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벤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벤크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만주어와의 유사성이 18세기 후반에 처음 언급되었다. 퉁구스어족 내의 분류는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북부와 남부 하위 어족으로 나뉘기도 한다. 에벤크어는 러시아와 중국에서 다양한 방언으로 사용되며, 음운 체계는 러시아와 중국 방언 간에 차이를 보인다. 에벤크어는 교착어이며, 13개의 격과 복잡한 문법 구조를 갖는다. 현재 에벤크어는 다중 언어 사용 환경에서 사용되며, 러시아어, 부랴트어, 야쿠트어 등의 영향을 받았다. 러시아와 중국에 에벤키족이 존재하지만, 에벤크어 사용 인구는 감소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르쿠츠크주의 문화 - 토파어
토파어는 러시아 이르쿠츠크주 토파인들이 사용하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투바어와 관련이 깊으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소멸 위기에 처한 교착어이다. - 헤이룽장성의 문화 - 나나이어
나나이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과 중국 헤이룽장성의 우수리강 주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사용자 감소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고, 다양한 문자 체계와 어휘의 영향을 받았다. - 아무르주의 문화 - 캬흐타어
캬흐타어는 러시아와 중국 간 교역에서 발생한 피진으로, 러시아어, 중국어, 몽골어의 영향을 받아 러시아어 어휘를 주로 사용하면서도 중국어에서 영감을 받은 합성어를 포함하고, 제한적인 형태 범주와 독특한 음운 및 문법적 특징을 보이는 문화 교류와 경제적 필요를 반영하는 언어이다.
에벤크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에벤키어 |
고유 이름 | Эвэды̄ турэ̄н (러시아 방언) Evedȳ turēn (라틴 문자) Ewengki Gisong (중국 방언) (몽골 문자) |
사용 국가 | 중국 러시아 |
사용 지역 | 중국 내몽골 자치구 및 헤이룽장성; 러시아 아시아 지역 대부분 |
사용자 | 에벤키족 |
언어 사용자 수 | 약 15,800명 (2007–2010년) |
언어 계통 | 알타이어족 퉁구스어족 북부 퉁구스어파 에벤키어군 |
문자 | 키릴 문자 라틴 문자 몽골 문자 (실험적으로 사용) |
언어별 상태 | 심각하게 위험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 |
ISO 639-3 | evn |
Glottolog | even1259 |
Glottopedia | Evenki (de) |
기타 정보 | |
관련 항목 | 에벤어 |
주의 | 이전에는 솔론어 또는 수오룬어와 혼동되기도 함. |
참고 | |
추가 정보 | 에벤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퉁구스"라고도 불림. "퉁구스"는 중국어 외래어일 수 있음. |
2. 언어 분류
에벤크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퉁구스어족 내에서 에벤크어의 정확한 위치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일부 학자들은 퉁구스어족을 만주어를 위한 하위 어족과 에벤크어를 포함한 나머지 퉁구스어를 위한 하위 어족, 이렇게 두 개의 하위 어족으로 나눈다.[7]
SIL International의 Ethnologue에서는 퉁구스어를 북부와 남부 두 개의 하위 어족으로 분류한다. 이 분류에 따르면 에벤크어는 에벤어, 네기달어와 함께 북부 하위 어족에 속한다. 남부 어족은 다시 서남부(만주어 포함)와 동남부(나나이어 등)로 나뉜다.[8]
다른 학자들은 퉁구스어족을 세 개 이상의 하위 어족으로 나누거나, 만주어를 한쪽 끝으로 하고 에벤크어를 다른 쪽 끝으로 하는 연속체로 보기도 한다.[7]
2. 1. 계통
