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다라이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다라이아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의 오더레이 산에서 유래된 이름의 갑각류이다. 오다라이아는 몸길이가 최대 15cm이며, 몸의 대부분은 이매갑각으로 덮여 있고, 머리 앞부분에는 큰 눈 한 쌍이 있다. 몸통은 원통 모양이며, 45쌍 이상의 이분지와 3개의 지느러미가 꼬리에 존재한다. 꼬리지느러미는 배영 시 몸을 안정시키는 데 사용된다. 오다라이아는 여과섭식자 또는 포식자로 추정되며, 해류에서 먹이를 잡아먹었을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메노카리나목 - 네레오카리스
    네레오카리스는 캄브리아기 해양에 살았던 히메노카리스목의 화석 절지동물로, 납작한 머리가슴 갑각과 많은 마디로 이루어진 가슴, 삼각형 꼬리 지느러미를 가지며, 히메노카리나목의 초기 종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단계통군 여부에 대한 이견이 있다.
  • 히메노카리나목 - 왑티아
    왑티아는 캄브리아기 시대에 서식했던 새우와 비슷한 절지동물로, 깃털 모양 부속지로 헤엄치고 육식 또는 부식성 식성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Hymenocarina류로 분류된다.
  • 191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오파비니아
    오파비니아는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멸종된 해양 절지동물로, 5개의 눈, 코, 지느러미를 가진 몸통과 꼬리를 가지며, 절지동물 줄기군으로 분류되어 캄브리아기 대폭발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 191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사우롤로푸스
    사우롤로푸스는 하드로사우루스과에 속하는 초식 공룡의 한 속으로, 머리 뒤쪽으로 솟아오른 볏이 특징이며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서 발견되었고, 다양한 식물을 섭취하며 집단 생활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 캐나다의 화석 - 틱타알릭
    틱타알릭은 3억 7500만 년 전 육기어류로, 어류와 네발동물 특징을 지닌 "사지형어류"이며, 팔처럼 생긴 지느러미와 자유로운 목을 통해 육상 생활 진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화석 자료이다.
  • 캐나다의 화석 - 다스플레토사우루스
    다스플레토사우루스는 후기 백악기 캄파니아절 북아메리카 서부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으로, 튼튼한 두개골과 강력한 턱을 가진 대형 포식자이며, 고르고사우루스와 생태적 지위를 놓고 경쟁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현재까지 세 종이 명명되어 진화적 관계와 분류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오다라이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화석표본
화석표본
위아래로 헤엄쳤다는 가정 하에 그려진 복원도
위아래로 헤엄쳤다는 가정 하에 그려진 복원도
학명Odaraia alata 오다라이아 알라타
명명자Walcott, 1912
이명Eurysaces pielus Simonetta and Delle Cave, 1975
생물 분류
진핵생물역
동물계
절지동물문
미분류 강대악류
†히메노카리나목
†오다라이아과 Simonetta & Delle Cave, 1975
†오다라이아속 Walcott, 1912
모식종odaraia alata
화석 정보

2. 학명의 어원

오다라이아의 속명은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의 오더레이 산(Odaray Mountain)에서 유래했으며, 종소명 알라타는 라틴어로 '날개'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파생되었다.[4]

2. 1. 속명

속명 '''오다라이아'''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에 자리한 오더레이 산(Odaray Mountain)에서 유래하였다. ’오더레이‘는 본래 캐나다 원주민 중 하나인 스토니 나코다족(Stoney Nakoda)의 언어로 ’폭포가 많다‘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4]

2. 2. 종소명

종소명 '''알라타'''는 ala|알라lat에서 유래한 단어로, 이는 라틴어로 '날개'를 의미한다. 오다라이아의 날개 모양 꼬리마디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4]

3. 특징

오다라이아 알라타(Odaraia alata)의 구조도


오다라이아는 전체 몸길이가 약 15cm에 달하는 절지동물이다.[3] 몸의 대부분은 두 장의 껍질로 이루어진 이매갑각(bivalved carapace)에 덮여 있으며, 머리 끝부분과 복부 일부만이 갑각 밖으로 나와 있다.[3] 머리 앞부분에는 커다란 한 쌍이 있으며,[5][6] 원통 모양의 몸통에는 최소 45쌍 이상의 다리가 달려 있다. 꼬리에는 세 개의 지느러미가 있어 배영을 할 때 몸을 안정시키는 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5]

3. 1. 눈

오다라이아의 머리 앞부분에는 커다란 한 쌍이 있다.[5] 이 두 개의 큰 눈 사이에는 작은 눈 두 개가 추가로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6]

3. 2. 몸통 및 부속지



갑각은 길이가 2.5cm에서 8cm에 이르며, 몸 전체 길이는 약 15cm에 달한다.[3] 몸의 대부분은 두 장의 껍질로 이루어진 이매갑각(bivalved carapace)에 덮여 있으며, 머리 끝부분과 복부 일부만이 갑각 밖으로 드러나 있다.[3] 몸 앞쪽에는 커다란 눈 한 쌍이 자리 잡고 있으며,[5] 이 두 눈 사이에는 작은 눈 두 개가 추가로 있거나 없을 수도 있다.[6] 몸통은 원통형이며, 최소 45쌍 이상의 이분지(biramous appendages, 두 갈래로 나뉜 다리)가 달려 있다. 꼬리 부분에는 세 개의 지느러미(수평 방향 2개, 수직 방향 1개)가 있는데, 이 꼬리지느러미는 오다라이아가 등을 아래로 향하고 헤엄칠 때(배영) 몸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

3. 3. 꼬리

꼬리에는 지느러미 세 개가 있으며, 두 개는 수평엽, 나머지 한 개는 수직엽이다. 이 꼬리지느러미는 오다라이아가 배영을 할 때 몸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5]

4. 생태

오다라이아는 활발하게 헤엄치며 먹이를 찾는 여과섭식자 또는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류 속에서 다리를 이용해 먹이를 잡거나 걸러낸 뒤 입으로 가져가 섭취했을 것으로 보인다.[5][7]

참조

[1] 논문 Burgess Shale fossils illustrate of the orugun of the mandibulate body plan Https://www.nature.c[...]
[2] 논문 The Cambrian ''Odaraia alata'' and the colonization of nektonic suspension-feeding niches by early mandibulates httpps://royalsociet[...] 2024-08
[3] 논문 The arthropod ''Odaraia alata'' Walcott,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British Columbia https://royalsociety[...] 1981-04-27
[4] 웹인용 Odaraia - fossil Gallery - The Burgess Shale https://burgess-shal[...] 2011-06-10
[5] 논문 The arthropod ''Odaraia alata'' Walcott,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British Columbia
[6] 논문 Head structure in upper stem-group euarthropods
[7] 웹인용 Odaraia alata https://burgess-shal[...] Royal Ontario Muse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