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로치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로치어는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2010년 조사에서 8명의 화자만이 남아 소멸 위기에 놓여있다. 오로치어는 코피, 오로치 하디, 툼닌의 세 방언으로 나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의 조화로 이루어져 있으며, 혀뿌리 후퇴(RTR)에 따른 모음 조화 체계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문화 - 에벤어
    에벤어는 동시베리아 에벤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키릴 문자로 표기되며, 모음 조화 규칙, 주어-목적어-동사 어순, 13개 격의 명사 굴절 등의 특징을 가진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문화 - 에벤크어
    에벤크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중국, 몽골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뉘며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러시아와 중국에서는 각각 키릴 문자와 몽골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 퉁구스어족 - 여진어
    여진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만주어와 가까운 관계를 가진 언어로, 금나라 시대에 여진 문자가 창제되어 사용되었고 명나라 시대에는 네 가지 방언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현대 언어학자들은 명나라 시대의 사전과 금사의 「금국어해」를 통해 연구하고 있다.
  • 퉁구스어족 - 만주어
    만주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교착어로, 과거 여진어와 관련이 깊었으며 청나라 황실의 주요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한화로 인해 사용자가 감소하여 현재는 소수 지역에서만 사용되고 부흥 운동이 진행 중인 언어이다.
오로치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오로치어
사용 국가러시아
사용 지역러시아 극동
민족527명 (오로치족) (2021년 인구 조사)
사용자 수43명; 28명 (일상생활에서 사용한다고 응답) (2021년 인구 조사)
다른 사용자 수119명 (2021년 인구 조사)
언어학적 분류
어족알타이어족
어파퉁구스어족
어군북부 퉁구스어군
하위 어군우데게어군
문자 체계
문자키릴 문자
언어 코드
ISO 639-3oac
Glottologoroc1248
언어 상태
UNESCO멸종 위기 언어 (심각한 위기)
방언
방언코피
오로치 하디
툼닌
참고

2. 언어 현황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오로치어 사용자가 257명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이름이 비슷한 오로크어와 혼동된 결과로 보인다.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8명으로 조사되었다.[3] 1990년대 후반, 연구자들은 가장 나이가 많은 오로치족조차 몇 마디 구절밖에 말하지 못했다고 전한다. 2008년 하바롭스크 지방 원주민 협회는 오로치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마지막 화자가 사망했다고 발표했다.[3] 2010년, 이 협회는 오로치족 노인 회의를 열었으나, 이들은 20여 개의 단어만 기억할 뿐 10까지 셀 수도 없었다.[3]

2. 1. 사용자 수

2002년 인구 조사에서는 오로치어 사용자가 257명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이름이 비슷한 오로크어와 혼동된 결과로 보인다.[3]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8명으로 조사되었다.[3] 그러나 1990년대 후반, 연구자들은 가장 나이가 많은 오로치족조차 몇 마디 구절밖에 말하지 못했다고 전한다.[3] 2008년 하바롭스크 지방 원주민 협회는 오로치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마지막 화자가 사망했다고 발표했다.[3] 2010년, 이 협회는 오로치족 노인 회의를 열었으나, 이들은 20여 개의 단어만 기억할 뿐 10까지 셀 수도 없었다.[3]

2. 2. 소멸 위기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오로치어 사용자가 257명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이름이 비슷한 오로크어와 혼동된 결과로 보인다.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오로치어 화자가 8명으로 조사되었다.[3] 그러나 1990년대 후반, 연구자들은 가장 나이가 많은 오로치족 사람들조차 오로치어로 몇 마디 구절밖에 말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했다.[3] 2008년, 하바롭스크 지방 원주민 협회는 오로치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는 마지막 화자가 사망했다고 발표했다.[3] 2010년, 이 협회는 오로치족 노인 회의를 열었으나, 이들은 모두 합쳐 20단어 정도의 오로치어 단어만 기억했고, 10까지 셀 수도 없었다.[3]

3. 방언

오로치어의 방언은 다음과 같다.[6]

4. 음운

오로치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으로 나뉜다.[16][17] 오로치어는 후퇴 혀뿌리(RTR) 유무에 따른 모음 조화 체계를 가지고 있다.[4]

(자음과 모음에 관한 내용은 이미 하위 섹션에서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4. 1. 자음

오로치어의 자음[17]
colspan="2" |
비음mnɲŋ
파열음무성음ptk
유성음bddʒ~ʒɡ
마찰음무성음sx
유성음vɣ
설전음r
설측음l
접근음j



오로치어의 자음은 위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17] 조음 위치에 따라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으로 나눌 수 있으며, 조음 방법에 따라 비음, 파열음, 마찰음, 설전음, 설측음, 접근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나뉜다.

4. 2. 모음

오로치어 모음[8]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이und iː|이ːundu|우und uː|우ːund
ʊ|우und ʊː|우ːund
중모음ə|어und əː|어ːundɔ|오und ɔː|오ːund
저모음æː|애ːunda|아und aː|아ːund



오로치어는 후퇴 혀뿌리(RTR)의 유무에 따른 모음 조화 체계를 가지고 있다.[4]

중립–RTR+RTR
i|이und iː|이ːundu|우und uː|우ːundʊ|우und ʊː|우ːund
ɔ|오und ɔː|오ːund
æː|애ːundə|어und əː|어ːunda|아und aː|아ːund


5. 표기 체계

오로치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문자문자
А аН н
Б бӇ ӈ
В вО о
Г гП п
Д дР р
Е еС с
Ё ёТ т
Ж жУ у
З зФ ф
И иХ х
Й йЦ ц
К кЧ ч
Л лШ ш
М мЩ щ
Ъ ъ
Ы ы
Ь ь
Э э
Ю ю
Я я


참조

[1] 간행물 Ethnologue18
[2] 웹사이트 'Том 5.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и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Таблица 7. Население наиболее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по родному языку' https://rosstat.gov.[...]
[3] 서적 Язык и общество. Энциклопедия https://iling-ran.ru[...] Азбуковник
[4] 논문 Oroch Vowel Harmony 2014-01
[5] 웹사이트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насчитала в России шесть вымерших и заснувших языков https://www.rbc.ru/s[...] 2024-11-12
[6] 서적 Tungusic languages: past and present Language Science Press 2022
[7] 문서 Avrorin (2001)
[8] 문서 Avrorin & Boldyrev (2001)
[9] 웹사이트 Перепись-2010 http://www.gks.ru/fr[...]
[10] 서적 Орочский язык. — Язык и общество. Энциклопедия. "Азбуковник"
[11] 간행물 Серия Языки малочисленных народов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 Электронное фонетическое справочное пособие по орочскому языку -- ОРОЧИ КЭСЭНИ -- По заказу министерства природных ресурсов Хабаровского Края ООО «Портал Хабаровск» 2010
[12] 서적 Орочский язык. — Язык и общество. Энциклопедия. "Азбуковник"
[13] 웹사이트 Перепись-2010 http://www.gks.ru/fr[...]
[14] 서적 Орочский язык. — Язык и общество. Энциклопедия. "Азбуковник"
[15] 서적 Орочский язык. — Язык и общество. Энциклопедия. "Азбуковник"
[16] 문서 Avrorin & Boldyrev (2001)
[17] 문서 Avrorin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