에벤키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한다. 퉁구스어족에서 가장 잘 기록된 언어인 만주어와의 유사성은 수백 년 전 처음으로 식물학자 P. S. 팔라스가 18세기 후반에 언급했으며, 그 후 19세기 중반에 M. A. 카스트렌에 의해 더 공식적인 언어학적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퉁구스학 분야의 "선구적인 논문"으로 여겨진다.[6] 퉁구스어족의 정확한 내부 구조는 약간의 논쟁이 있는 문제이다. 일부 학자들은 만주어를 위한 하위 어족과 에벤키어를 포함한 다른 모든 퉁구스어를 위한 하위 어족, 이렇게 두 개의 하위 어족을 제안한다.[7] SIL International의 Ethnologue는 퉁구스어를 북부와 남부의 두 개 하위 어족으로 나눈다. 에벤키어는 에벤어, 네기달어와 함께 북부 하위 어족에 속하고, 남부 어족은 다시 서남부(만주어 포함)와 동남부(나나이어 등)로 세분된다.[8] 다른 학자들은 세 개 이상의 하위 어족을 제안하거나, 극단적인 경우 만주어를 한쪽 끝으로 하고 에벤키어를 다른 쪽 끝으로 하는 연속체를 제안한다.[7]2. 2. 방언
불라토바는 러시아 내에서 14개의 방언과 50개의 하위 방언을 열거했으며, 이들은 예니세이강에서 사할린섬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고 밝혔다. 이 방언들은 주로 음운론에 따라 세 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9]북부 (유기음) | 남부 (치찰음) | 동부 (치찰음-유기음) |
---|---|---|
에벤키어는 일반적으로 CV 음절을 가지지만 다른 구조도 가능하다.[10] 불라토바와 그르노블은 에벤키어에 11개의 가능한 모음 음소가 있다고 언급한다. 고전적인 5개의 모음 체계에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별이 있으며(eru 제외) 장모음과 단모음 əru가 추가된다.[11] 반면 네잘코프는 13개의 모음 음소가 있다고 주장한다.[12]
중국의 에벤키족도 여러 방언을 사용한다. Ethnologue에 따르면, 히후 또는 호이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되며, 하일라얼, 아올루구야 (올구야), 천바얼후 (구 바르구), 머리지 (메르겔) 방언도 존재한다. Ethnologue는 이 방언들이 러시아의 방언들과 상당히 다르다고 보고한다.
일부 연구는 개별 러시아 방언에 초점을 맞추기도 했다.
3. 음운
3. 1. 자음
에벤키어는 비교적 적은 자음 목록을 가지고 있으며, 18개의 자음이 있다(네잘코프 1997에 따르면 21개). 활음이나 반모음은 없다.[11] 다음은 에벤키어 자음 음소 표이며, Nedjalkov (1997)에 의해 확인된 음소는 이탤릭체로 표시되어 있다.[13][14]
음소 ()는 단어의 마지막에 나타나는 변이음 를 가지며, 모음 사이에서는 로 발음된다. 마찬가지로, 일부 화자는 모음 사이의 를 로 발음한다. 일부 방언의 화자는 또한 와 를 번갈아 사용한다.[13]
중국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제시한 자음 목록은 대체로 유사하다.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Chaoke와 Kesingge 등은 대신 를 사용하고 , , 또는 가 없으며, 또한 Kesingge 등은 대신 를 사용한다.[15][16]
3. 2. 모음
에벤키어는 일반적으로 CV 음절을 가지지만 다른 구조도 가능하다.[10] 불라토바와 그르노블은 에벤키어에 11개의 가능한 모음 음소가 있다고 언급한다. 고전적인 5개의 모음 체계에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별이 있으며(eru 제외) 장모음과 단모음 əru가 추가된다.[11] 반면 네잘코프는 13개의 모음 음소가 있다고 주장한다.[12]다음은 러시아 방언에서 발견되는 에벤키어 모음의 차트이며, Nedjalkov(1997)이 식별한 모음은 이탤릭체로 표시되어 있다.[13][14]
전설 | 후설 | ||
---|---|---|---|
비원순 | 비원순 | 원순 | |
고모음 | iru, iːru ɪru, ɪːru | ɯru | uru, uːru ʊru, ʊːru |
중모음 | eːru jeru, jeːru | əru, əːru ɛru, ɛːru | oru, oːru |
저모음 | aru, aːru |
그러나, 에벤키어의 중국 방언의 모음 체계는 현저하게 다르다.[17]
전설 | 중설 | 후설 | ||
---|---|---|---|---|
비원순 | 원순 | 비원순 | 원순 | |
