쪽 국경을 방어하는 요새로 세워졌다. 이는 "자세치나야 체르타"(Засечная черта|자세치나야 체르타ru, Great Abatis Border)라는 방어선의 재건과 동시에 이루어졌다. 도시 이름은 요새의 초대 사령관으로 추정되는 '예프렘'이라는 인물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17세기 말, 러시아의 국경이 남쪽으로 확장되면서 예프레모프 요새의 군사적 중요성은 점차 줄어들었다.1777년에는 도시 지위를 얻고 군(郡)의 중심지가 되었다. 초기에는 주변 지역 농산물의 집산지로 번성했다. 그러나 1869년 모스크바-투라-오룔-쿠르스크-키예프를 잇는 주요 철도 노선이 개통되면서, 이 노선에서 벗어난 예프레모프는 한때 쇠퇴를 겪었다. 1874년 우즈로바야에서 예프레모프로 이어지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공업 발전의 기회를 얻기도 했지만, 배후 농촌 지역의 생산력이 충분하지 않았고 이들 지역에도 자체 철도가 놓이면서 예프레모프의 경제는 다시 침체되었다.
소련 시대에 들어 1930년대 이후 중공업화 정책에 따라 화학 공업 단지가 들어서면서 공업 도시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독소전) 중에는 1941년 11월 23일, 모스크바로 진격하던 독일 국방군에게 점령당하는 시련을 겪었다. 그러나 약 3주 뒤인 1941년 12월 13일, 예레츠 탈환을 목표로 한 적군 남서 전선 부대에 의해 해방되었다.
2. 2. 18세기 ~ 19세기
1777년 러시아 제국 시대에 예프레모프는 도시 지위를 부여받고 군(郡)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시기 예프레모프는 주변 지역 농산물의 집산지로 번성하였다. 그러나 1869년 모스크바-투라-오룔-쿠르스크-키예프를 잇는 주요 철도 노선이 개통되면서, 이 노선에서 벗어난 예프레모프는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1874년 우즈로바야에서 예프레모프로 이어지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잠시 공업 발전의 기회를 얻기도 했지만, 주변 농촌 지역에도 자체적인 철도가 놓이면서 예프레모프의 경제는 다시 침체를 겪게 되었다.2. 3. 소련 시대
소련 시대에 진행된 중공업화 정책의 영향으로 1930년대 이후 예프레모프에는 화학 공업이 자리 잡기 시작하며 공업 도시로 변모했다.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소전 시기에는 모스크바로 진격하던 독일 국방군에 의해 1941년 11월 23일 잠시 점령되었으나, 같은 해 12월 13일 예레츠 탈환을 목표로 한 적군 남서 전선 부대가 도시를 되찾았다.
이후 냉전 시대에는 도시 동쪽에 소련 공군 기지인 예프레모프 공군 기지가 건설되었다.
2. 4. 현대
예프레모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년 11월 23일부터 12월 13일까지 잠시 독일군에게 점령되었다. 냉전 시기에는 도시 동쪽에 소련 공군의 예프레모프 공군 기지가 건설되었다. 2022년 4월에는 마리아 모스칼료바라는 소녀가 그린 반전 그림으로 인해 아버지와 함께 기소되는 마샤 모스칼료바 사건이 발생하였다.3. 행정 구역 및 지방 자치
행정 구역 틀 내에서, 예프레모프는 예프레모프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며[2], 구 관할 하의 도시로 통합되어 있다.[3][4] 지방 자치체로서, 예프레모프 시는 예프레모프스키 구의 206개의 농촌 지역과 함께 '''예프레모프 도시 구'''로 통합되어 있다.[5][4]
4. 경제
1933년부터 예프레모프 CHP가 가동되어 산업 기업에 전력을 공급하고 도시에 열을 제공하고 있다.
예프레모프는 다변화된 산업 도시이며, 경제의 기반은 주로 화학 공업에 두고 있다. 주요 화학 공장은 다음과 같다.
공장명 | 주요 생산품 |
---|---|
예프레모프 합성 고무 공장 (JSC "EZSK") | 합성 고무 |
예프레모프 생화학 공장 | 사료 첨가제 |
예프레모프 화학 공장 (JSC Shchekinoazot, 예프레모프 지점) | 황산 |
특히 합성 고무 공장은 1931년부터 1933년에 걸쳐 건설되었으며, 이 지역 화학 공업의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화학 공업 단지를 지원하기 위해 야말로-네네츠 자치구의 우렌고이 가스전에서 우크라이나 서단의 우즈호로드로 이어지는 가스 파이프라인의 지선이 예프레모프까지 연결되어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카길의 포도당-당밀 콤비나트 "예프레모프스키"는 러시아 최대의 당밀 생산 시설이었다. 이 공장에서는 당밀 및 시럽, 전분, 글루텐, 식물성 기름, 지방 및 그 대체물, 보리 맥아, 배합 사료, 프리믹스, 가금류 고기 반제품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했다. 2011년 7월, 이 시설은 카길 LLC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화학 공업 외에도 지역 시장을 위한 제빵 공장, 유제품 공장 등 여러 식품 산업 기업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기계 공업, 섬유 공업, 식품 가공업 및 건재업 등도 도시 경제의 일부를 구성한다.
교통 인프라로는 1874년에 개통된 모스크바-우즈로바야-예레츠-발루이키 간 철도가 예프레모프를 통과한다. 또한 도시 동쪽으로는 모스크바에서 보로네시를 거쳐 로스토프나도누로 향하는 M4 간선도로가 지나간다.
5. 교통
예프레모프에는 1874년에 개통된 모스크바–우즈로바야–예레츠–발루이키 간의 철도 노선이 지난다. 또한 도시 동쪽으로는 모스크바에서 보로네시를 거쳐 로스토프나도누로 이어지는 M4 간선도로가 통과한다.
6. 문화
예프레모프 시에는 향토사 박물관이 있다.
7. 자매 도시
8. 관련 인물
참조
[1]
간행물
ru-pop-ref
2010Census
[2]
법률
Law #954-ZTO
[3]
법률
Law #954-ZTO
[4]
간행물
OKATO
[5]
법률
Law #2138-ZTO
[6]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