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옌지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옌지츠는 1901년에 태어나 1996년에 사망한 중국의 물리학자이다. 프랑스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최초의 중국인으로, 중국 현대 물리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대학 교수와 연구소 설립을 주도했으며, 중일 전쟁 중에는 연구소를 쿤밍으로 이전하여 광학 연구 및 생산에 기여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중국과학원 설립에 참여하고, 중국과학기술대학 부총장과 총장을 역임했다. 전국인민대표대회 부위원장과 구삼 학사 중앙명예주석을 지냈으며, 그의 아들들도 과학자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둥양시 출신 - 판젠웨이
    중국의 물리학자 판젠웨이는 양자 얽힘 연구, 세계 최초 양자 위성 묵자호 발사 주도, 양자 컴퓨터 개발 기여 등 양자 정보 과학 분야 발전에 공헌했으며 현재 중국과학기술대학의 물리학 교수와 부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 둥양시 출신 - 장윈촨
    장윈촨은 1946년 저장성에서 태어나 하얼빈 공업 대학을 졸업한 중국의 정치인으로, 중국선박공업총공사 기술자에서 시작해 여러 요직을 거쳐 2018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 프랑스에 거주한 중국인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프랑스에 거주한 중국인 - 바진
    중국의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바진은 5·4운동의 영향으로 아나키즘 사상에 심취하여 사회 비판적인 작품을 발표했으며, 대표작인 '격류 3부작'과 '애정 3부작'을 통해 봉건적 가족 제도와 부조리를 비판했고, 문화대혁명 기간 탄압 이후 복권되어 수상록을 통해 문화대혁명을 반성하고 현대문학관 및 문혁 박물관 건립을 제창하는 등 사회 활동을 펼치며 중국 문학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옌지츠

2. 생애 초반과 교육

옌지츠는 1901년 1월 23일에 저장성 둥양시에서 태어났다.[1] 1923년 난징시에 있던 둥난 대학을 졸업하고,[2] 프랑스 파리 대학교(현재의 신 파리 대학교)로 유학했다. 1925년에는 수학과 물리학 석사 학위를, 1927년에는 자연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은 샤를 파브리의 지도로 작성한 "전기장에서 석영의 광학적 특성의 변형과 변화"에 관한 것이었다.[3] 프랑스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최초의 중국인으로, 프랑스와 중국에서 이름을 알렸다.[4]

3. 경력

옌지츠는 중국으로 돌아와 상하이시에 있던 지난 대학의 이공학과 학장이 되었다.[4] 그는 상하이에 위치한 다퉁 대학과 난징에 위치한 국립 중앙 대학, 둥난 대학에서 교수로 근무했다.[2][3] 1928년 말에는 다시 프랑스 파리로 가서 한동안 마리 퀴리의 연구실에서 근무했고, 1935년에는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와 함께 프랑스 물리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첸싼창(錢三强)은 옌지츠의 추천을 통해 졸리오퀴리로부터 물리학을 배웠고 나중에 중국 최고의 핵물리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다.[5]

1930년, 옌지츠는 다시 중국으로 돌아와 베이핑시(현재의 베이징시)에 있는 국립 베이핑 학원 물리학 연구소의 설립 책임자가 되었다.[3] 1932년에는 리수화(李書華), 예치쑨(葉企孫) 등과 함께 중국물리학회를 공동 설립했으며, 중국 현대 물리학의 창시자로 평가받고 있다.[6]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고 베이핑이 일본 군대의 공격을 받게 되자, 옌지츠는 물리학 연구소를 중국 대륙 남서부에 위치한 쿤밍시로 이전했다.[3] 그는 연구소의 초점을 광학 연구 및 생산으로 옮겼고, 첸린자오(錢臨照)의 도움을 받아 수백 개의 고출력 현미경, 결정 진동자, 군용 거리계, 망원경 및 기타 장비를 제조했다.[3]

옌지츠는 중일 전쟁이 끝난 1946년에 중화민국 정부로부터 항전승리훈장(抗戰勝利勳章)을 받았고, 1948년에는 중앙연구원의 창립 회원이자 중국물리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3][6]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옌지츠는 중국과학원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초대 중국과학원 물리학 연구소장, 중국과학원 부원장, 중국과학원 둥베이 분원장을 역임했다. 또한 중국에서 발간된 주요 과학 저널인 《과학통보》(科學通報)와 《중국과학》(中國科學)의 편집장을 역임했으며, 1955년 중국과학원 창립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옌지츠는 1958년 조직된 중국과학기술대학 창립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1961년 이 대학 부총장으로 임명되었다. 1980년부터 1984년까지 궈모뤄 사망 이후 공석이던 중국과학기술대학 제2대 총장을 역임했으며, 이후 명예 총장을 역임했다.[6]

옌지츠는 1954년부터 1993년까지 제1·2·3·4·5·6·7기 전국인민대표대회 대의원을 역임했으며,[2] 1983년부터 10년 동안 제6·7기 전국인민대표대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또한 구삼 학사 중앙명예주석을 역임했다.[6]

3. 1. 중화민국 시기

옌지츠는 중국으로 돌아와 지난 대학(당시 상하이시에 위치했음)의 이공학과 학장이 되었다.[4] 그는 상하이에 위치한 다퉁 대학과 난징에 위치한 국립 중앙 대학, 둥난 대학에서 교수로 근무했다.[2][3] 1928년 말에는 다시 프랑스 파리로 가서 한동안 마리 퀴리의 연구실에서 근무했다. 1935년에는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와 함께 프랑스 물리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첸싼창(錢三强)은 옌지츠의 추천을 통해 졸리오퀴리로부터 물리학을 배웠고 나중에 중국 최고의 핵물리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다.[5]