고모음 | iru, iːru | ʉru, ʉːru | uru, uːru | |
중모음 | eru, eːru | ɵru, ɵːru | əru, əːru | oru, oːru |
저모음 | aru, aːru |
대부분의 퉁구스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에벤키어는 전후설 모음 조화를 사용하는데, 접미사 모음은 어근의 모음과 일치한다. 그러나 일부 모음 – i, iː, u, uːru – 과 특정 접미사는 더 이상 모음 조화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11] 모음 조화 규칙에 대한 지식은 사라져가고 있는데, 이는 모음 조화가 초보 화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한 주제이며, 언어가 심각하게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많은 화자들이 다중 언어 구사자이기 때문이다.[11]
3. 3. 음절 구조
에벤크어의 가능한 음절 구조는 V, VC, VCC, CV, CVC, CVCC를 포함한다.[18] 러시아 방언과는 대조적으로 중국의 방언은 단어 첫머리에 /k/, /ŋ/, 또는 /r/을 가지고 있지 않다.[15]4. 문자
에벤크어는 사용하는 지역에 따라 다른 문자로 표기된다. 러시아에서는 키릴 문자를, 중국에서는 몽골 문자나 로마자를 사용한다.[30] 키릴 문자를 사용할 때는 ng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Ӈ 문자를 추가한다.[25] /dʒ/ 발음은 д와 е, ё, и, ю, я를 조합하여 나타내는데, /di/와 /dʒi/를 구별하기 위해 /di/는 ды, /dʒi/는 ди로 쓴다.[28] 장음은 모음 위에 장음 부호(¯)를 붙여 나타낸다.[29]
1930년대 소련에서는 에벤크어를 라틴 문자로 표기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24] 현재 러시아에서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25]
4. 1. 러시아
러시아에서 에벤크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키릴 문자 표기에는 ng 발음을 나타내는 Ӈ 문자가 추가된다.[25] /dʒ/ 발음에 해당하는 문자가 없어 д + е, ё, и, ю, я 조합으로 /dʒ/ 발음을 나타낸다. /di/와 /dʒi/ 발음을 구별하기 위해 /di/는 ды, /dʒi/는 ди로 표기하고, /ti/는 ты로 표기한다.[28] 장음은 모음 위에 장음 부호(¯)를 붙여 표기한다.[29]에벤키 문자 체계는 1920년대에 시작되었다. 1928년 5월, 연구자 글라피라 M. 바실레비치는 레닌그라드에서 공부하는 에벤키 학생들을 위해 "퉁구스-방학자들을 위한 메모"를 준비했다. 이는 유리에 복사된 작은 교과서였다.[19] 1년 후, 그녀는 "퉁구스어로 읽기 위한 첫 번째 책"()을 편찬했다.[20]
1930년, 소련 북부의 여러 민족을 위한 문어 창조가 결정되었고, 라틴 문자가 그 기반으로 선택되었다. 1931년 5월, 에벤키 로마자 알파벳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고, 1932년부터 이를 기반으로 한 정기적인 출판이 시작되었다.[22] 문학 언어의 기초는 넵스키 방언(이르쿠츠크 지역 북부)을 기반으로 했다.[23]
책 출판과 학교 교육에 사용된 공식적인 라틴 문자화된 에벤키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24]
А а | В в | C c | D d | Ʒ ʒ | E e | Ə ə | Ə̄ ə̄ | F f |
---|---|---|---|---|---|---|---|---|
G g | H h | I i | J j | K k | L l | M m | N n | Ņ ņ |
Ŋ ŋ | O o | P p | R r | S s | T t | U u | W w | Z z |
오늘날 러시아에서 에벤크어의 공식 표기 체계는 키릴 문자이다.[25]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Ӈ ӈ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만주 문자는 "요나라, 금나라, 원나라 국어의 황실 역사"에서 에벤키어(솔론어) 단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에벤키족은 1931년 라틴 문자 도입 전까지 자체적인 문자가 없었으며, 이후 1936~7년에 키릴 문자로 변경되었다.[38] 문어는 처음에는 남부 하위 그룹의 네파 방언을 기반으로 했지만, 1950년대에는 스토니 퉁구스카 방언을 기반으로 재설계되었다.[3] 8학년까지의 교과서가 출판되었지만, "문어 에벤키어는 아직 방언을 가로지르는 규범의 지위를 얻지 못했으며, 일부 방언 사용자는 매우 어려움을 느끼며 이해한다."[38] 1930년대 이후, "민속, 소설, 시, 러시아어 및 기타 언어에서 번역된 수많은 작품", 교과서 및 사전이 모두 에벤키어로 작성되었다.[41]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투라 (구 에벤크 자치구 행정 중심지)에서는 현지 신문에 에벤키어로 작성된 주간 부록이 포함되어 있다.[40]
4. 2. 중국
현재 중국의 에벤키어는 로마자로 표기되며, 실험적으로 몽골 문자로도 표기된다.[30] 1980년대에 에벤키 학자들은 몽골 문자와 병음과 유사한 로마자 표기를 사용하여 자신들의 언어에 대한 표준 표기 체계를 만들려고 시도했다.[30] 그들은 에벤키어 단어를 IPA, 병음과 유사한 표기법, 몽골 문자로 표기하고, IPA와 몽골 문자(그리고 중국식 숫자 악보)로 된 민요 모음집과 함께 에벤키-몽골-중국어 사전을 출판했다.[30]중국 에벤키 학자들이 개발한 표기 체계는 에벤키어와 몽골어 음운론의 차이를 반영한다.[31] 이 체계는 와 (일반적으로 몽골어에서 ''q''와 ''ɣ''로 로마자 표기됨)을 모두 사용한다.[31] 이 체계는 대부분의 장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몽골어와 라틴 문자 모두에서 이중 문자를 사용한다. 그러나 의 경우 ''oo'' 대신 ''ao''가 쓰인다.[31] 같은 학자들의 노래 모음집은 아래 표와 몇 가지 표기상의 차이점이 있는데, 특히 장모음은 때때로 단순히 이중으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무성 (''ɣ'')가 끼어 있어 몽골어의 표기법에 영향을 받은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32] 중간 위치와 최종 위치에서 ''t''는 만주 문자 형태 로 쓰인다.[32] ''Evenki'' 자체는 몽골어 표기법에서 일반적으로 문자 조합 ''ŋk''를 금지함에도 불구하고 로 표기된다.
a /a/ | e /ə/ | y*, i /i/ | o /ʊ/ | ō /ɔ/ | u /o/ | u /u/ | * e /ə/ |
---|---|---|---|---|---|---|---|
n /n/ | ng /ŋ/ | b /b/ | p /p/ | g /ɡ/ | ḡ /ɣ/ | m /m/ | l /l/ |
s /s/ | x, sh /ʂ/ | t /t/ | d /d/ | q, ch /tʂ/ | j, zh /dʐ/ | y /j/ | r /r/ |
w /w/ | f /f/ | k /k/ | h /h/ | * 단어 시작에만 사용됨 |
A a | B b | C c | D d | E e | Ē ē | F f | G g | Ḡ ḡ |
---|---|---|---|---|---|---|---|---|
H h | I i | J j | K k | L l | M m | N n | Ng ng | |
Ō ō | O o | P p | Q q | R r | S s | T t | ||
U u | V v | W w | X x | Y y | Z z |
중국의 에벤키어는 자체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목축 지역에서는 몽골 문자로 표기하고,[50] 농경 지역이나 삼림 지역에서는 표기 방법이 없으며 한문을 사용한다. 언어 연구 자료 및 교과서에서는 국제 음성 기호나 중국이 정한 로마자 표기법을 채택했다.
5. 문법
에벤키어는 교착어적 성격이 강하며, 주로 접미사를 통해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각 형태소는 하나의 의미만을 가지며 쉽게 구별할 수 있다.[33]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지는 후행어 언어이다. 주어는 주격, 목적어는 대격으로 표시되며, 간접 목적어는 직접 목적어보다 앞에 위치한다.
에벤키어는 양도 가능한 소유와 양도 불가능한 소유를 구분한다.[35] 양도 가능한 소유는 소유자를 주격으로, 소유물을 소유격으로 표시하는 반면, 양도 불가능한 소유는 인칭 지표로 표시된다.[36]
복수형은 격 표지 앞에 '-il-', '-l-', 또는 '-r-'을 붙여 나타낸다.