1930년에 옌지츠는 다시 중국으로 돌아와 얼마 지나지 않아 베이핑시(현재의 베이징시)에 있는 국립 베이핑 학원 물리학 연구소의 설립 책임자가 되었다.[3] 1932년에는 리수화(李書華), 예치쑨(葉企孫) 등과 함께 중국물리학회를 공동 설립했으며, 중국 현대 물리학의 창시자로 평가받고 있다.[6] 옌지츠의 과학 연구 대부분은 베이핑 시대에 진행되었으며, 중국 대륙에서 일어난 전쟁의 여파로 연구 경력이 중단되기 전까지 국제 과학 저널에 5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1][6]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고 베이핑이 일본 군대의 공격을 받게 되자, 옌지츠는 물리학 연구소를 중국 대륙 남서부에 위치한 쿤밍시로 이전하는 고된 작업을 조직했다.[3] 이 과정에서 장비, 서적, 문서의 절반 이상이 사라졌다. 전쟁 수행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군사 통신과 의료 기기에 광학 장비가 많이 필요했기 때문에 옌지츠는 연구소의 초점을 광학 연구 및 생산으로 옮겼다. 그의 지휘 아래 첸린자오(錢臨照)의 도움을 받아 수백 개의 고출력 현미경, 결정 진동자, 군용 거리계, 망원경 및 기타 장비를 제조했다.[3]

옌지츠는 중일 전쟁이 끝난 이후인 1946년에 중화민국 정부로부터 항전승리훈장(抗戰勝利勳章)을 받았다.[3] 1948년에는 중앙연구원의 창립 회원이자 중국물리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3][6]

3. 2.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옌지츠는 중국과학원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초대 중국과학원 물리학 연구소장, 중국과학원 부원장, 중국과학원 둥베이 분원장을 역임했다. 또한 중국에서 발간된 주요 과학 저널인 《과학통보》(科學通報)와 《중국과학》(中國科學)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1955년 중국과학원 창립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옌지츠는 1958년 조직된 중국과학기술대학 창립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1961년 이 대학 부총장으로 임명되었다. 1980년부터 1984년까지 궈모뤄 사망 이후 공석이던 중국과학기술대학 제2대 총장을 역임했으며, 이후 명예 총장을 역임했다.[6]

옌지츠는 1954년부터 1993년까지 제1·2·3·4·5·6·7기 전국인민대표대회 대의원을 역임했으며,[2] 1983년부터 10년 동안 제6·7기 전국인민대표대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구삼 학사 중앙명예주석을 역임했다.[6]

4. 가족

옌지츠는 교육자인 장허링(張鶴齡)의 딸인 장쭝잉(张宗英)과 결혼했다.[7] 장쭝잉은 둥난 대학 최초의 여학생 가운데 한 명이었다.[4] 두 사람은 1923년에 약혼하고 1927년에 결혼했다.[7]

옌지츠와 장쭝잉 부부는 7명의 아들과 1명의 딸을 낳았다. 셋째 아들, 일곱째 딸, 여덟째 아들은 유아기에 사망했고 살아남은 다섯 아들은 모두 학자가 되었다.[8] 옌 가족은 "작은 과학원"이라고 부르기도 했다.[5]

옌지츠와 장쭝잉 부부의 자녀[5][7][8]
이름설명
옌유광(嚴又光)중국 최초의 디지털 컴퓨터의 메인 디자이너
옌솽광(嚴雙光)문화대혁명 당시에 구타를 당해 사망한 항공기 설계자
셋째 아들유아기에 사망
옌쓰광(嚴四光)중국사회과학원의 유명한 연구원
옌우광(嚴武光)중국과학원 고등에너지 물리학 연구소의 교수
옌루광(嚴陸光)중국과학원 원사이자 닝보 대학의 전직 총장
일곱째 딸유아기에 사망
여덟째 아들유아기에 사망


5. 사망과 유산

옌지츠는 1996년 11월 2일 베이징시에서 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1998년 중국과학기술대학은 설립 40주년을 맞아 서쪽 캠퍼스에 그의 동상을 세웠다.[6] 2012년 중국 과학자들은 그를 추모하기 위해 새로 발견된 소행성을 10611 옌지츠(10611 Yanjici)로 명명했다.[9]

참조

[1] 웹인용 严济慈与中国科学界 http://www.cas.cn/zt[...] 2019-02-02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
[3] 서적 History of Modern Optics and Optoelectronics Development in China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14
[4] 서적 Chiang Yee: The Silent Traveller from the East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10
[5] 웹인용 严济慈 https://arch.ustc.ed[...] 2019-02-02
[6] 웹인용 历任校长-严济慈 https://arch.ustc.ed[...] 2019-02-02
[7] 웹인용 严济慈的儿女:个个出身高校 投身科研、教育事业 http://www.todayonhi[...] 2019-02-02
[8] 웹인용 严济慈之子严陆光院士回忆 父亲的"严"与"慈" http://www.tuanjieba[...] 2019-02-02
[9] 웹인용 Minor Planet Named after Renowned Chinese Scientist http://english.cas.c[...] 2019-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