5. 1. 대명사
에벤키어 대명사는 단수와 복수, 그리고 1인칭의 포함과 배제를 구분한다.[33]단수 | 복수 | |
---|---|---|
1인칭 | -v | -vun (배타적) -t (포괄적) |
2인칭 | -s, -si, -ni | -sun |
3인칭 | -n, -in | -tyn |
5. 2. 격
에벤키어는 교착어적 성격이 강하며, 접미사를 통해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각 형태소는 하나의 의미만을 가지며 쉽게 구별할 수 있다.[33] 에벤키어는 다양한 격 체계를 갖추고 있는데, 방언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13개의 격을 사용하며, 명사-대격 언어에 속한다.[34]Nedjalkov (1997)가 제시한 에벤키어의 격과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
격 | 접미사 | 예시 | |
---|---|---|---|
주격 | – | ||
대격 | 부정형 | -ja | |
한정형 | -va, -ma | ||
재귀-속격 한정형 | -vi (단수), -ver (복수) | ||
"구 속격" (비생산적) | -ngi | ||
탈격 | -duk | ||
위치격 | 위치-지시격 | -kle, ikle | |
여격-위치격 | -du, -tu | ||
첨가-위치격 | -tki, -tyki | ||
첨가격 | -la | ||
이탈격 | -ditk | ||
도구격 | -li, -duli | ||
도구격 | -t, -di | ||
소유격 | -gali, -chi, -lan, -tai | ||
유사격 | -ngachin, -gechin |
복수형은 격 표지 앞에 '-il-', '-l-', 또는 '-r-'을 붙여 나타낸다.[37]
다음은 내몽골 자치구 휘허 지역 에벤키어의 격 어미를 나타낸 표이다.
격 | 정성 | 고유 글로스(「약어」) | 활용 어미의 형식 | 한국어 번역의 예 |
---|---|---|---|---|
주격 | 제로 | 없음 | ~은, ~가 | |
속격 | NI | ni | ~의 | |
대격 | 정 | C2CV6A | ba, bə, bo, bɵ, bu, bʉ/wa, wə, wo, wɵ, wu, wʉ | ~을 |
부정 | C2GV6A | a, ə, o, ɵ, u, ʉ/ya, yə, yo, yɵ, yu, yʉ | ~(무엇)을, ~을 | |
여격 | SV2B | du, dʉ | ~에 | |
처격 | 정(1) | LV4A | la, lə, lo, lɵ | ~에서, ~에 |
정(2) | LV4ALV4A | dala, dələ, dolo, dɵlɵ | ~에서, ~에 | |
부정(1) | LI | li | ~(어디)에, ~(어디)에서 | |
부정(2) | DV2BLI | duli, dʉli | ~(어디)에, ~(어디)에서 | |
탈격 | DIHI | dihi | ~에서, ~보다 | |
도구격 | JI | dʒi | ~으로 | |
함께격 | TE | te | ~와 | |
방향격 | THV4AHI | thahi, thəhi, thohi, thɵhi | ~로 | |
비교격 | THI | thi | ~보다 | |
한정격 | C2AV4AN | haŋ, həŋ, hoŋ, hɵŋ/kaŋ, kəŋ, koŋ, kɵŋ | ~만, ~뿐 | |
유격 | CI | ʃi | ~을 가지다 | |
소유격 | TEEN | teen | 모두 |
5. 3. 복수
에벤크어의 복수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용도 | 활용 어미 형식 | 예시 |
---|---|---|
일반적인 복수 | sal, səl, sol, sɵl, sul, sʉl | adasal "언니들", həhəsəl "고양이들", moosol "나무들", hɵɵggɵsɵl "손가락들", ʉldʉsʉl "고기들" |
친족 복수 | nal, nəl, nol, nɵl, nel | adanal "언니들", ənihə(ŋ)nəl "이모들", ami(ŋ)nel "아버지들", hudugunol "친척 아주머니들", tʉgʉ(ŋ)nɵl "조상들" |
인명·지명·씨족 및 친족의 호칭·직무 및 직업과 관련된 복수 | ʃeŋ | ʃiŋaʃeŋ "시가들(인명)", imiŋʃeŋ "이민 지구(지명)", gatʃadaʃeŋ "촌장들", tʃugaʃeŋ "군인들" |
일반적인 복수 | t, r, s, l | (아래) |
자음에 의한 복수 접미사는 가장 오래된 형태를 남기고 있다.
- -t: 형태가 작고, 무리를 이루는 것을 나타낸다. (예: niŋigt "새까만 야생 열매")
- -r: 동물 호칭의 어간 말에 나타난다. (예: ninihi(ŋ)r "개들")
- -s: 자연물의 복수 개념을 나타낸다. (예: ʉr(ŋ)s "산들")
- -l: 마이너스 평가(불만·냉담·경멸)를 나타낸다. (예: ninihi(ŋ)l "나쁜 개들")
명사나 대명사가 아닌 형용사나 수사도 복수형이 될 수 있다.
- honnoriŋ "검은" → honnoriŋsol "검은 것들"
- antanʃi "달콤한" → antanʃisal "달콤한 것들"
- nadan "7" → nadansal "7(명)들"
- namaadʒ "백" → namaadʒsal "백들"
5. 4. 소유
에벤키어는 양도 가능한 소유와 양도 불가능한 소유를 구분한다.[35] 양도 가능한 소유는 소유자를 주격으로, 소유물을 소유격으로 표시하는 반면, 양도 불가능한 소유는 인칭 지표로 표시된다.[36]단수 | 복수 | |
---|---|---|
1인칭 | -v | -vun (배타적) -t (포괄적) |
2인칭 | -s, -si, -ni | -sun |
3인칭 | -n, -in | -tyn |
5. 5. 어순
에벤키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지는 후행어 언어이다. 주어는 주격, 목적어는 대격으로 표시된다. 에벤키어에서 간접 목적어는 직접 목적어보다 앞에 위치한다.6. 현황
만주 문자는 "요나라, 금나라, 원나라 국어의 황실 역사"에서 에벤크어(솔론어) 단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에벤크족은 1931년 라틴 문자가 도입되기 전까지 자체적인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이후 1936~7년에 키릴 문자로 변경되었다.[38] 문어는 처음에는 남부 하위 그룹의 네파 방언을 기반으로 했지만, 1950년대에는 스토니 퉁구스카 방언을 기반으로 재설계되었다.[3] 민족지학자 S. M. 시로코고로프는 "유치한" 문어에 대해 혹독하게 비판했으며, 1930년대의 모노그래프에서 문어가 빠르게 소멸될 것이라고 예측했다.[39] 8학년까지의 교과서가 출판되었지만, "문어 에벤키어는 아직 방언을 가로지르는 규범의 지위를 얻지 못했으며, 일부 방언 사용자는 매우 어려움을 느끼며 이해한다."[38] 그러나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못했지만, 대략 5,000명의 방언 기반 내에서 살아남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40] 1930년대 이후, "민속, 소설, 시, 러시아어 및 기타 언어에서 번역된 수많은 작품", 교과서 및 사전이 모두 에벤키어로 작성되었다.[41]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투라(구 에벤크 자치구 행정 중심지)에서는 현지 신문에 에벤키어로 작성된 주간 부록이 포함되어 있다.[40]
참조
[1]
harvnb
[2]
Master thesis
The role of the new Evenkiness in the Evenki language revitalization: the case of the Sakha Republic (Yakutia)
https://munin.uit.no[...]
2015-05-20
[3]
harvnb
[4]
harvnb
[5]
문서
Grenoble; Janhunen
[6]
harvnb
[7]
harvnb
[8]
웹사이트
Tungusic family tree
https://www.ethnolog[...]
[9]
harvnb
[10]
harvnb
[11]
harvnb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15]
harvnb
[16]
harvnb
[17]
harvnb
[18]
harvnb
[19]
서적
Памятка тунгусам-отпукникам
[20]
서적
Литературная Россия
[21]
학술지
Письменность народов Севера
http://dlib.rsl.ru/v[...]
ВЦК НА
1931
[22]
서적
Л. Н. Потапова
2008
[23]
서적
Academia
[24]
서적
Учебник эвенкийского (тунгусского) языка
https://vivaldi.nlr.[...]
Гос. уч.-пед. изд-во
[25]
harvnb
[26]
harvnb
[27]
웹사이트
Эвенкийская жизнь (newspaper in Russian and Evenki)
http://www.evenkya.r[...]
2021-03-19
[28]
harvnb
[29]
서적
Эвенкийский язык в таблицах
"Дрофа" Санкт-Петербург
[30]
harvnb
[31]
harvnb
[32]
harvnb
[33]
harvnb
[34]
harvnb
[35]
harvnb
[36]
기타
[37]
기타
[38]
기타
Grenoble
[39]
기타
[40]
기타
[41]
기타
[42]
기타
[43]
기타
[44]
기타
[45]
기타
[46]
학술지
What Language Do Real Evenki Speak?
2014-12-05
[47]
기타
[48]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Evenki
https://www.ohchr.or[...]
2023-05-12
[49]
문서
2003年時点で32,600人
[50]
웹사이트
Indiana University Department of Central Eurasian Studies
http://www.indian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